KR20230158690A -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690A
KR20230158690A KR1020220058105A KR20220058105A KR20230158690A KR 20230158690 A KR20230158690 A KR 20230158690A KR 1020220058105 A KR1020220058105 A KR 1020220058105A KR 20220058105 A KR20220058105 A KR 20220058105A KR 20230158690 A KR20230158690 A KR 20230158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unit
supporter
sola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305B1 (ko
Inventor
안성관
조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엠
Priority to KR102022005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사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 및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되, LED조명 사용으로 사용자의 인지효율이 상승되고, 태양광 및 상용전기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전력에 대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며, 셀밸런스 기술이 적용되어 배터리의 효율이 증가되고, 잉여전기의 역송전으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사인에 있어서, 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전체가 지지되는 서포터부; 상기 서포터부에 결합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는 사인부; 상기 서포터부의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되되, 전력이 공급되는 솔라시스템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센서 및 장치로 구성되는 토탈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Hybrid multisign system}
본 발명은 멀티사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 및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되, LED조명 사용으로 사용자의 인지효율이 상승되고, 태양광 및 상용전기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전력에 대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며, 셀밸런스 기술이 적용되어 배터리의 효율이 증가되고, 잉여전기의 역송전으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는 운전자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데 있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지속적인 자동차의 증가와 도로 개발에 따른 도로망은 체계적이지만 복잡해짐과 동시에 도로표지판 역시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도로표지판 정보안내 기능이 미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규정에 부적합한 표지판, 교통환경 등과 위치 불량 표지판 및 일관성과 연계성이 결여된 표지판 등은 정확한 도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지 못해 혼선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간접적인 손실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야간에는 도로표지판에 대한 시인성이 낮아 운전자 및 보행자들이 도료표지에 대한 인지효율이 떨어지고 있으며, 고령의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종래의 도로표지판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야간에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 등의 발광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전력의 수급, 유지관리 및 유지비용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 전력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고, 시인성이 높으면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도로표지판에 대한 요구가 상승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도로표지판의 역할을 기본으로 하되, 새로운 기술의 적용으로 다양한 목적을 가지는 스마트한 멀티사인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20-0487672 Y1
(특허문헌 2) KR 10-2091194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둥식 도로표지판으로 설치되되, 도로표지판 자체 LED발광으로 야간에도 시인성이 증가되어 정확한 정보가 인식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태양광 및 상용전기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전력수급에 대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IOT가 적용되어 다양한 추가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 있어서, 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전체가 지지되는 서포터부; 상기 서포터부에 결합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는 사인부; 상기 서포터부의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되되, 전력이 공급되는 솔라시스템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센서 및 장치로 구성되는 토탈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인부는 내부에 LED가 구비되어 발광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솔라시스템부는 셀밸런스 기능이 적용되어 배터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인부는 주변환경에 따라 LED조명의 밝기가 변경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솔라시스템부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태양광 또는 상용전기가 선별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되고, 잉여전기가 발생되면 역송전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도로표지판은 야간에 인식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면발광 기술이 적용되어 야간에도 선명하게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위환경에 따라 LED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눈부심 및 불필요한 전기소비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친환경에너지만을 이용하는 종전의 기술과 달리 상용전기가 공용으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기술이 적용되어 빈번하게 발생되는 친환경에너지의 전력수급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시 셀밸러스 기술이 적용되어 복수개의 셀이 균등하게 충방전되어 배터리의 효율이 상승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친환경에너지로 생성된 전기에너지 중 잉여분에 대해 역전송 기능으로 판매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유지비용이 절감되거나 전기 사용이 필요한 곳에서 용이하게 전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는 CCTV, 환경측정기, 광고조명 및 조명센서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장치들이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의 효율향상 및 부가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서포터부 분리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풍력발전기가 추가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이중원통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배터리충전 및 역송전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서포터부 분리형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풍력발전기가 추가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이중원통의 개략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에서 배터리충전 및 역송전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부(100), 사인부(200), 솔라시스템부(300) 및 토탈센서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서포터부(100)를 살펴본다.
