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148A - Nr 사이드링크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 Google Patents

Nr 사이드링크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148A
KR20230156148A KR1020237036941A KR20237036941A KR20230156148A KR 20230156148 A KR20230156148 A KR 20230156148A KR 1020237036941 A KR1020237036941 A KR 1020237036941A KR 20237036941 A KR20237036941 A KR 20237036941A KR 20230156148 A KR20230156148 A KR 2023015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sensing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리우스 모하마드 솔레이마니
엘케 로쓰-만두츠
슈브항기 브하다우리아
메디 하로우나바디
디에트마르 립카
마틴 레이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ublication of KR2023015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1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가 설명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한다.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한다.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UE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선택한다: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Description

NR 사이드링크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분야,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링크(SL)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장치(UE) 간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 RAN2, …RANN)를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예 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n의 예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각각은 각각의 셀(1061 내지 1065)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기지국 주변의 특정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은 셀 내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면허 및/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BS)이라는 용어는 5G 네트워크에서는 gNB, UMTS/LTE/LTE-A/LTE-A Pro에서는 eNB, 기타 이동통신 표준에서는 단순히 BS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고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이나 사용자에 연결되는 모바일 또는 고정 IoT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이동 또는 고정 장치에는 물리적 장치, 로봇이나 자동차와 같은 지상 기반 차량,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와 같은 공중 차량(UAV)(후자는 드론이라고도 함), 건물 및 전자 제품,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등은 물론 이러한 장치가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도 그 안에 내장된 기타 품목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b)는 5개의 셀의 예시도를 도시하지만, RANn은 이러한 셀을 더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고, RANn은 단지 하나의 기지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b)는 셀(1062)에 있고 기지국 gNB2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두 명의 사용자(UE1 및 UE2)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라고도 함)를 보여 준다. 다른 사용자(UE3)는 기지국 gNB4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셀(1064)에 도시된다. 화살표(1081, 1082 및 1083)는 사용자(UE1, UE2 및 UE3)으로부터 기지국 gNB2, gNB4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 gNB2, gNB4로부터 사용자(UE1, UE2 및 UE3)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는 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b)는 고정식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는 IoT 장치와 같은 셀(1064) 내의 두 개의 추가 장치(1101 및 1102)를 보여준다. 장치(1101)는 화살표(1121)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 gNB4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장치(1102)는 개략적으로 화살표(112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E3)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각각의 기지국(gNB1 내지 gNB5)는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1(b)에서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각각의 백홀 링크(1141 내지 1145)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인트라넷이나 다른 유형의 캠퍼스 네트워크(예: 개인 WiFi 통신 시스템 또는 4G 또는 5G 이동 통신 시스템)와 같은 개인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gNB1 내지 gNB5)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S1 또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NR의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s"를 가리키는 화살표에 의해 도 1(b)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각각의 백홀 링크(1161 내지 116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채널은 UE 간의 직접 통신(장치 간, D2D 통신이라고도 함)을 허용한다. 3GPP의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 이름은 PC5이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과 물리적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요소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은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라고도 하는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DSCH, PUSCH, PSSCH),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MIB),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지원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정보 블록(SLIB)을 전달하는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업링크 제어 정보 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SCI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DCCH, PUCCH, PSSCH) 및 PC5 피드백 응답을 전달하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제1 스테이지 SCI라고도 칭하는 SCI의 일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영역 및 선택적으로는 제2 스테이지 SCI 라고도 칭하는 제어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영역을 지칭하는 2-스테이지 SCI를 지원할 수 있다.
업링크의 경우, 물리적 채널은 UE가 MIB 및 SIB를 동기화하고 획득한 후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가 사용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인 PRACH 또는 RA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는 기준 신호 또는 심볼, RS, 동기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시간 영역에서 특정 기간을 갖고 주파수 영역에서 주어진 대역폭을 갖는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예: 1ms)의 특정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은 순환 프리픽스, CP, 길이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된 전송 시간 간격(sTTI) 또는 단지 몇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비슬롯 기반 프레임 구조를 활용할 때 프레임은 더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가질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 또는 순환 프리픽스(CP)가 있거나 없는 임의의 다른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기반 신호, 예를 들면 이산 푸리에 변환-확산-OFDM(DFT-s-OFDM)과 같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단일 톤 또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일 수 있다. 필터-뱅크 멀티캐리어(일반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GFDM) 또는 UFMC(Universal Filtered Multi Carrier)와 같은 다른 파형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Advanced pro 표준, 5G 또는 NR(New Radio) 표준, 또는 NR-U(New Radio Unlicensed)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gNB1 내지 gNB5 와 같은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각 매크로 셀을 갖는 매크로 셀의 네트워크, 및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과 같은 소형 셀 기지국의 네트워크와 같은 별개의 중첩 네트워크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 외에도 위성과 같은 우주 송수신기 및/또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과 같은 공중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NTN)도 존재한다.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Advanced Pro 표준 또는 5G 또는 NR, 새로운 무선 표준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LTE 또는 5G/NR 네트워크와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네트워크에는 예를 들어 PC5/PC3 인터페이스 또는 WiFi 다이렉트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SL) 채널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가 있을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에는 다른 차량과 직접 통신(V2V 통신)하는 차량,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개체, 예를 들어 도로변 유닛(RSU), 신호등, 교통 표지판이나 보행자과 같은 도로변 개체와 통신(V2X 통신)하는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RSU는 특정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BS 또는 UE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UE는 차량 관련 UE가 아닐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장치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SL 채널을 사용하여 D2D 통신으로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두 UE가 사이드링크를 통해, 예를 들어 PC5/PC3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직접 통신하는 것을 고려할 때, UE 중 하나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도 있고,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BS에서 다른 UE로 정보를 중계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중계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인밴드(in-band) 릴레이) 다른 주파수 대역인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 릴레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첫 번째 경우, Uu 및 사이드링크에서의 통신은 시분할 이중화(TDD) 시스템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두 개의 UE가 모두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커버리지 내 시나리오(in-coverage scenario)의 개략도이다. 기지국 gNB는 기본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표현된 셀에 대응하는 원(200)으로 개략적으로 표현된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다.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은 모두 기지국 gNB의 커버리지 영역(200)내에 있는 제1 차량(202)과 제2 차량(204)을 포함한다. 두 차량(202, 204)은 기지국 gNB에 연결되며, 또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된다. V2V 트래픽의 스케줄링 및/또는 간섭(interference) 관리는 기지국과 UE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인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신호처리를 통해 gNB의 지원을 받는다. 즉, gNB는 UE들에게 SL 리소스 할당 구성이나 지원을 제공하고, gNB는 사이드링크를 통한 V2V 통신에 사용될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NR V2X에서는 모드 1 구성, LTE V2X에서는 모드 3 구성이라고도 한다.
도 3은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이 물리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셀 내에 있을 수 있더라도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지만 기지국은 SL 리소스 할당 구성이나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커버리지 외 시나리오(out-of-coverage scenario)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3개의 차량(206, 208, 210)이 사이드링크를 통해, 예를 들어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V2V 트래픽의 스케줄링 및/또는 간섭 관리는 차량 간에 구현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NR V2X에서는 모드 2 구성, LTE V2X에서는 모드 4 구성이라고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외 시나리오인 도 3의 시나리오는 NR의 모드 2 UE들 또는 LTE의 모드 4 UE들이 반드시 기지국의 커버리지(200) 밖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보다는, 이는 NR의 모드 2 UE 또는 LTE의 모드 4 UE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지 않거나,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거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지만 기지국으로부터 SL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지원을 수신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커버리지 영역(200) 내에서, NR 모드 1 또는 LTE 모드 3 UE(202, 204) 외에도 NR 모드 2 또는 LTE 모드 4 UE(206, 208, 210)가 또한 존재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중계기를 사용하는 커버리지 외 UE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UE(210)는 UE(212)와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UE(212)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UE(212)는 gNB와 UE(210) 사이에 정보를 중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용 UE를 예시하지만, 설명된 커버리지 내 및 커버리지 외 시나리오는 비차량용 UE에도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휴대용 장치와 같이 SL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UE와 직접 통신하는 임의의 UE는 커버리지 내 및 커버리지 외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단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선행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내용으로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한다.
