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113A -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113A
KR20230155113A KR1020220054582A KR20220054582A KR20230155113A KR 20230155113 A KR20230155113 A KR 20230155113A KR 1020220054582 A KR1020220054582 A KR 1020220054582A KR 20220054582 A KR20220054582 A KR 20220054582A KR 20230155113 A KR20230155113 A KR 2023015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using
air
vacuum cleaner
hold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102022005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113A/ko
Publication of KR2023015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하부 본체, 상부 본체,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 중에서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집진공간에 머무르게 필터링하는 필터부, 공기흡입장치, 거치대 및 램프하우징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상기 거치대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하우징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장치 및 상기 램프하우징이 설치된 상기 거치대의 부분에는 공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하부 본체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를 거쳐서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가서 살균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기흡입장치로 들어간 후 상기 상부 본체에 마련된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본 발명의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살균기능을 위한 구조의 최적화를 달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Industrial Vacuum Cleaner With Sterilizing Device}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살균효율이 향상된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식당, 공장 등 상업 또는 산업 시설물에서 청소를 위하여 진공청소기가 흔히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내부의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를 사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과 함께 빨아들인 후 이물질은 필터에 의하여 걸러 집진시키고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청소를 하는 도구이다. 지금까지 상기와 같은 청소기능에 더하여 살균기능이 구현된 진공청소기가 다수 제안되어 왔다.
살균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예가 특허공개 제10-1997-0064535호(1997. 10. 13. 공개), 특허등록 제10-0213792호(1999. 05. 17. 등록), 특허등록 제10-0607683호(2006. 07. 25. 등록), 특허등록 제10-0633437호(2006. 10. 02. 등록)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들에 제안된 진공청소기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관에 살균장치가 도입되어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살균장치가 도입된 예는 특허등록 제10-0233799호(1999. 07. 12. 등록), 특허등록 제10-0209653호(1999. 04. 22. 등록), 특허등록 제10-0232536호(1999. 09. 06. 등록), 특허등록 제10-0778701호(2007. 11. 16. 등록), 특허등록 제10-1245431호(2013. 03. 13. 등록), 특허등록 제10-1604798호(2016. 03. 14.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진공청소기에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청소를 할 때에 살균기능도 함께 달성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살균장치가 적용되는 위치가 적절하지 못하거나 살균기능을 위한 구조의 최적화가 미흡하여 충분한 살균기능을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살균기능을 위한 구조의 최적화를 달성하여 살균효율이 향상된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측면에 흡입구가 마련된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를 덮고 토출구가 마련된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 중에서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집진공간에 머무르게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흡입장치, 거치대 및 램프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상기 거치대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하우징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장치 및 상기 램프하우징이 설치된 상기 거치대의 부분에는 공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를 거쳐서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가서 살균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기흡입장치로 들어간 후 상기 상부 본체에 마련된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집진공간에서보다 상기 필터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에서 그 흐름이 느려져서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하우징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측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하면 개구 및 상기 측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하우징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은 상기 거치대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측면 전체가 그물망에 의하여 덮여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하면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그물망 및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하우징의 측면은 막혀 있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는 복수개의 수평판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판들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공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수평판의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함으로써 공기진행경로가 길어진다.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램프하우징은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램프는 길이가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살균기능을 위한 구조의 최적화를 달성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청소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청소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거치대와 램프하우징의 결합구조체의 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구조체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결합구조체에 대한 저면도 및 절단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산업용 진공청소기에서 살균효과가 향상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산업용 진공청소기라 함은 주로 식당, 공장 등과 같은 상업용 또는 산업용 시설물에서 청소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대용량의 청소성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소용량의 청소성능을 가지는 가정용 진공청소기와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10)는 하부본체(100) 및 상부본체(200)를 포함한다.
하부본체(100)는 하면은 막혀있고 상면은 개방된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본체(100)의 한 측면에는 공기 흡입구(110)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110)에는 외부로 흡입관(800)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800)의 말단에는 흡입헤드(810)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구(110) 측에 연결된 흡입관(800) 부분은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에 흡입헤드(810) 측에 연결된 흡입관(800) 부분은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본체(100)는 진공청소기(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받침부(9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받침부(90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바퀴, 예를 들어 4개의 바퀴(910)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본체(100)에는 또한 진공청소기(1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본체(200)는 하부본체(100)를 덮는다. 그래서, 하부본체(100)와 상부본체(200)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부본체(200)는 하부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은 막혀있고 하면은 개방된 원통 형상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200)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공기 토출구(210)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본체(200)에는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공기흡입장치(500) 및 자외선램프(7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스위치(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본체(200)를 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230)가 마련되어 있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코드(미도시)가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하부본체(100) 내부에는 필터부(310)가 설치된다. 필터부(310)는 필터프레임(300)에 장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310)에는 필터부 형태유지수단(312)이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 형태유지수단(312)은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필터부(310)가 위로 들려져 올라가는 등 필터부(3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부 형태유지수단(312)은 예를 들어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은 하부본체(100)에 얹혀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본체(100)에는 필터프레임(300)이 얹혀질 수 있게 단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310)는 하부본체(100)의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 중에서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서 집진공간(120)에 머무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집진공간(120)은 하부본체(100)와 필터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먼지 등 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을 의미한다.
