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969A -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969A
KR20230155969A KR1020230056850A KR20230056850A KR20230155969A KR 20230155969 A KR20230155969 A KR 20230155969A KR 1020230056850 A KR1020230056850 A KR 1020230056850A KR 20230056850 A KR20230056850 A KR 20230056850A KR 20230155969 A KR20230155969 A KR 2023015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box
bus duct
locking
duct branch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영
이민우
김수관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60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14780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센터 등에 설치되어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덕트에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를 장착하는 장착작업 또는 분기박스를 분리하는 분리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분기박스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BUSDUCT BRANCHING BOX AND BUSDUC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센터 등에 설치되어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덕트에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Busduct Branching Box : Busduct Plug in Unit)를 장착하는 장착작업 또는 분기박스를 분리하는 분리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분기박스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보급과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도 많아지고 그 규모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데이터 서버 등의 유지 보수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공간으로 데이터 소비가 일반 사무용 건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또한, 데이터 서버 등의 위치 변경, 교체 또는 증설 작업이 잦고 그러한 작업시 각각의 데이터 서버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라인 구축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종래에도 건물 자체에 부스덕트를 적용하여 특정 공간까지 부스덕트가 연결되고, 부스덕트에 분기박스를 장착하고 분기박스를 통해 분기된 다수의 전력 케이블 등이 서버 공간의 바닥 등을 통해 배치되고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 설비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서버의 위치 변경 또는 신설 등의 경우 전력 케이블의 연결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또한, 바닥 등에 다수의 전력 케이블들이 배치되어 공간을 점유하여 공간 활용성 및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스덕트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 등의 전산실 설비의 설치 공간 확보와 설비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산실 상부 공간을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전산실 설비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는 근거리 부스덕트에 분기박스를 장착하고 분기박스에서 분기 케이블로 분기박스와 전력 수요 설비를 연결하는 형태의 시스템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부스덕트는 전산실 공간 배치에 따라 전산실 상부 공간에 수평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버티컬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어떠한 경우든 부스덕트에 장착된 분기박스는 낙하 위험이 없도록 안정적으로 장착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 설비의 이전 또는 신규설치에 따라 분기박스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신규 설치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통상 이러한 분기박스의 위치 변경 작업 또는 신규 설치 작업은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부스덕트 하부로 접근하여 분기박스를 장착, 분리 및 이동시켜야 하고, 분기박스의 낙하를 방지하며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부스덕트의 분기박스의 장착 분리 작업은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작업성이 극대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
본 발명은 데이터 센터 등에 설치되어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덕트에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를 장착하는 장착작업 또는 분기박스를 분리하는 분리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분기박스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장착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속도체; 상기 접속도체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유닛; 및,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하고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 완료시 원상 복귀되도록 작동하는 복수 개의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유닛은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 또는 원상 복귀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로킹휠 및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스덕트 외함의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장착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분리 가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휠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휠이 변위 또는 회전시 함께 변위 또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로킹휠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부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격벽부 중 각 격벽부에 장착된 상기 로킹유닛의 표시부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분리 가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휠은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관통홀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격벽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부스덕트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유닛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격벽부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에 상기 로킹휠의 회전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 경사면의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와 등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의 걸림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하방으로 견인하며, 상기 로킹부재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로킹휠은 상기 격벽부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의 걸림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가 상기 부스덕트에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도체는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장착면에서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판형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장착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속도체; 상기 