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91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917A
KR20230157917A KR1020230153267A KR20230153267A KR20230157917A KR 20230157917 A KR20230157917 A KR 20230157917A KR 1020230153267 A KR1020230153267 A KR 1020230153267A KR 20230153267 A KR20230153267 A KR 20230153267A KR 20230157917 A KR20230157917 A KR 20230157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upling member
area
dispos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기
장준수
이다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5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917A/ko
Publication of KR2023015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과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이너 플레이트, 디스플레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고, 이너 플레이트에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이너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는 지지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결합부재와 이너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모듈 커버를 각 부품별로 교체할 수 없어 일괄 폐기하였던 것을 개선하여 개별 부품별로 교체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이너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영역, 상기 체결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어 돌출되는 돌출영역 그리고, 상기 돌출영역으로부터 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영역, 상기 체결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어 돌출되는 돌출영역 그리고, 상기 돌출영역으로부터 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연장영역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연장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연장영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연장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접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제1,2 결합부재는 수직방향, 수평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하부가 오픈되고, 오픈된 상기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밴딩되고, 오픈된 상기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메임 프레임의 오픈된 하부를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절된 상기 메임 프레임의 가장자리와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임 프레임은: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장변; 상기 바디의 우측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1 단변; 상기 바디의 좌측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2 단변; 그리고,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컷 아웃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은,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 월 그리고 상기 제11 월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12 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변은, 상기 바디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1 월 그리고 상기 제31 월의 우측에서 연장되는 제32 월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변은, 상기 바디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1 월 그리고 상기 제41 월의 우측에서 연장되는 제42 월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1 월, 상기 제31 월, 상기 제41 월은 상기 바디에서 밴딩되고, 상기 제12 월, 상기 제32 월, 상기 제42 월 각각은 상기 제11 월, 상기 제31 월, 상기 제41 월에서 밴딩되어 상기 바디와 마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1 월의 우측은 상기 제31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12 월의 우측은 상기 제32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11 월의 좌측은 상기 제41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12 월의 좌측은 상기 제42 월의 상측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중 최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 중 최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바의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또는 배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의 후면 또는 배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1 체결부재와 상기 제11 체결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돌출된 하부 영역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1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1 체결부재와 상기 제21 체결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체결부재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2 체결부재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간 및 온도/습도 등의 환경 조건에 상관없이 메인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너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개별 부품별로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A/S 서비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볼 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 또는 수평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 또는 수직방향(DR2)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은 전후방향(DR3) 또는 두께방향(FB)이라 할 수 있다. 전후방향(DR3)은 좌우방향(DR1) 및/또는 상하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프레임(130)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 개의 픽셀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두께가 얇은 평면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자발광 소자인 OLED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LED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1000배 이상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되기 위해, 메인 프레임(13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바텀 프레임(1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은 메인 프레임(1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은 메인 프레임(13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과 바텀 프레임(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부 그리고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메인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의 타면은 메인 프레임(1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지지 플레이트(170)와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결합부재(190)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70)와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이너 플레이트(150)와 지지 플레이트(170)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지지 플레이트(170)의 후면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150)의 전면에 형성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바디(130b),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30b)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30b)는 하부 영역과 