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71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717A
KR20230155717A KR1020220055227A KR20220055227A KR20230155717A KR 20230155717 A KR20230155717 A KR 20230155717A KR 1020220055227 A KR1020220055227 A KR 1020220055227A KR 20220055227 A KR20220055227 A KR 20220055227A KR 20230155717 A KR20230155717 A KR 2023015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height
coil
heated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환
손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717A/ko
Priority to US18/142,826 priority patent/US20230363061A1/en
Priority to EP23171452.8A priority patent/EP4274384A1/en
Publication of KR2023015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코일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워킹 코일 및 복수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자성체 및 비자성체를 모두 가열하는 조리기기의 코일 높이 조절부 및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워킹 코일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조리기기에 유도 가열 방식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조리기기는 자성체 용기에 대한 가열 효율과 비교하여, 비자성체 용기에 대한 가열 효율이 매우 낮은 한계가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조리기기의 경우, 비자성체(예를 들어, 내열유리, 도기류 등)에 대한 가열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조리기기는 와전류가 인가되는 중간 가열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중간 가열체를 통해 비자성체를 가열할 수 있다.
그런데, 조리기기가 중간 가열체를 포함하는 경우 자성체를 가열할 때 워킹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일부가 중간 가열체와 결합되어 피가열 물체를 간접 가열하기 때문에, 피가열 물체를 직접 가열하는 것과 대비하여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성체에 대한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워킹 코일을 피가열 물체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워킹 코일이 중간 가열체와도 가깝게 위치하게 되므로, 비자성체를 가열할 때 자기장이 중간 가열체와 지나치게 결합하여 중간 가열체의 발열이 워킹 코일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용기 재질에 상관없이 자성, 비자성 및 비금속의 용기를 모두 가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 자기장이 중간 가열체와 결합함에 따른 자성 용기에 대한 가열 효율의 저하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 중간 가열체의 발열로 인한 워킹 코일의 손상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코일 높이 조절부를 통해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워킹 코일과 피가열 물체 사이의 거리 또는 워킹 코일과 중간 가열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자기장 집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복수의 워킹 코일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각각의 워킹 코일에 전류가 선택적으로 흐르게 제어함으로써 자기장 집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복수의 워킹 코일 각각의 지름과 높이, 중간 가열체의 지름 또는 중간 가열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지름 설계를 통해, 자기장 집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리기기는 피가열 물체가 놓이는 상판부, 상판부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 적어도 피가열 물체 또는 중간 가열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코일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코일 높이 조절부가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워킹 코일의 높이를 상이하게 조절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과 피가열 물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과 중간 가열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조리기기가 코일 높이 조절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의 수평방향 단면이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를 갖는 형상을 갖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코일 높이 조절부가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는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1 높이로 조절하고,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는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조절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을 받치는 서포터 및 서포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승강부가 서포터와 결합되는 서포팅 레그, 서포팅 레그 하단 내측에 탄성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서포팅 레그의 하측에 설치되어 서포팅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조리기기가 피가열 물체가 놓이는 상판부, 상판부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 적어도 피가열 물체 또는 중간 가열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 및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고,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중 제1 워킹 코일의 지름은 제1 길이고, 제2 워킹 코일의 지름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를 갖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의 지름은 상기 제1 길이 보다 큰 제3 길이를 갖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중 제1 워킹 코일은 제2 워킹 코일 보다 높게 배치되게 하고자 한다. 이 경우, 본 개시는 인버터부가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 제1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제2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의 지름은 제1 길이 보다 작은 제4 길이를 갖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워킹 코일 중 제1 워킹 코일은 제2 워킹 코일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되게 하고자 한다. 이 경우, 본 개시는 인버터부가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 제2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제1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게 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일 때 자기장을 피가열 물체로 집중시키고,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일 때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로 집중시켜, 용기 재질과 관계없이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워킹 코일 및 중간 가열체의 설계에 따라 코일 높이 조절부를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코일 높이 조절부와 유사하게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중간 가열체의 지름에 따라 복수의 워킹 코일의 상하 배치를 달리하며,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따라 인버터부가 복수의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자기장의 결합력을 제어하는 동시에 중간 가열체의 발열로부터 워킹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가열체의 수평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가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따라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 중 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가열체의 지름에 따른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가열체의 지름에 따른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조리기기는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케이스(25), 커버(20), 워킹 코일(WC), 중간 가열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5)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5)는 조리기기(1)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25)의 내부에는 워킹 코일(WC), 워킹 코일(WC)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인버터부(140, 도 2 참조), 워킹 코일(WC)의 워킹 코일과 공진하는 공진 커패시터(미도시), 스위치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스(25)에는 워킹 코일(WC)의 구동과 관련된 다른 구성, 즉 각종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20)는 케이스(25)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25)와 함께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에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 물체(100)가 놓이는 상판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15)에는 피가열 물체(100)가 놓일 수 있다.
