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796A -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796A
KR20230156796A KR1020237037087A KR20237037087A KR20230156796A KR 20230156796 A KR20230156796 A KR 20230156796A KR 1020237037087 A KR1020237037087 A KR 1020237037087A KR 20237037087 A KR20237037087 A KR 20237037087A KR 20230156796 A KR20230156796 A KR 2023015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panel
buffer
touch
buff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오 리
단단 쑨
루이충 메이
웨이솨이 장
Original Assignee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페이 비젼녹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패널은 발광 소자층, 터치층, 버퍼층 및 광학 필름층을 포함하며, 발광 소자층은 적층되어 배치되는 기판 및 발광층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을 구비하며, 터치층은 터치 전극 및 터치 전극을 덮도록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포함하며, 버퍼층은 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이격되는 평탄화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광학 필름층은 터치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버퍼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학 필름층은 복수의 블랙 매트릭스 및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필터 유닛은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되고, 버퍼층의 재료는 상기 평탄화층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으며, 기판 상에서의 버퍼층의 정투영은 기판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의 정투영을 커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은 표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동시에 제거하고자 하는 컬러 필름층의 부분이 터치층에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12월 16일에 제출된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1544912.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표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편광판 제거 기술의 주류는 컬러 필름층 구조를 사용하여 편광판을 대체하는 것으로, 표시 패널의 두께를 100μm 이상 줄이고 휘도를 20%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스크린의 절곡 반경의 한계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편광판 기술을 대체하기 위해 컬러 필름층 구조를 사용하는 기술에도 선천적인 결함이 있는데, 이는 컬러 필름층이 터치층 위에 직접 제작되나 현재의 재료 정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컬러 필름층과 터치층이 서로 용해되는 문제가 있으며, 패터닝 후 컬러 필름층을 제거한 부분이 터치층에 잔류하여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표시 패널은 표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동시에 제거하고자 하는 컬러 필름층의 부분이 터치층에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을 제출하는 바, 상기 표시 패널은 발광 소자층, 터치층, 버퍼층 및 광학 필름층을 포함하며, 발광 소자층은 적층되어 배치되는 기판 및 발광층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을 구비하며, 터치층은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발광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터치 전극 및 터치 전극을 덮도록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포함하며, 버퍼층은 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이격되는 평탄화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광학 필름층은 터치층으로부터 이격되는 버퍼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학 필름층은 복수의 블랙 매트릭스 및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필터 유닛은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되고, 여기서, 버퍼층의 재료는 평탄화층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으며(immiscible), 기판 상에서의 버퍼층의 정투영은 기판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의 정투영을 커버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표시 장치는 상술한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발광 소자층, 터치층, 버퍼층 및 광학 필름층을 포함하고, 발광 소자층의 서브 픽셀 유닛을 통해 발광 표시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으며, 터치층과 광학 필름층의 배치는 표시 패널에 터치 기능이 통합되도록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광학 필름층과 터치층 사이에 버퍼층을 추가 배치함으로써 기판 상에서의 버퍼층의 정투영이 기판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의 정투영을 커버하도록 하여, 광학 필름층이 성형 과정에서 버퍼층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와 평탄화층애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을 분리하여, 블랙 매트릭스와 평탄화층에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버퍼층의 재료를 평탄화층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도록 하여, 광학 필름층의 블랙 매트릭스가 패터닝될 때 버퍼층과 블랙 매트릭스 사이의 상호 용해 능력이 평탄화층과 블랙 매트릭스 사이의 상호 용해 능력보다 훨씬 낮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패터닝시 각 서브 픽셀 유닛의 상응한 영역에 블랙 매트릭스가 잔류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서브 픽셀 유닛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투과율을 확보하며,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하고, 표시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단면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다양한 양태의 특징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패키징에서의 컬러 필터 기술(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COE)은 현재 편광판 제거 기술의 주류로서, 컬러 필름층 구조를 사용하여 편광판을 대체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두께를 100um 이상 줄이고 휘도를 20%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스크린의 절곡 