중앙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홈(H)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는 프레임 홈(H)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은 바디(130b)의 상측 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은 바디(130b)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 월(LSB1) 그리고 제11 월(LSB1)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12 월(LS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변(LS2)은 바디(130b)의 내측으로 컷 아웃(cut-out)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은 바디(130b)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1 월(SSB1) 그리고 제31 월(SSB1)의 우측에서 연장되는 제32 월(SS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변(SS2)은 바디(130b)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1 월(SSB2) 그리고 제41 월(SSB2)의 좌측에서 연장되는 제42 월(SSE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전단기(Shearing machine) 또는 금형(Die)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30)은 4 개의 테두리 또는 4 개의 코너를 컷오프(Cut-Off) 작업, 전단 작업 또는 프레스 작업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30)에 형성되는 4 개의 코너는 사선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11 월(LSB1)의 우측(RB1)은 수직방향(DR2)으로 절단되고, 제12 월(LSE1)의 우측(RE1)은 제1 사선방향(DR4)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31 월(SSB1)의 상측(UB1)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되고, 제32 월(SSE1)의 상측(UE1)은 제1 사선방향(DR4)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31 월(SSB1)의 하측(DB1)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되고, 제32 월(SSE1)의 하측(DE1)은 제2 사선방향(DR5)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11 월(LSB1)의 좌측(LB1)은 수직방향(DR2)으로 절단되고, 제12 월(LSE1)의 좌측(LE1)은 제2 사선방향(DR5)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41 월(SSB2)의 상측(UB2)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되고, 제42 월(SSE2)의 상측(UE2)은 제2 사선방향(DR5)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제41 월(SSB2)의 하측(DB2)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되고, 제42 월(SSE2)의 하측(DE2)은 제1 사선방향(DR4)으로 절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30)은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된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의 제1 단변(SS1), 제2 단변(SS2) 그리고 제1 장변(LS1)에 형성된 가장자리(SSB1,SSE1,SSB2,SSE2,LSB1,LSE1) 또는 테두리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30)의 가장자리(SSB1,SSE1,SSB2,SSE2,LSB1,LSE1)는 메인 프레임(130)의 전면(F)을 향해 밴딩된 후,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은 메인 프레임(130)의 전방(F)을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의 제12 월(LSE1)은 메인 프레임(130)의 바디(130b)에 마주되도록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에서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의 제31 월(SSB1)은 메인 프레임(130) 의 전방(F)을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의 제32 월(SSE1)은 메인 프레임(130)의 바디(130b)에 마주되도록 제1 단변(SS1)의 제31 월(SSB1)에서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2 단변(SS2)의 제41 월(SSB2)은 메인 프레임(130)의 전방(F)을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2 단변(SS2)의 제42 월(SSE2)은 메인 프레임(130)의 바디(130b)에 마주되도록 제2 단변(SS2)의 제41 월(SSB2)에서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굴절된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LSB1,LSE1)는 굴절된 제1 단변(SS1)의 가장자리(SSB1,SSE1) 상측(UB1,UE1)과 굴절된 제2 단변(SS2)의 가장자리(SSB2,SSE2) 상측(UB2,UE2)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LSB1,LSE1) 중 절단된 우측(RB1,RE1)은 제1 단변(SS1)의 가장자리(SSB1,SSE1) 중 절단된 상측(UB1,UE1)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LSB1,LSE1) 중 절단된 좌측(LB1,LE1)은 제2 단변(SS2)의 가장자리(SSB2,SSE2) 중 절단된 상측(UB2,UE2)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수직방향(DR2)으로 절단된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의 우측(RB1)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된 제1 단변(SS1)의 제31 월(SSB1)의 상측(UB1)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선방향(DR4)으로 절단된 제1 장변(LS1)의 제12 월(LSE1)의 우측(RE1)은 제1 사선방향(DR4)으로 절단된 제1 단변(SS1)의 제32 월(SSE1)의 상측(UE1)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수직방향(DR2)으로 절단된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의 좌측(LB1)은 수평방향(DR1)으로 절단된 제2 단변(SS2)의 제41 월(SSB2)의 상측(UB2)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선방향(DR5)으로 절단된 제1 장변(LS1)의 제12 월(LSE1)의 좌측(LE1)은 제2 사선방향(DR5)으로 절단된 제2 단변(SS2)의 제42 월(SSE2)의 상측(UE2)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절단된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 양측(RB1,RE1,LB1,LE1)은 접착재, 양면테이프, 내부용접 또는 보장재 등을 이용하여 절단된 제1 단변(SS1)의 가장자리 상측(UB1,UE1) 그리고 절단된 제2 단변(SS2)의 가장자리 상측(UB2,UE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절단된 제1 장변(LS1)의 가장자리 양측(RB1,RE1,LB1,LE1)은 절단된 제1 단변(SS1)의 가장자리 상측(UB1,UE1) 그리고 절단된 제2 단변(SS2)의 가장자리 상측(UB2,UE2) 간의 갭(Gap)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는 오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플레이트(150)는 메인 프레임(13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메인 프레임(130)보다 작은 크기 또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가장자리가 굴절된 메인 프레임(130)에 내장될 수 있다. 가장자리가 굴절된 메인 프레임(130)은 이너 플레이트(150)의 후면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150)의 측면 등을 감쌀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홈(PH)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홈(PH)은 이너 플레이트(15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홈(PH)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메인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볼트, 나사 등일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이너 플레이트(15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이너 플레이트(150)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재(19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이너 플레이트(15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너 플레이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은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또는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가장자리가 굴절된 메인 프레임(130)에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오픈된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후, 굴절된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을 따라 메인 프레임(130)에 장착될 수 있다.
