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976A -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 Google Patents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976A
KR20230156976A KR1020220056361A KR20220056361A KR20230156976A KR 20230156976 A KR20230156976 A KR 20230156976A KR 1020220056361 A KR1020220056361 A KR 1020220056361A KR 20220056361 A KR20220056361 A KR 20220056361A KR 20230156976 A KR20230156976 A KR 2023015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ood
dishes
trays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의
Original Assignee
정성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의 filed Critical 정성의
Priority to KR102022005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976A/ko
Publication of KR2023015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25Serving trays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positioned below the tray facilitating carrying the tray with on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면그릇 및 뚝배기와 같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다양한 그릇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로 얹혀질 수 있도록 하여 쟁반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쟁반을 운반시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그릇이 임의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여 음식물을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이 올려져 있는 여러개의 쟁반을 적층시에도 쟁반에 올려진 그릇의 상단부분이 상부에 올려지는 쟁반의 하단면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개의 쟁반이 적층되더라도 적층된 쟁반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상태에서 많은 량의 음식물을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에 관한 것으로서ㅣ,
이는 그릇이 얹혀지는 바닥면을 갖추고 있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면을 기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요입되어 그릇의 하단부 외주연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와;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요입부를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측으로 그릇의 상단부 외주연을 감싸줄 수 있도록 하는 걸림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the tray for the food vessel laminate}
본 발명은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면그릇 및 뚝배기와 같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다양한 그릇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로 얹혀질 수 있도록 하여 쟁반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쟁반을 운반시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그릇이 임의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여 음식물을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이 올려져 있는 여러개의 쟁반을 적층시에도 쟁반에 올려진 그릇의 상단부분이 상부에 올려지는 쟁반의 하단면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개의 쟁반이 적층되더라도 적층된 쟁반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상태에서 많은 량의 음식물을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음식점에서는 음식물을 운반하고자 할때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그릇을 쟁반에 올려준 상태에서 사용자가 쟁반을 직접 들고 운반을 하거나, 운반을 위한 전용밀대에 쟁반을 올려준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쟁반에 올려져 있는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을 테이블에 올려 주거나, 쟁반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음식물을 먹게 된다.
도1은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쟁반을 나타낸 것으로서, 쟁반은 사용용도에 따라 직사각 및 정사각 또는 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보편적으로서, 양은 및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릇이 얹혀질 수 있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연에 상부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측면부(12)로 형성시켜 바닥면에 얹혀진 그릇이 측면부에 걸려 외측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얇은 두께의 쟁반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시켜 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닥면(11)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다양한 무늬모양의 미세한 돌기부를 형성시켜 바닥면에 그릇이 얹혀졌을때 돌기부에 의해 그릇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쟁반은 바닥면이 단순히 그릇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무늬모양을 갖는 돌기부만을 형성시켜 주고있어, 바닥면에 그릇이 얹혀진 상태에서 돌기부에 의해 어느정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완전히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즉, 음식점에서 손님이 많은 시간대에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을 쟁반에 받쳐 운반할때 많은 손님들로 인해 일하는 사람은 바쁘게 움직이면서 음식물을 운반하게 되는데, 이때 바쁘게 움직이다보면 쟁반에 얹혀져 있는 그릇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 그릇이 쟁반의 한쪽방향으로 쏠려 음식물을 쏟게되는 불상사가 발생되었으며, 특히 뜨거운 국물이나 찌개등이 담긴 음식물을 운반할 경우에는 음식물을 운반하는 사람이나 손님에게 뜨거운 음식물이 직접적으로 쏟아질 경우에는 화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시장에 위치한 음식점에서는 주로 시장의 상인들이 가게를 비울수가 없어 배달을 하게 되는데,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에는 동일한 시간대에 주문을 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담긴 여러개의 쟁반을 적층시켜 준 상태에서 배달을 하게 되는데, 음식물이 담긴 그릇이 얹혀진 쟁반을 적층시에는 쟁반을 안전하게 적층시켜 준 상태에서 운반을 하게 되는데, 운반도중에는 그릇이 쟁반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적층되어 있는 쟁반이 밀려 떨어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항상 염두에 두고 운반을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고, 이로인해 노련하고 숙련된 사람이 아니면 여러층으로 적층된 쟁반을 운반할 수 없어 배달시간이 많이 지연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면그릇 등과 같이 동일한 크기의 그릇에 담겨진 음식물을 운반하고자 할때 쟁반에 그릇이 미세한 흔들림에도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릇이 얹혀진 쟁반을 운반시켜 줄때 상기 쟁반을 운반하는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미세한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쟁반에 얹혀진 그릇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한번에 많은 량의 음식물이 담긴 그릇을 운반하고자 하여 그릇이 얹혀진 쟁반을 적층시켜 줄때, 쟁반에 얹혀진 그릇이 움직이지 않음은 물론, 쟁반에 얹혀진 그릇의 상면에 포개지는 다른 쟁반 또한 그릇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여러층의 쟁반을 적층시켜 준 상태에서 운반시에도 안전하게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릇이 얹혀지는 바닥면을 갖추고 있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면을 기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요입되어 그릇의 하단부 외주연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와;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요입부를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측으로 그릇의 상단부 외주연을 감싸줄 수 있도록 하는 걸림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테는 크기가 각기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릇이 걸쳐질 수 있도록 3개의 걸림테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뚝배기와 크기가 다른 냉면그릇을 쟁반에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냉면그릇이 올려져 있는 여러개의 다른 쟁반을 순차적으로 안정되게 적층시켜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쟁반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쟁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쟁반의 평면도.
도 4 는 도2의 "A"부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쟁반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쟁반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인 쟁반은 직사각 또는 원형이 모양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직사각 모양의 쟁반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쟁반(100)은 양은 또는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그릇(1)이 얹혀질 수 있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연에 상부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측면부(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쟁반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면(110)의 상면에 그릇(1)의 하단부분이 요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00)와, 상기 바닥면(110) 저면의 요입부 외주연에 그릇(1)의 상면 외주연 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테(300a,b,c)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테는 2가지 이상의 다른 크기를 갖는 그릇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쪽에 있는 걸림테(300a)는 크기가 작은 뚝배기그릇(1)의 상단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익이고, 이의 외주연측에 갖추어진 걸림테(300b,c)는 상기 뚝배기그릇보다 크기가 큰 2종류의 냉면그릇이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쟁반(100)은 반찬이 담겨지는 반찬그릇이나, 모양과 크기가 다른 접시 등과 같은 그릇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냉면그릇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그릇을 전문을 사용하고 있는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1)의 하단부분이 쟁반(100)의 바닥면에 갖추어진 요입부(200)내에 요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릇(1)의 하단부 외주연부분이 요입부(200)내에 요입되는 상태에서 이의 내주연에 접하는 상태가 되어 그릇(1)이 임의로 움직이지 못해 그릇이 얹혀져 있는 쟁반(100)을 운반시 그릇(1)이 임의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운반도중 부주의로 인해 쟁반(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그릇이 쟁반의 바닥면(110)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많은 량의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1)을 한꺼번에 운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반(100)의 바닥면(110)에 갖추어진 각각의 요입부(200)에 음식물이 담겨진 그릇(1)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쟁반을 그릇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다른 쟁반(100)에 갖추어진 각각의 요입부(200) 직 하부가 되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갖추어진 테두리(300a)에 그릇의 상단부분이 끼워져 걸리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쟁반(100)을 적층시켜 주더라도 쟁반에 올려진 그릇과 상기 그릇 위에 적층되는 쟁반이 임의로 움직이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운반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뚝배기그릇의 사용을 일예로 설명한 것이고, 이보다 크기가 큰 냉면그릇을 사용할 경우에는 테두리(300b,c)에 냉면그릇의 상단부분이 걸리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은 뚝배기그릇의 사용시와 동일한 것이다.
100:쟁반 110:바닥면
120:측면부 200:요입부
300a,b,c:걸림테