반경의 한계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COE 기술은 또한 선천적인 결함이 있는데, 이는 컬러 필름층이 터치층 위에 직접 제작되나 현재의 재료 정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컬러 필름층과 터치층이 상호 용해되는 문제가 있으며, 컬러 필름층은 성형 과정에서 미리 터치층에 블랙 매트릭스층을 형성한 후 블랙 매트릭스를 패터닝해야 하며, 예를 들어 노광 및 현상 방식을 사용하여 터치층에서의 서브 픽셀 유닛과 대응하는 영역을 제거한 후, 각 서브 픽셀 유닛에서의 상응한 위치에 광필터 유닛을 형성하여 광선을 필터링하는 작용을 만족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표시 패널에서는, 컬러 필름층의 블랙 매트릭스를 패터닝하여 서브 픽셀 유닛을 덮는 해당 영역을 제거하면, 블랙 매트릭스와 터치층의 평탄화층이 상호 용해되는 문제가 있어, 블랙 매트릭스의 일부가 터치층 특히 서브 픽셀 유닛과 대응하는 영역에 여전히 잔류하게 되며, 블랙 매트릭스가 잔류하는 경우, 서브 픽셀 유닛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투과율에 영향을 미치고,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표시 패널은 표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동시에 제거하고자 하는 컬러 필름층의 부분이 터치층에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6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제안되는데, 발광 소자층, 터치층(30), 버퍼층(40) 및 광학 필름층(50)을 포함하며, 발광 소자층은 적층되어 배치되는 기판(10) 및 발광층(20)을 포함하고, 발광층(20)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20a)을 포함한다. 터치층(30)은 기판(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발광층(20)의 일측에 배치되며, 터치층(30)은 터치 전극(31) 및 터치 전극(31)을 덮도록 배치되는 평탄화층(32)을 포함한다. 버퍼층(40)은 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이격되는 평탄화층(32)의 일측에 배치된다. 광학 필름층(50)은 터치층(30)으로부터 이격되는 버퍼층(40)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학 필름층(50)은 복수의 블랙 매트릭스(51) 및 블랙 매트릭스(51)와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필터 유닛(52)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필터 유닛(52)은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20a)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버퍼층(40)의 재료는 평탄화층(32)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으며,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 정투영은 기판(10)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52)의 정투영을 커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발광 소자층의 서브 픽셀 유닛(20a)을 통해 발광 표시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터치층(30)과 광학 필름층(50)의 배치는 표시 패널에 터치 기능이 통합되도록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광학 필름층(50)과 터치층(30) 사이에 버퍼층(40)을 추가 배치하는 동시에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의 정투영이 기판(10)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52)의 정투영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광학 필름층(50)이 성형 과정에서 버퍼층(40)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에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을 분리하여,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에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40)의 재료를 평탄화층(32)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도록 하여, 광학 필름층(50)의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될 때 버퍼층(40)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상호 용해 능력을 평탄화층(32)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상호 용해 능력보다 훨씬 낮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패터닝시 각 서브 픽셀 유닛(21a)에 대응하는 영역에 블랙 매트릭스(51)가 잔류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서브 픽셀 유닛(20a)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투과율을 확보하며,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하고, 표시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판(10)은 기재(11) 및 소자층(12)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11)는 경질 기재일 수 있으며, 물론 곡면 표시 화면을 형성하는 데 유리한 일정한 절곡성을 갖는 연성 기재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소자층(12)은 복수의 어레이로 분포되는 픽셀 구동 회로(121)를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 구동 회로(121)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 유닛(2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 픽셀 유닛(20a)의 점등 시간 및 휘도 등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발광층(20)은 기재(11)로부터 이격되는 소자층(12)의 일측에 배치되고, 발광층(20)의 서브 픽셀 유닛(20a)의 개수 및 픽셀 배열 방식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의 표시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발광층(20)의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20a)은 적색 서브 픽셀 유닛, 녹색 서브 픽셀 유닛 및 청색 서브 픽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각각의 서브 픽셀 유닛(20a)은 양극(21), 발광 소자(22) 및 음극(23)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 소자(22)는 양극(21)과 음극(23)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21)은 상기 기재(11)의 일측을 향하고 또한 픽셀 구동 회로(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23)은 양극(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발광 소자(22)의 일측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각 서브 픽셀 유닛(20a)의 음극(23)은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각 서브 픽셀 유닛(20a)의 음극(23)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배치되는 면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층(30)은 복수의 터치 전극(31)을 포함하고, 복수의 터치 전극(31)은 동일 층에 형성되는 금속층일 수도 있고, 물론 두 층 이상으로 형성되는 여러 층의 금속층일 수도 있으며, 두 층 이상의 금속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인접하는 금속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층(30)에서 사용되는 터치 방식은 셀프 정전용량(self-capacitance) 방식일 수 있고, 물론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일 수도 있다. 