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756A -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 Google Patents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756A
KR20230157756A KR1020220057347A KR20220057347A KR20230157756A KR 20230157756 A KR20230157756 A KR 20230157756A KR 1020220057347 A KR1020220057347 A KR 1020220057347A KR 20220057347 A KR20220057347 A KR 20220057347A KR 20230157756 A KR20230157756 A KR 2023015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user terminal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22005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756A/en
Publication of KR2023015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고발생 시 보호자 및 관공서에 사고를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은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주행안전장치 및 상기 전동차 및 주변차량에 상호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상호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의 위험여부 및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monito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electric vehicles and report accidents to guardians and government offices when an accident occurs.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car, and shares mutual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the electric car and surrounding vehicl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ccident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It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dangerous and whether it is running normally based on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driving safety device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 warning signal is output accordingly.

Description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차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고발생 시 보호자 및 관공서에 사고를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monito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electric vehicles and report accidents to guardians and government offices when an accident occurs.

농어촌 지역의 경우 도심에 비해 전동차 낙하, 추락, 전도, 교통사고 비율이 높으며, 사고가 발생했을 시 도심보다 후속 처리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다.In rural areas, the rate of train falls, falls, overturns, and traffic accidents is higher than in urban areas, and when an accident occurs, follow-up treatment is slower than in urban areas.

이는 농어촌 지역의 경우 고령의 운전자들이 주요 교통수단으로 전동차를 많이 활용하고 있고, 운행 지역에 인적이 드물어 사고가 나도 신속히 사고접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rural areas, many elderly drivers use electric vehicles as their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because there are few people in the driving area, it is common for accidents to be not reported quickly even if an accident occurs.

종래에는 전동차 사고가 났을 시, 신속한 후처리를 위해 일정 임계값 이상의 충격량이 감지되면, 모바일 앱을 통해 일괄적으로 경찰서에 신고하는 기술이 있다.Conventionally, when an electric train accident occurs, there is a technology that reports to the police station in batches through a mobile app when an impact amount exceeding a certain threshold is detected for rapid after-treatment.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전동차 사고를 미리 예방하지 못하며, 전동차에 임계값 이상의 충격량이 감지되면 사고의 심도에 대한 판단 없이 일괄적으로 관공서에 사고 접수가 되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train accidents cannot be prevented in advance, and when an impact amount exceeding a threshold is detected in a train, the accident is reported to government offices in bulk without judging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resulting in unnecessary social costs.

본 발명은 전동차 주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y monito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electric trains in real time.

본 발명은 전동차의 사고여부,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고를 접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an electric vehicle has been in an accident and whether it is running normally, and to report the accident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은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주행안전장치 및 상기 전동차 및 주변차량에 상호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상호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의 위험여부 및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한다.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includes a driving safety device that sens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car and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occurs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a mutual safety system for the electric car and surrounding vehicles. A user terminal that shares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he train is dangerous and runs normall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driving safety device outputs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부와, 상기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경고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riving safety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 warning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warning signal, a warning outpu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a warning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동차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전동차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train and a gyro sensor that sense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train.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가속도센서와 상기 자이로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한다.The driving safety device outputs the warning signal when the sensing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re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행안전장치에 의해 사고로 판단되면,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한다.If an accident is determined by the driving safety device, the user terminal outputs an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and outputs the alarm signal depending on whether a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상기 알람신호는 기 설정된 보호자 및 관공서에 사고발생 데이터를 문자 및 전화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며, 상기 사고발생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탑승자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alarm signal transmits accident occurrence data to a preset guardian and government office through at least one of text and phone calls, and the accident occurrence data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s.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부 위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와 상기 주변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한다.The user terminal sens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nternal location sensor,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 and the surrounding vehicle based on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차량을 식별하고, 상기 전동차에 대한 상기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상기 전동차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한다.The user terminal identifies surrounding vehicle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train based on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in to be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of the surrounding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in.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동차가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행안전장치와 상기 주변차량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행안전장치 및 상기 주변차량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electric vehicle is determined to be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user terminal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output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위치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단한다.The user terminal sens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a risk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a preset geofence.

