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13A -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13A
KR20230155513A KR1020237033932A KR20237033932A KR20230155513A KR 20230155513 A KR20230155513 A KR 20230155513A KR 1020237033932 A KR1020237033932 A KR 1020237033932A KR 20237033932 A KR20237033932 A KR 20237033932A KR 20230155513 A KR20230155513 A KR 2023015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tubular member
receptacle
consumable articl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아키야마
마사오미 후카마치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15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소모품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구비하며, - 가열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을 수용하는 리셉터클(4); 및 - 주변 벽(9)을 갖는 제1 튜브형 부재(5)를 포함하고, 주변 벽(9)은, 이러한 리셉터클(4)의 개방 단부(13)에 연결된 제1 단부(10); 리셉터클 개방 단부(13)에 공급하기 위해 제1 튜브형 부재(5) 내로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12); 및 이러한 제1 단부(10)에 대향하고,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제2 단부(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구비하도록 의도된 소모품 물품(consumable article)에 관한 것이다.
일부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원, 가능하게는 재충전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전기 및 제어 장치의 전용 공동(cavity) 내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삽입되는 소모품 물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휴대용으로서, 즉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경우 사용 가능하다.
특허 문헌 EP-B1 3364793 및 WO-A1 2018/22433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소모품 물품은, 가열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물질을 수용하는 리셉터클(receptacle)(또는 용기)을 포함한다. 처음에, 리셉터클은, 사용자가 베이핑(vaping) 세션 동안 이를 흡입하기 위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노즐(nozzle) 또는 팁(tip)에 결합되기 전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및 제어 장치의 전용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캡슐을 형성하도록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사용 전에, 덮개는 사용자에 의해 떼어져야 하거나, 발생된 에어로졸이 마우스피스를 향해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한정하는 노즐(또는 팁)의 튜브형 부재에 의해 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질의 가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및 제어 장치의 가열 장치에 의한 전도,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가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저항성 및/또는 유도성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에어로졸 형성 물질"(또는 "물질")이라는 용어는, 페이스트(paste) 또는 가능하게는 유체를 지칭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물질은,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에 의해 처리 가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니코티노이드(nicotinoid), 하나 이상의 폴리올,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 또는 카페인과 같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물질 내에 향미제가 존재할 수 있다. 향미제는 예를 들어, 에틸바닐린(바닐라), 멘톨, 이소아밀 아세테이트(바나나 오일) 또는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고체 입자, 액적,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으로서 물질의 부유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유물은 공기를 포함하는 가스로 있을 수 있다. 본원의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증기를 지칭하거나 증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질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베이핑 세션을 계속하기를 원하지만 리셉터클이 비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및 제어 장치의 본체로부터 (마우스피스를 갖는) 노즐을 분리시켜야 하며, 그 다음, 그것이 여전히 (매우) 뜨거운 동안 이러한 본체의 전용 공동으로부터 빈 리셉터클을 회수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거나/있으며, 에어로졸 형성 물질의 일부 잔여 부분 또는 발생된 에어로졸이 본체의 내부에 그리고 특히 가열 장치 상에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세척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계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마우스피스를 갖는) 노즐과 캡슐 간의 매우 단순한 배치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후에 안정적인 증기 전달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제품 성능은 최적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제안된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구비하도록 의도되고, 가열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물질을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이러한 소모품 물품은, 주변 벽을 갖는 제1 튜브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변 벽은,
- 리셉터클의 개방 단부에 연결된 제1 단부;
- 리셉터클 개방 단부에 공급하기 위해 제1 튜브형 부재 내로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및
- 제1 단부에 대향하고,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뜨거운 리셉터클과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없도록 보장할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형성 물질의 잔여 부분 또는 발생된 에어로졸이 전기 및 제어 장치의 내부에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세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장하는, 제1 튜브형 부재에 연결된 리셉터클을 갖는 새로운 유형의 소모품 물품을 제공한다.
