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465A -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465A
KR20230156465A KR1020220055844A KR20220055844A KR20230156465A KR 20230156465 A KR20230156465 A KR 20230156465A KR 1020220055844 A KR1020220055844 A KR 1020220055844A KR 20220055844 A KR20220055844 A KR 20220055844A KR 20230156465 A KR20230156465 A KR 2023015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b
air
side discharge
comb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욱
Original Assignee
배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연욱 filed Critical 배연욱
Priority to KR102022005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465A/ko
Priority to PCT/KR2023/006005 priority patent/WO2023214782A1/ko
Publication of KR2023015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52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헤어드라이기용 빗형 노즐은,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에 결합되고,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유입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전방으로 빗질하도록 복수의 빗살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빗살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빗살 사이공간으로 모발 수용부가 형성된 빗살부; 상기 복수의 빗살 중 이웃하는 두 빗살의 마주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로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으로 상호 향하도록 분출되게 하여 모발이 상기 모발 수용부에 머물도록 하면서 모발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Comb type nozzle and hair dryer having the comb type nozzle}
본 발명은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 선단부에 빗살부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헤어드라이기를 통해 빗질하면서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이 빗살 사이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고 빗살 사이에 수용되도록 유도하면서 송풍이 이루어져 모발 자체에 대한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빗형 노즐 및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건조시키면서 빗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헤어스타일로 만들어 주는 미용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는 기기 내부에 열선과 팬모터가 구성되어 열선을 구동시켜 온풍을 송풍시키거나 열선을 구동시키기 않은 상태에서 송풍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어드라이기는 사용자가 한 쪽 손으로는 드라이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빗을 잡아 원하는 부분에 드라이기를 인접시키고 이와 동시에 빗질을 하여 사용되고 있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10-2010-0131289호, 공개특허 10-2021-0066347호에는 빗형 노즐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빗형 노즐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는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헤어드라이기를 잡고 있는 손외에 다른 손으로 별도의 빗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한손으로도 빗질을 하면서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였다.
또한, 공개특허 10-2010-0131289호, 공개특허 10-2021-0066347호는 헤어드라이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빗형 노즐을 통해 배출되게 하여 모발과 두피를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빗형 노즐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는 빗형 노즐에 형성된 출풍구가 빗살의 말단과 빗살사이공간의 내측끝단에 형성되어 있어, 두피를 건조하기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빗살 사이로 들어온 모발이 빗살 사이 공간에 머물지 못하고 빗살 외부로 밀려 나가기 때문에 빗질이 제대로 할 수 없고 모발 자체의 수분을 건조시키것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공개특허 10-2010-0131289호 공개특허 10-2021-00663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빗살 사이에 유입된 모발이 빗살에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머물도록 하면서, 빗살 사이에 수용된 모발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빗형 노즐 및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형 노즐은,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에 결합되고,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유입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전방으로 빗질하도록 복수의 빗살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빗살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빗살 사이공간으로 모발 수용부가 형성된 빗살부; 상기 복수의 빗살 중 이웃하는 두 빗살의 마주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로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으로 상호 향하도록 분출되게 하여 모발이 상기 모발 수용부에 머물도록 하면서 모발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는 상기 모발 수용부의 내측단 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모발 수용부에 수용된 모발을 상기 모발 수용부의 내측단측으로 밀어내어 모발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는 상기 제1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는 상기 제2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는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마주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측면을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사이로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모발을 