상판부(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예를 들어, 세라믹 글래스(ceramics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부(15)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입력 인터페이스용 제어 모듈(미도시)로 해당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판부(15)가 아닌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 가열체(200)는 상판부(15)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중간 가열체(200)는 적어도 일부가 워킹 코일(WC)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판부(15)의 상면이나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워킹 코일(WC)은 피가열 물체(100)를 통과하여 피가열 물체(100)를 가열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워킹 코일(WC)은 피가열 물체(100) 또는 후술하는 중간 가열체(200, 도 3 참조)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워킹 코일(WC)은 제1 워킹 코일(WC1, 도 9 참조)및 제2 워킹 코일(WC2, 도 9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부는 제1 워킹 코일(WC1, 도 9 참조) 및 제2 워킹 코일(WC2, 도 9 참조)중 어느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조리기기(1)는 자성체인 피가열 물체(100) 가열시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일부가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되어 피가열 물체(100)를 간접 가열하기 때문에, 피가열 물체(100)를 직접 가열하는 것과 대비하여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워킹 코일의 높이 조절을 통해 자성체 가열시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전원부(110), 정류부(120), DC 링크 커패시터(130), 인버터부(140), 워킹 코일(WC) 및 공진 커패시터(16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원부(110)가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전원은 AC(Alternation Current) 전원일 수 있다.
전원부(110)은 정류부(120)로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정류부(120, Rectifier)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적 장치이다. 정류부(120)는 전원부(11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정류부(120)는 변환된 전압을 DC 양단(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정류부(120)의 출력단은 DC 양단(12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류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DC 양단(121)을 DC 링크라고 할 수 있다. DC 양단(121)에서 측정되는 전압을 DC 링크 전압이라고 한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전원부(110)과 인버터부(140) 사이의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정류부(120)를 통해 변환된 DC 링크 전압을 유지시켜 인버터부(140)까지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인버터부(140)는 워킹 코일(WC)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워킹 코일(WC)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부(140)는 워킹 코일(WC)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인버터부(140)는 워킹 코일(WC)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부(140)는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반도체 스위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WBG(Wide Band Gab) 소자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한편, WBG 소자는 SiC(Silicon Carbide) 또는 GaN(Gallium Nitride) 등일 수 있다. 인버터부(140)는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워킹 코일(WC)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하고, 이에 따라 워킹 코일(WC)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된다.
워킹 코일(WC)은 피가열 물체(100)를 가열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 코일(WC)을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WC)은 스위칭 소자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워킹 코일(WC)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워킹 코일(WC)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100)를 가열시킬 수 있다.
워킹 코일(WC)의 일측은 인버터부(140)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공진 커패시터(160)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의 구동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 소자가 서로 교호로 동작하면서 워킹 코일(WC)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시간은 점차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워킹 코일(WC)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워킹 코일(WC)의 워킹 코일과 공진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완충기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 동안 포화 전압 상승 비율을 조절하여, 턴오프 시간 동안 에너지 손실에 영향을 준다.
