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06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063A
KR20230155063A KR1020220054420A KR20220054420A KR20230155063A KR 20230155063 A KR20230155063 A KR 20230155063A KR 1020220054420 A KR1020220054420 A KR 1020220054420A KR 20220054420 A KR20220054420 A KR 20220054420A KR 20230155063 A KR20230155063 A KR 2023015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race
row
wires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동학
박정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063A/ko
Priority to US18/188,327 priority patent/US20230350518A1/en
Priority to CN202321010382.7U priority patent/CN220326173U/zh
Priority to CN202310478596.5A priority patent/CN116997213A/zh
Publication of KR2023015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행 감지전극 및 제2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3 행 감지전극 및 제4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유닛의 감지 특성 저하가 방지되어, 표시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감도가 향상되어 신뢰성이 개선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또는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을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등의 입력 감지 유닛을 터치할 경우, 입력 신호가 발생한다. 터치 패널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는 표시 패널에 제공되고,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감지유닛에 포함된 트레이스 배선에서 발생하는 상호 커패시턴스 값의 편차를 감소시켜, 감지 특성 저하를 방지하고 신뢰성이 개선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행 감지전극 및 제2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3 행 감지전극 및 제4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제1 감지패드에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인접한 제2 감지패드에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지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감지 절연층, 및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3 감지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상기 회로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화소정의막 및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및 상기 표시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1-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1-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3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2-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2-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감지패드, 제2 감지패드, 제3 감지패드 및 제4 감지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2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3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4 감지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상기 제3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제1 그룹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5 행 감지전극 및 제6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7 행 감지전극 및 제8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제2 그룹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그룹 감지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 측 및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의 상기 제1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룹 감지전극의 상기 제2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은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비해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평면상에서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중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제1 트레이스 배선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비벤딩 영역, 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제1 감지패드에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인접한 제2 감지패드에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행 감지전극 및 제2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는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따르면, 입력감지유닛 신호라인의 두께가 얇아지는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FS)은 표시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으며, 윈도우 부재(WM)의 전면(FS)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 표시장치(DD)의 표시면, 전면, 및 윈도우 부재(WM)의 전면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와 복수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전면과 배면 사이의 제3 방향(DR3)에서의 이격 거리는 표시패널(DP)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표시모듈(DM), 구동 회로(DC), 및 외부 케이스(HU)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M)와 외부 케이스(HU)는 결합되어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HU), 표시모듈(DM), 및 윈도우 부재(WM)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절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의 전면(FS)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의 전면을 정의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약 9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모듈(DM)의 주변 영역(NA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A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WM)에 있어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모듈(DM)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IM)은 표시모듈(DM)의 전면(IS)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의 전면(IS)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한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액티브 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 입력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 및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IM)은 실질적으로 표시패널에서 표시되고, 외부 입력은 실질적으로 입력감지유닛에서 감지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 및 입력감지유닛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영상(IM)을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 회로(DC)는 연성 회로 기판(CF) 및 메인 회로 기판(M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표시 모듈(DM)과 메인 회로 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CF)은 메인 회로 기판(MB)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연성 회로 기판(CF)은 리지드한 기판일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의 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CF)은 표시 모듈(DM)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표시 모듈(DM)에 제공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연성 회로 기판(CF)에서 생성되거나 메인 회로 기판(MB)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 모듈(DM)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MB)은 연성 회로 기판(CF)을 통해 표시 모듈(DM)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서는 표시모듈(DM)이 펼쳐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모듈(DM)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모듈(DM) 중 메인 회로 기판(MB)이 접속된 일부는 표시모듈(DM)의 배면을 향해 벤딩됨으로써, 메인 회로 기판(MB)은 표시모듈(DM)의 배면에 중첩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HU)는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되어 표시장치(DD)의 외관을 정의한다. 