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404A -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404A
KR20230158404A KR1020230056827A KR20230056827A KR20230158404A KR 20230158404 A KR20230158404 A KR 20230158404A KR 1020230056827 A KR1020230056827 A KR 1020230056827A KR 20230056827 A KR20230056827 A KR 20230056827A KR 20230158404 A KR20230158404 A KR 2023015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corrugated
heat treatment
steel sheet
rolled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랭 니콜라
르농 뱅상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3015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1/00Sheets, panel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propor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ssemblies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주름형 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을 제공하는 단계(100);
- 15%와 45% 사이의 기하학적 변형률을 나타내는 목표 구역을 포함하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을 변형시키는 단계(110);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의 조성에 따라 정해지는 온도 및 열처리 지속시간으로 목표 구역을 열처리하는 단계(120);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냉각시키는 단계(130)
를 포함하는 주름형 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rugated cold-rolled stainless steel shee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주름형 판(corrugated sheet)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 방법은 특히 탱크에서 액화 천연 가스(약어 LNG로도 알려짐)의 운반 및/또는 저장을 위한 1차 밀봉 멤브레인으로서 적용하기 위한 주름형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의 제조를 위해 실행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판은 바람직하지만 비제한적인 예시적 예로서 예를 들어 선박의 선체와 같은 지지 구조부 내에 포함되는 탱크의 단열 및 기밀 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탱크는 예를 들어 액화 가스 운반선에 사용되는 탱크이다. 이러한 탱크는 저온의 액화 가스를 수용하고 증발을 제한하기 위해 완벽히 기밀적이고 충분히 단열성이어야만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이들 벽은 일반적으로 2개의 연속적인 밀봉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며, 하나는 탱크 내에 수용되는 제품과 접촉하는 1차 멤브레인(10)이고, 다른 하나는 1차 멤브레인(10)과 지지 구조부(50) 사이에 배치되는 2차 멤브레인(30)이며, 이들 2개의 멤브레인은 2개의 단열 방벽(20, 40)와 교호로 배치된다. 따라서, 탱크 벽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1차 멤브레인(10)과 결합된 1차 단열재(20)와 유연성(flexible) 또는 강성(rigid) 2차 멤브레인(30)과 결합된 2차 단열재(40)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2차 멤브레인(3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유리 섬유 직물 사이에 접착 샌드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얇은 연속 금속 판, 유리 직물들과 알루미늄 사이의 접착을 보장할 수 있는 결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탱크의 단열 및 기밀 벽은 바람직하게는 기성 패널들의 조립으로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기성 패널은 직육면체의 전체적인 형태를 가지며, 1차 단열 요소(20) 및 2차 단열 요소(40)는 각각 평면도로 보았을 때 변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직사각형 및 제2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제1 직사각형의 길이 및/또는 폭은 주변 경계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직사각형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작다. 인접한 2차 단열 요소(40)의 주변 경계부들과 1차 단열 요소(20)의 측벽들이 탱크의 전체 길이, 폭 또는 높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는 회랑(corridor)(24)을 한정한다. 1차 단열부(20)의 연속성은 회랑(24)에 블록(25)을 삽입함으로써 생성된다. 2차 멤브레인(30)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패널 사이의 결합부에서, 상기 주변 경계부들은 상기 블록(25)의 배치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얇은 금속 판을 포함하는 유연성 플라이(flexible ply)(35)의 스트립에 의해 덮여진다. 이러한 다른 패널들의 장착은 탱크의 단열 및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 작동 모드와 높은 장착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탱크 벽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 1b에 부분적으로 나타내져 있다. 이 변형예에서, 이 벽 또한 2개의 연속적인 밀봉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지며, 하나는 탱크 내에 수용되는 제품과 접촉하는 1차 멤브레인(10)이고, 다른 하나는 1차 멤브레인(10)과 지지 구조부(50) 사이에 배치되는 2차 멤브레인(30)이며, 이들 2개의 멤브레인은 2개의 단열 방벽(20, 40)과 교호로 배치된다. 이 변형예에서, 2차 멤브레인(30)은 팽팽하고(taut), Invar® 또는 고 망간 함량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름형 1차 멤브레인(10)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 방벽(20, 40)의 단열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탱크는 수많은 변형에 노출된다. 따라서, 탱크가 충전되기 전에 매우 낮은 온도, 예컨대 메탄의 경우 -160℃, 심지어 -170℃에 근접한 정도의 온도까지 탱크를 냉각하면 벽을 형성하는 재료의 다양한 열 수축으로 인해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은 항해 중에 선체 및 그에 따른 탱크의 벽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너울과 같은 수많은 변형에 노출된다. 화물의 움직임 또한 탱크 벽에 과중 압력(over-pressure) 또는 반 압력(counter-pressure)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단열 요소 또는 멤브레인의 배치는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설명되는 1차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1차 멤브레인(10)은 1차 멤브레인의 표면 상에 연장되어 있는 주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름부의 목적은 탱크가 냉각될 때 강의 열 수축을 수용하기 위해 1차 멤브레인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평탄 구역(11), 파형부(12) 및 노드(13)로 1차 멤브레인의 표면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노드(13)는 변형으로부터 유도되고, 판을 구성하는 재료의 야금학적 변태의 위치이다. 그 결과는 노드(13)가 기하학적으로 응력을 받는 구역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액화 천연 가스가 운반 및/또는 저장될 때, 1차 멤브레인(10)은 액화 천연 가스와 직접 접촉한다. 이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드(13)는 주름형 판이 LNG 수송 및/또는 저장을 위한 1차 밀봉 멤브레인으로 사용될 때 누적된 피로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증가되는 구역이다. 실제로, 선박의 용골 빔의 휨 운동은 선박의 이중 선체 및 결과적으로 멤브레인에 작용한다.