상기 전동차의 주행도로별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주행도로를 식별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상기 식별된 주행도로에 대응하는 주행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erver that stores driving data for each driving road of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server identifies the driving roa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with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driving road.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normal driv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서버는 상기 주행데이터와 현재 주행정보의 오차값에 따라 상기 전동차의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error value of the driving data and current driving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의해 비정상 주행으로 판단되면, 알람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bnormal driving by the server, it outputs an alarm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주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주행상태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동차 및 주변 차량 운전자가 경각심을 가지고 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an electric train in real time and outputting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drivers of the electric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can drive on the road with alertness.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사고여부,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사고를 접수함에 따라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social costs can be avoided by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vehicle has been in an accident and whether it is running normally, and reporting the accident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주행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전동차의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동차와 주변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방향각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지오펜스 진입여부에 대한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has been in an accid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 train is dangerou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 train is dangerou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of surrounding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trai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direction angle.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determining whether a train is dangerous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gle of surrounding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trai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rain is dangerous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it enters a geofence.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running normally.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running normally.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of course,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re are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referring to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otherwise stated, it means C or higher and D or lower.

본 발명은 전동차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고발생 시 보호자 및 관공서에 사고를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monitor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electric vehicles and report accidents to guardians and government offices when an accident occurs.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주행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전동차의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has been in an accident.

도 5는 전동차와 주변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a train is dangerou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도 6은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rain is dangerou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of surrounding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train.

도 7은 방향각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direction angle.

도 8은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determining whether a train is dangerous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gle of surrounding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train.

도 9는 지오펜스 진입여부에 대한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rain is dangerous for entering a geofence.

도 10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running normally.

도 11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running normally.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10)은 주행안전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발명을 이루는 구성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10 may include a driving safety device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server 300. However,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10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forming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can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It can be.

도 2를 참조하면 주행안전장치(100)는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센싱하고,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can sens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ccident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output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You can.

주행안전장치(100)는 센서부(110), 경고출력부(120), 카메라(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a warning output unit 120, a camera 130, and a control unit 140.

센서부(110)는 전동차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111), 전동차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112)를 포함하여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전술한 가속도센서(111), 자이로센서(112) 외에도 전동차의 주행상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can det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train,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111 that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train, and a gyro sensor 112 that senses the angular speed of the trai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to the acceleration sensor 111 and the gyro sensor 112 described above.

경고출력부(120)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21), 빛을 점멸하는 램프(122)를 포함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warning output unit 120 includes a speaker 121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and a lamp 122 that blinks light to output a warning signal.

이때 경고출력부(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경고출력부(120)는 스피커(121), 램프(122) 외에도 사용자 및 주변인들이 인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rning output unit 120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speaker 121 and the lamp 122, the warning output unit 12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that output warning signals that can be recognized by users and people around them.

카메라(130)는 전동차의 전방 및 후방을 촬영하며, 주행안전장치(100)는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안전장치(100)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주행안전장치(100)가 카메라(130)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 주행안전장치(100)는 기존 전동차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내장될(embedded) 수도 있다.The camera 130 photographs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ctric train, and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can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to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can perform the same role as a black box. In contrast, when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does not separately include the camera 130,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may be embedded in a black box installed in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제어부(140)는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the warning output unit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센싱하여 주행안전장치(100) 및 주변차량에 상호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앞서 주행안전장치(100)에서 센싱된 주행정보 및 상호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동차의 위험여부 및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user terminal 200 can sense its current location and shar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surrounding vehicle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dangerous and whether it is running normall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mutual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ensed by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can do.

한편,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센싱된 위치 정보가 전동차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eanwhile, herein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user terminal 200 is the sam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train.

사용자 단말(200)은 주행안전장치(100) 및 서버(3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예컨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phone, laptop, tablet, or PC. However, hereinafter, the us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 smartphone.

사용자 단말(200)에는 전동차 주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전동차의 위험여부 및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n application that can monitor the driving of an electric train may be pre-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The applica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train is dangerous and running normal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 a control signal.