도 3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코일 높이 조절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피가열 물체(100)가 놓이는 상판부(15), 상판부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200), 피가열 물체(100) 또는 중간 가열체(200)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WC) 및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하는 코일 높이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기초하여 워킹 코일(WC)의 높이(H)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 조절을 통해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 조절을 통해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워킹 코일의 높이(H)가 높을수록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워킹 코일의 높이(H)가 낮을수록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워킹 코일의 높이(H)가 높을수록 워킹 코일(WC)과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는 단위 면적을 지나는 자기력선수의 수로 나타내며, 자기력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자기장의 세기는 세다. 자기력선의 간격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즉, 전류가 흐르는 도선으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다. 따라서, 피가열 물체(100) 또는 중간 가열체(200)의 자기장 결합력은 워킹 코일(WC)으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작아진다.
위 원리에 기초하여, 코일 높이 조절부(300)가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 또는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자기장의 결합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코일 높이 조절부와 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코일 높이 조절부(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2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코일 높이 조절부(300)를 조작할 필요 없이, 코일 높이 조절부(300)가 자동으로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를 조리기기(1)에 입력하는 조작을 하거나, 조리기기(1)가 피가열 물체의 종류를 인식하는 등의 경우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따라 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모터(20)는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일 때 워킹 코일의 높이(H)가 높아지도록 코일 높이 조절부(300)에 동력을 전달하고, 비자성체일 때 워킹 코일의 높이(H)가 낮아지도록 코일 높이 조절부(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는 모터(20)가 코일 높이 조절부(3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20)가 코일 높이 조절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한편, 모터(20)는 예시에 불과하며,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모터(20)가 아닌 다른 동력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중간 가열체의 수평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간 가열체(200)의 수평 방향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 가열체(200)의 수평 방향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가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M)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개구부(M)를 통과하여 피가열 물체(100)에 직접 결합되어 발열시키거나,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되어 피가열 물체(100)를 간접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다른 조리기기(1)는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의 워킹 코일(WC)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워킹 코일(WC)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 집중 영역은 피가열 물체(100) 또는 중간 가열체(200)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중간 가열체(200)에 개구부(M)를 형성함으로써 자기장 집중 영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가열 물체(100)의 종류에 따라 가열 효율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코일 높이 조절부가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따라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1 높이로 조절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b)는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코일 높이 조절부가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2 높이로 조절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에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제1 높이(H1)로 조절한다. 그리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로 조절한다.
다시 도 6의 (a)를 참조하면,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1 높이(H1)를 갖는 경우에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2 높이(H2)인 경우보다 워킹 코일(WC)과 피가열 물체(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수 있다.
도 6의 (a)는 워킹 코일(WC)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1 높이(H1)인 경우,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는 자기장 보다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형성될 개구부(M)를 통과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하는 자기장 보다 피가열 물체(100)와 결합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즉,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1 높이(H1)를 갖게 함으로써 자성체 가열시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200) 보다 피가열 물체(100)에 집중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편, 다시 도 6의 (b)를 참조하면,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2 높이(H2)를 갖는 경우에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1 높이(H1)인 경우보다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가 멀 수 있다.