소모품 물품의 실시형태는, 아래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되는 다른 양태 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실시형태의 제1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의도된 유도 가열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 실시형태의 제2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도록 의도된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 이는 제2 튜브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튜브형 부재는, 제2 단부와 각각의 공기 흡입구 사이에서 제1 튜브형 부재의 내부에 부착되고, 각각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비롯되는 공기가 이의 개방 단부를 통하여 리셉터클을 향해 흐를 수 있는 제1 채널을 제1 튜브형 부재의 주변 벽의 내측 표면과 함께 한정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 제2 튜브형 부재는, 리셉터클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이 제1 튜브형 부재의 제2 단부를 향해 흐를 수 있는 제2 채널을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 에어로졸 형성 물질은 페이스트일 수 있으며, 페이스트는 리셉터클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고, 제1 튜브형 부재를 향해 개방되는 오목한 공동을 한정한다;
- 오목한 공동은, 제2 채널의 흡입구를 포함하는 제2 튜브형 부재의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 제2 튜브형 부재는 환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형 부분은 제1 채널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각각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비롯되는 공기가 리셉터클에 접근하기 전에 제1 튜브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튜브형 부재의 내측 표면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 제2 튜브형 부재는 성형 종이(molded paper)로 제조될 수 있다;
- 제1 튜브형 부재는 성형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 제1 튜브형 부재의 제2 단부는, 사용자가 베이핑 세션 동안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재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본 발명은, 전기 및 제어 장치, 및 이러한 전기 및 제어 장치에 도입되어 결합되는 상기와 같은 소모품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실시형태는, 아래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되는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전기 및 제어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 전원은 재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자 담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이의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로서만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며, 첨부된 도면으로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 실시예의 소모품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함께 한정하기 위해 전기 및 제어 장치(2)에 결합되도록 의도된 소모품 물품(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전자 담배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모품 물품(1)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형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한, 다른 유형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3)는 흡입기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물질"은 페이스트, 또는 가능하게는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게는 유체(예를 들어, 액체)일 수 있으며, 니코티노이드(들), 폴리올(들), 칸나비노이드(들), 또는 카페인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 및/또는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상기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물질은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구체인 폴리올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물질이 액체인 경우, 이는 다공성 또는 스펀지 구조를 갖는 흡수성 재료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다공성 세라믹, 내열성 폴리머 폼(foam), 또는 다공성 셀룰로오스 비드(bea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고체(매우 작은) 입자, 액적, 증기,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으로서 물질의 부유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유물은 공기를 포함하는 가스 중에 있을 수 있음을 상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구비하도록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소모품 물품(1)은, 서로 결합되는 적어도 리셉터클(4) 및 제1 튜브형 부재(5)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모품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완전히 재사용 가능한 부분인,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에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는, 적어도 리셉터클(4)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전용 공동(15)을 포함한다.
리셉터클(4)은, 가열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을 수용한다. 전기 및 제어 장치(2)에 속하고,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전원(8)으로부터 비롯되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가열 장치(7)에 의해, 이러한 가열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전원(8)은 재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는, 재충전식 배터리(8)의 충전 세션 동안 충전기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기 케이블은 (AC) 어댑터 또는 벽 소켓에 결합될 수 있다. 충전기 케이블 및/또는 (AC) 어댑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에 속할 수 있다.
제1 튜브형 부재(5)는, 제1 대향 단부(10) 및 제2 대향 단부(11),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12)를 포함하는 주변 벽(9)을 갖는다.
주변 벽(9)의 제1 단부(10)는 리셉터클(4)의 개방 단부(13)에 연결된다. 새로운 소모품 물품(1)에서, 리셉터클(4)은 임의의 덮개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는 리셉터클(4)이 영구적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소모품 물품(1)을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에 결합하기 전에 이에 대한 임의의 작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단부(10)와 리셉터클 개방 단부(13) 간의 연결은, 부착(즉, 예를 들어, 접착제로 접착), 압착, 리벳팅(riveting) 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나사 체결은, 이에 따라, 빈 리셉터클(4)을 새로운 충전된 리셉터클(4)로 교체할 수 있거나/교체할 수 있고, 빈 리셉터클(4)을 쉽게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흥미롭다.