본 발명은 목표 구역의 재료의 조직을 변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특정 열처리를 가져 항복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더 나은 피로 강도를 판에 부여하는 주름형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문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대상은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과 강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조성을 갖는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
-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목표 구역을 포함하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을 변형시키는 단계;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의 조성에 따라 정해지는 온도 및 열처리 지속시간으로 상기 주름형 판의 목표 구역을 열처리하는 단계;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으로 표시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은 다음과 같다:
- 4% ≤ Ni ≤ 8%
- 0.05% < N ≤ 0.2%
그리고,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량으로 표현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은 다음과 같다:
- 8% ≤ Ni ≤ 10.5%
- 0 < N ≤ 0.1%
그리고, 열처리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진다.
유리하게는,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은 50℃/s 이상의 속도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열처리가 연속로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열처리 및/또는 냉각이 불활성 또는 환원성 환경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열처리가 진공로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처리가 가열 벨을 목표 구역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은 템퍼링 유체 내에서의 템퍼링에 의해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에서 템퍼링 유체의 가압 주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열처리 이전에 주름형 판을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형 판을 포함하는 밀봉 단열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을 갖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으로서,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상기 조성이: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과 생산에서 발생하는 잔류 원소이고,
상기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을 한정하는 주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은 재결정화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제1 방향의 제1 주름부 및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방향의 제2 주름부를 갖고,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의 교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을 포함하는 노드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포함하는 밀봉 단열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장점과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탱크 벽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탱크 벽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주름형 판의 상이한 구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판의 변형 단계 후에 얻어진 주름형 판의 노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연속로에서의 열처리 단계와 냉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미세조직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과 다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미세조직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할 때와 의하지 않을 때의 상이한 샘플들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판 변형의 단순화된 예시의 도면이다.
명료함을 위해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질 것이다.
이하에서,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은 냉연에 의해 얻어지고 예를 들어 0.15mm와 5mm 사이의 두께의 얇은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스테인리스 강 피스(piece)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주름형(corrugated)이라는 용어는 또한 물결 모양을 의미하고, 주름형 판은 주름부 또는 파형부를 나타내는 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은 0.5mm와 2m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그 폭은 200cm 이하인 것이 선호되고, 그 길이는 400cm 이하인 것이 선호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수단, 특히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나타날 노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다른 치수가 구상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탱크 벽의 단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판이 1차 멤브레인(10)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도면은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다.