분산시키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모발분리 분사홀이 구성되고, 상기 제2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 사이로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 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모발을 분산시키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빗살의 말단부에는 상기 에어챔버로 공급된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모발 수용부로 돌출되게 동작되어 상기 모발수용부의 말단부를 차단시킴으로써 모발의 빠짐을 방지하는 셔터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빗형 노즐과, 상기 빗형 노즐이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며 에어를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토출구를 통해 에어를 배출시키는 팬모터와 에어를 소정온도로 상승시켜 온풍을 발생시키는 열선히터가 내장된 헤어드라이기 본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빗형 노즐은 빗살들의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출풍구가 마련되어 있어 빗살 사이에 수용된 모발이 빗살 사이의 끝단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모발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모발 자체의 건조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모발을 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출풍구가 빗살 사이공간의 내측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모발이 빗살 사이에서 빠지는 것을 더욱 향상시킬 뿐 아니라, 서로 마주하는 출풍구가 서로 어긋나게 교번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모발의 빠짐을 방지하면서 빗살 사이에 수용된 모발을 서로 갈라주면서 건조시켜 모발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빗형 노즐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빗형 노즐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셔터수단의 미동작상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수단의 차단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빗형 노즐(100)은 헤어드라이기 본체(200)의 선단에 구성된 토출구(2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토출구(201)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모발 측으로 유도하도록 사용된다. 이때, 헤어드라이기 본체(200)는 통상의 헤어드라이기와 같이 본체 내부에 팬모터(송풍기,210)가 구비되어, 원형의 토출구(201)를 향해 에어를 송풍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온풍 배출을 위해 열선히터(220)가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빗형 노즐(100)은 접속부(110), 에어가이드부(120), 빗살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접속부(110)는 후단이 토출구(201)에 분리가능하게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노즐(110)이 토출구(201)에 접속되게 하는 구성이며, 통상적으로 원형의 토출구(201)에 대응되게 원형관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접속부(110)는 원형이외에도 토출구(201)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출구(201)에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에어가이드부(120)는 토출구(201)에서 배출되어 접속부(110)로 유입된 에어를 빗살부(130)에 내부공간인 에어챔버(132)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에어가이드부(120)는 후단은 접속부(1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선단(121)에는 빗살부(1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에어가이드부(120)의 선단(121)은 접속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에어가이드부(120)는 후단이 접속부(110)의 형태와 동일하게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은 접속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가이드부(120)는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주는 형태로 구성된다.
아울러, 선단(121)의 길이는 도면상에는 접속부(110)의 직경보다 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접속부(11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가이드부(120)의 선단(121)의 길이를 접속부(11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빗살부(130)에 구성된 빗살(131)을 설치수를 늘릴 수 있다.
빗살부(130)는 에어가이드부(120)의 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의 빗살(131)로 이루어져, 빗살(131)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모발 수용부(134)가 형성되어 이 빗살(131)들을 통해 모발에 대한 빗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빗살(131)은 내부에 에어챔버(132)가 형성되고, 이 에어챔버(132)는 에어가이드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에어가이드부(120)로부터 에어가 에어챔버(132)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접속부(110)의 선단에 에어가이드부(120)가 구성되고, 이 에어가이드부(120)의 선단에 빗살부(120)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가이드부(120)의 구성없이 원통형의 접속부(110)의 선단에 빗살부(120)가 직접 형성되어 빗살(131)의 내부공간 즉 에어챔버(132)가 접속부(1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빗살(131)에 토출구(201)에서 배출된 에어를 모발측으로 배출 분사시키도록 빗살(131) 내부의 에어챔버(132)와 연통되는 측방출풍구(141,142)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빗살(131)의 말단이나 모발수용부(134)의 내측단(137)에 출풍구가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웃하는 두 빗살(131)의 마주하는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출풍구(141,142)가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측방출풍구(141,142)는 