각각의 공기 흡입구(12)는, 리셉터클 개방 단부(13)에 공급하기 위해 제1 튜브형 부재(5)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주변 벽(9)에 한정된다. 예를 들어, 주변 벽(9)은,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다수의 공기 흡입구(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2개, 3개 또는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는, 리셉터클(4)로부터 비롯되는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를 포함한다.
새로운 유형의 이러한 소모품 물품(1)으로 인해, 즉 제1 튜브형 부재(5)에 (기밀하게) 연결된 리셉터클(4)을 갖는 이러한 소모품 물품(1)으로 인해, 사용자가 베이핑 세션을 계속하기를 원하지만 리셉터클(4)이 비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로부터 전체 소모품 물품(1)을 분리하기만 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리셉터클(4)과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없다. 또한, 이러한 (기밀) 연결로 인해,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의 잔여 부분 또는 발생된 에어로졸이 전용 공동(15)의 내부에 떨어질 위험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전용 공동(15)의 정기적인 세척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소모품 물품(1)과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 간의 결합은, 2개의 해당 나사산 부분에 의한 나사 체결에 의해, 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달리 자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모품 물품(1)은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나사 체결의 경우, 리셉터클(4)의 외측 표면, 또는 주변 벽(9)의 제1 단부(10)의 외측 표면은,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전용 공동(15)의 해당 제2 나사산 부분에 대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배치된 제1 나사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억지 끼워맞춤의 경우, 리셉터클(4), 또는 주변 벽(9)의 제1 단부(10)가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전용 공동(15)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자화의 경우, 리셉터클(4)은,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전용 공동(15)의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4)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유도 가열 장치(7)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의도된 유도 가열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식 재료는 금속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7)는, 전용 공동(15)을 둘러싸서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후자(15) 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장은, 임의의 접촉 없이 후자(4)를 가열하는 리셉터클(4)의 유도 가열식 재료 내에 전자기 유도를 유도한다.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에서, 리셉터클(4)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그리고 보다 정확하게는,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도록 의도된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이러한 변형예에서, 가열 장치는 저항성 코일과 같은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 물품(1)은, 제2 단부(11)와 각각의 공기 흡입구(12) 사이에서 제1 튜브형 부재(5)의 내부에 부착된 제2 튜브형 부재(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튜브형 부재(16)는, 각각의 공기 흡입구(12)로부터 비롯되는 공기가 이의 개방 단부(13)를 통하여 리셉터클(4)을 향해 흐를 수 있는 제1 채널(17)을 제1 튜브형 부재(5)의 주변 벽(9)의 내측 표면과 함께 한정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제1 채널(17)을 통하여, 공기 흡입구(들)(12)와 리셉터클(4) 사이에서, 유입 공기가 후속되는 경로는 백색 화살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튜브형 부재(16)는, 리셉터클(4)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이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를 향해 흐를 수 있는 제2 채널(18)을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18)을 통하여, 리셉터클(4)과 제1 튜브형 부재 배출구(14) 사이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이 후속되는 경로는 회색 화살표로 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은 페이스트이며, 페이스트는 리셉터클(4)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고, 제1 튜브형 부재(5)를 향해 개방되는 오목한 공동(19)을 한정한다. 이에 따라, 가열 동안 공기와 에어로졸 형성 물질(6) 간의 혼합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발생된 에어로졸의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오목한 공동(19)은, 제2 채널(18)의 흡입구(21)를 포함하는 제2 튜브형 부재(16)의 제1 단부(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생된 곳으로부터 매우 가까운 에어로졸을 수집할 수 있으므로, 공기 흡입구(들)(12)로부터 도달하여 아직 가열되지 않은 공기와의 이의 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튜브형 부재(16)는 환형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형 부분(22)은 제1 채널(17)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제1 튜브형 부재(5)의 내측 표면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각각의 공기 흡입구(12)로부터 비롯되는 공기가 리셉터클(4)에 접근하기 전에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공기 흡입구(들)(12)로부터 도달하는 공기와 발생된 에어로졸 간의 임의의 혼합(이는 농도 감소를 유발함)을 방지한다.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서, 환형 부분(22)은, 제1 튜브형 부재(5)의 하류 부분과 연통하는 이의 배출구(27)의 레벨로 제2 튜브형 부재(16)를 연장시킨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에서, 환형 부분(22)은, 이의 배출구(27) 이전으로(즉, 이의 흡입구(21)와 배출구(27) 사이로) 제2 튜브형 부재(16)를 연장시킬 수 있다.