도 1b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탱크 벽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판이 1차 멤브레인(10)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도면은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주름형 판의 상이한 구역들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앞서 이미 논의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단계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은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10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판의 스테인리스 강의 조성은 중량으로 표시되는 함량이 3% 이하(Mo ≤ 3%)인 몰리브덴 및/또는 중량으로 표시되는 함량이 0.5% 이하(Cu ≤ 0.5%)인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의 나머지는 철과 강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 스테인리스 강의 미세조직은 기본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준안정 오스테나이트 형태)이다. 1차 오스테나이트라고도 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6㎛(마이크로미터)와 35㎛(마이크로미터) 사이이다.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폴딩에 의해 수행되는 변형에 대해 15%와 45%(바람직하게는 35% 미만) 사이의 기하학적 변형률을 나타내거나, 스탬핑에 의해 수행되는 변형에 대해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목표 구역을 한정하는 주름부들을 포함하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폴딩(folding) 또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을 변형시키는 단계(110)를 포함한다.
단면 감소율은 변형 전과 후의 강의 단면들 사이의 비율로 볼 수 있다. 변형(스탬핑 유형) 후 4.5㎟의 단면을 가지는 5㎟의 초기 단면을 갖는 판은 10%의 단면 감소율을 갖는다.
기하학적 변형률은 판의 기하학적 변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비율이다. 기하학적 변형률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정식에 따른 수치 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판 변형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설명을 위해 단순화된 방식으로 단일 치수만 고려되는 경우, 두께 Ep의 폴딩되는 판(도 9 참조)에 있어서, 중간 섬유 세그먼트(Fn) 길이(도 9에서 두꺼운 점선으로 길이가 l0로 표시됨) l0 = 100mm이고 외부 섬유 세그먼트 길이(도 9에서 가는 점선으로 길이가 ld로 표시되고, ld = l0 + Δl) ld = 110mm인 경우, 폴딩 시 판의 두께 Ep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재료는 이 외부 섬유를 따라 10%의 변형률을 나타낸다.
판의 변형 단계(110)는 판 상에 주름부들 또는 파형부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들 주름부(15)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주름부의 목적은 액화 가스를 운반 및/또는 저장하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판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판의 변형 단계(110) 후에 얻어진 주름형 판의 노드(13)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변형 단계 후에, 주름형 판은 제1 방향의 제1 주름부(15) 및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방향의 제2 주름부(16)를 갖는다. 제1 주름부(15)와 제2 주름부(16)의 교차부에 노드(13)가 있다. 노드는 15%와 45%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목표 구역(14)을 포함한다. 이 변형/감소 비율은 변형 단계에 내재되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계산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률은 노드(13)의 목표 구역(14)에서의 많은 함량의 마르텐사이트의 출현을 낳는다.
판의 변형 단계(110)는 목표 구역(14)에서 스테인리스 강의 미세조직 레벨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초기에 6 마이크로미터와 35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평균 크기를 갖는 결정립 형태로 존재한 스테인리스 강의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는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혼합물로 변태된다. 마르텐사이트는 변형 전 강판의 1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박층(lamellae) 형태를 취한다.
1차 오스테나이트의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는 부분적이다. 변형 후,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사이의 비율은 여러 인자, 특히 스테인리스 강의 초기 조성과 판의 변형/단면 감소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동일한 변형이 주어졌을 때,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사이의 비율은 상이한 조성의 2개의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해 다를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어진 초기 강 조성에 대해,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은 판의 지점에 따라 겪는 변형률/단면 감소율의 차이로 인해 고려되는 판의 지점(목표 구역, 파형부 또는 평탄 구역)에 따라 달라진다.
목표 구역(14)은 15%와 45% 사이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국부적으로 목표 구역에서의 25% 미만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낸다. 기하학적 변형률이라는 표현은 폴딩에 의한 변형 단계 후에 얻어지는 목표 구역에 사용된다. 단면 감소율이라는 표현은 스탬핑에 의한 변형 단계 후에 얻어지는 목표 구역에 사용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응력을 받는 구역을 형성하고 따라서 증가된 피로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는 구역이 이러한 목표 구역(14)이다. 목표 구역(14)에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은 변형 단계(110)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으로 변태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단계들은 목표 구역(14)에 인접한 구역의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목표 구역(14)의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판의 변형 단계(110) 후에,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가진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의 조성에 따라 정해지는 온도 및 열처리 지속시간으로 목표 구역(14)을 포함하는 주름형 판을 열처리하는 단계(120)를 포함한다. 목표 구역의 재결정화가 아래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재결정화 온도는 700℃와 900℃ 사이이고, 열처리 지속시간은 5초와 40분 사이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피스의 열처리(120)는 상기 피스를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 4% ≤ Ni ≤ 8%
- 0.05% < N ≤ 0.2%
와 같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에 대해,
열처리(120)의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진다.