외부 케이스(HU)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표시모듈(DM)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HU)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HU)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HU)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표시장치(DD)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패널(DP)과 입력감지유닛(IS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이 생성하는 영상(IM, 도 1a 및 도 1b 참조)은 투과 영역(TA, 도 1a 및 도 1b 참조)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무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발광층이 유기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무기발광 표시패널은 발광층이 퀀텀닷, 퀀텀로드, 또는 마이크로 LED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입력감지유닛(ISU)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표시장치(DD, 도 1a 참조)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표시장치(D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감지유닛(ISU)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A 구성 상에 B 구성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 구성과 B 구성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감지유닛(ISU)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상부 절연층(TF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상부 절연층(TFL)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 등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BL)은 무기층, 유기층 또는 복합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제1 합성 수지층, 다층 또는 단층의 무기층, 상기 다층 또는 단층의 무기층 상에 배치된 제2 합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합성 수지층들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회로 소자층(DP-C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복수의 절연층들, 복수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의 복수의 도전층들은 신호 라인들 또는 화소(PX, 도 4 참조)의 제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소자층(DP-OLED)은 무기 발광 소자들, 유기-무기 발광 소자들, 또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후술할 캡핑층 및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는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되어, 수분, 산소, 및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밀봉하여 표시 소자층(DP-OLED)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는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무기층/유기층/무기층 순서의 적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상부 절연층(TFL) 상에 배치된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연속 공정을 통해 상부 절연층(TFL)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유닛(ISU)과 표시패널(DP)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상부 절연층(TFL)의 최상부에 배치된 무기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은 표시패널(DP)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 부재, 입력감지유닛(ISU)의 상면 상에 배치된 반사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부재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방지부재는 연속된 공정을 통해 입력감지유닛(ISU)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부재는 반사방지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반사 구조물에 중첩하는 차광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부재는 컬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는 차광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색 화소, 제2 색 화소, 및 제3 색 화소에 대응하는 제1 색 컬러필터, 제2 색 컬러필터, 및 제3 색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주변 영역(NAA)은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의 발광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윈도우 부재(WM, 도 1b 참조)의 투과 영역(TA, 도 1b 참조)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고, 주변 영역(NAA)은 윈도우 부재(WM, 도 1b 참조)의 베젤 영역(BZA, 도 1b 참조)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은 도 1b에 도시된 표시 모듈(DM)의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은 복수의 화소들(PX, 이하 화소들), 복수 개의 신호 라인들(SGL), 주사 구동 회로(GDC) 및 표시 패드부(DP-P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와 그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SGL)은 스캔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 신호 라인(CSL)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라인들(G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화소들(PX)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라인(CSL)은 주사 구동 회로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 회로(GDC)는 주변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 회로(GDC)는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고,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주사 구동 회로(GDC)는 화소들(PX)의 구동 회로에 또 다른 제어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주사 구동 회로(GDC)는 화소들(PX)의 구동 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패널(DP)에서, 표시패널(DP) 중 일부 영역은 벤딩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비벤딩 영역(NBA1),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제2 비벤딩 영역(NBA2), 및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 사이에 정의된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NBA1)은 액티브 영역(AA)과 일부의 주변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벤딩 영역(BA)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경우,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제1 비벤딩 영역(NBA1)에 마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의 제2 방향(DR2)에서의 폭은 제1 비벤딩 영역(NBA1)에서보다 벤딩 영역(BA)에서 작을 수 있다.