위에서부터 시작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한 사용자 장치의 통신에는 개선 또는 향상이 필요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지상 무선 네트워크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도 1(a)는 코어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예시하고, 도 1(b)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두 개의 UE가 모두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커버리지 내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UE들이 서로 직접 통신하는 커버리지 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센싱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5는 절전형 V-UE에서 연속 부분 센싱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 사용자 장치(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밀도에 기초한 리소스 선택 메커니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라 설명된 방법의 단계뿐만 아니라 유닛 또는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할당되어 있다.
도 1,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치인 UE는 사이드링크(SL)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외 시나리오에서, NR Sidelink에 대한 3GPP Release 16에 따라 차량용 UE(V-UE)와 같은 UE는 도착한 전송 블록(TB), 즉 예를 들면 V-UE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부터 V-UE에 도착하는 TB에 대한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비어있는 무선 리소스를 인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센싱을 수행해야 하며, 도착하는 TB는 관련 지연 예산 및 관련 신뢰성 요구 사항이 충족되도록 SL을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사이드링크 통신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 중 보행자 사용자, 자전거 타는 사람, 전기 자동차와 같이 배터리 수명이 제한된 UE의 수가 증가하므로, 현재의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 접근 방식은 이러한 UE에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절차의 전력 소비 또는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도 4는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센싱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4는 시작(220a)과 끝(220b)을 갖는 센싱 윈도우(220)뿐만 아니라 시작(222a)과 끝(222b)을 갖는 선택 윈도우(222)을 도시한다. 복수의 시간 슬롯(224)이 도시되어 있으며, 센싱 윈도우(220)뿐만 아니라 선택 윈도우(222)도 특정 개수의 시간 슬롯(224)에 걸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226에서 시간 슬롯 n을 더 도시하며, 이는 UE에 의해 수행될 전송이 트리거되는 시간 슬롯이다. UE가 반드시 전체 센싱 윈도우 동안 센싱을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센싱 윈도우 내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하위 간격을 사용하여 부분 센싱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UE가 절전을 수행해야 하고 센싱 결과의 하위 집합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는 UE가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되어 있다고 결정하여 이 결정 또는 트리거에 응답하여 시간 슬롯 n 에서 UE가 전송 버퍼의 데이터 또는 패킷 전송에 사용할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은 센싱 윈도우(220) 동안 획득된 리소스 정보에 기초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시간 슬롯 n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다음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관점에서 볼 때,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인 PDU가 MAC 계층에 의해 생성되어 물리적, PHY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
· 애플리케이션 계층 관점에서 볼 때, 공유할 센서 정보의 가용성부터 사고와 같은 예상치 못한 사건에 이르기까지 이벤트가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센싱 프로세스는 모드 2 UE가 예를 들어 다른 UE로부터 수신한 제1 스테이지 SCI를 고려하여 최근 과거에 이러한 다른 UE에 의해 예약된 리소스를 식별하는 곳이다. UE는 또한 센싱 윈도우(220)를 정의하는 시간 슬롯에서 사이드링크(SL),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여 UE가 이러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한다면 간섭 수준을 결정한다. 이는 UE가 전송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뿐만 아니라 전송에 이용 가능하지 않은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시간 슬롯 n에서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UE가 전송을 수행하려고 할 때, UE가 전송 또는 리소스 선택의 트리거링 이전에 과거 기간(time period in the past)에 대한 센싱 결과를 고려하는 경우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가 트리거된다. 앞서 방금 언급한 과거 기간은 UE가 전송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해 센싱 결과를 고려하는 기간인 센싱 윈도우(220)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윈도우(220)는 전송이 트리거되는 시간 슬롯(n)을 기준으로 과거 특정 시간(220a)부터 시작된다. 센싱 윈도우(220)이 시작되는 시간 슬롯 n으로부터의 기간은 예를 들어 1100ms 또는 단지 100ms의 특정 구성 또는 사전 구성된 길이를 갖는 시간 T0 이다. 도 4의 예에서 센싱 윈도우(220)는 선택 프로세스 또는 전송이 시간 슬롯 n에서 트리거되기 직전에 220b에서 종료된다. 센싱 윈도우(220)의 끝과 시간 슬롯 n 사이의 기간은 도 4에서 T proc,0 으로 표시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센싱 윈도우는 T proc,0 = 0이 되도록 시간 슬롯 n에서 즉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윈도우의 지속 기간은 [n-T0, nT proc,0 ]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0는 상위 계층, 예를 들어 sL-SensingWindow-r16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리소스 풀(RP) 구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0은 100ms에서 1100ms 사이일 수 있다. T proc,0은 리소스 풀에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센싱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결과를 센싱 결과라고 한다. 센싱 결과는 특정 리소스가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및/또는 사용 불가능한지 여부를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세트에 대해 나타낸다. 나타낸 리소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과 같이 특정 리소스 풀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과거의 특정 지속 시간, 즉 센싱 윈도우(220)에 걸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은 전송 리소스 풀, 수신 리소스 풀, 예외 리소스 풀, 모드 1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 또는 모드 2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일 수 있다.
센싱 프로세스에서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슬롯 n에서 트리거된 전송을 위해 UE는 선택 윈도우(222) 내에서 리소스를 선택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윈도우는 예를 들어 시간 슬롯 n 다음의 기간 T1에서 전송 또는 리소스 선택 트리거 직후에 시작된다(222a). 다른 예에서, 선택 윈도우(222)는 T1 = 0이 되도록 시간 슬롯 n에서 즉시 시작할 수 있다. 선택 윈도우의 끝(222b)은 예를 들어 UE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또는 패킷 또는 전송 블록(TB)과 관련된 패킷 지연 예산(PDB)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T2이다. 선택 윈도우(222)는 UE가 센싱 정보를 고려하여 리소스를 선택하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가용 리소스를 외삽하여 후보 리소스 세트를 생성하고, 트리거된 전송을 위해 후보 리소스 세트 내에서 리소스를 선택하는 기간이다.
선택 윈도우(222)의 지속기간은 [n+T1, n+T2]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T1 및 T2는 UE 구현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T1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0 < T1 < T proc,1, 여기서 T proc,1은 전송을 위한 리소스가 선택되는 리소스 풀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참조하여 다음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 2는 패킷 지연 예산 PDB 및 예를 들어 매개변수 SL-SelectionWindow-r16에 의한 리소스 풀 RP 구성을 사용하는 상위 계층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T2 min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고, UE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또는 패킷의 우선순위에 따라 1, 5, 10 및 20밀리초 사이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 2 < remaining PDB 인 경우 다음이 유지된다.
센싱 및 선택 윈도우를 정의하면 UE는 다음과 같이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선택 윈도우(222) 내의 모든 리소스는 초기에 전송을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후보 리소스로 간주된다. 따라서, UE는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과 하나 이상의 서브채널 내의 모든 리소스를 모아 후보 리소스 세트 SA 를 형성하고, 후보 리소스 세트 SA 의 크기는 세트 내의 리소스 개수에 따라 M total 으로 주어진다. 그런 다음 UE는 SB 라고 하는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에 도달할 때까지 후보 리소스 세트에서 특정 리소스를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 SB 의 리소스 개수는 원래 후보 리소스 세트 S A 에서의 리소스 개수 M total 보다 작을 수 있다.