도 6의 (b)는 워킹 코일(WC)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2 높이인(H2)인 경우,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M)를 통과하는 자기장보다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피가열 물체(100)와 결합하는 자기장보다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즉,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2 높이(H2)를 갖게 함로써 비자성체 가열시 자기장을 피가열 물체(100) 보다 중간 가열체(200)에 집중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워킹 코일(WC)과 중간 가열체(20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운 경우 중간 가열체(200)가 과열하여 워킹 코일(WC)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피가열 물체(100)와 거의 결합하지 않으므로, 피가열 물체(100)까지 도달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제2 높이(H2)를 갖게 함으로써 워킹 코일(WC)의 중간 가열체(200)의 발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워킹 코일(WC)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중간 가열체(200)에 최대한 많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높을 경우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하기 이전에 개구부(M)를 통과하는 자기장이 많고,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낮을 경우 개구부(M)를 통과하기 이전에 중간 가열체(200)와 결합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자기장 집중 영역을 중간 가열체(200) 또는 피가열 물체(100)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을 받치는 서포터(310) 및 서포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서포터(310)는 그 외 워킹 코일(WC)과 같은 물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한 경도를 갖는 모든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터(310)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서포터(310)는 그 외 워킹 코일(WC)과 같은 물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모든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승강부(320)는 서포터(3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포터(310)를 지지할 수 있다. 승강부(320)는 서포터(3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부(3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서포터(310)가 받치는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워킹 코일을 받치는 서포터(310)와 서포터(3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20) 및 승강부와 서포터(310)를 결합하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높이 조절부(300)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도 8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높이 조절부 중 승강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승강부(320)는 서포터(310)와 결합되는 서포팅 레그(321), 서포팅 레그의 하단 내측에 탄성 부재(324)가 수용되는 수용홈(322)이 형성되고, 서포팅 레그의 하측에 설치되어 서포팅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단(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팅 레그(321)의 상부에 서포터(310)가 놓이거나 결합될 수 있다. 서포팅 레그(321)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서포터(3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서포터(310)에 놓인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서포팅 레그(321)의 하단 내측에 탄성 부재(324)가 수용되는 수용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22)은 컵 형상일 수 있다. 수용홈(322)는 서포팅 레그(321)의 내부에 탄성 부재(3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든 형상일 수 있다.
지지단(323)은 서포팅 레그(321)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단(323) 블록 형상일 수 있다. 지지단(323)은 서포팅 레그(3213)를 지지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일 수 있다.
탄성 부재(324)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324)는 탄성력을 갖는 모든 물체일 수 있다. 탄성 부재(324)는 서포팅 레그(321)에 형성된 수용홈(322)과 지지단(32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324)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탄성 부재(324)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승강부(3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터(310)의 높이가 조절되며, 서포터(310)에 놓인 워킹 코일(WC)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부(320)가 탄성 부재(324)를 포함할 경우, 탄성 부재(324)는 비교적 구하기 쉬운 부재이며, 단순히 탄성 부재(3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승강부(3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제조 및 설계상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320)는 두 개의 서포팅 레그(321)를 포함하며, 두 개의 서포팅 레그(321) 각각의 중간에 두 개의 서포팅 레그(321)가 체결되어 한 쌍의 서포팅 레그(321)를 이루도록 하는 힌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서포팅 레그(321)가 힌지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서포팅 레그(3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짐에 따라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320)는 네 개의 서포팅 레그(321)를 포함하며, 네 개의 서포팅 레그(321) 각각의 중간에 두 개의 서포팅 레그(321)가 체결되어 두 쌍의 서포팅 레그(321)를 이루도록 하는 힌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두 쌍의 서포팅 레그(321)는 서포터(310)의 하면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두 쌍의 서포팅 레그(321)가 힌지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두 쌍의 서포팅 레그(3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짐에 따라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승강부(310)는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기기는 코일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기기(1)는 중심에 워킹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간 가열체와 적어도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피가열 물체(100)가 놓이는 상판부(15), 상판부(150)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200), 피가열 물체(100) 또는 중간 가열체(200)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워킹 코일(WC1)과 제2 워킹 코일(WC2) 및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인버터부(140, 도 2 참조)를 포함하고,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워킹 코일(WC1)은 제3 높이(H3)에 배치되고, 제2 워킹 코일(WC2)은 제3 높이 보다 낮은 제4 높이(H4)에 배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WC)의 높이에 따라 피가열 물체(100) 또는 중간 가열체(200)에 집중되는 자기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의 워킹 코일(WC)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 집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의 워킹 코일(WC)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경우, 코일 높이 조절부(300)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조리기기(1) 내부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조리기기(1)의 설계 상 코일 높이 조절부(300)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코일 높이 조절부(300)와 유사하게 워킹 코일(WC)의 높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 및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에서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WC2)은 받침대 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가열체의 지름에 따른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를 참조하면, 제1 워킹 코일(WC1)의 지름은 제1 길이(R1)를 가지고, 제2 워킹 코일(WC2)의 지름은 제1 길이(R1)보다 큰 제2 길이(R2)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M)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M)의 지름은 제1 길이(R1)보다 큰 제3 길이(R3)를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길이(R1), 제2 길이(R2) 및 제3 길이(R3) 간의 관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열 물체(100)에 대한 가열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워킹 코일(WC1) 또는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거나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형성된 영역(M)을 통과하여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각 길이의 대소 관계가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길이(R1)와 제2 길이(R2)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3 길이(R3)는 제1 길이(R1)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제1 워킹 코일(WC1)은 제2 워킹 코일(WC2)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워킹 코일(WC1)은 제3 높이(H3)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 워킹 코일(WC2)는 제3 높이보다 낮은 제4 높이(H4)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버터부(140, 도 2 참조)는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에 제1 워킹 코일(WC1)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부(140, 도 2 참조)는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제2 워킹 코일(WC2)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 제1 워킹 코일(WC1)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 경우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200)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M)을 통과하여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200) 보다 피가열 물체(100)에 더 집중시킬 수 있다.