표시 패드부(DP-PD)는 제2 비벤딩 영역(NBA2)의 끝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라인들(SGL)은 제1 비벤딩 영역(NBA1)에서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비벤딩 영역(NBA2)으로 연장되어 표시 패드부(DP-PD)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드부(DP-PD)에는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이 도전성 접착 필름 등을 통해 표시 패드부(DP-PD)에 부착됨에 따라, 표시패널(DP)과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패널(DP)에서는 베이스층(BL) 상에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상부 절연층(TFL)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b를 통해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상부 절연층(TFL)에 대한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적층된 복수개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부의 반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평면 상에서 화소(PX)의 다른 영역에 반도체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화소들(PX)에 걸쳐 특정한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 여부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다르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농도 및 전도율이 낮은 제1 영역(A1)과 상대적으로 도핑농도 및 전도율이 높은 제2 영역(S1, D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2 영역(S1)이 제1 영역(A1)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영역(D1)이 제1 영역(A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S1, D1)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의 트랜지스터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은 비-도핑영역이거나, 제2 영역(S1, D1) 대비 낮은 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제2 영역(S1, D1)은 실질적으로 전극 또는 신호 라인의 역할을 갖는다. 하나의 제2 영역(S1)이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해당하고 하나의 제2 영역(D1)이 드레인일 수 있다. 도 4에는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신호 라인(SCL)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신호 라인(SCL)은 평면상에서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버퍼층(B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3a 참조)에 공통으로 중첩하며, 반도체 패턴을 커버한다. 제1 절연층(1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회로 소자층(DP-CL)의 절연층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G1)는 제1 절연층(10) 상에 배치된다. 게이트(G1)는 금속 패턴의 일부분일 수 있다. 게이트(G1)는 제1 영역(A1)에 중첩한다. 반도체 패턴을 도핑하는 공정에서 게이트(G1)는 마스크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제1 절연층(10) 위에 배치되며, 게이트(G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화소들(PX, 도 3a 참조)에 공통으로 중첩한다. 상부전극(UE)은 제2 절연층(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전극(UE)은 게이트(G1)와 중첩할 수 있다. 상부전극(UE)은 다층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전극(UE)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3 절연층(30)은 제2 절연층(20) 위에 배치되며, 상부전극(UE)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CNE1)은 제3 절연층(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CNE1)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10 내지 3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1)을 통해 연결 신호 라인(SCL)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0)은 제3 절연층(30) 상에 배치되고, 제5 절연층(50) 상에 제4 절연층(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절연층(50)은 유기층일 수 있다. 제2 연결전극(CNE2)은 제5 절연층(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전극(CNE2)은 제4 절연층(40) 및 제5 절연층(5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2)을 통해 제1 연결전극(C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제5 절연층(50) 상에 배치되며, 제2 연결전극(CN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유기층일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6 절연층(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3)을 통해 제2 연결전극(CN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되어, 화소 정의막(PDL)은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층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영역(DP-DA)은 발광 영역(PXA)과 발광 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 영역(PXA)과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PX, 도 3a 참조)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과 전자 제어층(ECL)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일체의 형상을 갖고,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3a 참조)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절연층(TFL)은 캡핑층(CPL)과 캡핑층(CPL) 상에 배치된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캡핑층(CPL)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되고 제2 전극(CE)에 접촉한다. 캡핑층(CPL)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제1 무기층(IOL1), 제1 무기층(IOL1) 상에 배치된 유기층(OL), 및 유기층(OL) 상에 배치된 제2 무기층(IO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 및 제2 무기층(IOL2)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OL)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감지유닛(ISU)은 상부 절연층(T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는 제1 감지 절연층(TIL1), 제1 감지 도전층(TML1), 제2 감지 절연층(TIL2), 제2 감지 도전층(TML2), 및 제3 감지 절연층(TI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절연층(TIL1)은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감지유닛(ISU)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감지 절연층(TIL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감지 도전층(TML1) 및 제2 감지 도전층(TML2) 각각은 단층 구조를 갖거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 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과 금속층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도전층(TML1) 및 제2 감지 도전층(TML2)은 투명 도전층으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및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도전층(TML1) 및 제2 감지 도전층(TML2)은 금속층으로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도전층(TML1) 및 제2 감지 도전층(TML2) 각각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으로 구성된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고 반사율이 낮은 금속을 도전층의 외 층에 적용할 수 있고,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도전층의 내층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감지 절연층(TIL1, TIL2, TIL3) 각각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절연층(TIL1) 및 제2 감지 절연층(TIL2) 각각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감지 절연층(TIL3)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5b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A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6a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6b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II-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6c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III-I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감지유닛(ISU)은 액티브 영역(AA-I) 및 액티브 영역(AA-I)에 인접한 주변 영역(NAA-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의 액티브 영역(AA-I) 및 주변 영역(NAA-I)은 각각 표시패널(DP, 도 3a 참조)의 액티브 영역(AA, 도 3a 참조) 및 주변 영역(NAA, 도 3a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감지유닛(ISU)은 제1 