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201A -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201A
KR20230158201A KR1020220057616A KR20220057616A KR20230158201A KR 20230158201 A KR20230158201 A KR 20230158201A KR 1020220057616 A KR1020220057616 A KR 1020220057616A KR 20220057616 A KR20220057616 A KR 20220057616A KR 20230158201 A KR20230158201 A KR 2023015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formation
accident
unit
mari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헌
차영문
Original Assignee
디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201A/ko
Publication of KR2023015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사고시 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면서 사고선박의 수색 패턴을 제공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박에 배치되어 육상으로부터 전송된 관제정보를 바탕으로 해상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선박의 구조활동을 관제하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3차원 레이더 물표 이미지를 출력 제공하는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Vessel traffic system communcated with e-Navigation}
본 발명은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사고시 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면서 사고선박의 수색 패턴을 제공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대형 선박에는 상대 선박의 AIS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육상에 있는 운항 관제사에게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운항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운항 관제사의 해상교통통제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영세한 소형 선박에는 이러한 AIS 식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레이더만 구비되어 있어 AIS 정보를 운항 관제사에게 전달할 수 없어 해상 교통관제에 어려움이 있다.
AIS 정보 없이 레이더 신호만으로 해상 교통관제를 수행하기에는 거리 및 방향에 따른 실제 선박의 크기를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이더 스크린에 나타는 레이터 물표 심벌은 해상 교통 관제사가 인식하기 매우 작기 때문에 순간 방심으로 인해 해상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AIS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해상 교통 관제사가 관제를 쉽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선박의 사고시에 수색에 참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22-0043301 JP 2014-16231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AIS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소형 선박도 수색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해상 교통 관제사에게 제공하고, 조난 또는 사고 선박의 수색을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수색 패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배치되어 육상으로부터 전송된 관제정보를 바탕으로 해상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선박의 구조활동을 관제하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3차원 레이더 물표 이미지를 출력 제공하는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에서 제공되는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업데이터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 상에 해상 교통정보를 표시하고, 실시간 항로 및 전자해도를 갱신시키는 전자해도부, 관제정보 및 실시간 항로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분석 및 경고하는 충돌위험 경보부, 운항하는 항로상의 기상정보, 항행경보, 조난신호를 생성 및 알리는 항행 및 기상 정보부, 선박의 사고위치, 사고유형, 사고 발생시각, 및 선속을 포함한 선박의 사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정보를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로 전송하는 항행 사고정보 전파부를 포함한다.
또한,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는 선박의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여 각 선박으로 전송함으로써 해상 교통을 관제하는 선박 관제부,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정보 수신부, 사고위치 및 사고유형을 포함한 사고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사고위치 표시부,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각각 도출하여 사고 선박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골든타임을 산출하고, 도출된 골든타임에 상응하는 수색 패턴을 생성 및 제공하는 수색 패턴 제공부,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정보를 취합하며,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이나 수색에 참여하지 않는 주변 선박에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하는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는 사고선박의 종류에 따라 선상화재 사고시에 대응하는 대응 프로세스를 각 단계별로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상화재 대응 제공부, 사고선박의 종류 및 선체 손상 부위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 선박의 좌초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좌초사고 대응 제공부, 선박의 충돌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충돌사고 대응 제공부, 선박 내에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의료 응급상황 대응 제공부, 선박 외부로 낙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외 낙수자 대응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는 사고유형에 맞는 대응 프로세스를 탐색함으로써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고 유형별 대응 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형별 대응 탐색부, 유형별 대응 탐색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응 프로세스를 