서버(300)는 전동차의 주행도로별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의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erver 300 may store driving data for each road of the electric vehicle. The operation of the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에는 주행안전장치(100)가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3 shows the sequence in which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주행안전장치(100)는 전동차의 가속도센서(111)와 자이로센서(112)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주행안전장치(100)는 전동차의 가속도를 센싱한 값과 기준값을 비교(S10)하고. 센싱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 전동차의 각속도를 센싱한 값을 비교할 수 있다(S20).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may output the warning signal when the sensing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11 and the gyro sensor 112 of the electric vehicle are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n detail,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compares the sensed accel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with the reference value (S10). If the sensing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ensed value of the angular velocity of the train can be compared (S20).

만약 가속도와 각속도 센싱값이 모두 기준값보다 클 경우, 제어부(140)는 사고가 났다고 판단하여 경고출력부(120)에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S3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고출력부(120)는 램프(122)를 점멸하고 스피커(121)에서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및 주변 행인들에게 사고발생을 알릴 수 있다.If both the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sensing values are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control the warning output unit 120 to output a warning (S30). Accordingly, the warning output unit 120 can notify the user and nearby passers-by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flashing the lamp 122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from the speaker 121.

이어서 도 4에는 주행안전장치(100)에 의해 사고로 판단되었을 때의 사용자 단말(200)의 수행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Next, FIG. 4 shows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200 when an accident is determined by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사용자 단말(200)은 주행안전장치(100)에 의해 사고로 판단되면,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출력(S40)하고,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S50),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60).If an accident is determined by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outputs an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S40), checks whether a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S50), and determines the result. An alarm signal can be output according to (S60).

알람신호는 기 설정된 보호자단말 및 관공서단말에 송신되는 신호(예컨대, 문자 및/또는 전화)로서 사고발생 데이터를 포함하며, 사고발생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 탑승자의 정보, 주행안전장치(100)의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signal is a signal (e.g., text and/or phone call) transmitted to a preset guardian terminal and a government office terminal and includes accident occurrence data, and the accident occurrence data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passenger information. , may include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30 of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자세히 말하자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고로 판단되었을 때 전동차 주행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에 “사고가 발생했습니까?” 라는 멘트와 '사고 해제' 버튼을 출력하여 사용자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0초, 60초) 내에 '사고 해제'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면 사고 상황은 종료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when an accident is determined, the user terminal 200 can automatically run an electric vehicle driving monitoring application and receive user input. As an example, the application may display the message “Has an accident occurred?” You can encourage user operation by printing the message and the 'accident release' button. If the user inputs a user operation by pressing the 'accident release' button within a preset time (eg, 30 seconds, 60 seconds), the accident situation may be ended.

반대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사고 해제' 버튼을 누르지 못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보호자(예컨대, 자녀, 사회복지사) 단말과 관공서(예컨대, 119, 경찰서)단말에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탑승자의 정보를 문자 및/또는 전화로 송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fails to press the 'accident release' button within the preset time, the user terminal 200 sends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preset guardian (e.g., child, social worker) terminal and government office (e.g., 119, police station) termina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y text and/or phone.

사용자 단말(200)이 사고발생 데이터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 및 관공서 단말에 자동으로 송신함으로써,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전동차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즉각 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user terminal 200 automatically transmits accident occurrence data to the preset guardian terminal and government offic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immediate action can be taken even if an accident occurs in a train in a sparsely populated place.

도 5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a sequenc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dangerous.

사용자 단말(200)은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차와 주변차량 간의 거리(d)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d)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lculates the distance (d) between the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based on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calculated distance (d) is within a preset distance, it can be judg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자세히 말하자면, 사용자 단말(200)은 주변차량과 현재 상호위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S100).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의 V2X(Vehicle to Everything)장치와 통신하여, 주변차량과 상호위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detail, the user terminal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current mutual location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vehicles (S10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vehicle's V2X (Vehicle to Everything)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vehicles.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의 현재 위치와 주변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S110), 산출된 값이 기 설정된 거리(예컨대, 50m)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만약 주변차량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0). 이때, 제어신호는 주행안전장치(100)와 주변차량에 동시 출력될 수 있으며, 주행안전장치(100) 및 주변차량은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S110) and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valu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eg, 50 m) (S120).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us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ic train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output a control signal (S130).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surrounding vehicles can output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주행안전장치(100)는 스피커(121)에서 주의멘트를 출력하거나, 램프(122)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접근 경보를 줄 수 있고,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주변차량은 운전자에게 전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고지하여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할 수 있다.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an output a warning message from the speaker 121 or flash the lamp 122 to warn the user of vehicle approach, and surrounding vehicles that have received the control signal can alert the dri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can be notified so that the driver can pay attention.