즉, 열처리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와 직결된다. 이러한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에 대해, 700℃의 온도인 경우, 열처리 지속시간은 15분과 40분 사이이다. 750℃의 온도인 경우, 열처리 지속시간은 5분과 20분 사이 등이다.
또한,
- 8% ≤ Ni ≤ 10.5%
- 0 < N ≤ 0.1%
와 같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에 대해,
열처리(120)의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에 비추어, 전술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임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750℃ 또는 800℃와 같은 열처리 온도에 따른 열처리 지속시간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표시된 한계들 사이에 있는 열처리 온도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775℃의 열처리 온도(즉, 750℃와 800℃의 표시된 온도들 사이의 온도)에 대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열처리 지속시간이 4분과 8분 사이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란 걸 안다.
열처리 단계(120)에서, 주름형 판에 존재하는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은 분할되어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으로 변태된다(따라서 변형 전의 판의 강 내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초기 크기보다 훨씬 작음). 즉, 열처리에 의해 목표 구역의 마르텐사이트는 대부분 미세한 결정립을 가진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된다. 일반적으로, 열처리 후 잔류 마르텐사이트 비율은 4% 이하이다. 그 후, 이러한 구역은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이라고 불린다. 즉, 마르텐사이트 형태의 미세조직이 미세한 결정립을 가진 오스테나이트 미세조직(2차 미세조직으로 불린다)으로 변태될 때 목표 구역은 재결정화된다. 이러한 오스테나이트 나노결정립(nanograin)의 생성, 또는 더 일반적으로 미세조직의 더 작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으로의 미세화는 재료의 항복 강도의 측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항복 강도의 향상은 해당 목표 구역의 피로 강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냉각시키는 단계(130)를 포함한다.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냉각시키는 단계(130)는 판 전체에 걸쳐 결정립의 성장을 중지시키고, 그 목적은 미세조직을 열처리(120)에 의해 얻어진 오스테나이트의 나노결정립 형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연속로에서의 열처리 단계와 냉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진 실시예에서, 열처리(120)는 연속로(20)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열처리 단계(120) 및 냉각 단계(130)는 표면 오염에 대해 보호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열처리(120)는 대안적으로 진공로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환경의 목적은 주름형 판의 표면에 스케일 또는 기타 오염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면 오염은 열처리 후 스케일 제거 단계(기계적, 화학적 또는 기타)를 생략하기 위해 회피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특히 열처리 환경이 표면 오염에 대해 보호적이지 않은 경우에 열처리(120) 후에 스케일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열처리(120) 전에 주름형 판을 세정하는 단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단계(115)의 목적은 주름형 판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의 모든 흔적, 눈에 띄는 유성 물질 또는 금속 칩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 판은 노(20)를 바로 통과하는 이동 베드(21), 예를 들어 매트 또는 롤러 세트 상에 배치된다. 방향(22)으로의 베드(21)의 이동을 통해, 주름형 판은 입력 구역이라 불리는 제1 구역(23)에서 내부(20)로 변위된다. 입력 구역(23)은 가열이 없는 영역이다. 대조적으로, 제어된 환경의 경우, 입력 구역(23)은 제어된 환경에 내에 있다. 따라서, 환경을 파괴하는 일 없이, 방향(22)으로 베드의 병진이동을 통해, 주름형 판은 가열 구역이라고 하는 제2 구역(24)으로 이송된다. 열처리 단계(120)는 주름형 판이 적절한 지속시간 동안 목표 온도에 노출되는 구역인 가열 구역(24)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중량으로 표시되는 6% 및 0.15%의 각각의 니켈 및 질소 함량과 800℃로 설정된 가열 구역(24)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의 주름형 판의 경우, 노출 시간은 예를 들어 5분과 10분 사이, 예컨대 8분이다. 주어진 온도 및 주어진 조성의 스테인리스 강의 주름형 판에 대해, 상술한 노출 시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가 출원인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속로(20)를 통한 베드의 전진 속도는 원하는 노출 시간을 얻기 위해 가열 구역(24)의 길이의 함수로서 계산된다. 예를 들어, 10m인 가열 구역을 갖는 연속로에 대해 800℃에서 5분의 노출 목표를 위해서는, 베드의 속도는 2m/min으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주름형 판의 치수에 따라, 주름형 판이 2개의 단계에 동시에 존재하는 시간을 제한하기 위해, 베드의 단계적 전진이 구상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베드는 병진이동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동일한 원리가 다른 유형의 이동, 특히 예를 들어 30cm x 50cm 정도의 작은 치수의 부품에 선호되는(또는 노의 크기에 더 의존적인) 회전식 반송로(rotary carriage furnace)에 의한 회전 이동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가열 구역 내에서의 미리 정행진 온도 및 지속시간을 갖는 열처리에 기초한다.