특정 조건이 존재할 경우 리소스가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주어진 시간 슬롯에서 다른 전송을 전송하고 있어 반이중 제약으로 인해 아무 것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시간 슬롯의 리소스는 초기 후보 리소스 세트 SA 에서 제외 된다. 수신한 SCI 중 어느 것이 리소스 예약 기간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예약 기간에 의해 지시되는 미래 리소스를 초기 후보 리소스 세트 SA에서 제외한다. 특정 리소스에 대한 RSRP 측정이 SL-RSRP 임계값과 같이 SCI에서 수신한 우선순위 값과 트리거된 발명과 관련된 우선순위 값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UE는 해당 리소스를 초기 후보 리소스 세트 S A에서 제외한다. 수신된 SCI에 표시되고 향후 주기적 전송을 위해 추정되는 리소스도 제외될 수 있다.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 SB 가 선택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한 총 리소스 수의 일정 비율 미만인 경우, UE가 트리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우, UE는 SL-RSRP 임계값을 낮추고 위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방금 언급한 백분율은 X로 참조될 수 있으며, 최종 후보 세트의 크기는 X· Mtotal 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 S B 가 UE에 의해 결정되면, UE는 이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 SB 를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상위 계층은 예를 들어 균일한 분포를 기반으로 최종 후보 리소스 세트 SB에서 필요한 수의 리소스를 선택하며, 선택된 리소스는 UE에 의해 트리거된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LTE V2X 모드 4(3GPP 36.213 참조) 및 NR V2X 모드 2(3GPP 38.214 참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무선 리소스 선택 절차가 수행된다.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이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서 전송한다. 리소스 선택 절차는 3GPP 38.214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1. 후보 리소스 세트 Rxy 는 L개의 연속 서브채널 세트 x+j이며, 여기서 j=0, …, L-1은 시간 간격 [n+T1, n+T2] 내의 tm에서의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채널 세트이다. 타임스탬프 n은 패킷 도착 시간이다. T1과 T2는 각각 처리 시간과 패킷 지연 예산이다. T1 및 T2 값은 UE 구현에 따라 다르며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a. T1≤4 및 T2min (TX 우선순위)≤T2≤100. 여기서 상위 계층은 TX 우선순위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T2 min 은 20으로 설정된다.
2. 구성된 모든 주파수-시간 리소스 Sa의 세트가 초기화되고, Sb의 빈 세트가 생성된다.
3. UE는 세트 Sa에서 세트 Sb로의 전송에 필요한 서브프레임 리소스 Rxy 세트를 선택한다.
4. UE는 Sb 목록을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상위 계층이 부분 센싱을 구성하면 UE는 3GPP 36.213에 따라 다음과 같이 후보 무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1. 후보 리소스 세트 Rxy 는 L개의 연속 서브채널 세트 x+j이며, 여기서 j=0, …, L-1은 시간 간격 [n+T1, n+T2] 내의 시간 tm에서의 서브프레임의 연속 서브채널의 세트이다. 타임스탬프 n은 패킷 도착 시간이다.
UE는 시간 간격 [n+T1,n+T2] 내에서 y개의 서브프레임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y는 UE 구현에 따라 다르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T1, T2를 구성하는데; 이는 UE 구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T2는 T2 min (TX 우선순위)과 100ms 사이의 값이다. T2 min은 상위 계층 신호로 구성되며, 그렇지 않으면 T2 min은 기본적으로 20ms이다. 게다가, T2의 상한은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UE 버퍼에서 대기하도록 허용되는 최대 지연에 따라 달라진다. y는 M total 내에서 상위 계층 매개변수 minNumCandidateSF를 이행하는 것이며, 여기서 M total 은 서브프레임 리소스의 총 개수이다.
2. UE는 모든 tyk * Pstep 서브프레임 리소스를 모니터링하는데, 여기서 k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10비트의 gapCandidatesensing 이다. P step 는 구성된 두 개의 연속 센싱 시간 인스턴스 사이의 단계 크기이다.
3. 1로 설정된 비트는 부분 센싱이 설정된 경우 P-UE가 모니터링하는 센싱 시점을 나타낸다.
4. 매개변수 Th (a,b)는 상위 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 요구사항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5. Sa는 모든 무선 리소스 서브프레임의 목록이고 Sb는 빈 세트이다.
6. UE는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Sa 세트에서 모든 서브프레임 리소스를 제외한다.
a. UE는 리소스 예약 및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SCI 포맷 1을 디코딩하는데, 즉 '리소스 예약' 및 '우선순위' 필드를 포함한다. 매개변수 priorx는 '우선순위' 필드에서 파생된다.
b. m 측정된 PSSCH-RSSP는 Th(priotx,priorx) 값보다 높다.
c. UE는 서브프레임 t m+q *P step *Prsvp RX 에서 SCI 포맷 1을 수신하며, 이는 R x,y+j *P'rsvp TX 와 겹치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예약된 리소스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q=1, 2,…,Q 및 j=0,1,…,Cresel-1 이다. Prsvp RX <1이고 ym≤ Pstep*Prsvp RX +Pstep이고 ty가 Y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면 Q=1/Prsvp RX 값은 Q=1 이다. 여기서 P'rsvp TX 및 P'rsvp RX 는 각각 송신기 및 수신기 사용자가 나타내는 예약된 리소스이다. Cresel 은 3GPP 38.321에 정의된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위해 선택된 리소스의 수이다.
7. Sb 세트에서 식별된 후보 무선 리소스 서브프레임의 수가 0.2*M total 보다 작으면, 단계 4의 Th(a, b)는 3dB만큼 증가된다.
8. Sa 세트의 나머지 R xy 서브프레임 리소스에 대해 메트릭 Exy는 서브프레임 리소스 ty-Pstep*j의 k=0,…, L-1에 대해 서브채널 x+k의 평균 S-RSSI로 정의된다.
9. UE는 Sb에서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 리소스의 개수가 0.2*Mtotal이 되도록 Exy 가 가장 작은 후보 리소스를 Sa에서 Sb로 이동시킨다.
10. 다중 캐리어의 경우, UE가 다중 캐리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Sb에서 서브프레임 리소스 Rxy 를 제거한다.
UE는 설정된 Sb를 상위 계층에 보고한다.
Rel-16의 NR V2X 모드 2에서 LTE V2X 모드 4는 비주기적 트래픽 및 주기적 트래픽과 같은 다양한 V2X 트래픽 유형과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와 같은 다양한 캐스트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향상된다. 이제 3GPP 38.214에 따른 NR-V2X 모드 2에서의 무선 리소스 선택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위 계층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리소스를 보고할 때, UE는 일부 매개변수, 예를 들어 수신 및 전송에 대한 우선순위, 구성된 리소스 풀, 패킷 지연 예산, 무선 리소스 예약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UE는 서브프레임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에서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를 고려한다.
· T2min_SelectionWindow:
리소스 선택 윈도우에서 사용되며 상위 계층에서 구성하는 최소 시간이다.
· SL-ThresRSRP_pi_pj:
SCI 포맷 0-1의 수신 우선순위 pi에 대한 RSRP 임계값과 상위 계층에서 구성한 전송 우선순위 pj에 대한 RSRP 임계값이다.
· 센싱용 RSRP:
· 이는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의 RSRP가 고려되는지 결정한다.
· T0_Sensing_Window:
· 이는 후보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에서 고려되는 측정된 슬롯 수이다.
· reservationPeriodAllowed
또한, Prsvp TX 는 전송 예약 기간으로, 필요 시 논리 슬롯 P'rsvp tx 로 변환될 수 있다.
LTE V2X 모드 4(3GPP 36.213 참조)와 유사하게, NR V2X 모드 2(3GPP 38.214 참조)에서는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1. UE는 전송을 위해 시간-주파수 리소스 Rxy를 선택하며, 여기서 이는 x+j에서 시작하는 L개의 연속 무선 리소스로 구성되며, 여기서 j=0,1…L-1이다. UE는 [n+T1, n+T2] 사이의 리소스 풀과 관련하여 슬롯을 선택하며, 여기서 T1 및 T2 값은 UE 구현에 달려 있으며, T2는 T2 min 이 구성되는 경우의 T2 min 과 패킹된 지연 예산, PDB, 시간 사이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나머지 PDB로 설정된다. M total 전송에 사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의 총 개수이다.
2. UE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Sensing Window 내의 슬롯을 모니터링한다.
3. Th(pri)는 애플리케이션의 QoS 요구 사항과 관련되고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는 수신 신호 강도이다.
4. 모든 무선 리소스는 Sa의 세트로 구성된다.