접속도체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유닛; 및,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로킹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로킹휠 및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스덕트 외함의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측면에 후크 형태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상별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 일측에 복수 개의 접속도체가 삽입가능한 접속구가 형성된 접속면이 구비된 부스덕트; 및, 상기 부스덕트의 접속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술한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센터 등에 설치되어 데이터 서버 등에 전력을 공급하며, 필요한 위치에서 편리하게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를 설치하여 전력 수요장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부스덕트에 분기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작업공구가 요구되지 않고, 분기박스를 부스덕트에 장착하는 경우 분기박스를 부스덕트에 밀어서 부착하는 동작만으로 장착이 완료될 수 있고 부스덕트에 분기박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기박스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분기박스에 구비된 로킹유닛의 회전 동작만으로 분기박스의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여 부스덕트의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 설치, 이전, 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로킹유닛에 표시부를 구비하여 분기박스가 장착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인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 개의 로킹유닛에 의하여 장착상태가 순차적으로 해제될 수 있으므로, 분기박스가 한번에 분리되어 발생될 수 있는 분기박스 낙하 등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의 개요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스덕트와 접속키트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스덕트와 접속키트를 도시하며, 한 쌍의 부스덕트가 접속키트를 매개로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일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로킹유닛의 순차적 작동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기박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기박스의 로킹유닛을 회전시켜 분기박스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서 분기박스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서 분기박스가 분리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로킹유닛의 작동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1)의 개요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1)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등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1)은 데이터 센터의 서버 설치공간의 천정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부스덕트(100)와 접속키트(200)로 연결되어 서버 설치공간의 필요한 위치까지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부스덕트 시스템(1)을 통한 전력망과 데이터 서버(DS) 등은 직접 연결되지 않고, 플러그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서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부스덕트(100)에 장착된 분기박스 중 근거리 분기박스(300)에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1)은 부스덕트(100)와 분기박스(300)의 접속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필요한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므로 분기박스(300)와 전력 수요 장비인 서버 등을 연결하는 전력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쉽게 분기박스(3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부스덕트(100)에 대한 분기박스(300)의 접속위치를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부스덕트(100)의 구조가 위치에 상관없이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와 접속이 가능하고, 접속이 용이하며, 접속된 상태에서의 접속 신뢰성이 보장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1)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와 접속키트(200)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시스템(1)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스덕트(100)와 접속키트(200)를 도시하며, 한 쌍의 부스덕트(100)가 접속키트(200)를 매개로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을 위한 부스덕트(100a, 100b)는 단위 길이별로 제작되고, 접속키트(200)를 매개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스덕트(100a, 100b)는 양 단부에 접속키트(200)와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부스덕트(100a, 100b)는 복수 개의 평행하게 배치된 부스바(20) 및 상기 부스바(20)를 수용하는 외함(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외함(10) 외부로 노출되는 부스바(20)의 단부는 접속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2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상기 외함(1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된다.
상기 접속키트(200)는 각각의 부스덕트(100)의 상별 부스바(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통전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상별 부스바(20)를 상호 절연시킨 상태로 통전시켜 부스덕트(100)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스덕트(100a, 100b)를 구성하는 부스바(20)는 후술하는 탄성 접촉부재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후술하는 분기박스(300)의 판형 접속도체(330)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하여 상별로 한 쌍의 도체(21)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키트(200)의 통전 플레이트와 후술하는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는 부스덕트(100)의 상별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 사이로 삽입되는 판형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가 접속키트(200)를 매개로 접속된 경우 접속키트(200)를 구성하는 체결볼트(250)를 조여 부스덕트(100)의 길이방향 접속을 완료하여 전력 전송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부스덕트(100a, 10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접속키트(200)에 의하여 일직선 방향으로 상호 접속되어 그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1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는 금속 재질의 외함(10); 상기 외함(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도체(21)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부스바(20);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를 구성하는 도체(21)를 상기 외함(10) 내에 절연된 상태로 장착하기 위한 절연부재(30); 상기 절연부재(30)에 수용된 각각의 쌍의 도체(21)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 개의 탄성 접촉부재(40); 및 상기 외함(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부스바(20) 및 상기 탄성 접속부재의 노출을 차단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고,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상기 탄성 