우선수위별로 순차 결정하고, 우선수위에 따라 대응 프로세서를 진행하도록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 전송하는 유형별 대응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색 패턴 제공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색 패턴을 생성 저장하고,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수, 수색 범위, 수색 위치 및 산출된 골든타임에 따라 수색 패턴을 모델링하는 수색 패턴 모델링부, 사고정보, 수색 참여 선박의 종류 및 갯수를 바탕으로 수색 패턴 모델링부에서 모델링 한 복수의 수색 패턴을 탐색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정확한 경우에는 탐색된 수색 패턴을 선택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선택된 복수의 수색 패턴을 우선순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수색 패턴이 이루어지도록 탐색하는 수색 패턴 탐색부, 수색 패턴 탐색부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과 기상정보 및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수색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수색 지연시간 산출부, 수색 패턴 탐색부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 중 수색 지연 시간과 산출된 골든타임을 기초로 수색 패턴을 결정하여 수색에 참여한 선박이나 수색 주변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 전송하는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에서 결정한 수색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수색 패턴을 수색 패턴 모델링부에 갱신시키는 수색 패턴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소형 선박에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AIS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소형 선박도 수색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해상 교통 관제사에게 제공하고, 조난 또는 사고 선박의 수색을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수색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패턴 제공부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구조활동에 참여하는 선박의 수색 패턴 및 수색 정보가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에 의해 서로 공유되고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300)를 포함한다.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10)은 해상에서 선박이 사고를 당한 경우 선박에서 전송되는 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사고선박으로 전송하고, 조난이나 사고의 경우 수색 범위를 정하여 사고 선박을 수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는 선박에 배치되며, 주로 e-Navigation으로 불린다.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는 육상의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로부터 전송된 관제정보를 바탕으로 해상 교통정보를 당해 선박에 제공하며,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고정보를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로 전송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는 전자해도부(110), 충돌위험 경보부(120), 항행 및 기상 정보부(130), 항행 사고정보 전파부(140)를 대략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해도부(110)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에서 제공되는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정보를 포함한 해도 업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 상에 해상 교통정보를 표시하고, 실시간 항로 및 전자해도를 갱신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위험 경보부(120)는 관제정보 및 실시간 항로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분석 및 경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행 및 기상 정보부(130)는 운항하는 항로상의 기상정보, 항행경보, 조난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행 사고정보 전파부(140)는 선박의 사고위치, 사고유형, 사고 발생시각, 및 선속을 포함한 선박의 사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정보를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사고정보는 사고선박의 대응 프로세서 제공 및 수색 패턴 탐색에 기초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는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선박의 구조활동을 관제한다. 구조활동의 일예로서 사고선박의 수색을 관제하고,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관제부(210), 사고정보 수신부(220), 사고위치 표시부(230),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240), 수색 패턴 제공부(250),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제부(210)는 선박의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여 각 선박으로 전송함으로써 해상 교통을 관제한다.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는 전송된 전자해도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를 업데이트 하고, 전송된 관제정보를 바탕으로 주변 해역의 항로 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갱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정보 수신부(220)는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한다. 사고정보는 사고 유형, 사고 위치(위/경도를 포함), 사고 발생 시각, 선속 등을 포함하며, 선박에서 발생한 사고의 상세한 항목을 항목별로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위치 표시부(230)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의 모니터에 사고위치 및 사고유형을 포함한 사고정보를 표시한다.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사고 선박의 주변 해역 상황은 주변 인근을 통항하는 선박에도 동일한 정보가 전송되어 동기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240)는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각각 도출하여 사고 선박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형별 대응 탐색부(241)와 유형별 대응 제공부(2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형별 대응 탐색부(241)는 사고유형에 맞는 대응 프로세스를 탐색함으로써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고 유형별 대응 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형별 대응 제공부(242)는 유형별 대응 탐색부(241)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응 프로세스를 우선수위별로 순차 결정하고, 우선수위에 따라 대응 프로세서를 진행하도록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로 전송한다. 