도 6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실시예의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6 shows the sequence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dangerous.

사용자 단말(200)은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차량을 식별하고,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assumed azimuth)에 따라 전동차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dentifies surrounding vehicle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based on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in as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assumed azimuth of the surrounding vehicles with respect to the train. You can.

사용자 단말(200)은 주변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S200)한 후, 먼저 전동차의 현재 위치와 주변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S210), 산출된 값이 기 설정된 거리(예컨대, 50m) 이내인지 판단(S220)할 수 있다. 만약 주변차량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은 다음으로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을 산출(S240)할 수 있다.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S200), the user terminal 200 firs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in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S2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valu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e.g., 50 m). You can make a judgment (S220).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user terminal 200 can next calculate the direction angle of the surrounding vehicle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train (S240).

방향각은 전동차(EV)의 진행방향에 대한 각도로, 도 7을 참조하면 주변차량(V)은 전동차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방향각(-a도 내지 a도)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The direction angle is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electric vehicle (EV).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V) is located at a direction angle (-a degree to a degree) center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이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에 대한 주변차량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각도(예컨대, -60도 내지 60도) 이외이면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가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S250)할 수 있다.Subsequently, if the direction angle of the surrounding vehicle relative to the train is other than a preset angle (e.g., -60 degrees to 60 degrees),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the train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 S250) You can.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전동차(EV)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기준 방향각(-a도 내지 a도)을 설정했을 때, V1은 기준 방향각 이내에 위치함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하지만 V2는 기준 방향각 이외에 위치함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이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when the reference direction angle (-a degree to a degree) is set center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ctric train (EV), V1 is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direction angle, so the user terminal 200 is at risk. Don't judge by the situation. However, because V2 is located outside of the reference direction ang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is situation to be a dangerous situation and output a control signal.

주행안전장치(100)와 주변차량에 동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앞서 기재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signal that is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and surrounding vehicles has been described previously, so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here.

일반적으로 전동차 사용자가 전방에서 접근해오는 차량은 쉽게 인지할 수 있으나, 후방에서 접근해오는 차량은 인지하기가 보다 어렵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동차 후방에서 차량이 접근할 때만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필수적인 상황에서만 경고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general, train users can easily recognize vehicles approaching from the front, but it is more difficult to recognize vehicles approaching from the rea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user only in essential situations by outputting a warning signal only when a vehicle approaches from the rear of the train.

도 9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동차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FIG. 9 shows a sequence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an electric train is dangerous.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train is within a preset geofence.

지오펜스(Geofence)는 실제의 지형 위에 구획된 가상의 반경을 말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오펜스는 급경사 구간, 시야 확보 어려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산사태 구간, 낙석 주의 구간, 스쿨 존 등이 될 수 있다.Geofence refers to a virtual radius demarcated on actual terrai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fence is a steep slope section, an area with difficult visibility, an accident-prone area, a landslide section, a falling rock caution section, a school zone, etc. It can be.

사용자 단말(200)은 전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센싱(S300)하여, 현재 위치 정보가 지오펜스 이내인지 판단(S310)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위치 정보가 지오펜스 이내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주행안전장치(100)에 제어신호를 출력(S320)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주행안전장치(100)는 스피커(121)에서 주의 멘트를 출력하거나, 램프(122)를 점멸하여 사용자가 지오펜스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sens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S300) and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geofence (S3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geofence,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S320).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an output a caution message from the speaker 121 or flash the lamp 122 to allow the user to bypass the geofence.

도 10에는 서버(300)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car is running normally.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S400). 다음으로 서버(300)는 딥러닝 모델(예컨대, RNN, LSTM 등의 모델)에 기초하여 주행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연속되는 다양한 주행정보의 특징을 추출하고, 각 주행정보별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산출된 값을 기준 주행 행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420).The server 300 can receive and stor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train from the user terminal 200 (S400). Next, the server 300 may analyz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a deep learning model (eg, RNN, LSTM, etc. model) (S410). Specifically, the server 300 can use a deep learning model to extract features of various continuous driving information in time series, calculate the average value for each driving information, and use the calculated value as a reference driving behavior value. Can be set (S420).