터치 전극(31)은 터치 구동 전극 및 터치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구동 전극과 터치 감지 전극은 동일 금속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터치 감지 전극은 다른 금속층에 형성되는 브리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응하는 터치 구동 전극은 다른 금속층에 형성되는 브리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 전극과 터치 감지 전극은 다른 금속층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버퍼층(40)은 터치층(30)의 평탄화층(32)과 적층 배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버퍼층(40)의 재료는 평탄화층(32)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층(50)의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된 후 버퍼층(40)과 평탄화층(32)이 상호 용해되지 않거나 상호 용해되기 어려우며 버퍼층(40)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상호 용해 능력이 평탄화층(32)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용해 능력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버퍼층(40)은 무기 재료층일 수 있고, 평탄화층(32)은 유기 재료층일 수 있으며, 평탄화층(32)은 터치 전극(31)을 보호하는 동시에 평탄화 작용을 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유기 접착층을 사용하고, 광학 필름층(50)의 블랙 매트릭스(51)는 일반적으로 유기 재료로 제조되어 양자 사이의 상호 용해성이 높다. 버퍼층(40)을 무기 재료층으로 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51)와 극성이 반대되어 쉽게 용해되지 않으므로 블랙 매트릭스(51)가 노광 및 현상되어 패터닝되는 과정에서, 버퍼층(40)에서 용해되어 잔류되기 어려워,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버퍼층(4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투 명 ITO(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 등 무기 재료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의 정투영은 기판(10)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52)의 정투영만을 커버할 수 있으며, 물론 이는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의 정투영은 또한 기판(10) 상에서의 블랙 매트릭스(51)의 정투영을 커버할 수도 있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버퍼층(40)은 일체화된 층일 수 있으며,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의 정투영이 블랙 매트릭스(51) 및 광필터 유닛(52)의 정투영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은 버퍼층(40)를 통해 완전히 격리되어,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 과정에서 평탄화층(32)과 서로 용해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버퍼층(40)이 일체화된 층일 때, 버퍼층(40) 전체 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나아가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 과정에서 평탄화층(32)과 서로 용해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버퍼층(40)의 성형에 유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버퍼층(40)에는 복수의 수용홈(40a)을 가지며, 블랙 매트릭스(51)는 수용홈(40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수용홈(40a)을 둘러싸여 형성되는 벽면과 연결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블랙 매트릭스(51)와 다른 층 구조 사이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켜 층 구조 사이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며, 블랙 매트릭스(51)의 박리 현상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버퍼층(40)에서의 블랙 매트릭스(51)와 대응하는 위치의 두께는 광필터 유닛(52)과 대응하는 위치의 두께보다 얇다.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버퍼층(40)은 일체화된 층으로 배치되고 또한 터치층과 광학 필름층 사이에 개재되며, 버퍼층(40)에서의 블랙 매트릭스(51)과 대응하는 영역의 두께는 버퍼층(40)에서의 광필터 유닛(52)과 대응하는 영역의 두께보다 얇다. 다시 말해서, 수용홈(40a)의 깊이는 버퍼층(4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버퍼층(40)은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을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어 블랙 매트릭스(51)에서의 발광 소자층(12)을 향하는 표면과 측벽면은 모두 버퍼층(40)과 접촉하고 연결된다.
물론, 수용홈(40a)의 깊이를 버퍼층(40)의 두께보다 작게 하는 것은 선택적인 실시형태일 뿐,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용홈(40a)의 깊이를 버퍼층(4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서 수용홈(40a)은 버퍼층(4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버퍼층(40)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버퍼 유닛(41)을 포함하며, 인접하는 두 개의 버퍼 유닛(41) 사이에는 수용홈(40a)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버퍼 유닛(41)은 그 중의 하나의 광필터 유닛(52)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광필터 유닛(52)에서의 발광 소자층(12)을 향하는 표면을 커버하며, 블랙 매트릭스(51)는 수용홈(40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평탄화층(32) 및 버퍼층(40)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홈(40a)의 벽면과 접촉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광필터 유닛(52)은 적색 광필터 유닛, 녹색 광필터 유닛 및 청색 광필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적색 광필터 유닛은 그 중의 하나의 적색 서브 픽셀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녹색 광필터 유닛은 그 중의 하나의 녹색 서브 픽셀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청색 광필터 유닛은 그 중의 하나의 청색 서브 픽셀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를 통해 광 필터링 요구 사항을 확보하는 동시에 표시 패널의 발광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버퍼층(40)의 굴절률은 평탄화층(32)의 굴절률보다 작다.