일예로서, 유형별 대응 탐색부(241)에서 탐색된 대응 프로세스가 선상 화재와 선체 손상인 경우에, 유형별 대응 제공부(242)는 사고 선박으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토대로 선상 화재 대응과 선체 손상 대응 중 대응이 급한 사고 유형을 우선순위 별로 선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대응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로 전송한다. 대응 우선순위는 사고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사고 유형 및 전송된 사고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사고 유형 중 선상화재 보다 선체손상 사고가 더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에도,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선상화재가 심각하고 선체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고 유형별 대응 제공부는 선상화재 대응 제공부(240a),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240b), 좌초사고 대응 제공부(240c), 충돌사고 대응 제공부(240d), 의료 응급상황 대응 제공부(240e), 선외 낙수자 대응 제공부(240f)를 포함한다. 유형별 대응 탐색부(241)는 사고선박으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유형에 맞는 복수의 사고 유형별 대응 제공부를 탐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상화재 대응 제공부(240a)는 사고선박의 종류에 따라 선상화재 사고시에 대응하는 대응 프로세스를 각 단계별로 마련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240b)는 사고선박의 종류 및 선체 손상 부위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즉,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240b)는 각 선박의 크기, 유형(유조선, 화물선, 어선 등) 별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며, 선체 손상 부위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도 별도로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초사고 대응 제공부(240c)는 선박의 좌초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제공된 대응 프로세스에 따라 사고선박은 사고 대응을 단계별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사고 대응 제공부(240d)는 선박의 충돌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 응급상황 대응 제공부(240e)는 선박 내에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외 낙수자 대응 제공부(240f)는 선박 외부로 낙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각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는 해당 제공부에 기 저장되어 있으며, 사고 대응의 학습에 따라 대응 프로세스가 갱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의 수색 패턴 제공부(250)는 사고선박으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골든타임을 산출하고, 도출된 골든타임에 대응 가능한 수색 패턴을 생성 및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패턴 모델링부(251)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색 패턴을 생성 저장하고,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수, 수색 범위, 수색 위치 및 산출된 골든타임 등의 수색 조건에 따라 수색 패턴을 모델링 한다. 수색 패턴은 수색 조건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패턴 탐색부,(252)는 사고정보, 수색 참여 선박의 종류 및 갯수를 바탕으로 수색 패턴 모델링부(251)에서 모델링 한 복수의 수색 패턴을 탐색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정확한 경우에는 탐색된 수색 패턴을 선택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선택된 복수의 수색 패턴을 우선순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수색 패턴이 이루어지도록 탐색한다. 즉 수색 목표 위치가 부정확하거나 수색 해역의 기상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수색 패턴의 탐색시에 2개 이상의 수색 패턴이 탐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골든타임이나 수색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탐색 우선순위 패턴을 정하고, 탐색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 및 교번적으로 수색이 이루어지도록 수색 패턴을 탐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지연시간 산출부(253)는 수색 패턴 탐색부(252)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과 기상정보 및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수색 지연시간을 산출한다. 즉, 수색 해역의 기상 조건과 통항하는 선박의 교통량 등의 조건에 따라 동일한 패턴으로 수색하는 경우에도 수색 지연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수색 지연시간 산출부(253)는 수색 패턴 탐색부(252)에서 탐색한 각 수색 패턴의 수색 지연 시간을 당해 해역의 기상정보 및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254)는 수색 패턴 탐색부(252)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 중 수색 지연 시간과 산출된 골든타임을 기초로 수색 패턴을 결정하여 수색에 참여한 선박이나 수색 주변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 전송한다. 수색에 참여한 선박은 전송된 수색 패턴을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에 연동시켜 선박의 전자해도에 표시하도록 하고, 당해 수색 패턴을 따라 수색을 전개한다.
결정된 사고 선박의 수색 패턴은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로 전송되며, 각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는 수색 패턴에 따라 선박의 항로가 유지되도록 운항 조정하고, 자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로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100)를 통해 전송한다. 수색 패턴에 따라 수색이 종료된 경우에는 자선의 수색 종류가 완료되었음을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로 전송하고,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로부터 차기 수색 패턴을 전송받는다.
