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226A -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 Google Patents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226A
KR20230154226A KR1020237033474A KR20237033474A KR20230154226A KR 20230154226 A KR20230154226 A KR 20230154226A KR 1020237033474 A KR1020237033474 A KR 1020237033474A KR 20237033474 A KR20237033474 A KR 20237033474A KR 20230154226 A KR20230154226 A KR 2023015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fire extinguisher
base
fire
automa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리프 키블러
Original Assignee
그룹 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2102425A external-priority patent/FR3120540A1/fr
Application filed by 그룹 세이브 filed Critical 그룹 세이브
Publication of KR2023015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2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40)의 개구부(42)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자동 물 소화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화기(100)는 관통 구멍(26)을 갖는 베이스(24A), 및 개구부(42)와 관통 구멍(26)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을 포함한다. 베이스(24A)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지점(25A)을 더 포함하며, 소화기(100)는 파이프라인(4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세장 요소(31) - 상기 세장 요소(31)는 상기 고정 지점(25A)에서 베이스(24A)와 협력함 - , 및 소화기(100)가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라인(4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3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본 발명은 화재 방지 설비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직경이 여러 파이프라인 직경에 맞춰진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clamping collar)를 포함하는 자동 물 소화기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특히 기존의 여러 유형의 파이프라인에 소화기를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화재는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은 대중을 접하는 기업과 장소에 있어서 상당한 도전이다. 실제로 화재와 관련된 모든 사고는 상당한 물질적, 인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화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위반 시 법적 절차와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 방지 설비는 특정 구역을 감지, 표시 및 보호하도록 구성된 장비이다. 이를 위해 화재 방지 설비는 일반적으로 화재의 존재를 감지하는 부재, 화재를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억제 부재, 화재의 존재를 경고하도록 구성된 경보 부재 및 감지 부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시 억제 및 경보 부재를 실행하는 제어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유형의 설비 중에서, 가압수(pressurised water)를 사용하는 화재 방지 설비는 일반적으로 보호할 구역 내에 배치된 파이프라인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파이프라인은 "스프링클러"라고도 알려진 자동 물 소화기로 구성되며, 이는 억제 기능과 감지 기능을 모두 보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자동 물 소화기는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개구부가 뚫린 베이스로 구성된다. 이 개구부는 온도에 민감한 전구나 퓨즈로 닫혀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온도가 상승하여 전구가 파손되거나 퓨즈가 녹아 가압수 통로가 방출되고, 개구부를 통해 분출되어 불이난 부위에 분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물 흐름은 자동 물 소화기의 개구부를 직접 향하여 위치하는 디플렉터(deflector)에 부딪친다. 이 디플렉터를 사용하면 물의 흐름을 불이난 부위 방향으로 확장하고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설치에는 소화기가 감지 기능을 보장하지 않고 분사 기능만 보장하는 변형도 있다. 이 경우 파이프라인에는 지속적으로 가압수가 담겨 있지 않으며,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만 소화기에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클러는 물의 통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전구 또는 퓨즈를 포함하지 않는다.
파이프라인에 자동 소화기를 고정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에 만들어진 개구부 주위에 슬리브를 용접하는 제1 시스템이 있다. 그런 다음 자동 물 소화기가 슬리브에 나사로 고정된다. 그러나 파이프라인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해 슬리브를 페인트하거나 아연 도금 해야 하는데, 이는 용접 후에만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 제조 공정이 더 비싸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슬리브를 파이프라인에 고정하는 작업이 더 이상 용접으로 수행되지 않고 지지 칼라를 통해 수행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실시예의 제1 예에 따르면, 자동 물 소화기는 지지 칼라와 독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서 EP 0598151에는 자동 소화기를 칼라에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지지 칼라가 기술되어 있다. 이를 위해 지지 칼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커넥터를 지지하는 제1 부분은 곡선으로 되어 있어 도관의 상부 모양에 맞게 조정된다. 제2 부분은 스프링 효과가 있어 파이프라인에 지지 칼라를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변형에서, 제2 부분은 곡선형의 견고한 부분일 수도 있다.
실시예의 제2 예에 따르면, 자동 물 소화기는 지지 칼라와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EP 3756733에는 자동 물 소화기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들)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 칼라가 기술되어 있다. 상부는 도관의 상부 형상에 맞게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변형에서는 문서 DE9106943 및 GB8422476에 설명된 것처럼 상부 부분이 편평할 수도 있다.
하부 부분은 강성 곡선 부분으로, 도관의 하부 및/또는 측면 부분의 모양에 맞게 구성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의 곡선 형상은 다른 파이프라인 직경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표준화된 소방 설비 파이프라인 크기를 정의하는 표준은 없다. 치수는 필요와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파이프라인은 "DN 25" 또는 "DN 125"라고도 하는 25~125mm의 표준화된 직경 범위에서 다양한 치수를 갖다.