반면에,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제2 워킹 코일(WC2)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 경우 자기장은 피가열 물체(100) 보다 중간 가열체(200)에 더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모두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한 자기장만으로 피가열 물체(100)를 가열하는 경우 제2 워킹 코일(WC2)의 권선수를 많게 설계해야 할 수 있으므로,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모두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200)에 집중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워킹 코일(WC2)의 권선수를 늘리지 않을 수 있는 제조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성체 가열시 제4 높이(H4) 보다 높은 제3 높이(H3)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WC1)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제4 높이(H4)에 배치된 경우보다 제1 워킹 코일(WC1)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중간 가열체(200) 중심의 개구부(M)를 통과하여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워킹 코일(WC1)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1)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비자성체 가열시 제3 높이(H4)보다 낮은 제4 높이(H4)에 배치된 제2 워킹 코일(WC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제2 워킹 코일(WC2)과 중간 가열체(200)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중간 가열체(200)의 발열에 의한 워킹 코일(W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가열체의 지름에 따른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1를 참조하면, 제1 워킹 코일(WC1)의 지름은 제1 길이(R1)을 가지고, 제2 워킹 코일(WC2)의 지름은 제1 길이(R1)보다 큰 제2 길이(R2)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중간 가열체(200)의 지름은 제1 길이(R1)보다 작은 제4 길이(R4)를 가질 수 있고, 제1 워킹 코일(WC1)은 제2 워킹 코일(WC2)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길이(R1), 제2 길이(R2) 및 제4 길이(R4) 간의 관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열 물체(100)에 대한 가열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워킹 코일(WC1) 또는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거나 중간 가열체(200)의 주변을 지나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각 길이의 대소 관계가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길이(R1)와 제2 길이(R2)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4 길이(R4)는 제1 길이(R1)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제1 워킹 코일(WC1)은 제4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 워킹 코일(WC2)은 제4 높이(H4) 보다 높은 제3 높이(H3)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버터부(140, 도 2 참조)는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에 제2 워킹 코일(WC1)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부(140, 도 2 참조)는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제1 워킹 코일(WC2)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길이(R2)가 제4 길이(R4)보다 클 경우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100)의 주변을 지나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하는 자기장은 제2 길이(R2)가 제4 길이(R4)보다 작을 경우 중간 가열체(100)의 주변을 지나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하는 자기장 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R1)가 제4 길이(R4)보다 작은 경우 제1 워킹 코일(WC1)에서 발생하여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는 자기장은 제1 길이(R1)가 제4 길이(R4) 보다 큰 경우 중간 가열체(200)에 도달하는 자기장보다 많을 수 있다.
피가열 물체(100)가 자성체인 경우 제2 워킹 코일(WC2)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 경우 자기장은 중간 가열체(200)의 주변을 지나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200) 보다 피가열 물체(100)에 더 집중시킬 수 있다.