본 발명의 수색 패턴 업데이트부(255)는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254)에서 결정한 수색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수색 패턴을 수색 패턴 모델링부(251)에 갱신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의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260)는 수색정보 및 수색패턴 공유화부를 포함하며,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정보를 취합하며,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이나 수색에 참여하지 않는 주변 선박에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한다. 수색 정보가 공유되고, 동기화 됨으로써 효율적인 수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선박(21,22,23)의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에 의해 표시되는 전자해도 상에는 서로 공유된 수색 패턴이 동기되어 표시되며, 주변 해역을 포함한 수색 해역이 모두 동기되어 표시된다. 공유된 수색 패턴에 따라 각 선박은 수색 해역을 수색하며, 자선의 현재 위치도 실시간으로 수색 패턴 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300)는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3차원 레이더 물표 이미지를 출력 제공한다.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300)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출원번호 10-2020-0126536에 출원된 모든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200)의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260)는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소형 선박에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함으로써,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소형 선박도 수색에 참여하도록 관제 할 수 있으며, 수색에 참여하지 소형 선박이 수색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관제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차세대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21 : 제1 선박 수색화면
21a,22a,23a : 수색화면 공유
22 : 제2 선박 수색화면
23 : 제3 선박 수색화면
100 :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
110 : 전자해도부
120 : 충돌위험 경보부
130 : 항행 및 기상 정보부
140 : 항행 사고정보 전파부
200 :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
210 : 선박 관제부
220 : 사고정보 수신부
230 : 사고위치 표시부
240 :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
241 : 유형별 대응 탐색부
242 : 유형별 대응 제공부
240a : 선상화재 대응 제공부
240b :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
240c : 좌초사고 대응 제공부
240d : 충돌사고 대응 제공부
240e : 의료 응급상황 대응 제공부
240f : 선외 낙수자 대응 제공부
250 : 수색 패턴 제공부
251 : 수색 패턴 모델링부
252 : 수색 패턴 탐색부
253 : 수색 지연시간 산출부
254 :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
255 : 수색 패턴 업데이트부
260 :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
300 :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

Claims (7)

  1. 선박에 배치되어 육상으로부터 전송된 관제정보를 바탕으로 해상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
    상기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선박의 구조활동을 관제하는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레이더 물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여 3차원 레이더 물표 이미지를 출력 제공하는 3차원 물표 이미지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는,
    상기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에서 제공되는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업데이터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 상에 해상 교통정보를 표시하고, 실시간 항로 및 전자해도를 갱신시키는 전자해도부,
    상기 관제정보 및 실시간 항로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분석 및 경고하는 충돌위험 경보부,
    운항하는 항로상의 기상정보, 항행경보, 조난신호를 생성 및 알리는 항행 및 기상 정보부,
    선박의 사고위치, 사고유형, 사고 발생시각, 및 선속을 포함한 선박의 사고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정보를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로 전송하는 항행 사고정보 전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는,
    선박의 관제정보 및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여 각 선박으로 전송함으로써 해상 교통을 관제하는 선박 관제부,
    상기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정보 수신부,
    사고위치 및 사고유형을 포함한 사고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사고위치 표시부,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각각 도출하여 사고 선박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
    전송된 사고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골든타임을 산출하고, 상기 도출된 골든타임에 상응하는 수색 패턴을 생성 및 제공하는 수색 패턴 제공부,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정보를 취합하며,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이나 수색에 참여하지 않는 주변 선박에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하는 주변선박 수색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부는,
    사고선박의 종류에 따라 선상화재 사고시에 대응하는 대응 프로세스를 각 단계별로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상화재 대응 제공부,
    사고선박의 종류 및 선체 손상 부위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체손상 대응 제공부,
    선박의 좌초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좌초사고 대응 제공부,
    선박의 충돌 사고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충돌사고 대응 제공부,
    선박 내에 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의료 응급상황 대응 제공부,