소모품 물품(1)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의 제2 튜브형 부재(16)는 성형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물품(1)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의 제1 튜브형 부재(5)는 성형 종이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튜브형 부재(5) 및 제2 튜브형 부재(16)는 일체형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일 변형예에서, 제2 튜브형 부재(16)는, 제1 튜브형 부재(5)의 내부에 부착된 인서트(insert)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는, 사용자가 이를 흡입하기 위해 베이핑 세션 동안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2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에서, 마우스피스(23)는, 가능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에 결합되는 인서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정된 마우스피스(23)를 사용 및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동안 형성된 표준 일체형 마우스피스보다 더 편안한 마우스피스(23)를 제1 튜브형 부재(5)의 제2 단부(11)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및 제어 장치(2)의 본체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8)과 더불어, 적어도 제어기(또는 제어 장치)(2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4)는 전원(8)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베이핑 세션 동안 그리고 또한 가능한 충전 세션 동안, 소모품 물품(1)(및 특히 이의 가열 장치(7))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4)는 인쇄 회로 기판(26)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기"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및/또는 맞춤형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기(24)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작동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 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제어기(24) 및 전원(8)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제어기(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현재 베이핑 세션 또는 가능한 현재 충전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기(24)를 제어할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화면 또는 발광 다이오드(또는 LED) 유형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베이핑 세션 동안 (프로그래밍된(또는 선택된) 베이핑 지속시간과 관련된) 잔여(또는 경과) 베이핑 시간의 현재 퍼센티지, 또는 가능한 충전 세션 동안 전원(8)의 (완전 충전과 관련된) 현재 충전 퍼센티지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일 수 있다. 현재 퍼센티지는, 예를 들어, 직선의 길이로, 또는 병렬 막대의 수로, 또는 달리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제어기(24)와의 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단순화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26)에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어디서든 디포트(deport)되기 위해, 가요성 회로(들)의 와이어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26)에 연결된 그 자체의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질 수 있다.
본원의 도 1의 일부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낸다는 점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된다.
