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786A -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786A
KR20230154786A KR1020237003624A KR20237003624A KR20230154786A KR 20230154786 A KR20230154786 A KR 20230154786A KR 1020237003624 A KR1020237003624 A KR 1020237003624A KR 20237003624 A KR20237003624 A KR 20237003624A KR 20230154786 A KR20230154786 A KR 2023015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display
cur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싱 자오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S310),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S320), 및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말기 장치가 커서 위치를 제어하여 인터렉션을 수행하고 지시가 명확하며, 인터렉션이 용이해지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본 발명은 데이터 인터렉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경우에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LED 접합이나 대형 프로젝터 등을 사용하는데, 이때 인터렉션이 필요한 상황에서 레이저 펜과 같은 표시기를 사용하여 인터렉션을 완성한다.
그러나 레이저 펜과 같은 표시기는 LED, LCD, OLED에서 비교적 좋은 지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레이저 반점이 부분적으로 표시되더라도 그 위치를 동기화할 수 없기에 다른 시청 위치에 있는 참여자는 반점 표시의 정확한 위치를 지시할 수 없고, 화상회의 등 외부 참여자와 공유할 수 없어 체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술한 배경기술 부분에 개시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본 분야 기술자가 이미 알고 있는 기존 기술에 속하지 않는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복수의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기화되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 장치에서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일반 설명과 그 이후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에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여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분명히 하기 설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지불하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에서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내용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중 단말기 장치 간의 인터렉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에서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와 단말기 장치가 동시에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현 방식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구현 방식은 여러 가지 형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서술한 범례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구현 방식은 본 발명을 더욱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공개하고, 예시적 구현 방식의 사상을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전면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설명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현 방식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을 뿐 반드시 축척에 따라 묘사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첨부 도면에 표시된 블록도의 일부분은 기능 엔티티이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독립된 엔티티에 반드시 해당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능 엔티티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프로세서 장치 및/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에는 단말기 장치(101, 102, 103) 중 하나 이상, 네트워크(104) 및 서버(105)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단말기 장치(101, 102, 103) 및 서버(105) 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미디어이다. 네트워크(104)에는 유선, 무선 통신 링크 또는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다양한 연결 유형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 장치(101, 102, 103)는 데이터 인터렉션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마우스,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의 단말기 장치, 네트워크 및 서버의 수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기 장치, 네트워크 및 서버는 구현의 요구 사항에 따라 원하는 수만큼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5)는 여러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105)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기 장치(101, 102, 10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105)로 송신하며,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통해 단말기 장치(101, 102, 103) 등과 인터렉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전자 기기에는 적어도 프로세서,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되어 있으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예로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특별히 이동 목적에 사용되는 부품 외에도 도 2의 구조가 고정 유형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 요소의 조합 또는 특정 구성 요소의 분할 또는 구성 요소의 다른 배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성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관계는 개략적으로 표시되었을 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조적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2와 다른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 또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내부 메모리(221),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222),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230), 충전 관리 모듈(240), 전원 관리 모듈(241), 배터리(242), 안테나(1), 안테나(2), 이동 통신 모듈(250), 무선 통신 모듈(260), 오디오 모듈(270), 스피커(271), 수화기(272), 마이크(273), 헤드폰 인터페이스(274), 센서 모듈(280), 모니터(290), 카메라 모듈(291), 표시기(292), 모터(293), 키(294) 및 사용자 식별자(SIM) 카드 인터페이스(2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센서 모듈(280)은 깊이 센서(2801), 압력 센서(2802), 자이로 센서(28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모뎀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컨트롤러, 비디오 코덱,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또는 신경망 프로세서(Neural-Network Processing Unit, N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처리 유닛은 독립적인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NPU는 신경망(Neural-Network, NN) 컴퓨팅 프로세서로, 인간의 뇌 뉴런 간의 전달 패턴과 같은 생체 신경망의 구조를 참조해 입력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지속적으로 독학할 수 있다. NPU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지능 인식 등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및 텍스트 이해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다. 