접촉부재(4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속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속구(70)가 외함(10)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부스덕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부스덕트(100)는 R, S, T 및 N 상 전력공급을 위하여 4개의 부스바(20)가 구비되고 부스덕트(100) 하부에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상기 탄성 접촉부재(4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속되기 위한 4 개의 접속구(70a, 70b, 70c, 70d)가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지만, 부스바(20)의 개수는 R, S 및 T 상 전력공급을 위하여 3개의 부스바(20)가 구비되거나 R, S, T, N 및 N 상 전력공급을 위하여 5개의 부스바(2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접속구(70)의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를 구성하는 부스바(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도체(21)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의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 사이에 탄성 접촉부재(40)가 구비되어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의 접속시 접속도체(330)와 부스바(20) 간의 전기적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스덕트(100)를 구성하는 외함(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부스바(20)를 구성하는 도체(21)를 외함(10) 내부에 절연된 상태로 장착하기 위하여 절연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함의 측면에는 통신 또는 제어 케이블 거치를 위한 케이블 안착부(13), 후술하는 분기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 및 부스덕트 설치공간의 천정 구조물 등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슬롯(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30)는 상기 외함(10)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부(31), 상기 고정부(31)에서 하방으로 분지되어 내측에 상기 탄성 접촉부재(40)가 개재된 한 쌍의 부스바(20)가 장착되는 장착부(33) 및 상기 장착부(33)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33)에 장착되는 부스바(20)의 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삽입되는 삽입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외함(10) 내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3)는 상기 고정부(31)에서 하방으로 2개로 분지되어 내부에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와 상기 장착부(33)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절연부재(30)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ㅠ”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30)에서 상기 고정부(31)에서 분지된 한 쌍의 장착부(33)와 삽입부(35)의 경계에 단차(34)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33)에 장착된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의 하단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별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 사이에 탄성 접촉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재(40)는 부스바(20)를 구성하는 도체(21) 사이에 장착되어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에 접속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 접촉부재(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절연부재(30)의 삽입부(35) 근방에서 부스바(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21)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전개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후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접촉부재(40)는 상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접촉부재(40)와 상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에 접촉되는 접점이 복수 개가 되도록 적어도 1개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는 상기 외함(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부스바(20) 및 상기 탄성 접속부재의 노출을 차단하는 커버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먼지 유입 등을 방지하고 상기 부스바(20) 및 상기 탄성 접속부재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의 진입시 상기 접속구(70)가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재(30)의 삽입부(35) 하부에 한 쌍의 커버부재(50)가 상기 접속구(70)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커버부재(50)는 상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의 진입시 내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접속구(70)가 노출될 수 있다.
각각의 커버부재(50)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의 삽입시 절곡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마디(도면부호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삽입되는 부스덕트(100)의 접속구(70)는 상기 부스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가 부스덕트(100) 하부 전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필요한 위치에서 분기박스(300)를 장착하는 경우 분기박스(300)의 접속도체(330)가 한 쌍의 커버부재(50) 사이로 진입하며 커버부재(50)를 내측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부스덕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되어 분기박스(300)가 장착되는 영역만 접속도체(330)에 의하여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부스덕트(100)는 부스바(20)를 구성하는 도체(21)와 탄성 접촉부재(4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커버부재(50)가 부스덕트(100)의 길이방향 전영역에서 장착되어 분기박스(300)를 임의의 위치에서 장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부스덕트(100) 역시 부스바(20)를 구성하는 도체(21)와 탄성 접촉부재(4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50)가 구비되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커버부재(50)는 판재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기박스(300)의 장착을 위해서는 접속키트(200)를 통해 접속된 복수 개의 부스덕트(100) 중 분기박스(300) 장착위치의 부스덕트(100)의 커버부재(50)를 제거하고 분기박스(3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50)는 하나의 부스덕트(100)의 하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한 장의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스덕트(10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커버부재(50)가 분할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는 전산실 등에 설치되고, 전력 분기가 필요한 위치에서 부스덕트의 분기박스 접속면에 분기박스를 장착하고, 필요한 전력 수요 설비와 전원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 등의 전력 수요 설비의 이전 또는 신규설치에 따라 분기박스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신규 설치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작업자 분기박스의 이전 또는 신규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8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로킹유닛의 순차적 작동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턱트 