5. UE는 다음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Sa에서 R xy를 제외한다.
a. UE는 슬롯을 모니터링하지 않았다.
b. SCI 포맷 0-1은 '리소스 예약 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특정 슬롯에 사용 가능한 서브채널이 없음을 나타낸다.
c. SCI 포맷 0-1은 무선 리소스가 예약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우선순위 값이 전송 우선순위보다 높다.
d. 측정된 RSRP 값은 SCI 포맷 0-1로 수신된 Th(이전 RX) 보다 높다.
e. Rxy +jP'rsvp TX 와 중첩되는 t m+q *P'rsvp RX 에서 수신된 SCI 포맷 0-1에 'Resource Reservation Period' 필드가 설정된 경우, 여기서 q=1, 2,…,Q 및 j=0,1,2,…,C resel -1. P'rsvp RX는 RrsvpRX < Tscal인 경우 Prsvp RX 및 Q=Roof(Tscal/Prscvp RX) 에서 얻은 논리 슬롯으로, 여기서 Tscal은 패킷 지연 예산에 남은 시간이고 n≤m+P'rsvp RX 이고, 여기서 슬롯 n이 예약된 전송 시간 구간에 속할 때 n=n'이고, 그렇지 않으면 구성된 전송 슬롯 범위에서 n 다음의 첫 번째 슬롯이다.
f. 후보 슬롯 리소스의 수가 0.2* Mtotal 보다 작을 경우 Th(pri)는 3db만큼 증가하고 4단계부터 리소스 선택 절차가 시작된다.
UE는 Sa를 상위 계층에 보고한다.
구성 시 리소스 풀 내에서 부분 센싱, 랜덤 및 일반 센싱와 같은 다양한 리소스 선택 전략이 허용된다. 그러나, 절전형 사용자는 V-UE와 같이 근처에 있는 다른 UE가 예약한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여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V-UE 사용자의 선점 및 재평가 기능에 더해, 절전 사용자는 연속 부분 센싱을 사용하여 다른 절전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주기적 트래픽으로 인한 충돌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절전형 V-UE에서 연속 부분 센싱의 예를 도시한다. 연속 부분 센싱을 통해, 절전 사용자는 226에서 리소스 선택 트리거 시간 n 직후부터 실제 리소스 전송 시간 T2까지 연속 센싱을 계속할 수 있다. 도 5에서, 센싱 윈도우(220) 동안 UE는 서브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228)에서 센싱을 수행하고 서브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230)에서는 센싱을 수행하지 않는다. 226에서, 연속 센싱 윈도우(234)는 t a 내지 t b 크기를 갖는다. 연속 센싱 윈도우(234) 동안 UE는 계속해서 리소스를 센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전 UE는 근처의 절전 사용자가 예약할 수 있는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접근법은 일부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 예를 들어 V2X UE와 같이 SL을 통해 전송/수신하는 배터리 구동 UE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절감을 여전히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리소스 선택 전략을 활용하고 절전 사용자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수의 센싱 측정값을 사용하는 랜덤 또는 부분 센싱와 같은 서로 다른 선택 전략을 트리거하는 서로 다른 조건을 정교화함으로써 개선 및 향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리소스 선택 전략을 지원하는 리소스 풀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리소스 선택 전략을 가진 사용자 간의 충돌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신뢰성과 대기 시간을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적절한 리소스 선택 전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효율적인 리소스 선택을 위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랜덤 리소스 선택, 부분 센싱 또는 센싱와 관련된 NR Sidelink의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사항을 제공하는 반면, 특정 실시예는 불연속 수신(DRX)도 고려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최적의 수의 센싱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랜덤 선택, 센싱 또는 부분 센싱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UE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다음 실시예 또는 측면은 현재 리소스 선택을 활용하고 절전 사용자를 위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 실시예 1:
트래픽/사용자 밀도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트래픽을 랜덤으로 선택한다.
· 실시예 2:
랜덤 및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을 위해 구성된 리소스 풀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랜덤 리소스 선택.
· 실시예 3:
수신된 ACK/NACK를 기반으로 리소스 선택.
· 실시예 4:
연속 부분 센싱 트리거 조건.
· 실시예 5:
절전 사용자를 위한 적응형 연속 부분 센싱.
· 실시예 6:
절대 또는 상대 UE 위치를 기반으로 한 UE 절전
· 실시예 7:
센싱 확장 및 DRX-On-Off 적응.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분 센싱 및 랜덤 리소스 선택과 사이드링크에서의 DRX 온/오프 기간이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므로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V2X 보안과 관련된 V2X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배터리 기반 UE의 절전은 UE의 배터리가 부족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또한, 절전 사용자를 위한 신뢰성 향상 및 지연 시간 감소 기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 또는 IoT 장치와 같은 기지국 및 사용자를 포함하는 위에 설명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300) 및 사용자 장치인 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302, 304)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송신기(300) 및 수신기(302, 304)는 라디오 링크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채널(306a, 306b, 308)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송신 장치(300)는 서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 T)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처리기(300a) 및 송수신기(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302, 304)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 UE)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처리기(302a, 304a), 및 서로 연결된 송수신기(302b, 304b)를 포함한다. 기지국(300)과 UE(302, 304)는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은 각각의 제1 무선 통신 링크(306a, 306b)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반면, UE(302, 304)는 PC5/sidelink, SL을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은 제2 무선 통신 링크(3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이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를 받지 않거나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거나, 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SL 리소스 할당 구성이나 지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UE들은 사이드링크, SL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의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도 6의 하나 이상의 UE(302, 304), 및 도 6의 기지국(3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장치
실시예 1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아래에 따라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선택한다.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가 시작되기 전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채널 혼잡율(CBR)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값을 사용하여 트래픽 밀도 및/또는 사용자 밀도를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을 수행하고/하거나
· 예를 들어, UE 간 시그널링을 통해 추가 UE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또는 모드 2에서 동작하는 도로변 유닛(RSU)으로부터 또는 모드 1에서 작동하는 gNB와 같은 기지국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값을 얻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며,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은 다음을 포함한다:
· 주기적인 트래픽,
· 비주기적인 트래픽.
실시예에 따르면, UE가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선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주기적 트래픽의 밀도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
· 비주기적 트래픽의 밀도는 제2 임계값 이상이며, 제2 임계값은 제1 임계값보다 높으며,
· 사용자 밀도가 제3 임계값 이하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관련된 트래픽의 밀도와 채널 혼잡율(CBR)과 같은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과 관련된 트래픽의 밀도가 특정 제한값 또는 임계값 이하인 경우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또는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선택하고, 여기서 제한값 또는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예를 들면 도로변 유닛 RSU 로부터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SIB, PC5-RRC 시그널링에 의해 사전구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고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될 리소스 풀을 제공하고,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같은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송을 위해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UE는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리소스 풀 내에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로부터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에 대한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리소스 풀에서 선택된다.
·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oS),
· 전송 우선순위,
· UE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UE의 구역 또는 최소 통신 범위(MCR) 또는 UE의 상대 위치 또는 UE의 절대 위치,
·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 UE의 유형, 예를 들어 차량 탑재 UE 또는 배터리 기반 UE.
실시예에 따르면, 리소스 풀이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적어도 또는 단지 다음을 포함한다: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여기서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정의된 리소스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고, UE는 예를 들어 RRC, DCI 또는 SCI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계층에 의해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리소스에 대한 비성공적(non-successful) 초기 전송을 나타내는 피드백과 관련된 리소스를 전송을 위한 리소스로 선택하지 않거나 제외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은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의 의도된 수신기에 의해 또는 UE간 조정 메시지를 통해 근처의 UE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NACK 메시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UE는 센싱된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한 선택을 위해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트리거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비주기적인 트래픽 밀도가 정의되거나 지정된 임계값 수준을 초과한 경우.
·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 UE는 특정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증가된 수의 비주기적 트래픽이 트리거될 가능성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이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적용하고 하나 이상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으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에 따르면, UE는 연속 센싱 윈도우 동안 전송에 대한 트리거 이후 전송 전 미리 정의된 시간까지 센싱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여기서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이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실시예 5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하고, 여기서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동안의 연속 센싱 윈도우의 크기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구 사항,
· 하나 이상의 전송 매개변수,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 구성,
· UE의 상대 또는 절대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한 센싱 윈도우는 전송에 대한 트리거 전 또는 후에 미리 정의된 시간에 시작하고 전송 전 미리 정의된 시간에 종료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실시예 6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UE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UE의 위치에 따라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거나 수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트리거된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
·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
· 트리거된 전송,
· 전송 수신,
· 신호 처리,
· 불연속 수신, DRX, 모드.