메모리는 검출 명령, 연결 명령, 정보 관리 명령, 분석 명령, 데이터 전송 명령 및 알림 명령의 6개 모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충전 관리 모듈(240)은 충전기에서 충전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전원 관리 모듈(241)은 배터리(242), 충전 관리 모듈(240)과 프로세서(210)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전원 관리 모듈(241)은 배터리(242) 및/또는 충전 관리 모듈(240)에서 입력을 받아 프로세서(210), 내부 메모리(221), 모니터(290), 카메라 모듈(291) 및 무선 통신 모듈(26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무선 통신 기능은 안테나(1), 안테나(2), 이동 통신 모듈(250), 무선 통신 모듈(260), 모뎀 프로세서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1)와 안테나(2)는 전자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이동 통신 모듈(25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응용되는 2G/3G/4G/5G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뎀 프로세서에는 변조기와 복조기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6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적용되는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예: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BT) 등 무선 통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안테나(1)는 이동 통신 모듈(250)에 결합되고, 안테나(2)는 무선 통신 모듈(26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GPU, 모니터(29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U는 모니터(290)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연결하는 이미지 처리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GPU는 그래픽 렌더링에 대한 수학적 계산 및 기하학적 계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210)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GPU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ISP, 카메라 모듈(291), 비디오 코덱, GPU, 모니터(29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통해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ISP는 카메라 모듈(291)에서 피드백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카메라 모듈(291)은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를 촬영하는 데 사용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디지털 이미지 신호 외에 다른 디지털 신호도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코덱은 디지털 비디오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하는 데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코덱을 지원할 수도 있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222)를 사용하여 Micro SD 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 카드에 연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카드는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222)를 통해 프로세서(210)와 통신하여 데이터 저장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음악, 비디오 등의 파일을 외부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내부 메모리(221)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는 명령어가 포함된다. 내부 메모리(221)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사운드 재현 기능, 이미지 재현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22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범용 플래시 메모리(Universal Flash Storage, UFS)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내부 메모리(221)에 저장된 명령 및/또는 프로세서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모듈(270), 스피커(271), 수화기(272), 마이크(273), 헤드폰 인터페이스(274)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통해 오디오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녹음 등이 있다.
깊이 센서(2801)는 경물의 깊이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291)에 깊이 센서를 설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2802)는 압력 신호를 감지하고 압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압력 센서(2802)를 모니터(290)에 설치할 수 있다. 압력 센서(2802)에는 저항 압력 센서, 인덕션 압력 센서 및 커패시터 압력 센서와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자이로 센서(280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운동 자세를 확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세 축(즉, x, y 및 z 축)을 둘러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속도는 자이로 센서(280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803)는 촬영 디더링 방지, 내비게이션, 체감 게임 장면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센서 모듈(280)에 기압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거리 센서, 근광 센서, 지문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환경광 센서, 골전도 센서 등 다른 기능의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294)는 전원 켜기 키, 볼륨 키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키 입력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시기(292), 모터(293), SIM 카드 인터페이스(295) 등이 있다.
관련 기술에서 현재 LED 접합, 대형 LCD 가격이 점차 하락하고, 이런 장치는 회의실 장면에서 점차 전통 프로젝터를 대체하고 있지만, LED 접합, LCD는 레이저 펜과 같은 전통적인 지시 설비에 대한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LED 접합 블랙 매트릭스는 레이저 밝기를 대량으로 흡수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는 또한 레이저 펜의 밝기보다 훨씬 크기에, 레이저 반점이 뚜렷하지 않다. LED 편광의 영향으로 레이저의 반사가 거의 없고 반점도 매우 약하다. 여러 사람이 회의에 참석한 현장에서 레이저 펜, 에어 마우스와 같은 설비를 사용할 경우 단일 설비 대 단일 설비로만 제어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지시하려고 할 경우 여러 개의 에어 마우스 설비를 연결하거나 서로 레이저 펜을 전달해야 하기에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내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310 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S320 단계에서는,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한다.
S330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출원에서는 여러 단말기 장치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 장치를 통해 커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장치가 커서 위치를 제어하여 인터렉션을 수행하고 지시가 명확하며, 여러 커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기에 인터렉션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S310 단계에서는 복수의 상기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온(on) 작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켜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정된 온(on) 아이콘을 트리거하거나,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상기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온(on)시킬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액세스 주소는 QR 코드, 바코드 등과 같이 인코딩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액세스 주소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액세스 주소를 기반으로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여기서 LAN을 통해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거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주소가 인코딩 이미지인 경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액세스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이미지가 QR 코드인 경우 단말기 장치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장치는 제3자 플랫폼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데 이 제3자 플랫폼은 예를 들어 WeChat, QQ와 같은 기존의 일반적인 제3자 플랫폼일 수 있으며, 자체 개발한 앱을 이용하여 스캔할 수도 있는데,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앱을 자체 개발하고, 이 앱을 통해 상기 코딩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단말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 요청을 송신한다.
