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232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232A
KR20230155232A KR1020220054836A KR20220054836A KR20230155232A KR 20230155232 A KR20230155232 A KR 20230155232A KR 1020220054836 A KR1020220054836 A KR 1020220054836A KR 20220054836 A KR20220054836 A KR 20220054836A KR 20230155232 A KR20230155232 A KR 2023015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ptacle connector
sealing member
plug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호
박영일
이동훈
윤영주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232A/ko
Publication of KR2023015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폐쇄된 타측면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외부면에 결합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상기 밀봉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사이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압축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과 밀착되고 실링을 이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밀봉부재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밀봉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에 밀려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서 변형되거나 벌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밀봉부재는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실링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특허문헌 1) US 11189956 B2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폐쇄된 타측면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외부면에 결합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상기 밀봉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타측면에 밀봉부재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밀봉부재가 미끄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어셈블리의 수밀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링 성능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절개하여 도 3의 대응되는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하우징(10), 삽입부(20), 및 밀봉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플러그 커넥터(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플러그 커넥터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타측면이 밀폐된 대략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면에는 플러그 커넥터(2)를 고정하는 잠금레버(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양쪽 측방 내면에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0)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삽입부는 하우징의 밀폐된 타측면에서 수용공간 내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벽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의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소켓단자(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삽입부(20)가 플러그 커넥터(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에서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면에 인접한 부분은, 하우징의 폐쇄된 타측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0) 중 하우징(10)의 폐쇄된 타측면에 인접한 부분에는 밀봉부재(30)가 배치되고 안착되는 평탄면(2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하우징(10)의 타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40)가 하우징의 수용공간(11) 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타측면에는 돌기(40)가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결합방향에 대해 직각인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돌기(40)는 하우징(10)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연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기는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서 단절된 복수의 분할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40)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 복수의 돌기는 하우징(10)의 타측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0)의 결합방향에 대해 직각인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기(40)는 첨예부(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돌기는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는 각각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복수의 돌기가 나타나 있다. 하지만, 돌기(40)의 형상은 반드시 전술하고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반원 단면 형상을 가진 돌기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밀봉부재(30)는 삽입부(20)의 외부면, 예컨대 삽입부의 평탄면(2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밀봉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에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을 이행할 수 있다.
밀봉부재(30)는, 삽입부(2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밴드(31), 및 밴드의 외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2)의 내면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돌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31)는 폭(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한 길이)이 넓고 두께가 얇은 환형상의 띠 부재이다. 밴드의 양 단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31)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 내에서 삽입부(20)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밴드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40)에 접촉되고, 밴드의 내면은 삽입부의 외부면, 예컨대 삽입부의 평탄면(21)과 면접촉할 수 있다.
제1 밀봉돌기(32)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의 내면에 밀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밀봉돌기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밴드(31)의 외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봉돌기(32)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 복수의 제1 밀봉돌기는 밴드(3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밀봉돌기(32)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삽입부(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부재(30)는, 밴드(31)의 내면에 형성되어 삽입부(20)의 외부면, 예컨대 삽입부의 평탄면(21)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돌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돌기(33)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결합시 삽입부(20)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밀봉돌기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밴드(31)의 내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밀봉돌기(32)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 복수의 제2 밀봉돌기는 밴드(3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봉돌기(32)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삽입부(20)를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봉부재(30)는, 리셉터클 커넥터(1) 또는 플러그 커넥터(2)의 재질과 상이한 탄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10)의 타측면, 삽입부(20)의 외부면, 플러그 커넥터(2)의 내면 등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링 성능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 내로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된다.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삽입부(20)는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부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에 밀봉부재(30)가 개재된다.
밀봉부재(30)의 제1 밀봉돌기(32)는,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압축되며 플러그 커넥터에 밀착된다. 따라서, 삽입부(20)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밀봉부재(30)의 제2 밀봉돌기(33)는,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압축되며 삽입부(20)에 밀착된다. 따라서, 삽입부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30)의 존재로 인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사이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밀봉부재(30)의 일측 단부, 즉 밴드(31)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40)에 접촉되고, 이러한 밀봉부재는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으로 인해 돌기(40)에 압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가진 돌기(4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면의 반대측면이 매끄럽고 편평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밀봉부재(30')가 플러그 커넥터(2)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반대측면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결국, 밀봉부재(30')에 변형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밀봉부재는 하우징(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반면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은 그 폐쇄된 타측면에서 돌출한 돌기(40)를 구비하고, 밀봉부재(30)의 일측 단부가 돌기에 접촉되어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밀봉부재가 플러그 커넥터(2)와의 접촉으로 인해 미끄럼 이동 없이 돌기에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돌기(40)에 의해, 밀봉부재(30)와 하우징(10)의 타측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밀봉부재와 하우징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와 같은 밀봉부재의 미끄럼 이동이 없게 되어, 밀봉부재의 변형 또는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고, 밀봉부재는 실링 성능을 원하는 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밀봉부재(30)의 변형이 없기 때문에, 밀봉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어셈블리의 수밀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절개하여 도 3의 대응되는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하우징(10), 삽입부(20), 및 밀봉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돌기(40)의 형상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하우징(10)의 타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40)가 수용공간 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타측면에는 돌기(40)가 복수의 엠보싱부(42)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엠보싱부는 하우징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균일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엠보싱부는 임의의 형태로 배열되어도 된다.
또한, 엠보싱부(42)는 예컨대 반원 단면의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엠보싱부(42)의 형상은 반드시 전술하고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뿔 형상을 가진 엠보싱부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엠보싱부, 다시 말해 돌기(40)는 첨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밀봉부재(30)의 일측 단부, 즉 밴드(31)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40), 즉 엠보싱부(42)에 접촉되고, 이러한 밀봉부재는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으로 인해 미끄럼 이동 없이 엠보싱부에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엠보싱부(42)에 의해, 밀봉부재(30)와 하우징(10)의 타측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밀봉부재와 하우징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와 같은 밀봉부재의 미끄럼 이동이 없게 되어, 밀봉부재의 변형 또는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고, 밀봉부재는 실링 성능을 원하는 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밀봉부재(30)의 변형이 없기 때문에, 밀봉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커넥터 어셈블리의 수밀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리셉터클 커넥터 2: 플러그 커넥터
10: 하우징 11: 수용공간
12: 잠금레버 13: 안내홈
20: 삽입부 21: 평탄면
30: 밀봉부재 31: 밴드
32: 제1 밀봉돌기 33: 제2 밀봉돌기
40: 돌기 41: 첨예부
42: 엠보싱부