비벤딩 영역, 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의 제1 비벤딩 영역, 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 각각은 표시패널(DP)의 제1 비벤딩 영역(NBA1, 도 3a 참조), 벤딩 영역(BA, 도 3a 참조),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 도 3a 참조)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감지유닛(ISU)는 복수의 감지전극들(TE1, TE2), 감지전극들(TE1, TE2)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 및 복수의 감지 패드들을 포함하는 입력 패드부(ISU-P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의 일 단은 복수의 감지전극들(TE1, TE2)에 연결되고, 타 단은 입력 패드부(ISU-PD)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전극들(TE1, TE2)은 제1 감지전극(TE1) 및 제2 감지전극(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TE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행로 제공되어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TE1)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1 도전 패턴들(B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들(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전 패턴(BP1)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 패턴들(SP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1 도전 패턴들(BP1)은 동일 공정에 의해 패터닝 되는 일체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제2 감지전극(TE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복수로 제공되어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TE2)은 제2 감지 패턴들(SP2) 및 제2 도전 패턴들(B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SP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 패턴(BP2)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 패턴들(S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감지전극(TE1) 및 제2 감지전극(TE2)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도전라인들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전 패턴(BP2)은 도 4에서 설명한 제1 감지 도전층(TML1)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감지 패턴들(SP1), 제2 감지 패턴들(SP2), 및 제1 도전 패턴(BP1)은 도 4에서 설명한 제2 감지 도전층(TML2)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은 제1 감지배선들(TL1) 및 제2 감지배선들(TL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배선들(TL1) 각각은 제1 감지전극들(TE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배선들(TL2) 각각은 제2 감지전극들(TE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a 등에서는 제1 감지배선들(TL1)이 제1 감지전극들(TE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감지배선들(TL2)이 제2 감지전극들(TE2)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배선들(TL1)은 제1 감지전극들(TE1)의 일단 및 타단에 모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2 감지배선들(TL2)은 제2 감지전극들(TE2)의 일단 및 타단에 모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입력 패드부(ISU-PD)는 입력 감지 유닛(ISU)의 일 끝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드부(ISU-PD)는 제2 비벤딩 영역의 끝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은 입력 패드부(ISU-PD)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패드부(ISU-PD)에는 전술한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감지유닛(ISU)과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감지유닛(ISU) 상에는 입력 패드부(ISU-PD)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은 제1 및 제2 감지 절연층들(TIL1, TIL2)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표시패널(DP)에 배치된 배선들 및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전극들(TE1, TE2)과 화소(PX, 도 3a 참조)는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CF, 도 1b 참조)을 통해 메인 보드(MB, 도 1b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배선들(TL1, TL2)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배선들(TL1)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과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 배선(CDL1)과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서로 다른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함께 참조할 때,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은 제1 감지 도전층(TML1)에 포함되어, 제1 감지 절연층(TIL1)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제2 감지 도전층(TML2)에 포함되어, 제2 감지 절연층(TIL2)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감지전극들(TE1, TE2)은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전극들(T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TE1)은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제3 행 감지전극(R3) 및 제4 행 감지전극(R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행 감지전극(R1) 및 제2 행 감지전극(R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전극들일 수 있다. 제3 행 감지전극(R3) 및 제4 행 감지전극(R4)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전극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 감지전극 행이 일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었다는 것은, 일 방향을 기준으로 두 감지전극 행 사이에 다른 감지전극이 배치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TE1)은 제2 행 감지전극(R2)에 인접하게 배치된 a행 감지전극(Ra), 및 제4 행 감지전극(R4)에 인접하게 배치된 b행 감지전극(R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행 감지전극(R1) 및 제2 행 감지전극(R2)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연결된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3 행 감지전극(R3) 및 제4 행 감지전극(R4)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연결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ISU)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감지전극 행에는 서로 동일한 층에 배치된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행 감지전극(R2)에 인접하게 배치된 a행 감지전극(Ra)에도 제2 행 감지전극(R2)과 동일하게,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행 감지전극(R4)에 인접하게 배치된 b행 감지전극(Rb)에도 제4 행 감지전극(R4)과 동일하게,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은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 및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은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은 제1 행 감지전극(R1)에 연결되고,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은 제2 행 감지전극(R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은 a행 감지전극(Ra)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및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은 제3 행 감지전극(R3)에 연결되고,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은 제4 행 감지전극(R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은 b행 감지전극(Rb)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감지전극들(TE1, TE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그룹 감지전극(TE-G1) 및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는 전술한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a행 감지전극(Ra), 및 b행 감지전극(Rb)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은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제7 행 감지전극(R7) 및 제8 행 감지전극(R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 행 감지전극(R5) 및 제6 행 감지전극(R6)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전극들일 수 있다. 제7 행 감지전극(R7) 및 제8 행 감지전극(R8)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전극들일 수 있다.