S320 단계에서는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는 각 단말기 장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서 표시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커서 표시 아이콘을 트리거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단말기 장치는 하나의 커서 표시 아이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 장치의 단말기 아이콘 아래에 해당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 표시 아이콘을 설정하거나, 또는 여러 단말기 장치가 하나의 커서 표시 아이콘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모든 단말기 장치가 하나의 커서 표시 아이콘에 대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서 표시 아이콘의 표시 위치도 사용자가 요구 사항에 따라 자체적으로 지정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커서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 표시 요청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장치를 조작하여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된 요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장치에 커서 표시 스위치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상기 커서 표시 스위치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커서 표시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커서를 처음 생성할 때 커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정된 영역,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왼쪽 위의 설정 영역, 오른쪽 아래의 설정 영역 등에 표시될 수 있지만,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커서의 형상은 화살표, 원 등일 수 있고, 손가락, 삼각형 등 다른 형상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생성된 여러 단말기 장치의 커서(401)는 표시를 차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401)는 상이한 색상을 가지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401)의 형상이 다르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401)가 상이한 ID 번호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커서(401)에는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커서(401)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에 숫자로 번호를 추가하여 커서(401)가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속하는 것을 구분하지만,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대한 권한 레벨을 설정한 다음, 권한 레벨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단말기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한 레벨은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따라 구체적으로 사회자, 고급 참가자 및 일반 참가자로 분류할 수 있으며, 권한 레벨은 사회자가 전체 권한, 고급 참가자가 제어 권한, 일반 참가자가 단지 커서 권한이라는 기본 규칙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권한 레벨의 구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는 첫 번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를 사회자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는 두 번째 내지 N 번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를 고급 참가자로, N 번째 이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를 일반 참가자로 결정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권한 레벨의 구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각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사람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권한 레벨이 부여된다. 구체적인 권한 레벨 구분과 그에 대응하는 권한은 아래 표를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즉, 모든 권한을 구비한 사회자는 단말기 장치를 사용하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401)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페이지 넘기기, 주석, 종료, 권한 설정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권한을 구비한 고급 참가자는 고급 참가자의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401)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페이지 넘기기, 주석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커서(401) 권한을 구비한 일반 참가자는 단말기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해당 커서(401)의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페이지 넘기기 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재 표시된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주석 작업은 현재 표시된 내용에 일부 내용을 추가할 수 있으며, 종료 작업은 현재 표시된 내용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를 종료시킬 수 있으며, 권한 설정 작업은 각 단말기 장치의 권한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에 단말기 장치와 일일이 대응하는 단말기 아이콘(40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규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규정된 위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바로 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으나,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단말기 아이콘(402)은 단말기 장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아이콘(402)은 각 단말기 아이콘(402)으로 표시된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단말기 장치 사이에는 음성 인터렉션을 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서 보낸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서 보낸 음성 정보를 재현하는 경우, 현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 아이콘(402)을 차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 아이콘(402)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에 스피커의 아이콘을 설정하거나, 해당 단말기 아이콘(402)의 주위에 테두리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으나,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서 보낸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서 보낸 음성 정보를 재현하는 경우, 현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에 재현 태그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음성 정보의 출처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S340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 장치에서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커서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는 단말기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버에 커서(401)의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는 상기 커서(401)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401)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마우스,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인터렉션 제어 기능을 갖춘 장치이고, 단말기 장치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명령에는 자이로스코프로 수집된 단말기 장치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정보에 따라 상기 커서(401)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단말기 장치의 좌표계 중 x, y, z 방향의 3축의 가속도를 얻을 수 있고, 샘플링 빈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장치가 이동할 때 3개 매개변수가 모두 변화하게 되며, 우선 가속도의 값은 초기값인 중력 가속도(g)를 가지고 있다. 중력 가속도에 수직인 평면에서 분해된 가속도(a')는 커서가 이동하는 가속도가 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속도를 데이터 필터링한 다음 가속도(a')에 대한 시간 적분을 통해 이동 거리를 획득하고, 마지막으로 이동 거리를 귀일화하여 이동의 픽셀 수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동 픽셀 수, 즉 이동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버로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버는 이동 데이터에 따라 상기 커서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며 단말기 장치에 표시된 내용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내용과 동기화되고,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는 단말기 장치를 통해 해당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해당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단말기 장치(520)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동기화되어 표시한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표시되는 내용이 동일하고 동기화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단말기 장치(520)와의 인터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A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복수의 단말기 장치(520)를 포함하고, 장소 B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단말기 장치(520)를 포함하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표시된 내용이 동일하고 동기화되어 있다. 