가장자리가 굴절된 메인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등을 감쌀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은 지지 플레이트(170)에 마주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은 체결부재(13a,13b,14a,14b)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13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3a,13b,14a,14b)는 제1 체결부재(13a,14a)와 제2 체결부재(13b,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a,14a)는 제2 체결부재(13b,14b)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a,14a)는 메인 프레임(130) 후면 또는 배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a,14a)는 제11 체결부재(13a)와 제12 체결부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체결부재(13a)는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1 체결부재(13a)는 메인 프레임(13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2 체결부재(14a)는 제11 체결부재(13a)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2 체결부재(14a)는 제11 체결부재(13a)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체결부재(14a)는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 체결부재(14a)는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체결부재(14a)는 돌출된 하부 영역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은 제22 체결부재(14b)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제2 체결부재(13b,14b)는 바텀 프레임(131) 후면 또는 배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3b,14b)는 제21 체결부재(13b)와 제22 체결부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는 바텀 프레임(1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는 제11 체결부재(13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는 바텀 프레임(13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후 메인 프레임(130)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체결부재(13b)는 "ㄱ"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1 체결부재(13b)는 체결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h2)은 밴딩된 제21 체결부재(13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2 체결부재(14b)는 제21 체결부재(1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체결부재(14b)는 제12 체결부재(14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2 체결부재(14b)는 바텀 프레임(131)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2 체결부재(14b)는 보조 체결부재(14b1,14b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14b1,14b2)는 제22 체결부재(14b)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14b1,14b2)는 바텀 프레임(13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후 메인 프레임(130)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14b1,14b2)는 "Z"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30a)는 메인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인 제1 단변(SS1)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a)는 제1 단변(SS1)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30a)는 가이드 홈(h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h1)은 가이드 부재(130a)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1a)는 바텀 프레임(131)의 상부 양측 최외곽 영역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1a)는 제21 체결부재(13b)와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1a)는 가이드 부재(130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1a)는 바텀 프레임(131)의 최외곽 영역 상측에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바텀 프레임(131)은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메인 프레임(130)에 장착된 후, 메인 프레임(13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는 제11 체결부재(13a, 도 6b 참조)에 체결될 수 있다. 제22 체결부재(14b)는 제12 체결부재(14a)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체결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14b1,14b2)는 메인 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는 제11 체결부재(13a, 도 6b 참조)에 체결된 후 스크류(S)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체결부재(13a)와 제12 체결부재(14a)는 다양한 체결부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30)과 바텀 프레임(131)은 제11 체결부재(13a, 도 6b 참조)와 제21 체결부재(13b) 그리고 제12 체결부재(14a)와 제22 체결부재(14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21 체결부재(13b)와 제11 체결부재(13a, 도 6b 참조)에 스크류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바텀 프레임(131)은 메인 프레임(130)에서 상하방향, 수평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메인 프레임(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체결부재(14b)는 제12 체결부재(14a)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체결부재(14b1,14b2)는 바텀 프레임(131)의 배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바텀 프레임(131)은 제12 체결부재(14a)와 제22 체결부재(14b) 그리고 보조 체결부재(14b1,14b2)를 통해 메인 프레임(13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a)와 가이드 바(131a)는 메인 프레임(130)과 바텀 프레임(131)가 서로 접하는 최외곽 영역인 프레임 코너(FC)에 배치될 수 있다.