따라서 이전 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지지 칼라의 크기를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의 치수를 미리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칼라의 치수가 파이프라인의 치수에 맞춰지지 않는 경우 추가 비용과 설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적응성 결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제안하는 기술적 문제는 기존의 여러 파이프라인 직경에 맞춰질 수 있는 자동 물 소화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의 모양과 크기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를 포함하는 자동 물 소화기를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유연한 클램핑 칼라가 설치 품질을 잃지 않고 종래 기술의 견고한 칼라를 대체할 수 있다는 발견의 결과이다.
실제로, 화재 방지 설비는 시운전 시 설비가 규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화재 시에도 효과적이도록 전체 수명 동안 이 규정을 준수해야 하는 매우 엄격한 표준을 따릅니다. 이러한 표준은 특히 설비 구성 요소가 견뎌야 하는 압력을 규제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가요성 클램핑 칼라가 특히 화재 설비에 필요한 약 10bar, 예를 들어 5 내지 20bar,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bar, 의 압력을 받을 때 마모 및 변형 위험이 너무 높다고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안전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스프링클러 분야에 이러한 클램핑 칼라를 사용하는 것을 피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의 개구부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자동 물 소화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파이프라인은 5 내지 20 bar의 가압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설비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화기는
- 관통 개구부를 갖는 일체형 베이스, 및
- 상기 파이프라인의 개구와 상기 베이스의 관통 개구부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을 포함한다.
그러한 소화기는:
- 베이스가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지점을 더 포함하고,
- 소화기는
파이프라인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세장 요소 - 상기 세장 요소는 상기 고정 지점에서 베이스와 협력함 - , 및
소화기가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라인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와 독립적인 조정 수단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정 수단은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대해 클램핑 칼라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칼라는 25mm에서 50mm 사이의 직경에 맞게 조정될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적응 능력을 얻기 위해, 조정 수단은 세장 요소에 만들어진 노치와 협력하여 루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정 수단은 베이스의 먼 구역에 위치되어 파이프라인의 개구부에 가해지는 압력 제약에 가장 잘 견딜 수 있도록 베이스와 더욱 독립적이다. 실제로, 조정 수단이 베이스로부터 멀어질수록 클램핑 칼라는 확장, 변형 및 파손에 대한 더 잘 견딘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수단은 파이프라인의 개구부로부터 베이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장 잘 보상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의 개구부와 직경방향으로 정반대에 설치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 주위에 가해지는 장력이 더 잘 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는 일체형이다 즉, 베이스는 예를 들어 문서 WO2018/014066에 설명된 것과 같이 여러 구성 요소의 조립에서 나오는 부분과 반대되는 하나의 단일 홀딩으로 형성된 부품이다. 가해지는 높은 압력을 고려하여 일체형 베이스를 사용하면 작동 기간 예를 들어 5년 또는 10년 동안 지속적인 내성을 보장할 수 있다.
씰, 조정 수단 및 베이스와 협력하는 세장 요소의 결합으로 파이프라인과 자동 소화기 사이 연결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이프라인 직경에 대한 클램핑 칼라의 적응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실제로, 세장 요소는 베이스와 파이프라인 사이에 삽입된 씰이 압축되는 동안 파이프라인에 대해 베이스를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에 대한 세장 요소의 견인력에 의해, 씰이 변형되어 파이프라인의 관통 구멍 주위에 베이스의 밀봉을 보장하고 파이프라인의 곡률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의 압력을 받는 씰은 파이프라인과 베이스 사이의 곡률 차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해준다. 더욱이, 조정 수단은 시일이 압축되는 위치에 세장 요소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시일의 압축 용량 또한 클램핑 수단의 고정 위치의 적응성의 부족을 채운다.
세장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베이스에 대한 견인력, 조정 수단의 모듈성 및 씰의 변형 용량으로 인해 지지 장치를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조정 수단 및 세장 요소는 시간이 지나도 내구성이 있으며, 즉 시간이 지나도 변형되지 않고 오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은 지속적으로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이, 조정 수단과 시일의 결합은 또한 제조 공차로 인해 파이프라인 직경의 매우 낮은 변동에 대해 클램핑 칼라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특정 직경 예를 들어 직경 25mm의 파이프라인 중에서 제조 공차는 파이프라인 직경이 달라질 수 있는 +/- 1mm의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수단의 노치는 제조 공차에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감소된 피치를 갖는다.
자동 물 소화기는 파이프라인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는 한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어떤 방향으로든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물 소화기는 파이프라인 위, 아래 또는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클램핑 칼라의 길이는 파이프라인의 벽에 위치하도록 고안된 칼라의 유용한 부분에 해당한다. 실제로 클램핑 칼라는 고정된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조정 중에는 칼라의 한 부분만 파이프라인에 자동 소화기를 고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불필요한 부분은 자동 소화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자동 물 소화기는 설치를 더욱 컴팩트하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자동 소화기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 없이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자동 물 소화기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선반이나 낮은 천장 아래 공간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 더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파이프라인 직경에 적응할 수 있는 클램핑 칼라를 사용하면 다양한 칼라 크기 참조 수를 제한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이 제한된다. 더욱이, 클램핑 칼라의 조정은 하나의 단일 파이프라인 직경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종래 기술의 지지 칼라와는 달리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핑 칼라는 칼라의 수와 크기를 미리 제공할 필요 없이 현장에서 자동 물 소화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상당한 시간 절약과 비용 절감이 가능해졌다.