가열 구역(24)에서의 노출 시간의 끝에서, 주름형 판은 급속 냉각, 예를 들어 하이퍼 템퍼링(hyper tempering) 유형의 냉각을 겪는다.
열처리 단계(120) 및/또는 냉각 단계(130)는 판 표면 상의 산화물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 불활성 또는 환원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이 선호된다. 냉각 단계(130)를 위해, 템퍼링 유체가 산화를 방지하는 유체들 중에서 선택된다. 양자의 경우 모두(열 처리 단계(120) 및 냉각 단계(130)), 수소화 질소, 아르곤, 헬륨 또는 가능한 순수 수소가 또한 거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각이 불활성 또는 환원성 환경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나 또는 추가적으로,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은 냉각 단계(130) 후에 판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스케일 제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연속로(20)의 경우, 냉각(130)은 베드의 전진 방향(22)으로 가열 구역(24)에 인접한 템퍼링 영역(25) 내로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이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냉각 단계(130)는 매우 급속으로, 예를 들어 50℃/s 이상의 속도로 수행된다.
열 처리(120) 및/또는 냉각(130)은 전술한 이유로 불활성 또는 환원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이 선호된다.
진공로나 통제된 환경에서 열처리(120)하는 경우, 냉각(130)은 주변 온도에서 템퍼링 유체의 가압 주입에 의해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처리(120)는 예를 들어 가열 벨(heating bell)과 같은 국부 가열 수단을 목표 구역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 벨은 주름형 판의 형태를 감싸는 노드들에 위치결정된다. 특히 짧은 지속시간의 열처리를 위해 유도 또는 대류 유형의 가열 수단을 구상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는 얇은 판(일반적으로 0.5mm와 2mm 사이의 두께를 가짐)에서 수행되므로, 균열(soaking) 시간이 표면부(skin) 가열 시간에 근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정해지는 노출 시간에 비해 균열 시간이 짧은 것으로 사려된다.
노의 가열 구역의 가열 수단이 이미 목표 온도까지 가열된 가열 구역(예를 들어 진공로) 내의 처리될 판의 배치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 목표 온도가 유지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온도 상승 구배의 영향이 고려된다. 이 유지 시간의 감소는 열처리 온도가 높고 온도 상승 속도가 느릴 때 더욱더 크다. 열처리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 목표 온도까지의 점진적 온도 상승은 불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조 방법은 또한 열처리 지속시간을 잘 제어하고, 필요한 경우 온도 상승 구배를 고려하기 위해 베드의 전진 속도를 가열 구역(24) 내의 온도의 함수로서 조절하는 단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가 두꺼운 피스의 경우, 베드의 전진 속도는 얇은 두께의 피스에 대한 전진 속도보다 낮아지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판의 강의 화학적 조성의 함수로서 최적화되는 열처리에 의존한다. 열처리 지속시간 및 온도 파라미터는 1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즉, 노드의 비변형 구역에서의) 및 2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변형 구역에서의)의 성장을 제한하면서 노드의 목표 구역에서의 마르텐사이트의 오스테나이트로의 만족스러운 전환을 얻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계획된 액화 가스 수송/저장 적용처에 필수적인 주름부를 얻기 위한 변형으로 인해 취성화되는 구역인 목표 구역에 특정적인 열처리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열처리는 목표 구역에 존재하는 마르텐사이트의 작은 결정립 크기를 갖는 2차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는 목표 구역의 더 나은 기계적 특성을 낳는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열처리 후에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의 크기 및 스테인리스 강 내에 초기에 존재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얻기 위해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를 통한 목표 구역의 미세조직 레벨에서의 부분 변태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은 극저온에서의 액화 가스의 운반 및/또는 저장을 위한 밀봉 멤브레인(1차 멤브레인(10))의 제조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미세조직의 상세를 나타낸다. 이 확대도(x 1000)에서,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에 초기에 존재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60)의 경계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결정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층(61) 형태의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조정된 열처리로, 박층(61)은 미세 결정립(62) 또는 나노결정립 형태의 소위 2차 오스테나이트로 변태된다. 이것이 제조된 판의 항복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더 나은 기계적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1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60)의 2차 오스테나이트 나노결정립(62)으로의 미세화이다. 2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0.2㎛(마이크로미터)와 2㎛(마이크로미터) 사이이며, 심지어 0.2㎛ 미만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과 다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미세조직의 상세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주름형 판은 과도하게 긴 열처리, 즉 본 발명의 방법의 열처리 지속시간을 초과하는 지속시간을 거쳤다. 즉, 도 7에 그 상세가 도시된 주름형 판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지 않았다.