발광층(20)의 각 서브 픽셀 유닛(20a)의 음극(23)은 금속 재료이고 면적이 비교적 크다. 외부 광선이 표시 패널에 들어오면 음극(23)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광선은 인간의 눈에 들어온다. 또한 편광판을 제거한 후 발광층(20)의 광선 투과율이 증가하여 음극(23)의 반사를 증가시키고, 편광판의 제거로 인한 휘도 향상을 약화시켜, 표시 패널의 휘도 향상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체험에 유리하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버퍼층(40)의 굴절률을 평탄화층(32)의 굴절률보다 작게 함으로써, 광선이 광조밀 매질(optically denser medium)에서 광소성 매질(optically thinner medium)로 입사될 때 입사각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전반사 효과가 발생한다. 임계각 α는 식 (1)을 만족한다.
[식 1]
α=arcsin(n1/n2) (1)
여기서, n1은 광소성 매질의 굴절률이고, n2는 광조밀 매질의 굴절률이다.
이를 통해, 음극(23)에서 반사되는 광선의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큰 모든 광선은 모두 스크린 내부로 반사되어 인간의 눈에 들어오는 반사광을 약화시키고, 스크린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하지만 서브 픽셀 유닛(20a)은 입사각이 90도인 직사 광선이므로 전반사 효과가 없으며, 따라서 광선의 손실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방안에서 버퍼층(40)이 실리콘 산화물이고 평탄화층(32)이 유기 접착제 또는 OC(Optically Clear, 광학 투명) 접착제인 것을 예로 하면, 평탄화층(32)의 굴절률이 1.6이고 버퍼층(40)의 굴절률이 1.4이며, 임계각 α는 다음과 같다.
[식 2]
α=arc(1.45/1.6)=65°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입사각이 65°보다 큰 음극(23)의 반사광은 모두 반사된다. 이론적으로 반사광의 25%가 차폐되어 휘도가 크게 향상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버퍼층(40)의 굴절률을 평탄화층(32)의 굴절률보다 작게 하는 방식으로 음극(23)의 반사 문제를 해결한 것은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일 뿐이며,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은 평탄화층(32)과 발광층(20)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층(7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70)은 발광 소자층에서 표시 패널의 출광면 측으로 반사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발광 소자층(12)이 위치하는 일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층(70)을 추가 배치함으로써, 외부에서 조사되어 입사되는 광선이 음극(23)에서 반사된 후, 반사된 광선이 반사층(70)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일부가 반사층(70)에 의해 발광 소자층이 위치한 일측으로 다시 반사되도록 하므로, 반사 영향을 감소시켜 표시 패널의 표시 효과를 확보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있어서, 표시 패널이 반사층(70)을 포함할 경우, 반사층(70)은 기판(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발광 소자층(12)의 일측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즉 반사층(70)을 음극(23)과 인간의 눈 사이에 배치하여, 음극(23)에서 반사되는 외부 광선이 발광 소자층이 위치하는 일측으로 다시 반사되도록 하면 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반사층(70)을 포함할 경우, 반사층(70)은 발광 소자층과 터치층(30)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음극(23)과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반사층(70)이 발광 소자층(12)과 터치층(3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음극과 적층 배치되는 것은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일 뿐이며,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은 터치층(30)과 기판(10) 사이에 위치하는 패키지층(60)을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층(60)은 기판(10)과 근접하는 터치층(30)의 일측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층(60)은 기판(10)과 근접하는 반사층(7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하면, 마찬가지로 반사 영향을 감소시키는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표시 장치는 상술한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 액자, 내비게이션 등 표시 기능을 갖는 임의의 제품 또는 부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포함하므로, 발광 소자층(12)의 서브 픽셀 유닛(20a)에 의해 발광 표시 수요를 만족할 수 있고, 터치층(30)과 광학 필름층(50)의 배치는, 표시 패널에 터치 기능이 통합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광학 필름층(50)과 터치층(30) 사이에 버퍼층(40)을 추가 배치하는 동시에 기판(10) 상에서의 버퍼층(40)의 정투영이 기판(10) 상에서의 광필터 유닛(52)의 정투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학 필름층(50)의 성형 과정에서, 버퍼층(40)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에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51)와 평탄화층(32)에서의 상응한 각 서브 픽셀 영역의 직적접인 접촉을 방지하고, 또한 버퍼층(40)의 내화학부식성 등급이 평탄화층(32)의 내화학부식성 등급보다 높으므로, 광학 필름층(50)의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될 때 버퍼층(40)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상호 용해 능력이 평탄화층(32)과 블랙 매트릭스(51)의 상호 용해 능력보다 훨씬 낮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51)가 패터닝될 때 각 서브 픽셀 유닛(21a)의 상응한 영역에서 잔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고, 서브 픽셀 유닛(20a)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투과율을 확보하며,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을 확보하고, 표시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로 그 구성 요소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각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특징은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

Claims (16)

  1. 표시 패널에 있어서,
    발광 소자층, 터치층, 버퍼층 및 광학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층은 적층되어 배치되는 기판 및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층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발광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층은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전극을 덮도록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층은 상기 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평탄화층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필름층은 상기 터치층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버퍼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 필름층은 복수의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필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버퍼층의 재료는 상기 평탄화층의 재료와 서로 용해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 상에서의 상기 버퍼층의 정투영은 상기 기판 상에서의 상기 광필터 유닛의 정투영을 커버하는 것인,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의 상기 버퍼층의 정투영은 상기 기판 상에서의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정투영을 더 커버하는 것인, 표시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일체화된 층으로 배치되어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인, 표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복수의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수용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벽면에 맞닿는 것인, 표시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버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복수의 