실시예에 따르면, UE의 위치는 절대 위치 및/또는 상대 위치이고, UE의 위치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 지리적 위치 또는 절대 위치(예: 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GNSS) 기반)
· 상대 위치 또는 거리, 예를 들어 도로 또는 교차로 또는 도로측 유닛(RSU) 또는 다른 UE까지의 특정 거리,
·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구역 ID로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구역.
실시예에 따르면,
· UE가 제1 위치에 있거나 접근하고 있을 때,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수정하며, 그리고
· UE가 제2 위치에 있거나 제2 위치에 접근하고 있을 때,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재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 제1 위치에서는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SL)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영역이 포함되고,
· 제2 위치에는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SL)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이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해야 하며, UE의 위치에 따라 UE는 Uu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수정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UE는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센싱 프로세스에 대한 센싱 윈도우에 따라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의 연장을 유발하는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되며, 센싱 윈도우는 트리거된 전송에 의해 요구되는 크기 또는 기간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은 디폴트 시작 시간 및 디폴트 종료 시간을 포함하며, 디폴트 ON 기간의 연장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UE가 요구되는 센싱 윈도우 크기에 대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디폴트 종료 시간을 이후 시간으로 오프셋
· 디폴트 시작 시간을 이전 시간으로 오프셋.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RRC 또는 PC5-RRC 시그널링에 의해 또는 DCI에 의해 또는 SCI에 의해 또는 MAC 시그널링에 의해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복수의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되고, 각 매개변수는 ON 기간의 서로 다른 확장을 정의하며, UE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적용될 매개변수를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구 사항,
· 하나 이상의 전송 매개변수,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 구성,
· 전송 우선순위,
· UE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UE의 구역 또는 최소 통신 범위(MCR) 또는 UE의 상대 위치 또는 UE의 절대 위치,
·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 UE의 유형, 예를 들어 차량 탑재 UE 또는 배터리 기반 U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UE는 DRX ON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연속적인 센싱 윈도우를 적응시킨다.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전송과 관련된 QoS 또는 우선순위와 같은 트리거된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연속 센싱 윈도우가 시작되는 DRX ON 기간의 시작 이전 시간을 결정한다.
일반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이드링크, 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UE, 및/또는
· Uu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비면허 대역과 같은 공유 액세스 대역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터티와 통신한다.
시스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
실시예 1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함 - , 및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실시예 2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되고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될 리소스 풀을 제공하며, 방법은: UE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같은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통해 전송에 사용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는 경우,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리소스 풀 내에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로부터 트리거된 전송에 대한 리소스를 선택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리소스에 대한 비성공적인 초기 전송을 나타내는 피드백과 관련된 리소스를 전송을 위한 리소스로 선택하거나 제외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센싱된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한 선택을 위해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5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함 - 및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동안 연속 센싱 윈도우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UE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거나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인 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인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인 UE와 통신하며, 여기서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고 또한 구성된 또는 미리 구성된 매개변수에 따라 센싱 프로세스에 대한 센싱 윈도우에 따라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을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센싱 윈도우는 트리거된 전송에 의해 요구되는 크기 또는 지속 기간을 갖는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함 - 및 DRX ON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연속적인 센싱 윈도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1: 트래픽/사용자 밀도를 기반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트래픽 랜덤 선택.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의 실시예는 상이한 트래픽 유형에 대한 트래픽 밀도 측정 예를 들면 주기적 트래픽(CBR_P)에 대한 또는 비주기적 트래픽(CBR_A)에 대한 채널 혼잡율(CBR)에 기초하거나 및/또는 랜덤 또는 부분 센싱 CBR_(R+P)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밀도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공유 리소스 풀에서 랜덤, 센싱 기반 또는 부분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을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 UE를 제공한다. 리소스 풀은 랜덤, 센싱 기반 또는 부분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사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다: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실시예에 따르면, 리소스 선택이 시작되기 전, 예를 들어 전송이 UE에서 트리거되기 전에, 예를 들어 100개 슬롯 이하 내에서 짧은 센싱에 의해 측정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정보는 예를 들어 UE 간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근처의 다른 UE에 의해 제공되거나, 모드 2에서 동작하는 RSU에 의해, 또는 모드 1에서 동작하는 gN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BR_P= 10%, 즉 주기적 트래픽에 대한 CBR, CBR_A=90%, 즉 비주기적 트래픽에 대한 CBR, 그리고 희박하게 분산된 사용자이면, 알고리즘은 주기적 트래픽 또는 비주기적 트래픽에 대해 랜덤 선택 또는 부분 센싱을 선택할 수 있어서 트래픽 밀도에 따라 규칙적 센싱을 수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센싱 인스턴스 수를 조정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밀도에 기초한 리소스 선택 메커니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35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 트래픽에 대한 CBR_P, 비주기적 트래픽에 대한 CBR_A, 및/또는 사용자 밀도에 대한 CBR_(R+P) 측정값과 리소스 풀 구성(354)을 입력으로 수신하는 위에 언급된 알고리즘(350)이 제공된다. 입력을 사용하여, 알고리즘(350)은 랜덤 선택(356) 또는 일반 또는 부분 센싱(358)를 선택하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이에 따라 UE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레벨 관점에서 랜덤 및 부분 센싱 선택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에서 랜덤 또는 부분 센싱 선택 트래픽의 해당 CBR_(R+P) 임계값이 특정 제한값 보다 낮은 경우 랜덤 또는 부분 센싱 리소스 선택이 선택될 수 있다. CBR_(R+P)에 대한 해당 임계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gNB, RSU 또는 다른 UE를 통한 RRC, SIB, PC5-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랜덤 및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을 위해 구성된 리소스 풀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랜덤 리소스 선택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의 실시예는 공통 리소스 풀 내에서 서로 다른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UE 간의 충돌을 피하는 접근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리소스 선택 및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을 위해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이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랜덤 선택을 수행하는 두 사용자가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통한 전송으로 인해 충돌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는 리소스 풀 내의 미리 정의된 무선 리소스 세트에서 무선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비주기적인 트래픽이나 주기적인 트래픽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리소스 풀 내의 미리 정의된 리소스 세트에서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한다. 따라서,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는 센싱 수행을 억제하고 미리 정의된 리소스로 전송함으로써 모든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소스 풀에서 미리 정의된 리소스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를 위한 무선 리소스 선택의 구성에서 다음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이 고려될 수 있다.
·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oS),
· 전송 우선순위,
· UE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UE의 구역 또는 최소 통신 범위(MCR) 또는 UE의 상대 위치 또는 UE의 절대 위치,
·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 UE의 유형, 예를 들어 차량 탑재 UE 또는 배터리 기반 UE.
예를 들어, 주기적 트래픽을 갖는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는 미리 구성된 주파수-시간 리소스에서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랜덤 선택 기반 사용자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재평가 및 선점 기능은 일반 센싱 사용자에 대해서만 구성되므로 일반 센싱 사용자는 무선 리소스를 선점할 수 있거나, 재평가에서 이것이 구성되면 절전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무선 리소스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예를 들어 RRC, DCI 또는 SCI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수신된 ACK/NACK에 기초한 리소스 선택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의 실시예는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고 전송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절전 사용자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경우, UE는 리소스 재선택 또는 재전송을 유발하는 비승인, NACK 피드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풀, RP가 랜덤, 부분, 규칙적 센싱 기반 리소스 선택으로 구성된 경우,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절전 사용자는 리소스 재선택 또는 재전송을 위해 NACK 피드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절전 UE는 NACK 메시지가 수신된 리소스를 제외하고 재선택 또는 재전송을 트리거한다.