이 확대도(x 500)에서, 냉연 스테인리스 강에 초기에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치수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60)의 경계를 볼 수 있다. 마르텐사이트의 박층(61)의 흔적이 희미하게 보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과도한 열처리 지속시간은 2차 오스테나이트의 나노결정립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와 반대로, 열처리는 재료를 어닐링했다. 얻어진 미세조직은 1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과 1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에 근접한 크기로 상당히 성장한 2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도 6 및 7에 제시되는 미세조직들은 열처리 단계(120)의 결정적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실제로, 한편으로는 사용되는 강의 화학적 조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열처리 지속시간을 노출 시간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열처리 지속시간이 본 발명의 방법의 지속시간보다 짧으면, 상당한 비율의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이 오스테나이트의 나노결정립으로 변태될 시간을 갖지 못한다. 그리고, 열처리 지속시간이 본 발명의 방법의 지속시간보다 길면, 어닐링된 재료인 마르텐사이트의 박층이 다시 오스테나이트의 큰 결정립으로 변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할 때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지 않을 때의 상이한 샘플들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 결과들을 나타낸다. X축은 파손까지의 사이클 수(N)를 나타낸다. Y축은 주기적 신장을 나타낸다. 이 특정의 경우, 주기적 신장(Ec)은 0.55mm이다. 이 인자는 아래에 제시되는 모든 테스트에 대해 동일한다. 샘플은 전체 노드를 포함하는, 단계 110에 의해 변형된 냉연된 주름형 판의 일부이다. 각각의 샘플은 주기적 신장을 거쳤고, 샘플의 파손까지의 사이클 수가 관찰되었다. 파손은 예를 들어 목표 구역에서의 균열에 의해 반영될 수 있다.
냉연된 후 변형된(즉, 변형 단계(110)을 거친) 스테인리스 강판의 2개의 샘플:
- 조성(중량 퍼센트): 0.0159% C, 0.57% Si, 1.135% Mn, 0.0243% P, 0.0027% S, 18.272% Cr, 9.310% Ni, 0.116% Cu, 0.039% Mo 및 0.0175% N의 304L;
- 조성(중량 퍼센트): 0.025% C, 0.52% Si, 1.70% Mn, 0.033% P, 0.003% S, 17.32% Cr, 6.63% Ni, 0.25% Cu 및 0.108% N의 301LN
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단계 및 냉각 단계로 테스트되었다.
이 샘플들은 보호적인 환경에서 다양한 열처리를 거쳤다.
동일 응력부여(iso-stressing)에 의한 평균 수명(사이클 수)은:
- 열처리가 없는 304L("Raw 304L"): 155,147 사이클;
- 800℃에서 6분 동안 열처리한 304L(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470,467 사이클;
- 80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범위 초과) 304L: 134,400 사이클;
- 열처리가 없는 301LN("Raw 301LN"): 1,896,400 사이클;
- 800℃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한(범위 내) 301LN: 관찰된 파손 없이 2,000,000 사이클(테스트는 2,000,000 사이클에서 중지됨)
과 같이 나타난다.
표시된 사이클 수는 주어진 조건에 대해 수행된 여러 테스트에서 얻은 평균임을 알 수 있다.
Law 304L 샘플은 목표 구역(14)을 포함하는 참조 샘플을 구성한다. 그 수명은 155,147 사이클이다.