버퍼 유닛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수용홈은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버퍼 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버퍼 유닛은 상기 광필터 유닛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응한 상기 광필터 유닛에서의 상기 발광 소자층과 대향하는 표면을 커버하는 것인, 표시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버퍼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인, 표시 패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일체화된 층으로 배치되고 또한 터치층과 광학 필름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버퍼층에서의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대응하는 영역의 두께는 상기 버퍼층에서의 상기 광필터 유닛과 대응하는 영역의 두께보다 작은 것인, 표시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무기 재료층이고,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 재료층인 것인, 표시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투명 인듐 주석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굴절률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인, 표시 패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발광 소자층에서 출광면 측으로 반사되는 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상기 발광 소자층이 위치하는 일측으로 반사할 수 있는 것인,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 유닛은 양극, 발광 소자 및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서의 상기 반사층의 정투영은 각 상기 서브 픽셀 유닛의 상기 음극을 커버하는 것인, 표시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발광 소자층과 상기 터치층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음극과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인, 표시 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터치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패키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층은 상기 기판과 근접하는 상기 반사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인, 표시 패널.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기재 및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자층은 복수의 어레이로 분포되는 픽셀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픽셀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픽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표시 패널.
  16.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37037087A 2021-12-16 2022-09-22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30156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544912.1 2021-12-16
CN202111544912.1A CN114284320A (zh) 2021-12-16 2021-12-16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PCT/CN2022/120643 WO2023109239A1 (zh) 2021-12-16 2022-09-22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796A true KR20230156796A (ko) 2023-11-14

Family

ID=8087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087A KR20230156796A (ko) 2021-12-16 2022-09-22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2715A1 (ko)
JP (1) JP2024516260A (ko)
KR (1) KR20230156796A (ko)
CN (1) CN114284320A (ko)
WO (1) WO2023109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4320A (zh) * 2021-12-16 2022-04-05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7055763B (zh) * 2023-10-12 2023-12-19 成都捷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彩色墨水触控屏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67B1 (ko) * 2009-01-21 2010-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220670A (ja) * 2011-04-07 2012-11-12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電極付き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
JP2013015703A (ja) * 2011-07-05 2013-01-24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電極付き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タッチパネル電極付きカラーフィルタ基板
CN104795430A (zh) * 2015-04-14 2015-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CN104765181A (zh) * 2015-05-06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KR102632619B1 (ko) * 2015-11-23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3813B1 (ko) * 2017-12-13 2023-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667100B (zh) * 2020-12-15 2023-08-18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的制备方法、显示模组、显示面板
CN115696999A (zh) * 2020-12-22 2023-02-03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284320A (zh) * 2021-12-16 2022-04-05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6260A (ja) 2024-04-12
CN114284320A (zh) 2022-04-05
US20240062715A1 (en) 2024-02-22
WO2023109239A1 (zh)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05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56796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15529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50838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085485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0323354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60144912A (ko) 폴더블 표시장치
EP4095922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82869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113454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226695B2 (en) Display device
WO2020232949A1 (zh) 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200138557A (ko) 표시 장치
KR2021008148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4130945A1 (en) Touch structure, touch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EP4130944A1 (en) Touch-control structure,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5172626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84064B (zh) 一种显示面板及其终端器件
JP2005148740A (ja)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の反射型液晶ディスプレイ
CN113711088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EP4131399A1 (en) Touch structure, touch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658429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251007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4239377A1 (en) Lens arra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147772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