Claims (2)

  1. 그릇이 얹혀지는 바닥면을 갖추고 있는 쟁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면을 기점으로 하여 하측으로 요입되어 그릇의 하단부 외주연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와;
    상기 바닥면의 저면에 요입부를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측으로 그릇의 상단부 외주연을 감싸줄 수 있도록 하는 걸림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는 크기가 각기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릇이 걸쳐질 수 있도록 3개의 걸림테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반.
KR1020220056361A 2022-05-09 2022-05-09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KR20230156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61A KR20230156976A (ko) 2022-05-09 2022-05-09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61A KR20230156976A (ko) 2022-05-09 2022-05-09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976A true KR20230156976A (ko) 2023-11-16

Family

ID=8896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361A KR20230156976A (ko) 2022-05-09 2022-05-09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69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885B1 (en) Mobile-dining mealholder with beverage container plate-lid
US3938688A (en) Covered serving tray
US3511288A (en) Container for pastries or the like and method of displaying pastry
US3122265A (en) Food server
US8967408B2 (en) Plastic food container with securable inner vessel
US5368183A (en) Meal tray system
US10308394B1 (en) Container lid stackable with one or two smaller containers
US20140102956A1 (en) Colander
US3257024A (en) Convertible tableware
US20070007291A1 (en) Container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cupcakes and other pastry items
US6375134B1 (en) Adjustable container holder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US8807368B1 (en) Serving vessel set
JP2017132507A (ja) 食品用容器の蓋体、食品用容器
US2294657A (en) Serving dish
KR20230156976A (ko) 음식그릇 적층용 쟁반
US20060118562A1 (en) Food containers with hinged handles
US20220281638A1 (en) Food container stacking device
JPS592720A (ja) シ−ル蓋をもつ蓋付はち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WO2011029009A1 (en) Foo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KR20140147541A (ko) 쟁반
KR200302962Y1 (ko) 식탁
JP7356174B2 (ja) 食器
KR20130006657U (ko) 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