집진공간(120)에 이물질이 충분히 수집되면, 하부본체(100)로부터 상부본체(200) 및 필터프레임(300)을 분리한 후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0)의 사용으로 인하여 필터부(310)가 오염되어 제 기능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새로운 필터부(310)로 교체하여 진공청소기(10)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0)는 거치대(400), 공기흡입장치(500) 및 램프하우징(600)을 포함한다. 거치대(400)는 필터프레임(300) 상부에서 하부본체(100)에 얹혀서 고정될 수 있다. 공기흡입장치(500) 및 램프하우징(600)은 거치대(400)에 설치된다.
공기흡입장치(500)는 필터프레임(300) 상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공기흡입장치(500)는 거치대(400)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공기흡입장치(500)는 흡입구(1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210)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통상적으로는 모터가 채용되는 펌프 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이 공기흡입장치(500)로 채용될 수 있다.
램프하우징(600)은 거치대(400)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램프하우징(600)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하우징(6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4개의 자외선 램프(70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흡입장치(500) 및 램프하우징(600)이 설치된 거치대(400)의 부분에는 공기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관통공(410)은 적당한 크기의 한 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하부 본체(100)의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필터부(310)를 통과한 후 필터부(310)와 램프하우징(600) 사이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를 거쳐서 램프하우징(600) 내부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로 들어가서 살균된다. 살균된 공기는 거치대(400)의 공기관통공(410)을 통하여 공기흡입장치(500)로 들어간 후 상부 본체(200)에 마련된 토출구(21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청소기능과 함께 살균기능도 수행하는 것인데, 필터링이 완료된 후의 공기에 대하여 자외선램프에 의하여 살균작용을 수행한다는 것과 살균작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터링된 공기가 자외선램프에 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에 최대한 오랫동안 노출되게 하는 것, 즉 노출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노출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램프하우징(600)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최대로 느려지도록 설계하거나, 램프하우징(600)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경로를 최대한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부 본체(100)의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하부 본체(100)와 필터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집진공간(120)에서보다 필터부(310)와 램프하우징(600) 사이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 그 흐름이 느려지고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 전체에 가급적 균일하게 확산됨으로써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집진공간(120)을 거쳐 곧바로, 즉 직선으로 또는 거의 직선으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흐르는 공기흐름이 꺾여 집진공간(120) 내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흡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집진공간(120) 전체에 걸쳐 흩어져서 공기흐름이 약해지고, 필터부(310)를 통과한 후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는 더욱 공기흐름이 약해지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진공간(120)으로부터 필터부(310)를 통과할 때의 공기흐름의 속도가 흡입구(110)에서의 공기흐름의 속도보다 작아지게 되도록 집진공간(120) 및 필터부(310) 면적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의 공기흐름의 속도가 필터부(310)에서의 공기흐름의 속도보다 작아지게 되도록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의 공기흐름의 속도가 필터부(310)에서의 공기흐름의 속도보다 작아지게 되도록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를 설계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의 공기흐름경로를 더욱 길게 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거치대(400)와 램프하우징(600)의 결합구조체에 대한 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상기 결합구조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살균효과가 향상되는 원리 및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0)는 원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400)에는 공기흡입장치(500) 및 램프하우징(600)을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램프하우징(6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하우징(600)의 내부에는 자외선 램프(700)가 설치되어 있다. 자외선램프(700)는 길이가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램프하우징(600)의 내면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예를 들어 4개로 배치될 수 있다. 램프하우징(600)의 내면에는 반사판(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거나, 램프하우징(600)은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하우징(600)의 하면(620)에는 복수개의 하면 개구(622)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610)에는 복수개의 측면 개구(6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0)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들어온 공기는 램프하우징(600)의 하면 개구(622) 및 측면 개구(612)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로 들어간다.