NACK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전송의 의도된 수신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UE 간 조정 메시지를 통해 근처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 4: 연속 부분 센싱 트리거 조건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UE가 연속 부분 센싱으로 전환하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UE 간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기술 분야에서는 특히 비주기적 트래픽의 경우 부분 센싱 기반 사용자와 일반 센싱 기반 사용자 간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 연속 부분 센싱을 사용하는 것이 지금까지 합의되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 부분 센싱을 적용하는 경우 UE는 연속 부분 센싱에서 리소스 선택 트리거 시점 직후에 센싱을 수행하고 전송 직전에 종료한다. 연속적인 부분 센싱은 센싱 기간의 연장으로 인해 절전 단말에서는 전력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리소스 선택 동안 더 많은 센싱 정보를 사용할수록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절전 UE가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특정 조건 또는 기준에 기초하여 연속 부분 센싱을 트리거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절전 사용자를 위한 신뢰성과 전력 소비 간의 절충안을 제공한다.
· 비주기적인 트래픽 밀도가 정의되거나 지정된 임계값 수준을 초과한다.
·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 UE가 특정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증가된 수의 비주기적 트래픽이 트리거될 가능성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이에 접근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 UE는 비주기적 트래픽 밀도가 정의된 또는 지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연속 부분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트래픽 밀도는 센싱 측정, 예를 들어 CBR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 UE는 예를 들어 주기적인 부분 센싱에 의해 QoS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QoS 요구 사항으로 인해 연속적인 부분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 UE는 증가하는 수의 비주기적 트래픽이 트리거될 가능성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에 UE가 위치하거나 이에 접근할 때 연속 부분 센싱을 트리거할 수 있다.
실시예 5: 절전 사용자를 위한 적응형 연속 부분 센싱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실시예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UE가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에 의존하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동안 연속적인 센싱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설정하도록 허용하는 접근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기반, 랜덤 및 부분 센싱 기반과 같은 다양한 무선 리소스 선택 전략에 대해 리소스 풀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부분 센싱 사용자와 랜덤 선택 기반 절전 사용자의 경우에는 다른 UE나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할당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충돌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특히 비주기적 트래픽이 지배적인 경우 이러한 사용자 간의 충돌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 부분 센싱을 도시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속 센싱 윈도우(234)의 크기는 연속 센싱 윈도우(234)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연속 부분 센싱에서의 센싱은 리소스 선택 또는 전송이 트리거되는 시간(226) 이전, 즉 n-ta 에서 시작될 수도 있고, 시간(226) 이후 즉 n+ta 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종료 시간 tb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허용하는 최대 지연, 즉 패킷 지연 예산까지의 값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센싱 윈도우(234)의 크기 tb -ta 는 다음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설정되거나 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구 사항,
· 하나 이상의 전송 매개변수,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 구성,
· UE의 상대 또는 절대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
연속 센싱 윈도우(234)의 크기 t b -t a 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 b, t a) = f (QoS, 전송 매개변수), nT 0,proc -T < t a < n+t b - T0,proc
어디
T 0,proc 은 처리 시간이다.
T는 예를 들면 0~32 또는 100 슬롯 또는 밀리초 범위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n<t b <t y -T 0,proc, 여기서 t y 는 [T1, T2]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택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이다.
실시예 6: 절대 또는 상대 UE 위치에 기반한 UE 절전
본 발명의 제6 측면의 실시예는 UE가 UE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예를 들면 이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지, 수행하지 않을지 또는 수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 트리거된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
·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
· 트리거된 전송,
· 전송 수신,
· 신호 처리,
· 불연속 수신, DRX, 모드.
실시예에 따르면, UE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V2X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은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또는 간격 동안, 또는 완전히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억제할 수도 있다.
· 부분 또는 전체 센싱,
· 리소스 선택 및 전송,
· 전송 수신,
· 적어도 예를 들어 V2X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시지 처리.
이는 UE의 절대 또는 상대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UE가 교통 관련 시나리오에 근접하지 않을 때마다, 예를 들어 교차로 및/또는 도로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신호 수신이나 송신을 억제하는 대신, UE가 DRX로 동작하는 경우, DRX 구성은 UE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에 따라 적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RX에서 슬립 모드를 증가시키도록 타이머가 적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UE의 위치는 절대 위치 및/또는 상대 위치이고,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할 수 있다:
· 지리적 위치 또는 절대 위치, 예를 들어 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GNSS) 기반)
· 상대 위치 또는 거리, 예를 들어 도로 또는 교차로 또는 도로측 유닛(RSU) 또는 다른 UE까지의 특정 거리,
·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구역 ID로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구역.
실시예에 따르면, UE의 절대 및/또는 상대 위치는 지리적 또는 절대 위치에 기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NSS 또는 임의의 다른 위치 확인 방법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X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물 내부에서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기반 UE, 예를 들어 P-UE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숲, 보행자 구역 등 V2X 트래픽과 관련이 없을 수 있는 지리적 위치가 할당된 경우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작업은 야외에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E의 절대 및/또는 상대 위치는 특정 장치 또는 위치에 관한 UE의 상대 위치 또는 거리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 예를 들어 V2X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은 예를 들어 P-UE에서 도로나 교차로 또는 RSU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경우 활성화되고, UE가 일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UE(예: V-UE)와의 상대적 거리를 고려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측정에서 결정될 수 있는 근접 거리에 V-UE가 없는 경우,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작업(예: V2X 서비스)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역은 예를 들어 구역 ID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사이드링크 통신, 예를 들어 V2X 서비스와 관련된 활성화/비활성화 동작에 대해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역은 V2X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이 있거나 관련이 없는 것으로 표시되거나 정의될 수 있다. 구역은 또한 다양한 유형의 UE, 예를 들어 보행자 UE, 배터리 기반 UE, 자전거 관련 UE, 차량용 UE를 구별할 수 있다. 구역은 V2X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련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예: 높은 관련성, 중간 관련성, 낮은 관련성, 관련성 없음).
실시예에 따르면, UE와 관련된 위치/위치/거리/지역에 관한 위에서 언급된 매개변수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V2X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적어도 V2X 관련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전송, 수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부분 또는 완전 센싱, 리소스 선택과 같은 전력 소모 활동을 완전히 억제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V2X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UE가 도로, 교차로 또는 차량과 같은 V2X 관련 지역에 접근할 때 지리적 위치/거리/지역에 기초하여 설정되거나 시작되거나 계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와 관련하여, 교통 시나리오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어 신호등 또는 교통 표지판에 통합된 도로 측 유닛(RSU)까지의 거리에 기초하거나 또는 다른 UE, 예를 들어 활성화된 V2X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UE와의 거리에 기초할 수 있다. V2X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의 시작과 중지를 결정하기 위해 특히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와 관련하여 임계값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로에 접근할 때, 배터리 기반 UE와 같은 UE의 교차로까지의 거리와 임계값 x 미터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특정 거리가 결정되면, 하나 이상의 V2X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수 있다. 반면, 교차로에서 멀어질 때 임계값은 V2X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전력 소비 활동을 끄거나 줄일 시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센싱 확장 및 DRX-On-Off 적응
본 발명의 제7 측면의 실시예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를 제공하며, 여기서 UE는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센싱 프로세스에 대한 센싱 윈도우 - 센싱 윈도우는 트리거된 전송에 의해 요구된 크기 또는 기간을 갖는다 - 에 따라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의 연장을 유발하는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NR V2X에서, V-UE는 최근 과거 센싱 측정 동안 또는 센싱 윈도우 동안 수신된 임의의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은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제1 스테이지 SCI를 디코딩한다. 2 스테이지 SCI의 제2 스테이지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인 PSSCH와 다중화되며, 전송이 UE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대상 ID 또는 그룹 ID 표시를 통해 디코딩된다. 제한된 전원을 사용하는 절전 UE의 경우 디코딩, 센싱, 데이터 수신, 데이터 전송 등이 전력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DRX 기능은 UE가 네트워크에서 구성한 시간 동안 RX 체인을 꺼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절전 기능을 지원한다. 그러나 이는 센싱 정보를 놓칠 수 있어 절전 UE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 UE가 전송 직전에 센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DRX-off 시간 동안의 센싱 또는 DRX-on 기간의 연장과 같은 상위 계층 매개변수를 정의하여 절전 UE가 전송 전에 센싱 및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매개변수는 RRC/PC5-RRC 시그널링이나 DCI 구성, SCI나 MA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DRX를 기준으로 활성 시간에서 비활성 시간으로 전환하면 센싱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DRX 온 지속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센싱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요구된 기간 동안 센싱을 수행하거나 계속 센싱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오프셋 기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오프셋 값 또는 센싱 윈도우 시간은 QoS 및 지리적 위치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오프셋 기간은 RRC/PC5-RRC나 DCI, SCI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성된 것보다 더 일찍 DRX 온 지속시간을 시작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신뢰성 있는 센싱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시간에서 비활성 시간으로 전환하면 센싱 결과가 누락될 수 있다. 따라서, UE가 요구된 기간 동안 센싱을 수행하거나 계속하여 센싱을 미리 시작할 수 있도록 오프셋 기간이 정의된다. 이 오프셋 값 또는 센싱 윈도우 시간은 QoS 및 지리적 위치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오프셋 기간은 RRC/PC5-RRC나 DCI, SCI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V-UE는 다른 절전 UE가 슬립 모드, 즉 DRX 오프 기간에 있을 때 자신의 무선 리소스 RR 예약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전 UE는 슬립에서 활성 DRX 모드로 전환할 때 V-UE RR 예약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V-UE에 의한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통해 전송하여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분 또는 전체 센싱을 수행하는 절전 UE가 연속 부분 센싱 윈도우와 같은 센싱 윈도우를 적응시키고 구성된 활성 시간 이전에 센싱을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충돌을 방지한다. 적응은 추가적인 기준, 예를 들어 전송과 관련된 QoS 또는 우선순위에 기초할 수 있다. 이 선험적 기간은 절전 사용자가 활성 기간에서 전송/수신을 시작하기 전에 안정적인 센싱 결과를 보장한다.