이러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주행 행태값 설정 동작은 전동차의 주행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시계열적으로 추가 수집되는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지속적으로 딥러닝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딥러닝 모델은 사용자의 주행 습관을 학습할 수 있고, 서버(300)는 지속적으로 학습되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기준 주행 행태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driving behavior value setting operation using this deep learning model can be performed whenever driving information of an electric vehicle is received. Specifically, the server 300 can continuously utilize the driving information of electric vehicles that are additionally collected in time series as input data for a deep learning model. Accordingly, the deep learning model can learn the user's driving habits, and the server 300 can set a reference driving behavior value using the continuously learned deep learning model.

서버(300)는 주행 행태값과 현재 주행정보의 오차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S430). 만약 오차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 서버(300)는 전동차가 비정상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may compare the driving behavior value and the error value of the current drivin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S430). If the error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erv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ic car is running abnormally.

서버(300)가 전동차가 비정상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주행안전장치(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440),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에게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주행안전장치(100)는 스피커(121)에서 주의 멘트를 출력하거나, 램프(122)를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에 문자 및/또는 전화로 현재 상황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처한 위험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If the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abnorm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S440) and output an alarm signal to a preset guardian terminal.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an output a caution message from the speaker 121 or flash the lamp 122 to warn the driver. Additionally, the user can prepare for a dangerous situation by sending the current situation via text and/or phone call to the preset guardian terminal.

도 11에는 서버(300)가 전동차의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1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train is running normally.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신받은 전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주행도로를 식별하고, 주행정보와 식별된 주행도로에 대응하는 주행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identifies the driving road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with the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driving road,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You can judge.

더 자세히 말하자면, 서버(300)에는 하기 표 1과 같이 주행도로별 주행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주행 데이터는 주행도로별 뿐만 아니라 시간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주행 데이터는 주행도로별 이동경로, 주행도로별 이동속도, 주행도로별 이동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rver 300 may store driving data for each driving road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driving data may be stored not only for each driving road but also for time. Driving data may include a movement path for each driving road, a movement speed for each driving road, and a movement direction for each driving road.

이때, 이동경로는 전동차가 주행도로를 이동할 때 이동하는 방향이고, 이동속도는 전동차가 주행도로를 이동할 때 이동하는 속도이고, 이동방향은 일정시간(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에 따른 전동차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서버(300)는 주행 데이터를 통해 전동차가 비정상 주행(예컨대, 급정지, 경로이탈, 갈지자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 moves when moving on the road, the moving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train moves when moving on the road,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 moves during a certain time (e.g., breakfast, lunch, and dinner time). It may be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server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abnormally (e.g., sudden stop, departure from route, or deviating driving) through the driving data.

[주행도로][Driving road] [주행 데이터][Driving data] AA {Da}{Da} BB {Db}{Db} CC {Dc}{DC}

다시 도 11 및 표 1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동차(EV)의 현재 위치 정보((xe, ye))를 수신받을 수 있다. 서버(300)는 전동차(EV)가 주행도로(B)를 주행하고 있다고 식별되면, 위치 정보((xe, ye))와 주행 데이터({Db})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전동차(EV)의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1 and Table 1, 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xe, ye)) of the electric vehicle (EV) from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server 300 identifies that the electric vehicle (EV) is driving on the road B, the server 300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xe, ye)) and the driving data ({Db}),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electric vehicle (EV) )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driving normally.

이때, 서버(300)는 주행데이터와 현재 주행정보의 오차값에 따라 전동차의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행데이터와 현재 주행정보의 오차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서버(300)는 전동차가 비정상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error value of the driving data and the current driv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if the error value between the driving data and the current driv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serv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abnormally.