실시예에서, 소화기는 하나의 단일 클램핑 칼라와 베이스의 양쪽에 배치된 두 개의 고정 지점만을 포함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가요성 클램핑 칼라가 마모 및 변형의 위험이 너무 높다고 생각하는 당업자는 클램핑 칼라의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클램핑 칼라의 수를 늘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모든 기대에 반하여 누출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하나의 단일 클램핑 칼라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고정 지점(anchoring points)"은 베이스의 수용 요소에 대응하여 클램핑 칼라가 파이프라인 주위에 둘러싸일 때 클램핑 칼라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정 지점은 러그와 같은 돌출부나 개구부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지점은 파이프라인의 주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된 관통 개구부이고, 세장 요소는 관통 개구부에 세장 요소의 적어도 한 단부를 삽입하고 해당 베이스의 경계 주위에 루프를 형성하여 베이스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라인의 주요 방향은 파이프라인의 길이에 평행한 방향에 해당한다.
따라서 조정 방법이 쉽게 재현 가능하고 도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베이스에 클램핑 칼라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장 요소가 파이프라인을 둘러싸도록 아래에서 위로 두 개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런 다음 세장 요소의 끝을 베이스 상단에서 잡아당겨 베이스 끝 위로 접어 파이프라인 주위에 클램핑 칼라를 고정한다. 이어서 세장 요소의 단부는 함께 복귀되어 조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에 자동 뭘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이 주로 더 빨라졌다.
실제로 관통 개구부는 베이스에 만들어진 슬롯에 해당할 수 있다. 변형에서, 관통 개구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장착된 축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베이스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만들어지며, 이로써 파이프라인의 개구부에 대한 자동 물 소화기의 잘못된 위치 지정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장 요소의 두 단부는 베이스의 양쪽에 배치된 고정 지점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세장 요소가 조정 수단에 대한 작용 후에 파이프라인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실제로, 각각의 고정 지점은 세장 요소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슬롯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러그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세장 요소의 단부에 고정된 축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러그는 조정 수단에 대한 작용 전에 하우징에 축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조정 수단에 대한 작용 후에 상기 축의 추출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방법이 쉽게 재현 가능하고 도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베이스에 클램핑 칼라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세장 요소가 파이프라인을 둘러싸고 축이 있는 그 끝이 베이스의 하우징에 막혀 있으면 충분하다. 그런 다음 클램핑 칼라는 조정 수단을 통해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맞게 조정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에 자동 물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이 주로 더 빨라졌다.
변형에서, 각각의 고정 지점은 세장 요소의 단부에 만들어진 구멍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러그를 포함한다.
베이스에 클램핑 칼라를 장착하는 작업은 구멍이 있는 끝부분이 베이스 러그에 막히도록 파이프라인 주위에 세장 요소를 장착하여 수행된다. 그런 다음 클램핑 칼라는 조정 수단을 통해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맞게 조정된다.
세장 요소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형태에서, 세장 요소는 스트립, 즉 밴드와 유사한 형태이다. 변형에서는 세장 요소가 케이블로 더 얇지만 저항력은 동일하다. 실제로, 본 발명은 설비의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폭이 감소되는 세장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세장 요소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데, 놀랍게도 본 발명은 설비의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세장 요소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시일을 미리 결정된 비율로 압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마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클램핑 칼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오류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자는 실제로 설치 중에 직경과 서비스 압력에 따라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씰이 최적으로 압축되도록 클램핑 칼라를 얼마나 멀리 고정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에 의존할 수 있다. 변형에서, 이러한 조정 마커는 클램핑 칼라의 조정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대체되거나 연관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수단은 세장 요소의 단부와 일체형이다.
실제로, 이 실시예는 세장 요소의 자유 단부를 당기는 간단한 움직임을 수행함으로써 파이프라인에 자동 소화기를 클램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클램핑 칼라는 자동 물 소화기를 파이프라인에 장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유리하게 단순화하고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세장 요소를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올바른 작동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자동 물 소화기는 온도에 민감하며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물 흐름을 추출하기 위해 관통 구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관통 구멍을 차단하기 위한 요소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자동 물 소화기는 또한 상기 베이스 위에 고정되고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나오는 물 흐름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는 디플렉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자동 물 소화기의 헤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스터럽(stirrup) 및 베이스가 디플렉터 및 차단 요소가 장착되는 모놀리식 블록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포괄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스터럽, 디플렉터 및 차단 요소에 의해 형성된 헤드가 베이스와 독립적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와 디플렉터, 스터럽 및/또는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헤드는 모놀리식 블록을 형성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와 디플렉터, 스터럽 및/또는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헤드는 독립적이며, 헤드는 나사 고정에 의해, 홈이 있는 커넥터에서의 인터로킹에 의해 또는 기타 협력 수단에 의해 베이스에 장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설비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라인, 및
-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자동 물 소화기.