B-B'가 절단된 부분을 살펴보면, 가이드 바(131a)는 돌기(31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a)는 가이드 바(131a)의 끝단 근처에 배치되며, 가이드 부재(130a)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이 메인 프레임(130)에 체결될 때, 가이드 바(131a)는 가이드 부재(130a)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31)이 메인 프레임(130)에 체결되면, 가이드 바(131a)의 돌기(31a)는 가이드 부재(131a)의 홈(h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바(131a)의 돌기(31a)가 가이드 부재(130a)의 홈(h1)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메인 프레임(130)과 바텀 프레임(131)가 서로 접하는 최외곽 영역인 프레임 코너(FC)의 갭(Gap)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90)는 제1 결합부재(190a)와 제2 결합부재(19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지지 플레이트(17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접합부재(19)를 통해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19)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a), 체결영역(91a)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어 돌출되는 돌출영역(92a) 그리고, 돌출영역(92b)으로부터 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영역(9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이너 플레이트(15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제1 결합부재(190a)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이너 플레이트(150)에 접합부재(19)를 통해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19)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또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이너 플레이트(15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b), 체결영역(91b)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어 돌출되는 돌출영역(92b) 그리고, 돌출영역(92b)으로부터 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영역(93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에서 A-A'의 절단한 부분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메인 프레임(130)의 제1 장변(LS1)에 형성된 가장자리(LSB1,LSE1) 또는 테두리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30)의 가장자리(LSB1,LSE1)는 메인 프레임(130)의 전방(F)을 향해 밴딩된 후,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은 메인 프레임(130)의 바디(130a)에서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 제1 장변(LS1)의 제12 월(LSE1)은 메인 프레임(130)의 바디(130b)에 마주되도록 제1 장변(LS1)의 제11 월(LSB1)에서 메인 프레임(130)의 내부를 향해 90°(도)로 밴딩될 수 있다.제1 결합부재(190a)는 제2 결합부재(19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는 이너 플레이트(150)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메인 프레임(130)에 삽입되는 동안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은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과 이너 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의 일면은 이너 플레이트(150)와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의 타면은 지지 플레이트(17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의 타면은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의 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메인 프레임(130)에 삽입되는 동안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은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과 지지 플레이트(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170)와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의 타면은 이너 플레이트(15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0b)의 연장영역(93b)의 타면은 제1 결합부재(190a)의 연장영역(93a)의 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재(190a)와 제2 결합부재(190b)는 후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13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 영역이 전면을 향해 쏠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150)는 복수 개의 비드(Bead) 형상(B)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 형상(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50)는 복수 개의 비드 형상(B)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메인 프레임(13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의 (a)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91a)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1b)는 제1 결합부재(191a)에 대응하여 이너 플레이트(150)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1a)는 제2 결합부재(19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결합부재(191a)는 제2 결합부재(191b)와 서로 다른 수평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1a)와 제2 결합부재(191b)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130)과 더욱 안정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191a)와 제2 결합부재(191b)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체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 영역은 전면을 향해 쏠리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b)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92a1, 192a2)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2a1, 192a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192a1, 192a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2b1, 192b2)는 제1 결합부재(192a1, 192a2)에 대응하여 이너 플레이트(15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2b1, 192b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192b1, 192b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2a1, 192a2)는 제2 결합부재(192b1, 192b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결합부재(192a1, 192a2)는 제2 결합부재(192b1, 192b2)와 서로 다른 수직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2a1, 192a2)와 제2 결합부재(192b1, 192b2)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130)과 더욱 안정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192a1, 192a2)와 제2 결합부재(192b1, 192b2)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체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 영역은 전면을 향해 쏠리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c)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93a1, 193a2)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3a1, 193a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193a1, 193a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3a1, 193a2)들 간의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3b1, 193b2)는 제1 결합부재(193a1, 193a2)에 대응하여 이너 플레이트(150)에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3b1, 193b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193b1, 193b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3b1, 193b2)들 간의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3a1, 193a2)와 제2 결합부재(193b1, 