    선박 외부로 낙수자가 발생한 경우에 대비한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제공하는 선외 낙수자 대응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부는,
    상기 사고유형에 맞는 대응 프로세스를 탐색함으로써 사고 유형별 대응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고 유형별 대응 제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형별 대응 탐색부,
    상기 유형별 대응 탐색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응 프로세스를 우선수위별로 순차 결정하고, 상기 우선수위에 따라 대응 프로세서를 진행하도록 상기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 전송하는 유형별 대응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 패턴 제공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색 패턴을 생성 저장하고, 수색에 참여하는 선박의 수, 수색 범위, 수색 위치 및 산출된 골든타임에 따라 수색 패턴을 모델링하는 수색 패턴 모델링부,
    상기 사고정보, 수색 참여 선박의 종류 및 갯수를 바탕으로 상기 수색 패턴 모델링부에서 모델링 한 복수의 수색 패턴을 탐색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정확한 경우에는 탐색된 수색 패턴을 선택하고, 수색 목표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선택된 복수의 수색 패턴을 우선순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수색 패턴이 이루어지도록 탐색하는 수색 패턴 탐색부,
    상기 수색 패턴 탐색부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과 기상정보 및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수색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수색 지연시간 산출부,
    상기 수색 패턴 탐색부에서 탐색한 복수의 수색 패턴 중 수색 지연 시간과 산출된 골든타임을 기초로 수색 패턴을 결정하여 수색에 참여한 선박이나 수색 주변 선박의 상기 해상 내비게이션 단말부로 전송하는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
    상기 수색 패턴 모델 결정부에서 결정한 수색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수색 패턴을 상기 수색 패턴 모델링부에 갱신시키는 수색 패턴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IS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소형 선박에 상기 수색정보를 전송하여 수색정보를 동기화 또는 공유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KR1020220057616A 2022-05-11 2022-05-11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KR20230158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16A KR20230158201A (ko) 2022-05-11 2022-05-11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16A KR20230158201A (ko) 2022-05-11 2022-05-11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01A true KR20230158201A (ko) 2023-11-20

Family

ID=8897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616A KR20230158201A (ko) 2022-05-11 2022-05-11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2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316A (ja) 2013-02-22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捜索作業支援システム、捜索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43301A (ko) 2020-09-29 2022-04-05 동강엠텍(주) 3차원 물표 이미지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316A (ja) 2013-02-22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捜索作業支援システム、捜索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43301A (ko) 2020-09-29 2022-04-05 동강엠텍(주) 3차원 물표 이미지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8433A1 (en) Real-time monitoring of surroundings of marine vessel
KR101647743B1 (ko) 시계열 그래픽 표시를 이용한 선박 충돌회피 안내시스템
Lützhöft et al. On your watch: automation on the bridge
US10580307B2 (en) Ship display device
JP2017041071A (ja) 船舶用表示装置
KR101696615B1 (ko) 시계열 그래픽 표시를 이용한 다중 선박간 충돌회피 관제시스템
KR101842716B1 (ko) 항법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항법 기기
US11892298B2 (en) Navigational danger identifica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NO144232B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til forutsiende presentasjon av navigasjonskarakteristikker for fartoeyer som funksjon av tiden
KR20220079667A (ko) 조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7325A (ja) 船舶または車両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1225208A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794959A (zh) 预测航线显示设备及方法、计算机可读取介质
WO2023064384A1 (en) Context-dependent generation of navigational chart comprising hazards
KR20210116799A (ko)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선박 입출항 관제 시스템
KR20230158201A (ko) 해상 내비게이션과 연동되는 해상교통관제 시스템
JP6379430B2 (ja) 端末装置、警報方法
JP2021187282A (ja) 工事用船舶の航行監視システムおよび航行監視方法
Procee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to improve collision avoidance and resolution
JP2011165189A (ja) 潮汐の差によって変化する電子海図更新システム
EP3663188A1 (en) Head mounted display system
AU2004241516B2 (en) A method and a 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a pilot of a vessel
Porathe Ship Traffic Organization with Moving Havens: Ship and Shore Perspective
JP2021146778A (ja) 航路生成装置
KR102249156B1 (ko) 증강현실 이미지를 이용한 항해 보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