서포터부(100)는 기둥형태로 구성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설치되되, 본 발명의 모든 부분이 지지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포터부(100)는 일반적으로 강관이 사용되나, 미관 및 강도향상을 위해 복수개의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서포터부(100)의 하부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관을 위한 조형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는 강도가 높은 강관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서포터부(100)의 하부는 지면과 결합을 위해 스크류타입 및 프렌지타입 등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결합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프렌지타입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부(100)는 지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나, 지진 등의 진동 발생시 진동을 감소해주는 면진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부(100)의 하부가 프렌지타입의 경우, 수분 및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지면과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110)가 추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0)는 일반적으로 서포터부(100)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일반적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반원구 모양으로 구성되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서포터부(100)는 외부에 노출되고 여러부품들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강도,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높은 재질이 사용되며, 스테인레스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서포터부(100)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나, 상황에 따라 분리형 구조로 구성되어 운반, 이동, 설치, 분리, 교체, 조립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분리형 구조로 구성될 경우, 후술할 사인부(200)에 상하로 프렌지연결부가 구비되어 후술할 사인부(200)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서포터부(100)에서 후술할 사인부(200)가 연결되는 부분은 짧은 강관으로 구성되되, 양단에 프렌지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프렌지는 굴곡진 복수개의 장공으로 구성되어 회전조립이 가능하고, 위치에 따른 용이한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후술할 사인부(200)가 필요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서포터부(100)의 상단은 후술할 솔라시스템의 태양광판넬(310)이 조립되는 부분으로, 태양광거치대(1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끼움방식, 프렌지방식 및 일체형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설치환경에 적합하면서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부(100)는 후술한 토탈센서부(400)의 다양한 장치들이 조립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추가 연결부품이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사용환경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이 연결되어, 본 발명이 다양한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인부(200)를 살펴본다.
사인부(200)는 상기 서포터부(100)에 설치되되, 도로의 방향 정보가 제공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인부(200)는 방향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되, 복수개의 사인부(200)가 구비되어 여러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인식이 용이하도록 발광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발광되되, 내부에 LED 기판이 구비되고, 외부는 에폭시 수지 및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을 사용하여 빛을 고르게 분산하여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세련된 느낌을 제공하여 야간에 사용자에 대한 눈부심이 감소되고, 인식효율이 상승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인부(200)는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용이하게 확인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상기 면발광 방식 외에 OLED 패널이 사용되어 발광체의 부피가 최소화 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상용화기술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종래의 면발광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로의 통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인식효율이 높으며, 상기 서포터부(100)의 지지능력에 초과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한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인부(200)에 표시되는 문자 및 형상은 도색, 붙임 및 각인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나, 인식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환경에 맞는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인부(200)에 사용되는 재질은 가공이 용이하고 강성이 높은 스틸 및 강화플라스틱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운반 및 설치 등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화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상기 서포터부(100)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관통결합을 위한 추가부품이 더 구비되되, 상기 서포터부(100)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강관을 사용하여 결합에 의한 마찰을 감소시키며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인부(200)가 상기 서포터부(10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상기 서포터부(100)에 결합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추후 관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도록 볼트조립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상기 서포터부(100)가 분리형 구조로 구성될 경우, 분리형 구조에 맞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인부(200)의 상하부에는 강관이 연장구성되고, 강관의 양단에는 프렌지가 구성되는 구조로, 복수개의 사인부(200)가 프렌지 연결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도로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술한 프렌지의 굴곡진 복수개의 장공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는 개별 분리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원통(210)으로 상기 서포터부(10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인부(200)의 상기 이중원통(210)은 사인부(200)의 위치가 변경되는 홀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중원통(210)에는 장공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홀로 구성된 연결홀(211)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사인부(200)의 설치수량에 따라 이중원통(210)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사인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거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완전 분리되지 않고 반조립상태에서 이동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인부(200)에는 내장형 캠래치형식의 기어가 더 구비되어, 사인부(200)가 상기 연결홀(211)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터부(10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솔라시스템부(300)를 살펴본다.