193b2)가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130)에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193a1, 193a2)와 제2 결합부재(193b1, 193b2)가 사선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94a)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c)과 체결영역(91c)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영역(9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4b)는 이너 플레이트(15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d)과 체결영역(91d)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어 돌출되는 돌출영역(92d) 그리고 돌출영역(92d)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영역(9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4a)의 연장영역(93c)은 제2 결합부재(194b)의 체결영역(91d)과 제2 결합부재(194b)의 연장영역(93d)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4a)의 연장영역(93c)의 상면은 제2 결합부재(194b)의 연장영역(93d)의 하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4a)의 연장영역(93c)의 하면은 제2 결합부재(194b)의 체결영역(91d)의 상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재(195a)는 지지 플레이트(17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e)과 체결영역(91e)으로부터 돌출되어 밴딩되는 밴딩영역(9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5b)는 이너 플레이트(150)에 체결되는 체결영역(91f)과 체결영역(91f)으로부터 돌출되어 밴딩되는 밴딩영역(92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5a)의 밴딩영역(92e)은 제2 결합부재(195b)의 밴딩영역(92f)과 이너 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5a)의 밴딩영역(92e)의 일면은 이너 플레이트(150)와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95a)의 밴딩영역(92e)의 타면은 제2 결합부재(195b)의 밴딩영역(92f)의 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5b)의 밴딩영역(92f)은 제1 결합부재(195a)의 밴딩영역(92e)과 지지 플레이트(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5b)의 밴딩영역(92f)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170)와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95b)의 밴딩영역(92f)의 타면은 제1 결합부재(195a)의 밴딩영역(92e)의 타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프레임(330)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되기 위해, 메인 프레임(33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가장자리는 외부를 향해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바텀 프레임(3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31)은 메인 프레임(3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31)은 메인 프레임(33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과 바텀 프레임(3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메인 프레임(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배면은 메인 프레임(3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지지 플레이트(170)와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결합부재(351,353)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70)과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51,353)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지지 플레이트(170)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351,353)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351,353)는 자성을 지닌 자성부재(351,351a)와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재(353,353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부재(351,351a)는 자석일 수 있고, 접착부재(353,353a)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자성부재(351,351a)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353,351a)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이너 플레이트(350)에서 분리할 때,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를 잡아 당기면서 분리할 수 있다. 접착부재(353,351a)보다 접착력이 낮은 자성부재(351,351a)를 이너 플레이트(350)의 상부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성부재(351,351a)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상부 영역에 M행과 N열(M,N은 자연수)로 배치될 수 있다. 첫번 째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는 첫번째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a)의 개수와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 째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는 첫번째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a)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 테두리 또는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a)의 개수보다 많게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와 이너 플레이트(350)의 테두리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를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와 이너 플레이트(350)의 테두리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전단력(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35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자성부재(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상부 영역에 M행과 N열(M,N은 자연수)로 배치될 수 있다. 첫 번째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는 첫 번째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b)의 개수와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는 첫 번째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b)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 테두리 또는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되는 자성부재(351)의 개수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자성부재(351b)의 개수보다 많게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와 이너 플레이트(350)의 테두리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b1,353b2)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b1,353b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b1,353b2)를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이너 플레이트(350)에서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접착부재(353b1,353b2)를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가 분리되는 방향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접착부재(353b1,353b2)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재(353b1,353b2)는 이웃하는 접착부재(353b1,353b2)와 폭을 달리하거나, 재질을 달리하여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전단력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35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자성부재(351c)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상부 영역에 M행과 N열(M,N은 자연수)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성부재(351c)는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자성부재(351c)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자성부재(351c)들 간의 이격거리(b)는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자성부재(351c)들 간의 이격거리를 제2 이격거리(b)라 하고, 도 16에 도시된 자성부재(351)들 간의 이격거리를 제1 이격거리(a)라 가정할 때, 제2 이격거리(b)는 제1 이격거리(a)보다 짧을 수 있다.