분기박스(300)는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11)을 구비하는 외함(10) 및 상별 전력 공급을 위한 각각 한 쌍의 이격된 도체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장착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300)에 있어서, 하우징(310); 상기 부스덕트로 삽입되어 복수 쌍의 부스바에 각각 접속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장착면에 노출되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접속도체(330); 상기 접속도체(330)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여 전력 수요 설비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유닛(350); 및,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되며,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로킹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박스(300) 내에는 변압기 및 교류 직류 컨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데이터 서버(DS) 설치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될 수 있고, 데이터 서버(DS)의 위치에 따라 분기박스(300)를 설치하여 분기박스(300)와 데이터 서버(DS)를 플러그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기박스(300)에는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플러그 접속유닛(3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 접속유닛(350)은 2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플러그 접속유닛(350)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박스에는 과전류 차단 또는 시스템 보호를 위한 제어패널(3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DS)의 증설 또는 위치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 분기박스(3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전력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스덕트(100)는 일면에 전술한 복수 개의 접속구(도 4의 70 참조)가 장착된 장착면이 구비되어 부스덕트 분기박스(300)에 구비된 접속도체(330)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하는 경우 분기박스(300)의 장착면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장착면 상에는 복수 상의 판재 형태의 접속도체(330) 또는 접지도체가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접속구로 삽입되어 접속 또는 접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300)는 복수 개의 로킹유닛(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400)은 부스덕트에 분기박스(300)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작업공구가 요구되지 않고,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에 장착하는 경우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에 밀어서 부착하는 동작만으로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400)은 상기 분기박스(300)의 하우징(310)에 구비되며, 상기 로킹유닛(400)은 상기 부스덕트에 구비된 외함(10)의 후크 형태로 구성된 가이드 레일(11)을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장착 부위를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외함(1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1)은 부스덕트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 분기박스를 장착하거나 부스덕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장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 안쪽에는 온도 센싱용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부(13)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400)은 상기 로킹유닛(400)이 장착되기 위한 긴 판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면과 수직한 한 쌍의 격벽부(3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20)는 상기 부스덕트의 장착면과 수직하게 구비되며, 한 쌍의 격벽부(320)가 상기 분기박스(300) 하우징(310)의 장착면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평행한 상기 격벽부(320)의 이격거리는 상기 부스덕트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유닛(400)은 하나의 격벽부(320)에 2개씩 총 4개가 하나의 분기박스(300)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분기박스(300)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격벽부(320)에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유닛(400)은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부(32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로킹휠(410), 상기 로킹휠(4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격벽부(320)에 형성된 관통홀(320h)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부스덕트 외함(10)의 가이드 레일(11)의 외측단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로킹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430)는 상기 로킹휠(410)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휠(410)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킹유닛(400)은 탄성부재(450)를 매개로 상기 격벽부(320)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부(3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320)에 형성된 관통홀(320h)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유닛(400)의 로킹 부재는 상기 관통홀(320h)에 관통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킹부재(430)가 상기 가이드 레일(11)에 의해 눌리면서 외력이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로킹부재(430) 및 상기 로킹부재(430)에 고정된 상기 로킹휠(410)이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로킹휠(410)은 상기 격벽부(320)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즉, 상기 부스덕트(100)에 상기 분기박스(300)의 장착 또는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로킹휠(410)과 상기 로킹부재(43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격벽부(320)의 외측면 및 관통홀(320h) 내측으로 복귀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430) 및 상기 로킹부재(430)에 고정된 상기 로킹휠(410)을 포함하는 로킹유닛(400)의 이동 및 원상 복귀는 탄성부재(4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450)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로킹유닛(400)이 이동 및 원상 복귀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탄성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에 상기 로킹휠(410)의 회전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431)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재(4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 경사면(431)의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에 구비된 경사면(431)은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에 장착하는 과정 또는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스덕트 외함(10)의 가이드 레일(11)의 외측단의 간섭 또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로킹부재(4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의 장착면에 장착하려는 경우 상기 로킹유닛(400)에 구비된 로킹부재(430)의 경사면(431)이 장착방향을 향하도록 하면, 상기 