이때, 장소 A의 복수의 단말기 장치(520)는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의 표시 내용을 제어할 수 있으며, 두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표시된 내용이 완전히 동기화되어 있기에, 장소 B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의 표시 내용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내용은 부분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표시 창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표시 창 내의 표시 내용은 완전히 동기화되며, 표시 창 밖의 내용은 동기화하지 않고 표시하거나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복수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동일한 단말기 장치(520)에 대응하는 커서를 동일한 커서로 인식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가 모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내용은 완전히 동일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커서 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연결된 단말기 장치의 총 수이다. 예를 들어,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액세스한 단말기 장치(520)의 수는 3이고, 장소 B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액세스한 단말기 장치(520)의 수는 5인 경우,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장소 B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같은 수의 커서를 표시하고 모두 8이다.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액세스한 단말기 장치(520)의 수는 2이고, 장소 B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액세스한 단말기 장치(520)의 수는 7인 경우, 장소 A의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장소 B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같은 수의 커서를 표시하고 모두 9이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단말기 장치의 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동일한 영역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단말기 장치(520) 사이의 인터렉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클라우드 서버(530)를 사용하여 표시된 내용을 동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10)는 같은 클라우드 서버(530)에 연결되고, 스마트 단말기는 클라우드 서버(5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10)에 표시되는 해당 커서의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이 솔루션을 자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10)가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작동하면(on) 디스플레이 장치(510)의 프로세서(511)는 액세스 주소를 생성하고 QR 코드로 표시하게 되며, 단말기 장치(520)는 QR 코드를 스캔하고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10)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510)에는 단말기 장치(520)와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511)는 권한 레벨을 구분하고 단말기 장치(520)의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단말기 장치(520)의 데이터 정보를 검출한 뒤 프로세서(511)에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고, 프로세서(511)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예약 데이터를 취득해 커서의 이동 후 위치를 결정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10)에서 지정한 위치에 커서를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기 장치(520)의 수는 3개, 4개 등 여러 개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으며 본 구현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S720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단말기 장치가 수행하는 단계는 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한 단계를 설명할 때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8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한다.
S820 단계에서, 단말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S8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한다.
S840 단계에서, 단말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한다.
S850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장치에서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한다.
상술한 각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위에서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 본 출원에서는 여러 단말기 장치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액세스하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 장치를 통해 커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장치가 커서 위치를 제어하여 인터렉션을 수행하고 지시가 명확하며, 여러 커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기에 인터렉션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술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방법에 포함된 처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할 뿐 한정할 생각은 없다. 도면에 표시된 처리는 처리의 시간 순서를 지시하거나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는 예를 들어 여러 모듈에서 동기화 또는 비동기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각 양태는 시스템,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양태는 완전히 하드웨어로 구현, 완전히 소프트웨어로 구현(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 포함)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식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고 통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술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도 제공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본 발명의 각 양태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기 장치에서 실행될 때 프로그램 코드는 단말기 장치가 본 설명서의 "예시적 방법"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인 구현 방식에 따른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양자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부품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로, 하나 이상의 도선을 가진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지우기 가능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옵티컬,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 메모리, 마그네틱 메모리 또는 위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미디어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명령에 의해 시스템, 장치 또는 부품에서 실행되거나 이와 연관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는 베이스밴드에 포함되거나 반송파의 일부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파 데이터 신호는 다양한 형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전자기 신호, 광신호 또는 상술한 모든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명령에 의해 시스템, 장치 또는 부품에서 실행되거나 이와 연관되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전송,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유선, 광섬유 케이블, RF 등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조합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Java,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되고, "C"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스 프로그래밍 언어도 포함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완전히, 사용자 장치에서 부분적으로, 독립적인 패키지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원격 컴퓨팅 장치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원격 컴퓨팅 장치나 서버에서 전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원격 컴퓨팅 장치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orld Area Network)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아,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됨).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에 공개된 발명을 실천한 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 원칙에 따르고 본 발명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상식 또는 관용 기술수단을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고자 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실제 범위와 정신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제시된 정확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으로 한정된다.