솔라시스템은 본 발명에 전원을 공급하되, 태양광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상기 사인부(200) 및 후술할 토탈센서부(4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솔라시스템은 태양광판넬(310), 컨트롤러(330), 인버터(350) 및 배터리(370)로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판넬(310)은 태양광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상기 서포터부(100)에 결합되기 위해 태양광판넬(310)거치대가 더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판넬(310)을 경사지게 설치되되, 지면과 25 내지 40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태양광판넬(310)의 사용개수 및 크기는 소비되는 전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미관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을 기본으로 사용하나, 지역 및 환경에 따라 풍력발전기(5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후술할 구성품은 풍력발전에도 사용되는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솔라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되, 태양광 및 상용전기가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잉여전기가 역송전되는 기능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태양광 발전에서 전기가 부족할 경우 상용전기가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가능하고, 잉여전기가 역송전되어 관리비용이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역송전은 태양광발전에서 배터리(370)를 충전하고 잉여되는 전기를 일정한 가격으로 판매하거나 별도의 위치에 전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친환경에너지로 발생된 전기를 별도의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하이브리드 및 역송전 기능이 종래의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이 효율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후술할 배터리(370)를 충전하되, 셀밸런스 기술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충전될 경우, 각 셀이 일정한 비율로 충전되지 않아 배터리(370)의 효율이 감소되는데, 셀밸런스 기술이 적용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셀이 균등하게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배터리(370) 충방전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인버터(350)는 태양광에서 발전되는 전기가 사용전압 및 충전전압으로 변환되되, 상기 컨트롤러(3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컨트롤러(330)는 인버터(350)의 기능이 더 구비되어 별도의 인버터(350)가 구성되지 않아 설치공간효율이 상승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370)는 상기 태양광판넬(310)에서 발생된 전기가 상기 컨트롤러(330) 또는 상기 인버터(350)를 통해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고,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370)의 용량은 소비전력 및 예비전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충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2 내지 4일 정도 사용되는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370)는 무게, 충전효율, 수명 및 안정성이 높은 리튬인산철 배터리(Li- FePO4 battery)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나, 상황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lithium ion battery), 레독스 흐름 배터리(RFB : Redox flow battery) 및 납축 배터리 등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토탈센서부(400)를 살펴본다.
토탈센서부(400)는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부품 및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토탈센서부(400)는 조명센서에 의해 발광 및 발광출력을 제어하여 도로정보에 대한 인식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CCTV, 광고조명, 환경측정기 및 키오스크 등이 추가구성되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토탈센서부(400)는 IOT가 추가적용되어 여러 사물에 대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 및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의 이상상태여부가 전송 및 수신되어 즉각적인 확인 및 관리가 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토탈센서부(400)는 다양한 센서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명센서는 주변환경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330)에 신호를 보내 발광 및 발광출력에 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CCTV는 주변상황에 대한 영상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에 경각심을 주어 위험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광고조명은 일반적으로 바닥 및 벽 등에 표시되는 조명으로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에게 조명의 역할을 하면서 광고의 효과도 발생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키오스크는 도로 및 환경 등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장치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휴대폰 등과 같은 저용량의 고속무선충전이 지원되어 친환경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환경측정기는 주변환경에 대한 온도, 습도, 오염현황 및 불쾌지수 등을 측정하여 상기 LCD에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IOT장치는 토탈센서부(400)에서 획득된 모든 정보가 다양한 방법으로 수요자에게 전송되고, 일부 토탈센서부(400)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며, 정보가 분석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토탈센서부(400) 구성품의 일부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센서 및 장치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멀티사인이 필요한 위치에 본 발명을 설치하되, 일체형일 경우 서포터부(100), 사인부(200) 및 솔라시스템부(300)의 태양광판넬(310)이 조립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리형일 경우, 크레인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서포터부(100) 하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부 및 사인부(200)를 조립한 뒤 태양광판넬(310)이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과 같이 지면에 서포터부(100)를 설치하되, 앙카볼트 및 지그 등을 이용하여 볼트조립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인부(200)는 도로에 알맞는 수량 및 위치로 각각 서포터부(100)에 설치되되, 프렌지식 및 이중원통의 적용으로 회전가능하여 용이한 방향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으로 