경사면(431)은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로킹휠(410)은 격벽부(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320)의 이격 거리는 상기 부스덕트의 폭과 대응되므로, 작업자는 한 쌍의 격벽부(320) 내측에 부스덕트가 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의 장착면 방향으로 가압 또는 추진하면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로킹부재(430)는 경사면(431)이 부스덕트의 외함(10)에 걸림없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박스(300)의 삽입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로킹부재(430)는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에 경사면(431)의 반대편 비경사면(432)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부재(430)의 비경사면(432)을 평면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단차부를 형성하여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써 걸림 고정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분기박스(300)의 격벽부(320) 사이에 부스덕트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선정한 후 부스덕트의 접속면에 장착시 별도의 공구없이 원하는 위치에 추진 또는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부스덕트의 장착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등의 사용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분기박스(300)를 부스덕트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로킹유닛(400)을 구성하는 로킹부재(430) 외측 단부의 경사면(431)이 부스덕트의 장착방향을 향하도록 로킹유닛(400)의 로킹휠(4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장착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경사면(431)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되어 회전시 또는 장착 및 분리시 가이드 레일(11) 등과 마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킹휠(410) 외주면에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4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킹휠(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단부의 경사면(431)의 방향이 변경되고, 경사면(431)의 방향에 따라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 가능한 상태인지 아니면 분리 가능한 상태인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킹휠(410)에 구비된 표시부(416)가 가리키는 방향을 통해 상기 경사면(431)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조작을 하지 않고서도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를 향해 누르는 동작 또는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로부터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10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16)는 상기 로킹휠(410)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 예를 들면,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로킹휠(410)의 변위 또는 회전에 따라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형태면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경사면의 방향을 식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목적 이외에도 로킹휠 회전시 작업자 손과 슬립을 방지하고 그립이 용이하게 되기 위한 목적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박스(30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경사면(431)이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와 등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로킹부재(430)와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로킹휠(410) 표시부(416)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도록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로킹휠(410)과 로킹부재(430)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장착이 완료된 분기박스(300)의 로킹유닛(400)의 표시부(416) 방향을 관찰하여 분기박스(300)가 장착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로킹유닛(400)이 잠금 고정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굳이 분기박스(300)가 잘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다른 방법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도 12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기박스(300)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기박스(300)의 로킹유닛(400)을 회전시켜 분기박스(300)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3은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서 분기박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14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서 분기박스(300)가 분리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부스덕트 장착면에 분기박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로킹유닛(400)의 작동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분기박스(300)는 부스덕트에 분기박스(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기박스(300)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부스덕트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1)과 분기박스(300)와 가이드 레일(11)을 연결하는 로킹유닛(400)의 회전 동작만으로 분기박스(300)의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여 부스덕트의 전력 분기를 위한 분기박스(300) 설치, 이전, 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로킹유닛(400)의 잠금 고정상태에서는 상기 분기박스(300)를 상기 부스덕트의 접속면에서 분리되는 분리 방향으로 당기거나 견인하여도,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로킹부재(430)의 외측 단부는 그 경사면(431)이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와 등진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즉, 로킹부재(430)의 비경사면(432)이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로킹부재(430)의 외측 단부의 경사면(431) 반대편의 비경사면(432)과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는 걸림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분기박스(3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로킹유닛(400)의 로킹부재(430)의 외측 단부의 경사면(431)이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이 되도록 로킹휠(410)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로킹유닛(400)에 구비된 표시부(416)의 방향을 통해 분기박스(300)가 부스덕트(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기박스(300)의 분리를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없이도 도 13, 도 14,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유닛(400)에 구비된 로킹부재(430)의 경사면(431)이 분기박스(300)의 분리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분기박스(300)를 당기거나 견인하면, 상기 경사면(431)은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로킹휠(410)은 격벽부(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로킹휠(410)에 고정된 로킹부재(430)도 함께 이동하여 관통홀(320h)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430)의 외측 단부의 경사면(431)이 가이드 레일(11)의 외측 단부를 타고 넘어간 후 분기박스(300)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로킹부재(430) 및 상기 로킹휠(410)은 원래의 격벽부(320) 외측면 및 또는 격벽부(320)의 관통홀(320h) 방향으로 변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분기박스(300)가 분리가 완료된 상태애서 상기 분기박스(300)를 새로운 위치에 장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로킹유닛(400)을 구성하는 로킹휠(410)을 다시 도 6에 도시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장착작업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부스덕트