서버(300)가 전동차가 비정상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과 주행안전장치(100)의 동작은 앞서 기재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When the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abnormally, the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driving safety device 100 have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주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주행상태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동차 및 주변 차량 운전자가 경각심을 가지고 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an electric train in real time and outputting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drivers of the electric train and surrounding vehicles can drive on the road with alertness.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사고여부,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사고를 접수함에 따라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social costs can be avoided by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vehicle has been in an accident and whether it is running normally, and reporting the accident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3)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주행안전장치; 및
상기 주행안전장치 및 주변차량에 상호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상호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의 위험여부 및 정상주행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 driving safety device that senses driving inform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nd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Shares mutual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surrounding vehicles,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dangerous and runs normall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send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The driving safety device outputs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전동차의 주행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출력부와,
상기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경고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iving safety device is
A sensor unit that detect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rain,
A warning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warning signal,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warning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동차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가속도센서 및
상기 전동차의 각속도를 센싱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nsor unit
An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train and
Containing a gyro sensor that sense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train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전장치는 상기 가속도센서와 상기 자이로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riving safety device outputs the warning signal when the sensing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re greater than a preset valu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행안전장치에 의해 사고로 판단되면,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사고 확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f an accident is determined by the driving safety device, the user terminal outputs an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and outputs the alarm signal depending on whether a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accident confirmation interfac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는 기 설정된 보호자 및 관공서에 사고발생 데이터를 문자 및 전화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며, 상기 사고발생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탑승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alarm signal transmits accident occurrence data to the preset guardian and government office by at least one of text and phone, and the accident occurrence data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assenger information.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부 위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와 상기 주변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terminal sens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internal location sensor,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 and the surrounding vehicle based on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상호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차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차량을 식별하고, 상기 전동차에 대한 상기 주변차량의 방향각에 따라 상기 전동차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terminal identifies surrounding vehicle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train based on the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in as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gle of the surrounding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in.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동차가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행안전장치와 상기 주변차량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행안전장치 및 상기 주변차량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s 7 and 8,
When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user terminal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The driving safety device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output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동차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지오펜스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is within a preset geofenc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의 주행도로별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주행도로를 식별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상기 식별된 주행도로에 대응하는 주행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server that stores driving data for each driving road of the electric vehicle,
The server identifies a driving roa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with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driving road, and determines whether driving is norm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행데이터와 현재 주행정보의 오차값에 따라 상기 전동차의 정상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runn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error value of the driving data and current driving information.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에 의해 비정상 주행으로 판단되면, 알람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2,
When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abnormal driving by the server, the user terminal outputs an alarm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KR1020220057347A 2022-05-10 2022-05-10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KR202301577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7A KR20230157756A (en) 2022-05-10 2022-05-10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7A KR20230157756A (en) 2022-05-10 2022-05-10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56A true KR20230157756A (en) 2023-11-17

Family

ID=8896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47A KR20230157756A (en) 2022-05-10 2022-05-10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7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6605B1 (en) Broadcasting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s impacting vehicle travel
US10332401B2 (en) Running vehic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KR102027921B1 (en)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in the same
CN108307295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ccident for vulnerable road user
KR101306759B1 (en) System for prevent traffic accident
CN106004754A (en) Collision alarm system
TWI657945B (en) Locomotive ac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CN110060465B (en)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system for vehicle-pedestrian interaction system
KR101661553B1 (en) Vehicle accident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001635A1 (en) Mobile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2075832B1 (en) System for notifying navigation accident of front vehicele for protecting second traffic accident of highway, and method of thereof
KR20160147580A (en) Apparatus for overspeed warning to access the rear vehicle
SE14511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for vulnerable road users in connection to a non-moving vehicle
US20040155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vehicle-based emergency/hazard detection
KR2018011053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raffic accident automatically
KR20200039065A (en)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8142334A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n-vehic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90236945A1 (en) Vehicle Alarm System, Alarm Device and Alarm Method Thereof
KR102283398B1 (en) Ai based adas room-mirror
KR20180086976A (en) Service Terminal for Detecting and Alarming Drowsy Driving and Overspeeding to Driver by LPWAN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WO202011626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20230157756A (en) A electric vehicle safety driving system
Mateen et al. Autonomous Accidents Detection and alert for vehicles
JP2000118336A (en) Vehicle fall detection device and emergency reporting system
KR101871581B1 (en) Vehicle War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