바람직하게는, 파이프라인은 내부 및 외부 면이 도색되거나 사전 도색된 파이프라인으로 즉, 파이프라인은 내부 및 외부 면을 덮는 페인팅을 포함한다. 페인팅을 하면 특히 녹으로 인한 성능 저하로부터 파이프라인을 보호할 수 있다.
적용되는 페인팅은 벗겨짐 없이 피어싱과 절단이 가능해야 하므로, 작업장에서 제조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되는 제조 후 페인팅 단계가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라인의 페인팅은 특히 천공 및 절단 중에 저항력이 있는 에폭시드 폴리머 바인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는 방식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점은 첨부 도면을 뒷받침하는 아래 실시예의 설명에서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4개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자동 물 소화기가 고정된 파이프라인의 사시도,
도 2는 또 다른 4가지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자동 물 소화기가 고정된 파이프라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13은 도 1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14는 도 1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15는 도 2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16은 도 2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17은 도 2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18은 도 2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19는 도 2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20은 도 2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21은 도 2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22는 도 2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측면도,
도 23은 도 2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24는 도 2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정면도,
도 25는 도 2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소화기의 측면도,
도 26은 도 2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의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장착된 자동 물 소화기 베이스와 클램핑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클램핑 칼라의 조정 수단의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클램핑 칼라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 설치의 제1 단계의 단면도,
도 30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 설치의 제2 단계의 단면도,
도 30c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 설치의 제3 단계의 단면도,
도 30d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 설치의 제4 단계의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 베이스의 고각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자동 물 소화기 베이스의 정면도, 그리고
도 33은 도 31의 자동 물 소화기 베이스의 저각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800, 900, 1000, 1100)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라인(40)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설비에 장착된다.
파이프라인(40)는 약 10바, 예를 들어 5바 내지 20바, 바람직하게는 8바 내지 12바의 압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라인(40)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내변형성 특성을 갖는 재료, 일반적으로 강철, 스테인레스강, 아연 도금강, 구리 또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파이프라인(40)의 직경은 보호할 구역과 관련된 필요성, 설치 치수 및 수원에 대한 자동 소화기의 위치 지정에 따라 "DN 25" 또는 "DN 125"라고도 불리는 일반적으로 25mm에서 125mm 사이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방지 설비는 더 큰 치수의 중앙 파이프라인 뼈대(40)와 더 작은 직경의 파이프라인에 의해 형성된 분맥(ramificat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800, 900, 1000, 1100)를 통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부(42)가 파이프라인(40)에 만들어진다. 개구부(42)는 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볼 때 "DN 10" 또는 "DN 25"라고도 불리는 10mm와 25mm 사이의 직경을 갖는 원형이다. 개구부(42)의 직경은 보호할 구역의 소화를 위해 선택될 스프링클러 헤드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DN 32 내지 DN 40의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도 관찰되었다.
두개의 개구부(42)를 분리하는 거리는 일반적으로 2 내지 4.6m 사이로 조정된다. 마찬가지로 개구부(42)는 보호할 구역의 벽에서 최소 1m 떨어져 있어야 한다. 2개의 개구부(42)를 분리하는 거리가 0.9m일 수 있다는 것이 최근 관찰되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800, 900, 1000, 110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모든 실시예는 공통 요소를 갖는다. 일례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800, 900, 1000, 1100)는 평면을 갖고 두께가 0.5~1.5cm인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모양인 일체형 베이스(24A-24D, 2AH-24K)로 이루어진다. 변형에서, 베이스(24E, 24G)의 하부면은 도 27 및 도 31-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하부면의 곡률은 자동 물 소화기(500, 700)가 적용될 수 있는 더 큰 직경의 파이프라인(40)의 곡률에 맞게 선택된다. 최근에는, 3mm 두께의 베이스 (24E, 24G)가 관찰되었다.
베이스(24A~24D, 2AH~24K)는 성형법, 가공이나 레이저 커팅 등 소재를 빼는 방식, 3D 프린팅 등 적층 방식으로 직접 얻을 수 있다.
베이스(24A-24K)는 예를 들어 2mm와 10mm 사이의 직경을 갖는 관통 개구부(26)를 더 갖는다. 직경은 본 발명을 변경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10mm에서 500mm 사이로 더 클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시일(28)은 베이스(24A-24K)의 하부면, 전형적으로 베이스(24A-24K)와 파이프라인(40) 사이를 향하여 위치되어, 베이스(24A-24K)와 파이프라인(40)의 개구부(26, 42)를 각각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예로서, 시일(28)은 0.2 내지 0.7cm 두께의 고무 O-링이다. 변형에서, 더 큰 직경의 파이프라인에 대해 씰은 립(lips)을 포함할 수 있고 0.5cm와 3c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24A-24K)의 개구부(26)는 바람직하게는 열 감지 차단 요소(23), 전형적으로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근처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57~343℃ 사이의 트리거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저하되도록 구성된 유리 전구 또는 퓨즈에 의해 차단된다.