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를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단말기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 주소에 따라 생성하고 송신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인코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상기 단말기 장치의 디코딩을 통해 생성된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LAN을 통해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 표시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 표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트리거 작업에 응답하여,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커서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재현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에 재현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대한 권한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권한 레벨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장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장치를 통해 송신된 작업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작업 명령에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고, 상기 커서 제어 명령은 상기 자이로스코프로 수집된 단말기 장치의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단말기 장치의 자이로스코프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기화되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기화되어 표시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주소는 인코딩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를 디코딩하고, 디코딩 후의 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서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서 표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3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다중 장치 액세스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온(on) 작업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세스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주소에 따라 액세스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각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복수의 커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단말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기 장치에 일일이 대응하는 커서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 장치에서 송신된 커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2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과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12항, 제13항 내지 제14항, 제15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03624A 2021-03-12 2021-03-12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KR20230154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80438 WO2022188145A1 (zh) 2021-03-12 2021-03-12 显示设备与终端设备的交互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786A true KR20230154786A (ko) 2023-11-09

Family

ID=8322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24A KR20230154786A (ko) 2021-03-12 2021-03-12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61257B2 (ko)
EP (1) EP4113262A4 (ko)
JP (1) JP2024512171A (ko)
KR (1) KR20230154786A (ko)
CN (1) CN115605835A (ko)
WO (1) WO20221881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900B2 (en) * 2000-04-27 2009-11-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inting devices
JP4246528B2 (ja) 2003-03-26 2009-04-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切替器
US20100081375A1 (en) 2008-09-30 2010-04-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JP4508077B2 (ja) * 2005-10-24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マルチカーソルシステム
GB2458297B (en) * 2008-03-13 2012-12-1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td Pointing device
JP5120136B2 (ja) 2008-08-05 2013-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リモコン並びにテレビ会議システム。
CN101739137B (zh) 2008-11-05 2013-01-09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实现快速切换的kvm装置
JP2010181978A (ja) * 2009-02-03 2010-08-19 Seiko Epson Corp 共同作業装置及び共同作業の制御方法
JP5531750B2 (ja) * 2010-04-16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TWI443641B (zh) * 2011-02-11 2014-07-01 Awind Inc 發送裝置、接收裝置、螢幕畫面傳輸系統及方法
US11082466B2 (en) * 2013-12-20 2021-08-03 Avaya Inc. Active talker activated conference pointers
CN104159149A (zh) 2014-08-26 2014-11-19 吴松珀 一种基于多用户鼠标的屏幕信息交互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63834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3293955A4 (en) 2015-05-07 2018-03-21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7483726A (zh) 2017-08-03 2017-12-15 成都弈览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仿真空鼠控制使用终端设备的方法
CN107506052A (zh) 2017-08-03 2017-12-22 成都弈览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智能手机的虚拟空鼠的方法及设备
US20190075456A1 (en) * 2017-09-07 2019-03-0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ecure wireless pairing of master slave devices withqr c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3262A4 (en) 2023-10-04
US20240078071A1 (en) 2024-03-07
EP4113262A1 (en) 2023-01-04
US20230161540A1 (en) 2023-05-25
WO2022188145A1 (zh) 2022-09-15
JP2024512171A (ja) 2024-03-19
US11861257B2 (en) 2024-01-02
CN115605835A (zh)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360B2 (en)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collaboration services and user terminal for receiving collaboration services
WO2021057830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553003B2 (en)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web picture
WO2020010816A1 (zh) 个人主页的展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94738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4003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KR102078894B1 (ko) 실시간 통신 및 경험 공유 세션 동안 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기법
US201200422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ent Display System
CN110070496B (zh) 图像特效的生成方法、装置和硬件装置
US10375342B2 (en) Browsing remote content using a native user interface
WO2021115103A1 (zh)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WO2020088118A1 (zh) 利用移动设备及显示设备进行同屏显示的电子装置及方法
US20080307096A1 (en) Using a remote handheld device as a local device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24976A1 (e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109903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40119082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for media content processing
US20140310337A1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8985138U (zh) 同屏显示的电子装置、计算机设备以及数据处理系统
JP2016513833A (ja) デバイスへの特定のオブジェクト位置の提供
JP201852574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データをタッチスクリーンコンピュータ間で相互共有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207083A1 (zh) 信息分享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5121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4345592A1 (e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154786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