이웃하는 두 빗살(131)의 서로 마주하는 제1측면(135)과 제2측면(136)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1측면(135)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와, 제2측면(136)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관통형성되는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는 제2측면(135)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제2측면(136)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는 제1측면(135)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제1측면(135)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1측방출풍구(141)가 제2측면(136)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고, 제2측방출풍구(142)가 제1측면(135)을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모발 수용홈(134) 내에 에어커튼형태의 공기흐름을 형성함으로써 모발을 모발 수용부(134) 내에 가두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발 수용부(134) 내에 머물도록 하면서 모발 수용부(134) 내의 모발의 건조가 이루어져 모발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 각각은 모발 수용부(134)의 내측단(137)을 향해 소정각도(θ)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모발수용부(134)의 내측단 측으로 소정각도(θ)로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발 수용홈(134)에 수용된 모발을 모발수용홈(134)의 내측단(137) 측으로 밀어내면서 모발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발이 모발수용홈(134)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해주고, 이에 따라 모발이 모발수용홈(134)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모발이 건조됨으로써 모발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가 각 측면(135,136)에 대해 경사진 각도(θ)는 45~90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의 경사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수용홈(134)에서 모발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모발이 빠져나가게 되며, 45도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발을 모발수용홈(134)의 내측단으로 과도하게 밀어주어 모발뭉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모발성능이 다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의 경사각도(θ)가 45~90도 일때 모발이 모발수용홈(134)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으면서 양호한 모발건조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 각각은 서로 마주보지 않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 각각은 측방향 즉 모발 수용부(134)의 폭방향에 대해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를 마주하지 않고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측면(136)을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 각각은 측방향 즉 모발 수용부(134)의 폭방향에 대해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를 마주하지 않고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측면(135)을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와 복수의 제2측방출풍(142)들은 서로 교번하여 교차되게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들 사이로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1)에서 분사되는 에어들이 분사되게 하여 모발 수용부(134)에 수용된 모발을 서로 분사되게 갈라주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발 건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빗형 노즐은 이웃하는 두 빗살(131)의 마주하는 두 측면(135,136)에 각각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141) 사이 및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142) 사이로 모발분리 분사홀(151,152)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측면(135)에는 제1측방출풍구(141) 사이에 에어챔버(142)와 연통되는 제1모발분리 분사홀(151)이 관통형성되며, 제2측면(136)에는 제2측방출풍구(142) 사이에 에어챔버(142)와 연통되는 제2모발분리 분사홀(152)이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발분리 분사홀(151,152)은 측방출풍구(141,142)의 직경보다 적어도 1/2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출풍구(141,142) 사이에서 출풍구(141,142)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보다 작은 사이즈의 미세에어를 분사하도록 하여 모발을 분사시키면서 모발의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빗살(131)의 말단부에는 에어챔버(132)로 공급된 에어의 압력에 의해 모발수용부(134)로 돌출되게 동작되어 모발수용부부(134)의 외측 말단부를 차단해 모발의 빠짐을 방지하는 셔터수단(160)이 추가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셔터수단(160)은 빗살(131)의 측면 말단부에 형성된 셔터안착홈(138)에 힌지부(16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셔터안착홈(138)에 삽입안착되거나 셔터안착홈(138)에서 모발 수용부(134)의 내부로 돌출되게 회전동작되도록 구성된 모발 차단판(161)과, 모발 차단판(161)에 직각되게 설치되되 셔터안착홈(138)을 관통하여 에어챔버(132) 내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에어챔버(132)로 유입된 에어의 에어압력에 의해 회동동작하여 모발 차단판(161)을 모발수용부(134) 내부로 돌출되게 회동시키는 에어작동판(164)과, 힌지부(162)에 설치되어 모발 차단판(161)이 셔터안착홈(138)으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6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셔터수단(160)은 헤어드라이기 본체(120)가 구동되어, 에어가 빗살(131) 내부의 에어챔버(132)로 공급되게 되면, 에어챔버(132) 내에 공급된 에어의 압력에 의해 에어작동판(164)이 회동하면서, 이와 함께 모발 차단판(161)이 모발수용부(134)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회전함으로써 모발수용부(134) 내에 수용된 모발이 모발 수용부(134)의 외측부를 통해 외부로 빠지는 것을 차단시켜 준다.