전구 및/또는 퓨즈의 성능 저하에 대한 몇 가지 온도 표준이 있다. 특히 이러한 표준은 전구에 포함된 액체의 색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 은 트리거 온도 68℃에 해당한다.
유리하게는, 디플렉터(22)가 베이스(24A-24D, 24H-24K)의 개구부(26)를 향하여 위치된다. 디플렉터(22)는 우산이나 파라솔과 유사한 형상, 즉 원형 표면, 바람직하게는 곡선을 가지며, 그 오목한 부분은 개구부(26)로부터 나오는 물의 흐름을 차단 하고 방향을 불이난 영역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개구부(26)를 향하여 위치된다. 변형예에서, 디플렉터(22)는 물 흐름의 효과적인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디플렉터의 주변에는 핀(21)이 제공된다. 디플렉터(22)는 바람직하게는 2개인 측면 스터럽(29)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어셈블리는 황동, 청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또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스터럽(29)과 디플렉터 사이의 접합부에는 나사가 고정된다. 나사는 디플렉터를 고정하는 동시에 차단 요소(23)를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플렉터(22), 스터럽(29) 및 차단 요소(23)에 의해 형성된 "헤드"(20)라고도 불리는 조립체는 베이스(24A-24D, 24H-24K)와 일체형이다.
예를 들어 도 27 및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헤드(20)는 베이스(24E, 24G)와 독립적일 수 있다. 즉, 헤드(20)의 관통 개구부와 베이스(24E, 24G)의 관통 개구부(26)를 정렬함으로써 헤드(20)는 베이스(24E, 24G)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20)는 나사산 또는 홈을 갖고 베이스(24E, 24G)의 관통 개구부(26)의 벽에 형성된 제2 나사산 또는 홈과 협력하는 수형(male)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는 베이스(24E, 24G)상의 홈이 있는 커넥터를 통해 나사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칼라(들)(30)은 파이프라인(40)에 헤드(20)를 고정하고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클램핑 칼라(30)는 예를 들어 0.5 내지 2cm 폭의 스트립 또는 0.2 내지 1cm 직경의 케이블과 같은 세장 요소를 포함한다. 변형에서, 세장 요소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serflex"형 클램핑 요소일 수 있다. 클램핑 칼라(30)는 또한 클램핑 칼라(30)의 클램핑 및 길이에 대한 조정 수단(32)을 포함한다. 파이프라인(40)의 직경과 설치 요구에 따라 베이스(24A-24K)에는 하나 이상의 클램핑 칼라(30)가 제공될 수 있다.
조정 수단(32)은 베이스(24A-24K)와는 독립적이다.
제1 예에 따르면, 조정 수단(32)은 클램핑 칼라(30)의 세장 요소와도 독립적일 수 있다. 이는 세장 요소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세장 요소에 고정되거나 연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착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칼라(30)는 금속 스트립(3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조정 수단은 스트립(31)과 별개로 스트립(31)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우징(35)을 포함하는 루프(33A)를 포함할 수 있다. 셀프 태핑 나사(34)를 사용하면 다양한 두께의 스트립(31)을 관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루프(33A)는 나사(34) 본체의 하부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36)를 갖는다.
따라서, 세장 요소는 시일(28)이 최적의 압축률로 압축되고 파이프라인과 자동 소화기 사이의 연결이 가능한 밀봉되도록 필요한 개구부를 생성함으로써 파이프라인(40)의 직경과 공차에 직접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조정은 "맞춤형"으로 이루어지며 조정 옵션은 거의 연속적이다.
변형예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세장 요소는 세장 요소를 따라 규칙적이고 밀접하게 만들어진 개구부를 포함하는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세장 요소가 파이프라인의 직경과 공차에 직접적으로 적응될 수 있도록, 개구부 사이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제조자의 공차보다 작거나 같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의 직경이 25mm이고 공차가 +/- 1mm인 경우, 개구부 사이의 피치는 1mm 이하이다. 따라서 최적의 압축률로 씰을 압축할 수 있으며, 파이프라인과 자동 소화기의 연결도 최대한 밀봉되도록 한다.
베이스(24E)를 파이프라인(40)에 고정하기 위해, 파이프라인(40)의 개구부(42)에 위치시켜 헤드의 스터럽이 파이프라인(40)의 길이와 정렬되어 물이 파이프라인(40)의 주요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한다. 스트립(31)의 두 단부는 측면 개구부(25E)에 의해 형성된 고정 지점을 통해 하단에서 상단으로 삽입되어 스트립(31)이 파이프라인(40)을 둘러싸게 된다. 그런 다음 스트립(31)의 단부를 베이스(24E)의 상단으로부터 잡아 당기고 베이스(24E)의 단부 위로 접혀 파이프 라인(40) 주위에 클램핑 칼라(30)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스트립(31)의 단부가 함께 복귀되어 베이스(24E)의 각 가장자리 주위에 루프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스트립(31)의 단부는 조정 수단(32)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33A)는 제1 스트립(31) 두께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스트립(31)의 단부를 접고 루프(33A)의 하우징(35)에 삽입한 다음 파이프라인(40)에 베이스(24E)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도록 클램핑한다. 이를 위해, 스트립(31)의 단부는 적어도 1cm의 길이에 걸쳐 하우징(35)의 각 측면을 지나간다. 따라서 스트립(31)의 단부는 루프(33A)의 본체(37)에서 중첩된다. 나사(34)는 최종적으로 이러한 중첩 위치에 삽입되고 스트립(31)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2개의 두께를 관통한다.