설명 및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 사상과 범주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당업자가 안출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본원에서 열거되는 모든 실시예는 주로 본 발명의 원리 및 본 발명자(들)가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기여된 개념을 독자가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적 목적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며, 그러한 구체적으로 열거되는 실시예 및 조건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양태, 및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이의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본원에서의 모든 설명은 이의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위한 소모품 물품(1)으로서,
    상기 소모품 물품(1)은, 가열되어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을 수용하는 리셉터클(4)을 포함하며, 주변 벽(9)을 갖는 제1 튜브형 부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벽(9)은,
    i) 상기 리셉터클(4)의 개방 단부(13)에 연결된 제1 단부(10);
    ii) 상기 리셉터클 개방 단부(13)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12); 및
    iii) 상기 제1 단부(10)에 대향하고, 상기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제2 단부(11)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를 위한 소모품 물품(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유도 가열 장치(7)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의도된 유도 가열식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4)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3)의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도록 의도된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11)와 각각의 공기 흡입구(12) 사이에서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내부에 부착되고, 각각의 공기 흡입구(12)로부터 비롯되는 상기 공기가 이의 개방 단부(13)를 통하여 상기 리셉터클(4)을 향해 흐를 수 있는 제1 채널(17)을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상기 주변 벽(9)의 내측 표면과 함께 한정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튜브형 부재(16)를 더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형 부재(16)는, 상기 리셉터클(4) 내에 발생된 상기 에어로졸이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상기 제2 단부(11)를 향해 흐를 수 있는 제2 채널(18)을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은 페이스트이며,
    상기 페이스트는 상기 리셉터클(4)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를 향해 개방되는 오목한 공동(19)을 한정하는, 소모품 물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공동(19)은, 상기 제2 채널(18)의 흡입구(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튜브형 부재(16)의 제1 단부(20)를 수용하는, 소모품 물품.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형 부재(16)는 환형 부분(22)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부분(22)은 상기 제1 채널(17)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각각의 공기 흡입구(12)로부터 비롯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리셉터클(4)에 접근하기 전에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상기 제2 단부(11)에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내측 표면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소모품 물품.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형 부재(16)는 성형 종이로 제조되는, 소모품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는 성형 종이로 제조되는, 소모품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형 부재(5)의 상기 제2 단부(11)는, 사용자가 베이핑 세션 동안 상기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23)를 형성하는, 소모품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은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물질(6)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소모품 물품.
  14. 에어로졸 발생 장치(3)로서,
    전기 및 제어 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및 제어 장치(2)에 결합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모품 물품(1)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및 제어 장치(2)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8)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
  1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8)은 재충전식 배터리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37033932A 2021-03-10 2022-03-03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KR20230155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1891.3 2021-03-10
EP21161891 2021-03-10
PCT/EP2022/055385 WO2022189248A1 (en) 2021-03-10 2022-03-03 Consumable article with open receptacle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13A true KR20230155513A (ko) 2023-11-10

Family

ID=7487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932A KR20230155513A (ko) 2021-03-10 2022-03-03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04398A1 (ko)
JP (1) JP2024509665A (ko)
KR (1) KR20230155513A (ko)
TW (1) TW202235021A (ko)
WO (1) WO20221892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747B2 (en) 2015-10-22 2022-09-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JP6818765B2 (ja) * 2015-12-21 2021-0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可変空気吸込み口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EP3634163B1 (en) 2017-06-08 2021-04-07 Philip Morris Products S.a.s. Cartridge having a susceptor material
JP6921304B2 (ja) * 2018-03-05 2021-08-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9665A (ja) 2024-03-05
TW202235021A (zh) 2022-09-16
EP4304398A1 (en) 2024-01-17
WO2022189248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6348C2 (ru) Инду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JP7258095B2 (ja)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電源
CN112040797B (zh) 可充电电子烟
CN108471808B (zh) 包括无线加热的雾化器的气溶胶递送设备以及相关方法
KR102662918B1 (ko) 손에 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러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AU2015261877B2 (e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system for aerosol-generation
EP3666093A1 (en) Control for an induction-based aerosol delivery device
CN108348707A (zh) 用于再填充气溶胶递送装置的容纳流体系统
US20220330613A1 (en) Shisha device with dielectric heater
KR20200096283A (ko) 유도 기반 에어로졸 전달 장치의 의사 공진 플라이백 컨버터
AU2020243278B2 (en) Flow directing member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KR20230155513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개방 리셉터클을 갖는 소모품 물품
US20240130427A1 (en) Consumable Article with Open Receptacle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CN110430771B (zh) 气溶胶生成装置
RU2806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атомайзер с беспроводным нагрев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TW202211827A (zh) 吸嚐裝置、控制裝置及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