이때, 이웃하는 두 빗살(131)의 마주하는 두 측면(135,136)의 말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셔터수단(160)은 각각의 모발 차단판(161)이 모발 수용부(134)의 폭방향 중심을 향해 회동하여 도 7과 같이 두 모발 차단판(161)이 서로 모아지면서 모발 수용부(134)의 외측부를 차단시켜서 모발 수용부(134)에 수용된 모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모발 차단판(161)의 길이는 모발 수용부(134)의 폭 간격의 1/2 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양측의 모발 차단판(161)이 빗살(131)의 측면에 대해 직각되게 회동되기 전에 양측의 모발 차단판(161)의 끝단부가 서로 닿아서 차단동작이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접속부
120…에어가이드부
130…빗살부
131…빗살
132…에어챔버
134…모발수용부
135…제1측면
136…제2측면
137…모발수용부의 내측단
138…셔터안착홈
141…제1측방출풍구
142…제2측방출풍구
151…제1모발분리 분사홀
152…제2모발분리 분사홀
160…셔터수단
161…모발차단판
162…힌지축
164…에어작동판
166…탄성부재
200…헤어드라이기 본체
210…팬모터
220…열선
201…토출구

Claims (6)

  1.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에 결합되고,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유입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전방으로 빗질하도록 복수의 빗살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빗살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빗살 사이공간으로 모발 수용부가 형성된 빗살부;
    상기 복수의 빗살 중 이웃하는 두 빗살의 마주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로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으로 상호 향하도록 분출되게 하여 모발이 상기 모발 수용부에 머물도록 하면서 모발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형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는 상기 모발 수용부의 내측단 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및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모발 수용부에 수용된 모발을 상기 모발 수용부의 내측단측으로 밀어내어 모발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형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는 상기 제1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는 상기 제2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는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를 마주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측면을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형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사이로 상기 복수의 제1측방출풍구 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모발을 분산시키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모발분리 분사홀이 구성되고,
    상기 제2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 사이로 상기 복수의 제2측방출풍구 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모발을 분산시키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모발분리 분사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형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말단부에는 상기 에어챔버로 공급된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모발 수용부로 돌출되게 동작되어 상기 모발수용부의 말단부를 차단시킴으로써 모발의 빠짐을 방지하는 셔터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형 노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KR1020220055844A 2022-05-06 2022-05-06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KR20230156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44A KR20230156465A (ko) 2022-05-06 2022-05-06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PCT/KR2023/006005 WO2023214782A1 (ko) 2022-05-06 2023-05-03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44A KR20230156465A (ko) 2022-05-06 2022-05-06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465A true KR20230156465A (ko) 2023-11-14

Family

ID=8864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44A KR20230156465A (ko) 2022-05-06 2022-05-06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6465A (ko)
WO (1) WO20232147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289A (ko) 2009-06-05 2010-12-15 박한나 살균기능을 갖는 두피건조 빗 헤어 드라이어 송풍커버
KR20210066347A (ko) 2019-11-28 2021-06-07 임유나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14B1 (ko) * 2004-07-31 2006-03-23 (주)성신이엔씨 헤어드라이기
JP5984268B2 (ja) * 2011-10-03 2016-09-06 ヤーマン株式会社 ヘア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101358844B1 (ko) * 2012-03-14 2014-02-06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US20160242524A1 (en) * 2012-08-09 2016-08-25 Koninklijke Philips N.V. Hair dryer with air outlet arrangement
KR101871122B1 (ko) * 2017-12-28 2018-06-25 한우선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KR101988161B1 (ko) * 2018-02-14 2019-06-11 오옥남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289A (ko) 2009-06-05 2010-12-15 박한나 살균기능을 갖는 두피건조 빗 헤어 드라이어 송풍커버
KR20210066347A (ko) 2019-11-28 2021-06-07 임유나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782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105A (en) Hand held hair dryer
JP6975043B2 (ja) 毛髪のグルーミング用真空アシ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US5526578A (en) Comb-type hair dryer
US6094837A (en) Multi-functional hand-held hair dryer
CN101541202B (zh) 直发设备
US20220408895A1 (en) Haircare unit
US5894849A (en) Instrument for styling hair
JPH08182532A (ja) ヘアスタイリング用ブラシおよび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US5842286A (en) Multi-functional hand-held hair dryer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US6053181A (en) Instrument for styling hair
KR20230156465A (ko)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KR102554855B1 (ko)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KR200297658Y1 (ko) 헤어드라이어
KR102433454B1 (ko) 빗형 헤어 드라이기
KR100853710B1 (ko) 움직일 수 있는 빗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200282755Y1 (ko) 헤어드라이어용 노즐
RU2820321C1 (ru) Блок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IT202100004469A1 (it) Dispositivo per emettere aria per il trattamento di capelli
KR102581690B1 (ko) 모발 건조기용 노즐
KR101507391B1 (ko)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JP3852511B2 (ja) ヘアーセッター
KR102497421B1 (ko) 고속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동물용 에어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