변형예에서, 도 30a 내지 도 3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수단(32)은 스트립의 단부와 일체형일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 칼라(30)는 금속 스트립(3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조정 수단은 스트립(31)의 단부에 고정된 하우징(35)을 포함하는 루프(3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5)은 금속 스트립(31)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평행육면체 단면의 튜브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셀프 태핑 나사(34)와 같은 고정 수단은 튜브의 길이에 수직으로 그리고 튜브 내에서의 스트립(31)의 이동 방향으로 하우징(35)에 배치되어, 스트립(31)이 파이프라인(40) 주위로 압축되어 튜브에 삽입될 때 스트립(31)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튜브에 포함되고 세장 요소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볼(ball)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튜브에는 가변 단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튜브의 단면은 볼의 직경보다 큰 치수부터 볼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까지 좁아진다. 따라서, 튜브 내에서 세장 요소가 미끄러지는 동안, 볼은 세장 요소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축소된 치수의 튜브 부분을 향해 구동되어 막히게 된다. 따라서 볼은 또한 세장 요소를 차단한다.
도 30a 내지 도 30d의 실시예에서, 베이스(24F)의 공간(25F)은 스트립(31)의 고정 지점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33B)가 제공되지 않은 스트립(31)의 단부는 베이스(24F)의 제1 고정 지점을 둘러싸기 위해 제1 움직임(M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움직임(M1)은 스트립(31)이 파이프라인(40)을 따라 도달할 때까지 베이스(24F)의 상부면으로부터 베이스(24F)의 하부면까지의 공간(25F)에 스트립(31)을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스트립(31)은 베이스(24F)의 제2 고정 지점까지 파이프라인(40) 주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31)은 베이스(24F)의 제2 고정 지점을 둘러싸도록 움직임(M2)에 따라 공간(25F)에 도입된다. 이러한 움직임(M2)은 스트립(31)이 파이프라인(40)을 따라 도착할 때까지 베이스(24F)의 하부면으로부터 베이스(24F)의 상부면까지의 공간(25F)에 스트립(31)을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스트립(31)은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M3)에 따라 루프(33B)에 도입된다. 그런 다음 클램핑 칼라(30)는 움직임(M4)에 따라 루프(33B)의 하우징 내로 통과한 후 스트립(33)의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파이프라인(40) 주위로 압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립(31)의 원하는 압축 장력이 얻어지면, 도 3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31)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하우징(35)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M5)의 작용에 의해 루프(33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루프(33C)를 통과하는 스트립(31)의 나머지 단부는 선택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립은 또한 조정 수단(32)을 수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노치 또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칼라(30)는 또한 파이프라인(40)의 직경과 압력에 클램핑을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마커를 갖는다.
클램핑 칼라(30)를 베이스(24A-24K)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실시예가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베이스(24A)는 모서리에 경사면이 있는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24A)는 2cm와 10cm 사이의 길이와 2cm와 5cm 사이의 폭을 갖는다. 베이스(24A)의 길이는 파이프라인(40)의 주요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4A)는 그 단부에 베이스(24A)의 두께로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클램핑 칼라(30)의 스트립(31)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두 개의 측면 홈(25A)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베이스(24B)는 길이가 4 내지 10cm이고 폭이 4 내지 10cm인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의 길이는 파이프라인(40)의 주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4B)는 중앙의 평행육면체 모양의 홈뿐만 아니라 스터럽(29)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측면 리세스도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24B)는 그 단부에 베이스(24B)의 두께로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클램핑 칼라(30)의 스트립(31)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두 개의 홈(25B)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베이스(24C)는 길이가 2 내지 10cm이고 폭이 2 내지 5cm인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의 길이는 파이프라인(40)의 주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4C)는 개구부(25C)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고정 지점을 갖는다. 리세스의 단부는 두 개의 축(43)을 포함한다. 따라서, 클램핑 칼라(30)의 스트립(31)은 개구부(25C)를 통과하여 축(43) 주위에 루프를 형성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 베이스(24D)는 길이가 2 내지 8cm이고 폭이 2 내지 5cm인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24D)의 길이는 파이프라인(40)의 주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4D)는 베이스(24D)의 양측에 장착된 두 개의 축(43)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축(43)은 클램핑 칼라(30)의 고정 지점이며, 베이스(24D)의 에지와 축(43) 사이에 공간(25D)을 자유롭게 남기도록 위치된다. 이 공간(25D)은 클램핑 칼라(30)의 스트립(31)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여 축(43) 주위에 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서 베이스(24H)는 베이스(24H)의 양쪽에 2개의 고정 지점(25H)을 포함 한다. 각각의 고정 지점(25H)은 0.3 내지 1cm의 깊이를 갖고 0.5 내지 4cm의 길이와 0.1 내지 1cm의 직경을 갖는 축(47)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하우징(49)을 포함한다. 