동일한 샘플이 800℃에서 6분 동안 열처리 단계로 본 발명의 방법을 거쳤다(304L 샘플 800℃/6mins). 그 수명이 470,467 사이클로 변경된다(즉, 참조 샘플보다 3배 더 많음).
동일한 샘플이 80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 단계로 본 발명의 방법에 상응하지 않는 열처리를 거쳤다(304L 샘플 800℃/10mins). 그 수명이 134,400 사이클로 변경된다. 즉, 참조 샘플에 비해 수명이 감소한다. 과도하게 긴 열처리는 샘플의 항복 강도를 향상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샘플의 수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aw 301LN 샘플은 목표 구역(14)을 포함하는 또 다른 참조 샘플을 구성한다. 그 수명은 1,896,400 사이클이다.
동일한 샘플이 800℃에서 5분 동안 열처리 단계로 본 발명의 방법을 거쳤다(301LN 샘플 800℃/5mins). 그 수명이 균열의 검지 없이 2,000,000회이다(즉, 참조 샘플보다 최소 1.05배 더 많음).
또 다른 테스트는 조건당 하나의 테스트로 더 큰 하중 레벨(0.7mm의 주기적 신장(Ec)을 갖는 "고하중 레벨")에서 수행되었다. 동일 응력부여가 주어진 평균 수명(사이클 수)은:
- 열처리 없는 301LN("Raw 301LN"): 367,200 사이클;
- 75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본 발명의 방법에 상응하는 지속시간 범위 내) 301LN: 관찰된 파손 없이 2,000,000 사이클(테스트는 2,000,000 사이클에서 중지됨)
과 같이 나타난다.
Raw 301LN 샘플은 목표 구역(14)를 포함하는 또 다른 참조 샘플을 구성한다. 고하중 레벨에서의 수명은 367,200 사이클이다.
동일한 샘플이 75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 단계로 본 발명의 방법을 거쳤다(301LN 750℃/10mins)와 함께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했다. 고하중 레벨에서의 수명은 균열의 검지 없이 2,000,000회이다(즉, 참조 샘플보다 최소 5.44배 더 많음).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할 때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지 않을 때 상이한 샘플들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테스트된 샘플의 향상된 피로 강도를 분명히 보여준다. 현미경 관찰은 미세조직의 형성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항복 강도 성능 수준에 대한 열처리의 효과를 부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을 갖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으로서,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상기 조성이: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14)을 한정하는 주름부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은 재결정화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제1 방향의 제1 주름부(15) 및 제1 방향(15)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방향의 제2 주름부(16)을 갖고, 상기 제1 주름부(15)와 상기 제2 주름부(16)의 교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14)을 포함하는 노드(13)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포함하는 밀봉 단열 탱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교시에 비추어,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임이 명백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청구범위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청구범위가 당업자의 일반 지식에 기초한 당업자의 범위 내에 있는 당업자의 조합 및 예상에 의해 커버하고자 하는 모든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과 강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인
    조성을 갖는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100);
    -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목표 구역을 포함하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판을 변형시키는 단계(110);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얻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의 조성에 따라 정해지는 온도 및 열처리 지속시간으로 상기 주름형 판의 목표 구역을 열처리(120)하는 단계;
    -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을 냉각시키는 단계(130)
    를 포함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4% ≤ Ni ≤ 8%
    - 0.05% < N ≤ 0.2%
    와 같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에 대해,
    열처리(120)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지고,
    또한,
    - 8% ≤ Ni ≤ 10.5%
    - 0 < N ≤ 0.1%
    와 같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스테인리스 강의 니켈 및 질소 함량에 대해,
    열처리(120)의 지속시간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와 같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130)은 50℃/s 이상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처리(120)가 연속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처리(120) 및/또는 냉각(130)이 불활성 또는 환원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처리(120)가 진공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처리(120)가 가열 벨을 목표 구역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결정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130)은 템퍼링 유체 내에서의 템퍼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결정화된 목표 구역을 갖는 주름형 판의 냉각(130)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에서 템퍼링 유체의 가압 주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처리(120) 이전에 주름형 판을 세정하는 단계(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10. 조성을 갖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으로서, 함량이 중량으로 표시되는 상기 조성이:
    0.005% ≤ C ≤ 0.05%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C ≤ 0.03%;
    0.1% ≤ Si≤ 1%;
    0.5% ≤ Mn ≤ 2%;
    4% ≤ Ni ≤ 10.5%;
    16% ≤ Cr ≤ 20%;
    0% < N ≤ 0.2%;
    0% < P ≤ 0.045%;
    0% < S ≤ 0.01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과 생산에서 발생하는 잔류 원소이고,
    상기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기하학적 변형률 또는 25% 미만의 목표 구역에서의 단면 감소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14)을 한정하는 주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14)은 재결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은 제1 방향의 제1 주름부(15) 및 상기 제1 방향(15)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방향의 제2 주름부(16)를 갖고, 상기 제1 주름부(15)와 상기 제2 주름부(16)의 교차부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역(14)을 포함하는 노드(1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을 포함하는 밀봉 단열 탱크.