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은 제6 행 감지전극(R6)에 인접하게 배치된 c행 감지전극(Rc), 및 제8 행 감지전극(R8)에 인접하게 배치된 d행 감지전극(R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5 행 감지전극(R5) 및 제6 행 감지전극(R6)은 제7 행 감지전극(R7) 및 제8 행 감지전극(R8)에 비해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 인접하게 배치된 감지전극 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5 행 감지전극(R5) 및 제6 행 감지전극(R6)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연결될 수 있다. 제6 행 감지전극(R6)에 인접하게 배치된 c행 감지전극(Rc)에도 제6 행 감지전극(R6)과 동일하게,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연결될 수 있다.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b 트레이스 배선(CDL1b) 각각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7 행 감지전극(R7) 및 제8 행 감지전극(R8)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연결될 수 있다. 제8 행 감지전극(R8)에 인접하게 배치된 d행 감지전극(Rd)에도 제8 행 감지전극(R8)과 동일하게,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연결될 수 있다.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b 트레이스 배선(CDL2b) 각각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그룹 감지전극(TE-G1) 및 제2 그룹 감지전극(TE-G2)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제1 측(S1) 및 제2 측(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 감지전극(TE-G1) 및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은 제1 감지배선들(TL1)이 연결되는 사이드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도 5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서는 제1 감지배선들(TL1)이 제1 측(S1)에 연결되고,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는 제1 감지배선들(TL1)이 제2 측(S2)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ISU)에서는 제1 그룹 감지전극(TE-G1) 및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 제1 감지배선들(TL1)이 연결되는 사이드가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서는 제1 감지배선들(TL1)이 제2 측(S2)에 연결되고,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는 제1 감지배선들(TL1)이 제1 측(S1)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입력감지유닛(ISU)에는 복수의 제1 감지배선(TL1)이 복수의 제1 감지전극(TE1)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SA1)과, 복수의 제1 감지배선(TL1)이 복수의 감지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패드부(ISU-PD)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SA2)이 정의될 수 있다.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중 일부는 평면상에서 교차할 수 있다. 즉,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과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중 일부가 교차하는 교차점(CRP)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과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중 일부가 중첩하는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과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간 교차점(CRP)이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배선 영역(SA2)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각각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배선 영역(SA2)에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들(CDL1) 사이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들(CDL2) 사이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배선 영역(SA2)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평면상에서 서로 비중첩할 수 있다. 도 5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 및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 사이에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이 배치되고,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및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 사이에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은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 및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은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 및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함께 참조하면, 입력 패드부(ISU-PD)에는 복수의 감지패드(PD1, PD2, PD3, PD4, PD5, PD6)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패드(PD1, PD2, PD3, PD4, PD5, PD6)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패드(PD1, PD2, PD3, PD4, PD5, PD6)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감지패드(PD1), 제2 감지패드(PD2), 제3 감지패드(PD3), 제4 감지패드(PD4), 제5 감지패드(PD5) 및 제6 감지패드(PD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패드(PD1, PD2, PD3, PD4, PD5, PD6) 중 인접한 두 감지패드에는 서로 다른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패드(PD1, PD2, PD3, PD4, PD5, PD6) 중 인접한 두 감지패드에는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패드(PD1)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중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이 연결되고, 제2 감지패드(PD2)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중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감지패드(PD3)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중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이 연결되고, 제4 감지패드(PD4)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중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이 연결되고, 제5 감지패드(PD5)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중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이 연결되고, 제6 감지패드(PD6)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중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이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두 감지패드에는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배선 영역(SA2)에서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도 6a 및 도 6c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과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각각은 서로 다른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은 제1 감지 도전층(TML1)에 포함되어, 제1 감지 절연층(TIL1)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은 제2 감지 도전층(TML2)에 포함되어, 제2 감지 절연층(TIL2)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감지 절연층(TIL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복수의 제1 감지전극(TE1)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각각의 일부는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행 감지전극(R1)에 연결된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 제2 행 감지전극(R2)에 연결된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 및 a행 감지전극(Ra)에 연결된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 각각은 제1 감지 절연층(TIL1)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 및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 사이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배치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제2 감지 절연층(TIL2)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복수의 제1 감지전극(TE1)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SA1)에서,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각각의 일부는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행 감지전극(R3)에 연결된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제4 행 감지전극(R4)에 연결된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 및 b행 감지전극(Rb)에 연결된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 각각은 제2 