일반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고, 각 실시예 및 측면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실시예 또는 측면 중 2개 이상이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비지상 네트워크, 또는 수신기로서 항공기 또는 우주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세그먼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에 설명된 사용자 장치(UE)는 전력이 제한된 UE 또는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라고도 칭하는 보행자가 사용하는 UE와 같은 휴대용 UE 또는 보행자 UE, P-UE, 또는 공공 안전 UE, PS-UE라고도 칭하는 공공 안전 요원 및 최초 대응자가 사용하는 신체 탑재 또는 휴대용 UE 또는 센서, 엑추에이터와 같은 IoT UE, 또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캠퍼스 네트워크에 제공되고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UE, 또는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형 UE, 또는 차량 그룹 리더(GL) UE 또는 IoT 장치 또는 협대역 IoT, NB-IoT, 장치 또는 WiFi 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비-AP STA(예: 802.11ax 또는 802.11be)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공중 차량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길가 유닛 또는 건물, 또는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와 같은 아이템 또는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장치 또는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와 같은 아이템/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이드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장치. 또는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터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지국(BS)은 이동 또는 고정 기지국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노드, 또는 도로측 유닛, 또는 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무선 헤드,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 엔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WiFi AP STA(예: 802.11ax 또는 802.11be), 또는 아이템 또는 장치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전송/수신 포인트(TRP) - 상기 아이템 또는 장치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됨 -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설명된 개념의 일부 측면이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측면은 해당 방법의 설명도 나타내는 것도 분명하며,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해당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측면은 또한 해당 장치의 해당 블록이나 항목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와 특징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사용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한 명령 실행을 통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컴퓨터 시스템(600)의 예를 도시한다. 유닛 또는 모듈뿐만 아니라 이들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6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6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주 메모리(606),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보조 메모리(608),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608)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이 컴퓨터 시스템(600)에 로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 전송될 수 있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기타 신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은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휴대폰 링크, RF 링크 및 기타 통신 채널(612)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저장 유닛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6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이라고도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 메모리(606) 및/또는 보조 메모리(6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10)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600)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60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과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600)의 제어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될 수 있고,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 통신 인터페이스(6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600)에 로드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의 구현은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Blue-Ray,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와 같은 디지털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며, 이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여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기계 판독 가능한 캐리어에 저장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데이터 매체,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되는 처리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장치,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에 설명된 방법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배열 및 세부사항의 수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및 설명을 통해 제시된 특정 세부 사항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의도이다.

Claims (5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UE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UE).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E는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시작 전의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채널 사용률(Channel Busy Ratio; CBR)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값을 사용하여 트래픽 밀도 및/또는 사용자 밀도를 결정하는 사용자 장치(UE).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E는
    ·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을 수행하고/하거나
    · 예를 들어, UE 간 시그널링을 통해 추가 UE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또는 모드 2에서 동작하는 도로변 유닛(RSU)으로부터 또는 모드 1에서 작동하는 gNB와 같은 기지국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항목의 측정값을 얻는 사용자 장치(UE).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UE).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유형의 트래픽은,
    · 주기적인 트래픽, 및
    · 비주기적인 트래픽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UE는 다음의 경우에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또는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UE).
    · 주기적 트래픽의 밀도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 비주기적 트래픽의 밀도는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 제2 임계값은 제1 임계값보다 높음 - ,
    · 사용자 밀도가 제3 임계값 이하인 경우.
  8. 청구항 6에 있어서,
    UE는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관련된 트래픽의 밀도와 채널 혼잡율(CBR)과 같은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과 관련된 트래픽의 밀도가 특정 제한값 또는 임계값 이하인 경우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또는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선택하고, 여기서 제한값 또는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예를 들면 도로변 유닛 RSU 로부터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SIB, PC5-RRC 시그널링에 의해 사전구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UE).
  9.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고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될 리소스 풀을 제공하고;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같은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송을 위해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UE는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리소스 풀 내에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로부터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UE).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에 대한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리소스 풀에서 선택되는 사용자 장치(UE).
    ·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oS),
    · 전송 우선순위,
    · 상기 UE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상기 UE의 구역 또는 최소 통신 범위(MCR) 또는 상기 UE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UE의 절대 위치,
    · 트래픽 밀도,
    · 상기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 상기 UE의 유형, 예를 들어 차량 탑재 UE 또는 배터리 기반 UE.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리소스 풀이 구성되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적어도 또는 단지 다음을 포함하며,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여기서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는 사전 정의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예를 들어 RRC, DCI 또는 SCI 시그널링을 통해 상위 계층에 의해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UE).
  13.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리소스에 대한 비성공적(non-successful) 초기 전송을 나타내는 피드백과 관련된 리소스를 전송을 위한 리소스로 선택하지 않거나 제외하는 사용자 장치(UE).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의 의도된 수신기에 의해 또는 UE간 조정 메시지를 통해 근처의 UE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N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UE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UE).
  16.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UE는 센싱된 리소스에서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한 선택을 위해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트리거하는 사용자 장치(UE).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 비주기적인 트래픽 밀도가 정의되거나 지정된 임계값 수준을 초과한 경우,
    ·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 UE가 특정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증가된 수의 비주기적 트래픽이 트리거될 가능성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이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UE는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적용하고 하나 이상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으로 전환하는 사용자 장치(UE).
  1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에 따르면, 상기 UE는 연속 센싱 윈도우 동안 전송에 대한 트리거 이후 전송 전 미리 정의된 시간까지 센싱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UE).
  20.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여기서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이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UE).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2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하고,
    여기서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동안의 연속 센싱 윈도우의 크기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설정되는 사용자 장치(UE).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사항,
    · 하나 이상의 전송 매개변수,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 구성,
    · UE의 상대 또는 절대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
  23.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에 있어서, 연속한 센싱 윈도우는 전송에 대한 트리거 전 또는 후에 미리 정의된 시간에 시작하고 전송 전 미리 정의된 시간에 종료되는 사용자 장치(UE).
  24.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3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를 선택하고, 여기서 리소스 풀은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각각에 의해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UE).
    ·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
    · 규칙적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및
    ·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여기서 상기 UE의 위치에 따라 상기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거나 수정하는 사용자 장치(UE).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 트리거된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
    ·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 선택,
    · 트리거된 전송,
    · 전송 수신,
    · 신호 처리,
    · 불연속 수신, DRX, 모드.