KR1020230056827A 2022-05-11 2023-05-02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20230158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204482A FR3135467A1 (fr) 2022-05-11 2022-05-11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tôle corruguée en acier inoxydable laminée à froid
FR2204482 2022-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404A true KR20230158404A (ko) 2023-11-20

Family

ID=8269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827A KR20230158404A (ko) 2022-05-11 2023-05-02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76211A1 (ko)
JP (1) JP2023168281A (ko)
KR (1) KR20230158404A (ko)
CN (1) CN117051335A (ko)
FR (1) FR31354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19B1 (ko) * 2007-11-30 2010-05-04 한국과학기술원 액화천연가스 저장시스템의 방벽용 금속판의 시공방법
EP3686309A1 (fr) * 2019-01-22 2020-07-29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eme de stockage et/ou de transport pour un gaz liquef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8281A (ja) 2023-11-24
FR3135467A1 (fr) 2023-11-17
CN117051335A (zh) 2023-11-14
EP4276211A1 (fr)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211B1 (ko) 금속 스트립을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Herrera et al. Design of a novel Mn-based 1 GPa duplex stainless TRIP steel with 60% ductility by a reduction of austenite stability
JP6039774B2 (ja) 高強度・高延性で優れた耐食性・耐熱性を有する耐高圧水素ガス貯蔵容器製造用の高窒素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Babu et al. Transition from bainite to acicular ferrite in reheated Fe–Cr–C weld deposits
RU2707846C1 (ru) Горячепрессованная деталь
ES2696830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banda de espesor variable y banda asociada
EP2799584A1 (en) High-strength thick steel plate for construction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for preventing diffusion of brittle crack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140011044A1 (en) Steel foil for solar cell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olar cell substrat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Buckley et al. The effect of pre-straining and δ-ferrite on the embrittlement of 304L stainless steel by hydrogen
AU2018203405A1 (en) Cold-rolled narrow strip in the form of flat wire or profiled elements made of a high-strength steel for use in flexible pipes, in particular in flexible pipes for offshor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cold-rolled narrow strips
JP7320987B2 (ja) インバー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16491A (ko) 액화 가스용 저장 및/또는 운송 시스템
KR20230158404A (ko) 주름형 냉연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Mizumachi et al. Growth behavior of a mechanically long fatigue crack in an FeCrNiMnCo high entropy alloy: A comparison with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Kazum et al. Hydrogen permeation in twinning-induced plasticity (TWIP) steel
Mohammadi et al. Hydrogen-assisted failure in a bimodal twinning-induced plasticity steel: delamination events and damage evolution
Ran et al. Self-repairing behavior of oxidation diffusion layer and phase transformation mechanism during tensile test of 19Cr duplex stainless steels with various Mn content
Lu et al. Research on Forming Temperature of Metast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ead Based on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RU2803628C2 (ru)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и/ил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102621009B1 (ko)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24071357A1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ラインパイプ用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Hesketh et al. Sour Testing of 316L Stainless Steel: Comparison of Four-Point Bend and Uniaxial Tensile Test Methods
Aoki et al. Effects of hydrogen gas environment on non-propagation phenomena of a type 304 austenitic stainless steel
Eom et al. Effect of Cooling Rate on The Microstructure And Cryogenic Impact Toughness of HAZ in 9% Ni Steel
Taketomi et al. Corrosion Fatigue Crack Growth Rate for Petroleum Refining Pressure Vessel Materials (2.25 Cr-1Mo Ste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