설치된 후 컨트롤러(330), 인버터(350), 배터리(370) 및 토탈센서부(40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을 사용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배터리(370)의 잔량을 확인하여 30% 미만일 경우, 상용전기와 동시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30% 이상일 경우, 태양광발전만으로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태양광발전이 불가능한 경우, 배터리(370)의 잔량을 확인하여 30% 미만일 경우, 상용전기만으로 배터리(370)의 잔량이 50%까지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최소한의 상용전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시점에서 배터리(370)가 완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태양광발전 및 상용전기로 배터리(370) 충전시 셀밸런스 기술로 복수개의 셀이 균등하게 충전되어 배터리(370)의 효율이 상승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조명센서에 의해 주위가 어두워지면 사인부(200)가 발광되거나, 설정시간에 의해 사인부(200)가 발광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명센서 및 컨트롤러(330)에 의해 주위의 밝기에 따라 사인부(200)의 발광출력이 제어되어 적당한 밝기로 사인부(200)가 발광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정확한 정보에 대한 인식효율이 향상되고, 눈부심 및 불필요한 전기소비가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370)가 완충된 후 잉여전기는 본 발명의 외부로 역송전되는 것이 가능하고, 판매되거나 별도의 장소에서 전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서포터부
110 : 덮개
130 : 태양광거치대
200 : 사인부
210 : 이중원통
211 : 연결홀
300 : 솔라시스템부
310 : 태양광판넬
330 : 컨트롤러
350 : 인버터
370 : 배터리
400 : 토탈센서부
500 : 풍력발전기

Claims (5)

  1. 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전체가 지지되는 서포터부;
    상기 서포터부에 결합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는 사인부;
    상기 서포터부의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되되, 전력이 공급되는 솔라시스템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센서 및 장치로 구성되는 토탈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인부는 내부에 LED가 구비되어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시스템부는 셀밸런스 기능이 적용되어 배터리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인부는 주변환경에 따라 LED조명의 밝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시스템부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태양광 또는 상용전기가 선별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되고, 잉여전기가 발생되면 역송전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KR1020220058105A 2022-05-12 2022-05-12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KR10263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5A KR102636305B1 (ko) 2022-05-12 2022-05-12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05A KR102636305B1 (ko) 2022-05-12 2022-05-12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690A true KR20230158690A (ko) 2023-11-21
KR102636305B1 KR102636305B1 (ko) 2024-02-14

Family

ID=8898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05A KR102636305B1 (ko) 2022-05-12 2022-05-12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30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KR101262996B1 (ko) * 2012-11-26 2013-05-10 (주)대호테크 복합에너지를 역송전하는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530857B1 (ko) * 2014-12-12 2015-06-24 (주)미르 알엔티 태양전지판과 엘이디를 구비한 도로안내 표시장치
KR20170062165A (ko) * 2015-11-27 2017-06-07 (주)포스트미디어 스마트 표지판 장치
KR200487672Y1 (ko) 2018-02-07 2018-10-18 강판진 도로표지판 장치
KR102091194B1 (ko) 2019-07-15 2020-03-19 김진희 시인성을 향상시킨 태양광을 이용하는 도로표지판
KR102148517B1 (ko) * 2020-03-23 2020-08-26 주식회사 산흥이지 도로정보 안내를 위한 도로표지 시스템
KR102329846B1 (ko) * 2021-04-01 2021-11-22 주식회사 산흥이지 일체형 IoT 저전력 태양광 LED 도로표지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32B1 (ko) * 2007-06-13 2008-08-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표시장치
KR101262996B1 (ko) * 2012-11-26 2013-05-10 (주)대호테크 복합에너지를 역송전하는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530857B1 (ko) * 2014-12-12 2015-06-24 (주)미르 알엔티 태양전지판과 엘이디를 구비한 도로안내 표시장치
KR20170062165A (ko) * 2015-11-27 2017-06-07 (주)포스트미디어 스마트 표지판 장치
KR200487672Y1 (ko) 2018-02-07 2018-10-18 강판진 도로표지판 장치
KR102091194B1 (ko) 2019-07-15 2020-03-19 김진희 시인성을 향상시킨 태양광을 이용하는 도로표지판
KR102148517B1 (ko) * 2020-03-23 2020-08-26 주식회사 산흥이지 도로정보 안내를 위한 도로표지 시스템
KR102329846B1 (ko) * 2021-04-01 2021-11-22 주식회사 산흥이지 일체형 IoT 저전력 태양광 LED 도로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305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4001C (en) Light emitting block
CN2926783Y (zh) 带广告箱的风能和太阳能互补路灯
CN205299367U (zh) 路灯
KR102636305B1 (ko) 하이브리드 멀티사인 시스템
CN201014313Y (zh) 便携式太阳能交通信号灯
CN201396684Y (zh) 一种远程控制新型风光互补led路灯
CN210662662U (zh) 一种数字化城市用照明装置
CN206036767U (zh) Led路灯及led路灯系统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130046962A (ko) 풍력발전기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량 정보를 표시하는 독립형 가로등
CN112837634A (zh) 夜间自发光光伏信息显示牌
CN101430847A (zh) 大型太阳能供电广告牌
CN201117199Y (zh) 大型太阳能供电广告牌
CN206036768U (zh) Led路灯系统
CN204720124U (zh) 一种基于太阳能发电系统的led广告装置
CN209726064U (zh) 一款新型多功能节能路灯
CN202227288U (zh) 一种太阳能路锥
CN2582091Y (zh) 太阳能发光标志牌
CN206176265U (zh) 一种智能路灯
CN2901018Y (zh) 发光二极管灯箱
CN212270683U (zh) 一种桥梁缆绳
CN103345892A (zh) 一种自发电的广告灯箱
CN210424812U (zh) 一种太阳能灯柱
CN201910959U (zh) 一种led路灯控制系统
CN221000738U (en) Solar energy road vehicle bu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