감지 절연층(TIL2)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 및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 사이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배치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 각각에 연결된 제1-b 트레이스 배선(CDL1b) 각각은 제1 감지 절연층(TIL1)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b 트레이스 배선들(CDL1b) 사이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이 배치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 각각에 연결된 제2-b 트레이스 배선(CDL2b) 각각은 제2 감지 절연층(TIL2) 상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b 트레이스 배선들(CDL2b) 사이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이 배치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트레이스 배선(CDL1, CDL2)이 입력 패드부(ISU-PD)에 포함된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SA2)에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 각각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트레이스 배선(CDL11), 제2-1 트레이스 배선(CDL21), 제1-2 트레이스 배선(CDL12), 제2-2 트레이스 배선(CDL22), 제1-a 트레이스 배선(CDL1a), 및 제2-a 트레이스 배선(CDL2a)은 도 6b에 도시된 단면을 정의하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포함된 입력감지유닛에서는 복수의 감지배선이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이 정의되며, 하부 배선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하부 배선 영역에서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비중첩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서로 동일 층 상에 배치될 경우,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 구조 사이에 필요한 간격이 증가하여, 보다 넓은 배선 형성 영역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에서는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배선 간 필요 간격이 감소하여, 배선 형성 영역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데드스페이스(Dead space)가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과 같이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서로 교번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제1 트레이스 배선에 발생한 오차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에 발생한 오차 각각은 특정 배선들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각 오차에 인한 상호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 또한 특정 배선들에만 적용되어, 배선들 간의 상호 커패시턴스 값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포함된 입력감지유닛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감지배선이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에서는 하부 배선 영역과 달리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중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감지전극 행에 각각 연결되어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감지전극 행에 각각 연결되어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레이스 배선과 제2 트레이스 배선 각각에 발생한 오차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감지전극 행에는 동종의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므로, 배선들 간의 상호 커패시턴스 값의 편차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유닛의 감지 특성 저하가 방지되어,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8a에서는 도 7에 도시된 IV-IV'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8b에서는 도 7에 도시된 V-V'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서는 도 5a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과 상이한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1)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1)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1)에서는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의 연결 순서와,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의 연결 순서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및 a행 감지전극(Ra)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이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및 b행 감지전극(Rb)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및 a행 감지전극(Ra) 각각에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및 b행 감지전극(Rb)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는 이와 달리,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 보다 인접한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b')이 연결되고,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으로부터 이격된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b')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 각각에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0a에서는 도 9에 도시된 VI-V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0b에서는 도 9에 도시된 VII-V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9,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도 5a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과 상이한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2)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2)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2)에서는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인접한 행에 연결되는 한편, 인접한 행에 연결된 동일층 배선 구조가 유닛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각각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이 연결되고, 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각각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4 행 감지전극(R4')에 인접하게 배치된 a행 감지전극(Ra') 및 b행 감지전극(Rb') 각각에서는 다시 제1 트레이스 배선(CDL1a'', CDL1c'')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각각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b'')이 연결되고, 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각각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b'')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8 행 감지전극(R8')에 인접하게 배치된 c행 감지전극(Rc') 및 d행 감지전극(Rd') 각각에서는 다시 제2 트레이스 배선(CDL2c'')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VII-VI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2b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IX-IX'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도 5a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과 상이한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3)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3)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입력감지유닛(ISU-3)에서는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및 a행 감지전극(Ra) 각각에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이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및 b행 감지전극(Rb) 각각에도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b''')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 각각에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이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 각각에도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b''')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 CDL1b''')이 연결된 행 감지전극 중, 제1 행 감지전극(R1), 제2 행 감지전극(R2), 및 a행 감지전극(Ra)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이 감지전극의 좌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고, 제3 행 감지전극(R3), 제4 행 감지전극(R4), 및 b행 감지전극(Rb)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CDL1b''')이 감지전극의 우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 CDL2b''')이 연결된 행 감지전극 중, 제5 행 감지전극(R5), 제6 행 감지전극(R6), 및 c행 감지전극(Rc)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이 감지전극의 좌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고, 제7 행 감지전극(R7), 제8 행 감지전극(R8), 및 d행 감지전극(Rd)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CDL2b''')이 감지전극의 우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그룹 감지전극(TE-G1)에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 CDL1b''')이 연결되고, 제2 그룹 감지전극(TE-G2)에는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 CDL2b''')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한편, 하부 배선 영역(SA2, 도 5a)에서는 제1 트레이스 배선(CDL11''', CDL12''', CDL1a''', CDL1b''') 및 제2 트레이스 배선(CDL21''', CDL22''', CDL2a''', CDL2b''')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ISU: 입력감지유닛 TE: 감지전극