  27.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UE의 위치는 절대 위치 및/또는 상대 위치이고, UE의 위치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치(UE).
    · 예를 들어 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GNSS) 기반한 지리적 위치 또는 절대 위치,
    · 상대 위치 또는 거리, 예를 들어 도로 또는 교차로 또는 도로측 유닛(RSU) 또는 다른 UE까지의 특정 거리,
    ·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구역 ID로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구역.
  28.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UE가 제1 위치에 있거나 접근하고 있을 때,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수정하며, 또한
    · UE가 제2 위치에 있거나 접근하고 있을 때, UE는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재개하는 사용자 장치(UE).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 제1 위치에서는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SL)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영역이 포함되고,
    · 제2 위치에는 V2X 서비스와 같은 사이드링크(SL)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이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UE).
  30.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며, 여기서 상기 UE의 위치에 따라 상기 UE는 Uu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수정하는 사용자 장치(UE).
  31.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여기서 상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또한
    여기서 상기 UE는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센싱 프로세스에 대한 센싱 윈도우에 따라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의 연장을 유발하는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되며, 상기 센싱 윈도우는 트리거된 전송에 의해 요구되는 크기 또는 기간을 갖는 사용자 장치(UE).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은 디폴트 시작 시간 및 디폴트 종료 시간을 포함하며, 여기서 디폴트 ON 기간의 연장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UE가 요구된 센싱 윈도우 크기에 대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장치(UE).
    · 디폴트 종료 시간을 이후 시간으로 오프셋
    · 디폴트 시작 시간을 이전 시간으로 오프셋.
  33.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UE는 RRC 또는 PC5-RRC 시그널링에 의해 또는 DCI에 의해 또는 SCI에 의해 또는 MAC 시그널링에 의해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UE).
  34.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복수의 매개변수로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되고, 각각의 매개변수는 ON 기간의 서로 다른 확장을 정의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적용될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UE).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 요구 사항,
    · 하나 이상의 전송 매개변수,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 구성,
    · 전송 우선순위,
    · UE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UE의 구역 또는 최소 통신 범위(MCR) 또는 UE의 상대 위치 또는 UE의 절대 위치,
    ·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 UE의 유형, 예를 들어 차량 탑재 UE 또는 배터리 기반 UE.
  36.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여기서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또한
    여기서 상기 UE는 DRX ON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연속적인 센싱 윈도우를 적응시키는 사용자 장치(UE).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UE는 전송과 관련된 QoS 또는 우선순위와 같은 트리거된 전송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연속 센싱 윈도우가 시작되는 DRX ON 기간의 시작 이전의 시간을 결정하는 사용자 장치(UE).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UE, 및/또는
    · Uu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비면허 대역과 같은 공유 액세스 대역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터티
    과 통신하는 사용자 장치(UE).
  3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 및/또는 추가 UE는 이하: 전력이 제한된 UE 또는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라고도 칭하는 보행자가 사용하는 UE와 같은 휴대용 UE 또는 보행자 UE, P-UE, 또는 공공 안전 UE, PS-UE라고도 칭하는 공공 안전 요원 및 최초 대응자가 사용하는 신체 탑재 또는 휴대용 UE 또는 센서, 엑추에이터와 같은 IoT UE, 또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캠퍼스 네트워크에 제공되고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UE, 또는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형 UE, 또는 차량 그룹 리더(group leader; GL) UE,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IoT 장치 또는 협대역 IoT(NB-IoT) 장치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 또는 피트니스 트래커, 또는 스마트 글래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공중 차량 또는 드론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길가 유닛(road side unit; RSU) 또는 건물, 또는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와 같은 아이템 또는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장치, 또는 센서 또는 엑추에이터와 같은 아이템/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이드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장치, 또는 송수신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4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1. 청구항 4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노드, 또는 도로측 유닛(RSU), 또는 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무선 헤드,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엔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아이템 또는 장치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전송/수신 포인트(TRP) - 상기 아이템 또는 장치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됨 -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2.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함 - , 및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로부터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적용될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
    · 트래픽 밀도,
    ·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밀도,
    · UE 주변의 미리 정의된 영역 내의 사용자 밀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3.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공유되고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될 리소스 풀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랜덤 무선 리소스 선택과 같은 특정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하려는 경우,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리소스 풀 내에서 사전 정의된 리소스 세트로부터 트리거된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복수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리소스에 대한 비성공적인 초기 전송을 나타내는 피드백과 관련된 리소스를 전송을 위한 리소스로 선택하지 않거나 제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5.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센싱된 리소스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6.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을 포함함 - , 및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동안 연속 센싱 윈도우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7.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상기 방법은:
    UE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링크 통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8.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고 또한 구성된 또는 미리 구성된 매개변수에 따라, 센싱 프로세스에 대한 센싱 윈도우에 따른 DRX 사이클의 디폴트 ON 기간을 연장하는 단계 - 센싱 윈도우는 트리거된 전송에 의해 요구된 크기 또는 지속 기간을 가짐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49.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며, 여기서 상기 UE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센싱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함 - , 및
    DRX ON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연속 부분 센싱 기반 무선 리소스 선택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연속 센싱 윈도우를 적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치(UE)를 동작시키는 방법.
  50.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청구항 42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36941A 2021-03-31 2022-03-24 Nr 사이드링크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KR20230156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6426 2021-03-31
EP21166426.3 2021-03-31
PCT/EP2022/057792 WO2022207455A1 (en) 2021-03-31 2022-03-24 Resource selection for power-saving users in nr side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148A true KR20230156148A (ko) 2023-11-13

Family

ID=7533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941A KR20230156148A (ko) 2021-03-31 2022-03-24 Nr 사이드링크에서 절전 사용자를 위한 리소스 선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5845A1 (ko)
EP (1) EP4316073A1 (ko)
JP (1) JP2024511225A (ko)
KR (1) KR20230156148A (ko)
CN (1) CN117501767A (ko)
WO (1) WO2022207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458B2 (en) * 2021-10-19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Relaxed sensing for new radio sidelink over millimeter wave operating frequenci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0783B2 (en) * 2016-03-04 2022-02-01 Lg Electronics Inc. V2X transmission resource selecting method implement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CN115669128A (zh) * 2020-03-20 2023-01-31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Nr直连链路不连续接收资源分配
CN115516883A (zh) * 2020-06-27 2022-12-23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6235561A (zh) * 2020-07-24 2023-06-06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基于侧链路控制信息的感测
EP4190065A1 (en) * 2020-07-27 2023-06-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dapting resource sensing in sidelink communications system
US20220046746A1 (en) * 2020-08-06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for side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1225A (ja) 2024-03-12
CN117501767A (zh) 2024-02-02
EP4316073A1 (en) 2024-02-07
US20240015845A1 (en) 2024-01-11
WO2022207455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70280B (zh) 用于群组通信的资源池设计
US20230062804A1 (en)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WO2021185960A1 (en) Nr sidelink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s
US20230142670A1 (en) Energy-efficient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for nr v2x sidelink communication
JP2023522483A (ja) Ue間の協調的な資源割り当て
KR20220073818A (ko) Nr v2x 재전송 절차
WO2021197987A1 (en) Energy-efficient adaptive partial sens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
US20230084999A1 (en)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CN114731540A (zh) 在nr v2x中执行资源预留的方法和设备
US20240015845A1 (en) Resource selection for power-saving users in nr sidelink
US11758578B2 (en) Releasing reserved resources for sidelink resource allocations
WO2022003031A1 (en) Resource reservation prediction for sidelink ues
CN116615945A (zh) Nr sl辅助信息消息的计时方面
US20230309119A1 (en) Traffic based random resource selection on nr sidelink
CN117121625A (zh) 侧链路不连续接收流程
CN116250356A (zh) 用于能力降低ue的减少的感测
KR20240039016A (ko) Pdcch 모니터링 스킵과의 정렬
WO2024023092A1 (en) Channel access procedure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an unlicensed spectrum
CN117441311A (zh) 用于sl节能ue的反馈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