Claims (4)

  1. 일측면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폐쇄된 타측면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로 연장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외부면에 결합하는 밀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상기 밀봉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의 엠보싱부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리셉터클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첨예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20054836A 2022-05-03 2022-05-03 리셉터클 커넥터 KR20230155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6A KR20230155232A (ko) 2022-05-03 2022-05-03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6A KR20230155232A (ko) 2022-05-03 2022-05-03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32A true KR20230155232A (ko) 2023-11-10

Family

ID=8874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836A KR20230155232A (ko) 2022-05-03 2022-05-03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753A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52659B2 (en) Waterproof connector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914547B2 (ja) コネクタ
US9819112B2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US6059594A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US11081829B2 (en) Connector
JP2007273469A (ja) 金属製の差込み接続器
KR101980967B1 (ko) 커넥터
KR20180016267A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KR100605897B1 (ko) 램프 소켓
US6910916B2 (en) Connector
US7278876B2 (en) Connector in which two housings holding a cable a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EP3346557B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KR20230155232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960012624A (ko) 전기 케이블 어셈블리
KR101970880B1 (ko) 커넥터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EP3965235A1 (en) Connector
WO202114519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535519B1 (ko) 전기 커넥터
JP704258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カバー体、及びコネ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7481194B2 (ja) 防水コネクタ
KR950015857A (ko) 더블록크형 전기컨넥터
WO2024004610A1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