TL1, TL2: 감지배선 CDL1: 제1 트레이스 배선
CDL2: 제2 트레이스 배선

Claims (20)

  1.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행 감지전극 및 제2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3 행 감지전극 및 제4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3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제1 감지패드에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인접한 제2 감지패드에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지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감지 절연층; 및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3 감지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상기 회로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화소정의막 및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및
    상기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1-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1-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3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2-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제2-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감지패드, 제2 감지패드, 제3 감지패드 및 제4 감지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2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3 감지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4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상기 제3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4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제1 그룹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5 행 감지전극 및 제6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7 행 감지전극 및 제8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제2 그룹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그룹 감지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 측 및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의 상기 제1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룹 감지전극의 상기 제2 측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은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비해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은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비해 상기 제1 그룹 감지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6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7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8 행 감지전극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평면상에서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는 서로 교차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중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제1 트레이스 배선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이 배치되지 않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비벤딩 영역, 벤딩 영역, 및 제2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표시장치.
  16.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제1 감지패드에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중 상기 제1 감지패드에 인접한 제2 감지패드에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행 감지전극 및 제2 행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행 감지전극 각각에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이 연결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1 감지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감지 절연층; 및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3 감지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2 감지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표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는 서로 교차하는 표시장치.
  20. 표시영역 및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 및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을 연결하는 복수의 감지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배선 영역,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지배선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배선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트레이스 배선 중 일부는 서로 교차하는 표시장치.
KR1020220054420A 2022-05-02 2022-05-02 표시장치 KR2023015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20A KR20230155063A (ko) 2022-05-02 2022-05-02 표시장치
US18/188,327 US20230350518A1 (en) 2022-05-02 2023-03-22 Display device
CN202321010382.7U CN220326173U (zh) 2022-05-02 2023-04-28 显示装置
CN202310478596.5A CN116997213A (zh) 2022-05-02 2023-04-2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20A KR20230155063A (ko) 2022-05-02 2022-05-02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063A true KR20230155063A (ko) 2023-11-10

Family

ID=8851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420A KR20230155063A (ko) 2022-05-02 2022-05-0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50518A1 (ko)
KR (1) KR20230155063A (ko)
CN (2) CN220326173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7213A (zh) 2023-11-03
CN220326173U (zh) 2024-01-09
US20230350518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658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11194432B2 (en) Display device
CN114429973A (zh) 显示装置
US11243624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36503B1 (ko) 표시모듈
KR102657174B1 (ko)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0457A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30155063A (ko) 표시장치
KR20220097681A (ko) 표시장치
KR20200018535A (ko) 표시모듈
KR20210005368A (ko) 표시장치
KR20230167775A (ko) 표시장치
KR20200031001A (ko) 표시장치
KR2024000173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001624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21103941U (zh) 电子设备
US11868575B2 (en) Electronic device
KR20230026595A (ko) 표시 장치
TWI828751B (zh) 輸入感測單元及包含其之顯示裝置
US20220129133A1 (en) Display device
US20220050542A1 (en) Input detection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40015228A (ko) 표시장치
KR20240033729A (ko) 전자 장치
KR20240000683A (ko) 표시장치
KR20240049760A (ko) 입력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