이 제5 실시예에서, 하우징(49)은 베이스(24H)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하우징(49)은 두 개의 평행육면체 모양의 러그(48)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분은 고정 지점(25H)에 두 개의 축(47)을 설치하는 동안 하우징(49)을 향한 축(47)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 지거나 둥근 형상을 갖는다. 2개의 러그(48)는 케이블(39)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고 파이프라인(40) 주위에 케이블(39)을 클램핑하는 동안 축(47)을 유지하는 크기의 슬롯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케이블(39)이 파이프라인(40) 주위로 팽팽해지면, 축(47)은 러그(48)에 의해 유지되고, 하우징(49)에 고정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서 고정 지점(25I)의 하우징(49)은 축(47)의 추출로 이어지지 않고 더 낮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슬롯의 폭은 세장 요소(31)의 폭에 맞춰질 수도 있다. 제6 실시예에서, 슬롯은 스트립(31)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서 베이스(24J)는 세장 요소(31)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러그(50)를 포함하는 고정 지점(25J)을 갖는다. 세장 요소를 베이스(24J)에 장착하기 위해, 세장 요소(31)의 구멍은 파이프라인(50)도 둘러싸도록 러그(50)에 삽입되고, 클램핑 칼라(30)는 조정 수단(32)을 통해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맞춰진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에서 베이스(24K)는 세장 요소(31)의 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슬롯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러그(48)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우징(49)을 갖는다. 슬롯은 2개의 러그(48)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덮여 있어 0.05 내지 0.2cm 두께의 공간을 생성하여 축(47)의 통과가 가능하지 않고 세장 요소(31)의 통과만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세장 요소(31)를 삽입하기 위해, 축(49)이 먼저 제거되어야 하고, 이어서 세장 요소(31)의 단부 부분이 플레이트에 의해 덮인 슬롯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축(47)은 예를 들어 세장 요소(31)의 단부에 생성된 루프 내로 축(47)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세장 요소(31)의 단부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축(47)이 하우징(49)에 삽입된다. 축(47)은 플레이트의 존재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하우징(49)으로부터 추출될 수 없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서 베이스(24E)는 베이스(24E)의 두께로 만들어진 홈(25E)을 포함한다. 홈(25E)의 하부에도 구멍(bore; 46)이 형성되어 홈이 바깥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구멍 부재(46)는 스트립(31)이 파이프라인(40)의 형상에 가장 잘 맞춰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실시예에서, 베이스(24G)는 소화기가 베이스(24G)에 고정되기 전에 파이프라인(4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4G)는 길이가 2 내지 8cm이고 폭이 2 내지 5cm인 실질적으로 육각형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24G)의 길이는 파이프라인(40)의 주 방향(D)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24G)는 베이스(24G)의 두께로 베이스(24G)의 양쪽 측면에 만들어지고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이며 두 개의 클램핑 칼라(30)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는 두 쌍의 측면 홈(25G)을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홈은 1 내지 3cm의 간격을 두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베이스(24G)는 소화기가 베이스(24G)에 장착된 홈이 있는 헤드(20)를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DN50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파이프라인(40)에 특히 표시된다.
2개의 클램핑 칼라(30)의 장착은 도 17a-17d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클램핑 칼라(30)는 서로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모든 파이프라인 직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자동 물 소화기를 개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0)

  1. 파이프라인(40)의 개구부(42)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자동 물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로서, 상기 파이프라인(40)은 5바 내지 20바 사이의 가압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설비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는:
    관통 구멍(26)을 갖는 일체형 베이스(24A-24K), 및
    상기 파이프라인(40)의 개구부(42)와 상기 베이스(24A-24K)의 관통 구멍(26)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는 시일(28)을 포함하되,
    - 베이스(24A-24K)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지점(25A-25K)을 더 포함하고,
    -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는
    파이프라인(4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세장 요소(31, 39) - 상기 세장 요소(31, 39)는 상기 고정 지점(25A-25G)에서 베이스(24A-24K)와 협력함 - , 및
    베이스(24A-24K)와 독립적이며,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가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라인(4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는 하나의 단일 클램핑 칼라(30)와 베이스(24A-24K)의 양쪽에 배치된 단지 두 개의 고정 지점(25A-25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 지점(25A-25G)은 파이프라인(40)의 주 방향(D)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된 관통 개구부이고, 세장 요소(31, 39)는 세장 요소(31, 39)의 적어도 한 단부를 관통 개구부에 삽입하고 상기 베이스(24A-24G)의 경계 주위에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24A-24G)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관통 개구부는 베이스(24A-24G)에 만들어진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관통 개구부는 베이스(24A-24G)와 베이스(24A-24G)의 축(4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세장 요소(31, 39)의 두 단부는 베이스(24H-24K)의 양쪽에 배치된 고정 지점(25H-25K)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세장 요소(31, 39)는 조정 수단(32)에 대한 작용 후에 파이프라인(4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지점(25H-25K)은 세장 요소(31, 39)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슬롯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러그(lugs; 4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하우징(49)을 