200 : 접속키트
300 : 분기박스

Claims (18)

  1.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장착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속도체;
    상기 접속도체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유닛; 및,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하고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 완료시 원상 복귀되도록 작동하는 복수 개의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 또는 원상 복귀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로킹휠 및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스덕트 외함의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장착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분리 가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휠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휠이 변위 또는 회전시 함께 변위 또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로킹휠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부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부 중 각 격벽부에 장착된 상기 로킹유닛의 표시부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분리 가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휠은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관통홀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부스덕트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격벽부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에 상기 로킹휠의 회전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 경사면의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와 등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의 걸림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하방으로 견인하며, 상기 로킹부재 외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로킹휠은 상기 격벽부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의 걸림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가 상기 부스덕트에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도체는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장착면에서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판형 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7.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장착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속도체;
    상기 접속도체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유닛; 및,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복수 개의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로킹유닛은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상기 부스덕트에 장착 가능 상태 또는 분리 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로킹휠 및 상기 로킹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스덕트 외함의 가이드 레일의 외측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분기박스.
  18. 양 측면에 후크 형태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외함 및 상별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를 구비하며 상기 외함 일측에 복수 개의 접속도체가 삽입가능한 접속구가 형성된 접속면이 구비된 부스덕트; 및,
    상기 부스덕트의 접속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의 부스덕트 분기박스;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1020230056850A 2022-05-04 2023-05-02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20230155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001 WO2023214780A1 (ko) 2022-05-04 2023-05-03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74 2022-05-04
KR20220055674 202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969A true KR20230155969A (ko) 2023-11-13

Family

ID=8874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850A KR20230155969A (ko) 2022-05-04 2023-05-02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9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7905B2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quick connect components
EP2323235B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5913787A (en) Communications conduit connector mounting device
US5326934A (en) Multi-commodity connectivity system
US7053296B2 (en) Flush poke-through fitting
US3725568A (en) Electrical ceiling raceway
US7494356B2 (en) Wireless and adjustable raceway
EP0229099B1 (en) An outlet box provided with coaxial connectors
US20100243315A1 (en) Removable Knockout Plate For Enclosures
GB2282706A (en) Cabinet for electrical apparatus
RU2654499C2 (ru) Архитектура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подстанцией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US6201687B1 (en) Modular furniture wall system and method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and wire management in an open office architecture
CN111022989A (zh) 一种面板灯安装结构、面板灯及其安装方法
RU2247454C1 (ru)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ит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отребителей
KR20230155969A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20210094415A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GB2080047A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for Office Furniture and Partitions
KR20050123064A (ko) 버스웨이 시스템
US7481029B2 (en) Zone access floor network distribution system
JP2004104896A (ja) 低圧配電システム
WO2023214780A1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200412122Y1 (ko) 버스웨이 시스템
US20120285717A1 (en) Removable knockout plate for enclosures
KR20210094416A (ko) 부스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