이때, 필터부(310)는 램프하우징(600)의 측면(610) 및 하면(620)에 걸쳐서 설치된다. 즉, 필터부(310)는 램프하우징(600)의 측방 및 하방에 걸쳐서 설치된다. 그러면, 흡입구(110)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는 집진공간(120)을 거쳐 램프하우징(600)의 측방 및 하방에 걸쳐서 위치하는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들어오고,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 전체로 거의 균일하게 흩어져서 확산된다. 이에,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 공기흐름은 더욱 느려지게 된다.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으로 들어온 공기는 램프하우징(600)의 측면(610) 및 하면(620)에 형성된 개구(612 및 622)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구조 및 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필터링된 공기가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 전체에 확산되어 그 공기흐름이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 및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 최대한 느려지게 함으로써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 자외선램프(700)에 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에 최대한 오랫동안 노출되게 하고, 그럼으로써 살균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램프하우징(600)의 측면(610) 및 하면(620)에 형성된 개구(612 및 622)를 통하여 램프하우징(600)의 내부에 배치된 자외선램프(700)의 자외선이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까지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700)에 의한 자외선 살균은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도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0)는 살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램프하우징을 다음과 같이 약간 변형할 수도 있다. 램프하우징(600)의 하면에 복수개의 하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동일하다. 램프하우징(600)의 측면은 거치대(400)와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 예를 들어 4개의 연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거치대(400)와 직접 연결되는 대신에 상면 중앙은 개방되어 있고 테두리만 형성된 상면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테두리만으로 형성된 상면은 거치대(400)에 결합한다. 그러한 연결부들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개구 또는 측면 전체가 그물망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그래서, 흡입구(110)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들어온 공기는 램프하우징(600)의 하면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한 그물망 및 램프하우징(600)의 측면 개구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로 들어간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살균효과가 향상되는 원리 및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램프하우징(60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하우징(600)의 측면(610)은 막혀 있다. 램프하우징(600)의 내부는 복수개, 예를 들어 4개의 수평판(630)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수평판들(6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특히 반대되는 위치에 공기관통공(6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흡입구(110)를 통하여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들어온 공기는 램프하우징(600)의 수평판(630)의 공기관통공(632)을 통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를 지그재그로 통과함으로써 공기진행경로가 길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흡입구(110)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는 집진공간(120)을 거치고, 필터부(310)를 통하여 램프하우징(600)의 측방 및 하방에 위치하는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로 들어온다.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의 측방으로 들어온 공기는 램프하우징(600)의 측면(610)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의 아래로 돌아가는 흐름을 형성한다. 이로써,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 전체로 거의 균일하게 흩어져서 확산된다. 이에,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에서 공기흐름은 더욱 느려지게 된다.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의 측방으로부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602)의 하방으로 돌아간 공기는 집진공간(120)으로부터 램프하우징(600)의 하방으로 상승하여 들어오는 공기와 함께 램프하우징(600)의 수평판(630)에 형성된 공기관통공(632)을 통하여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로 들어가게 된다.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 배치된 수평판들(630)에 형성된 공기관통공(632)은 서로 다른 위치, 특히 반대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는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604)에서 지그재그로 진행함으로써 공기진행경로가 더욱 길어지게 되므로, 살균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10: 진공청소기 100: 하부본체
110: 흡입구 120: 집진공간
200: 상부본체 210: 토출구
220: 스위치 300: 필터프레임
310: 필터부 400: 거치대
410: 공기관통공 500: 공기흡입장치
600: 램프하우징 602: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
604: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 610: 측면부
612,622: 개구 620: 하면부
630: 수평판 632: 공기관통공
700: 자외선램프 800: 흡입관
810: 흡입헤드 900: 받침부
910: 바퀴

Claims (7)

  1. 측면에 흡입구가 마련된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를 덮고 토출구가 마련된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 중에서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집진공간에 머무르게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흡입장치, 거치대 및 램프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상기 거치대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램프하우징은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장치 및 상기 램프하우징이 설치된 상기 거치대의 부분에는 공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를 거쳐서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가서 살균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기흡입장치로 들어간 후 상기 상부 본체에 마련된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집진공간에서보다 상기 필터부와 상기 램프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에서 그 흐름이 느려져서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측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하면 개구 및 상기 측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면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은 상기 거치대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측면 전체가 그물망에 의하여 덮여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하면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그물망 및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측면은 막혀 있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는 복수개의 수평판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판들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공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외부공간부로 들어온 상기 공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상기 수평판의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공간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함으로써 공기진행경로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램프하우징은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길이가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 수직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1020220054582A 2022-05-03 2022-05-03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20230155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82A KR20230155113A (ko) 2022-05-03 2022-05-03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82A KR20230155113A (ko) 2022-05-03 2022-05-03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13A true KR20230155113A (ko) 2023-11-10

Family

ID=8874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82A KR20230155113A (ko) 2022-05-03 2022-05-03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729B2 (ja) 空気清浄機
KR100476423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RU2334450C2 (ru) Мульти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варианты)
KR100539762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US5213595A (en) Combined indoor fountain-air cleaner
KR102665025B1 (ko) 공기청정기
KR100485715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CN102475522B (zh) 真空吸尘器
CN109420389B (zh) 空气净化器
EP1838417A2 (en) Wet type air cleaner
KR20030030298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EP3082539A1 (en) Dust container
KR20160065389A (ko) 공기 정화기
KR101178201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0543330B1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230155113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EP3163175B1 (en) Filtering hood with filters facing the impeller
KR101090093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0583569B1 (ko) 필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진공청소기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KR200459413Y1 (ko) 전기청소기용 필터교환 알람장치
CN210643881U (zh) 床铺清洁设备及带过滤组件的集尘盒
KR200459414Y1 (ko) 전기청소기용 바닥감지장치
CN209736311U (zh) 一种用于防止产品掉落灰尘遮挡紫外线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