접착부재(353c)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하부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결합부재는 자성부재(351d,351e,351f)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를 연결 또는 체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성부재(351d,351e)는 이너 플레이트(350)에 M행과 N열(M,N은 자연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 개의 자성부재(351d,351e,351f)의 크기 또는 면적이 커질수록 자성부재(351d,351e,351f)들 간의 이격거리는 짧아질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자성부재(351)는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자성부재(351)의 두께(th1,th2)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a)에 도시된 자성부재(351)의 제1 두께(th1)라 하고, 도 21의 (b)에 도시된 자성부재(351)의 제2 두께(th2)라 할 수 있다.
제1 두께(th1)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자성부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두께(th2)는 제1 두께(th1)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부재(351)는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자성 물질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51,353)는 자성부재(351)들 간의 간격, 자성부재(351)의 두께 그리고 자성부재(351)의 면적을 이용하여 자력 또는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살펴보면, 접착부재(3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353)는 제1 레이어(3a) 내지 제7 레이어(3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3a)는 보호층일 수 있다. 제1 레이어(3a)는 제2 레이어(3b)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레이어(3b)는 제1 레이어(3a)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레이어(3b)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3 레이어(3c)는 제2 레이어(3b)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3 레이어(3c)는 PET 필름(Film)일 수 있다.
제4 레이어(3d)는 제3 레이어(3c)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4 레이어(3d)는 PU 폼(Foam)일 수 있다.
제5 레이어(3e)는 제4 레이어(3d)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5 레이어(3e)는 PET 필름(Film) 또는 TPU 일 수 있다.
제6 레이어(3f)는 제5 레이어(3e)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6 레이어(3f)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7 레이어(3g)는 제6 레이어(3f)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7 레이어(3g)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7 레이어(3g)는 보호층일 수 있다. 제7 레이어(3g)는 제6 레이어(3f)를 보호할 수 있다.
접착부재(353b1,353b2)는 제2 레이어(3b)와 제4 레이어(3d) 그리고 제4 레이어(3d)와 제6 레이어(3f) 사이에 점착성이 좋은 PET 필름(Film)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부재(353b1,353b2)는 점착성이 좋은 PET 필름(Film)을 접착층과 PU 폼(Foam)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양쪽 피착물(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350))에서 분리된 PU 폼(Foam)의 잔류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돌출 영역과 접촉하는 상부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 영역과, 상기 체결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돌출 영역과, 상기 돌출 영역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체결 영역과, 상기 체결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돌출 영역과, 상기 돌출 영역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연장 영역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연장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연장 영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연장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접착제로 부착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접착제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는 복수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는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의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가장자리의 밴딩부와,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장변과, 상기 바디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 단변과, 상기 바디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 단변과, 내측으로 컷 아웃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은 상기 바디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1 월과, 상기 제1 월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2 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변은 상기 바디의 우측에서 연장되는 제3 월과, 상기 제3 월의 우측에서 연장되는 제5 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변은 상기 바디의 좌측에서 연장되는 제4 월과, 상기 제4 월의 좌측에서 연장되는 제6 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월과, 상기 제3 월과, 상게 제4 월은 상기 바디에서 밴딩되고,
    상기 제2 월과, 상기 제5 월과, 상기 제6 월은 각각 상기 제1 월과, 상기 제3 월과, 상기 제4 월에서 상기 바디를 향하도록 밴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월의 우측은 상기 제3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2 월의 우측은 상기 제5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1 월의 좌측은 상기 제4 월의 상측과 접하고,
    상기 제2 월의 좌측은 상기 제6 월의 상측과 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영역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 부재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체결 부재와,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 체결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체결 부재는 상기 바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를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하방으로 걸려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를 서로 고정시키는 하방 연장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153267A 2017-11-30 2023-11-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57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267A KR20230157917A (ko) 2017-11-30 2023-11-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22A KR102435536B1 (ko) 2017-11-30 2017-11-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03565A KR20220122571A (ko) 2017-11-30 2022-08-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153267A KR20230157917A (ko) 2017-11-30 2023-11-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565A Division KR20220122571A (ko) 2017-11-30 2022-08-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917A true KR20230157917A (ko) 2023-11-17