반면에,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제1 워킹 코일(WC1)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 경우 자기장은 피가열 물체(100) 보다 중간 가열체(200)에 더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열 물체(100)가 비자성체인 경우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 모두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WC1)에서 발생한 자기장만으로 피가열 물체(100)를 가열하는 경우 제1 워킹 코일(WC1)의 권선수를 많게 설계해야 할 수 있으므로, 제1 워킹 코일(WC1) 및 제2 워킹 코일(WC2)모두에 전류가 흐름으로 써 자기장을 중간 가열체(200)에 집중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워킹 코일(WC2)의 권선수를 늘리지 않을 수 있는 있는 제조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성체 가열시 제4 높이(H4) 보다 높은 제3 높이(H3)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WC1)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제4 높이(H4)에 배치된 경우보다 제2 워킹 코일(WC2)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중간 가열체(200)의 주변을 지나 피가열 물체(100)에 도달하는 자기장이 더 많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워킹 코일(WC2)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1)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비자성체 가열시 제3 높이(H4)보다 낮은 제4 높이(H4)에 배치된 제2 워킹 코일(WC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므로, 제1 워킹 코일(WC1)과 중간 가열체(200)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중간 가열체(200)의 발열에 의한 워킹 코일(W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피가열 물체가 놓이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
    적어도 상기 피가열 물체 또는 상기 중간 가열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워킹 코일의 높이를 조절하는 코일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피가열 물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워킹 코일의 높이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는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피가열 물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는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중간 가열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열체의 수평방향 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를 갖는 형상인
    조리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는 상기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1 높이로 조절하고,
    상기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는 상기 워킹 코일의 높이를 제1 높이 보다 낮은 제2 높이로 조절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높이 조절부는
    상기 워킹 코일을 받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서포팅 레그, 상기 서포팅 레그의 하단 내측에 탄성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팅 레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서포팅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피가열 물체가 놓이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는 중간 가열체;
    적어도 상기 피가열 물체 또는 상기 중간 가열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지름은 제1 길이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지름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를 갖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열체의 중심에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 중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3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워킹 코일은 제3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은 상기 제3 높이보다 낮은 제4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 상기 제1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상기 제2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열체의 지름은 상기 제1 길이 보다 작은 제4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워킹 코일은 제4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은 상기 제4 높이보다 높은 제3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피가열 물체가 자성체인 경우에 상기 제2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가열 물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상기 제1 워킹 코일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모두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55227A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 KR20230155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227A KR20230155717A (ko)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
US18/142,826 US20230363061A1 (en) 2022-05-04 2023-05-03 Cooking appliance
EP23171452.8A EP4274384A1 (en) 2022-05-04 2023-05-04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227A KR20230155717A (ko)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717A true KR20230155717A (ko) 2023-11-13

Family

ID=8632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227A KR20230155717A (ko) 2022-05-04 2022-05-0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63061A1 (ko)
EP (1) EP4274384A1 (ko)
KR (1) KR20230155717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5432B2 (ja) * 2005-06-30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20220159794A1 (en) * 2019-03-14 2022-05-1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Indu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KR20210105217A (ko) *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막 온도를 추정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4384A1 (en) 2023-11-08
US20230363061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6981A (ko) 단열 구조 및 가열 성능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쿡탑
CN115462179A (zh) 感应加热式炉灶
US20230354484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155717A (ko) 조리기기
US20240098854A1 (en) Induction-heating-type cooktop
US20240057226A1 (en) Cooking appliance
KR20240000941A (ko) 조리기기
US20230422359A1 (en) Induction heating-type cooktop
US20240098852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US20230371139A1 (en) Cooking appliance
CN109246877A (zh) 一种家电用电磁加热装置
US20230354483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121867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JP201302087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171105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EP4333563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KR20230139625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102593479B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US20220386425A1 (en) Induction hob
KR20230106844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102659719B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102275852B1 (ko) 복합 조리기기
US20240188200A1 (en) Cooking appliance
KR102336127B1 (ko) 복합 조리기기
KR20230120914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