Family

ID=666640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22A KR102435536B1 (ko) 2017-11-30 2017-11-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03565A KR20220122571A (ko) 2017-11-30 2022-08-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153267A KR20230157917A (ko) 2017-11-30 2023-11-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22A KR102435536B1 (ko) 2017-11-30 2017-11-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03565A KR20220122571A (ko) 2017-11-30 2022-08-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398615B2 (ko)
KR (3) KR102435536B1 (ko)
WO (1) WO2019107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36B1 (ko) * 2017-11-30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22703A (ko) * 2019-04-18 2020-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87746B1 (ko) 2019-08-16 202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D981491S1 (en) * 2020-12-24 2023-03-21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USD987722S1 (en) * 2021-01-07 2023-05-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unit
USD987723S1 (en) * 2021-01-07 2023-05-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uni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7546A (en) * 1982-11-08 1986-01-28 All States Plastic Mfg. Co., Inc. Anchor base mounting block
JP2001345586A (ja) * 2000-06-02 2001-12-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046310B2 (en) * 2001-05-21 2006-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 tuner mounted thereon
KR20060069569A (ko) 2004-12-17 2006-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6056B1 (ko) * 2005-01-11 2006-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27B1 (ko) * 2005-03-09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평판 표시 장치
JP5082779B2 (ja) * 2007-11-07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平面型表示装置
JP2010145805A (ja) 2008-12-19 2010-07-01 Hitachi Ltd 表示装置
JP5216602B2 (ja) * 2009-01-08 2013-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KR101014730B1 (ko) 2009-07-10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9273473B2 (en) * 2011-02-17 2016-03-01 Millson Custom Solution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n audio/video system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20120130519A (ko) * 2011-05-23 2012-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조명 장치
KR20130088534A (ko) * 2012-01-31 201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536833B2 (ja) * 2012-06-25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2138911B1 (ko) 2013-07-19 202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랩탑 컴퓨터
KR102294764B1 (ko) 2014-12-19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6912B1 (ko) * 2015-10-12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5536B1 (ko) * 2017-11-30 202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IT201800004617A1 (it) * 2018-04-17 2019-10-17 Apparecchio da parete per il controllo di uten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1978A1 (en) 2024-04-11
KR20190064114A (ko) 2019-06-10
US11398615B2 (en) 2022-07-26
US20210202892A1 (en) 2021-07-01
KR102435536B1 (ko) 2022-08-24
US11925049B2 (en) 2024-03-05
WO2019107681A1 (ko) 2019-06-06
KR20220122571A (ko) 2022-09-02
US20220352484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79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4399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40132488A1 (en) Display device having bent non-display area for reduced bezel width
KR1025576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50295015A1 (en) Double-sid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44567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048857A1 (en) Display device
EP3203519A1 (en) Array substrate, mask plate and display device
EP3923345A1 (en) Oled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led display panel
US9690129B1 (en) Display device
KR102418576B1 (ko) 백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26355A1 (en) Dual emission display
KR2014004366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02304135A (ja) 離間されたタイルを有する光生成ディスプレイ
KR10254773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112187A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303955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8519618B2 (en) Display
KR100761131B1 (ko) 양면 발광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에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US20230021970A1 (en) Display device
US11310929B2 (en) Display device
CN109616502A (zh) 显示面板
KR20200065738A (ko) Ole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74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17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