포함하며, 하우징(49)은 세장 요소(31, 39)의 단부에 고정된 축(47)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러그(48, 50)는 조정 수단(32)에 대한 작용 전에 하우징(49)에 축(47)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조정 수단(32)에 대한 작용 후에 상기 축(47)의 추출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지점(25H-25K)은 세장 요소(31, 39)의 단부에 만들어진 구멍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러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 요소(31)는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 요소(39)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 요소(31, 39)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칼라(30)의 길이의 조정 수단(32)은 시일(28)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압축할 수 있게 하는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수단(32)은 세장 요소(31, 39)의 단부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에 민감하고 관통 구멍(26)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통 구멍(26)을 차단하기 위한 요소(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4A-24K) 위에 고정되고 파이프라인(40)으로부터 나오는 물 흐름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는 디플렉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베이스(24A-24K)와 디플렉터(22), 스터럽(29) 및/또는 차단 요소(23)를 포함하는 헤드(20)는 단일 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7.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베이스(24A-24G)와 디플렉터(22), 스터럽(29) 및/또는 차단 요소(23)를 포함하는 헤드(20)는 독립적이며 헤드(20)는 나사 고정에 의해 베이스(24A-24K)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8. 화재 방지 설비로서:
    -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4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라인(40), 및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를 포함하는 화재 방지 설비.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파이프라인(40)은 내부 및 외부 면이 도색되거나 사전 도색된 파이프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설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파이프라인(40)의 페인팅은 에폭시드 폴리머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설비.
KR1020237033474A 2021-03-11 2022-03-04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KR20230154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2425A FR3120540A1 (fr) 2021-03-11 2021-03-11 Extincteur automatique a eau et installation de protection incendie associee
FRFR2102425 2021-03-11
FRFR2105007 2021-05-12
FR2105007A FR3120539A1 (fr) 2021-03-11 2021-05-12 Extincteur automatique a eau et installation de protection incendie associee
PCT/FR2022/050392 WO2022189737A1 (fr) 2021-03-11 2022-03-04 Extincteur automatique a eau et installation de protection incendie associ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226A true KR20230154226A (ko) 2023-11-07

Family

ID=8095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474A KR20230154226A (ko) 2021-03-11 2022-03-04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304743A1 (ko)
JP (1) JP2024513319A (ko)
KR (1) KR20230154226A (ko)
AU (1) AU2022235203A1 (ko)
BR (1) BR112023018048A2 (ko)
CA (1) CA3211518A1 (ko)
IL (1) IL305754A (ko)
MX (1) MX2023010531A (ko)
WO (1) WO20221897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265A (en) * 1953-05-22 1959-04-28 Roger C Boughton Pipe saddle and laminated strap means for securing same to pipe
US3663042A (en) * 1970-04-22 1972-05-16 Dwight W Fowler Sewer tap
US4019581A (en) * 1975-08-14 1977-04-26 Diggs Richard E Metal building with combined temperature control and firefighting system
FR2402825A1 (fr) * 1977-09-12 1979-04-06 Boisset Michel Collier adaptable pour la realisation d'un raccordement ou d'un raccord sur une conduite
DE3812189A1 (de) * 1988-04-13 1989-10-26 Alois Bauer Rohrschnellverbinder
US5169177A (en) * 1991-01-18 1992-12-08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Quick connect branch connector
DE9106943U1 (ko) 1991-06-06 1991-07-25 Total Walther Feuerschutz Gmbh, 5000 Koeln, De
DE20106522U1 (de) * 2001-04-14 2001-07-26 Muecher Hermann Gmbh Rohrförmiges Anschlußelement bei Kanalhauptrohren
KR100803762B1 (ko) * 2006-04-28 2008-02-15 김중삼 분기관
US8439060B1 (en) * 2010-04-29 2013-05-14 Gregory G. Jackson Attachable drain collar for plumbing system couplings
AT518166B1 (de) 2016-07-22 2017-08-15 Agru Kunststofftechnik Ges M B 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ontieren eines rohrartigen Abzweigungselement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n einem Haupt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CN209302086U (zh) * 2018-11-29 2019-08-27 泉州财盛铸造有限公司 一种耐腐蚀消防栓铸件
EP3756733A1 (de) 2019-06-28 2020-12-30 Calanbau Brandschutzanlagen GmbH Feuerlöschanlage und sprinkler für eine feuerlöschanlage
BR202019015241U2 (pt) * 2019-07-24 2021-02-09 Aleixo De Matos Silva Conexão ajustá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4743A1 (fr) 2024-01-17
CA3211518A1 (fr) 2022-09-15
JP2024513319A (ja) 2024-03-25
BR112023018048A2 (pt) 2023-10-03
IL305754A (en) 2023-11-01
AU2022235203A1 (en) 2023-09-14
MX2023010531A (es) 2023-09-19
WO2022189737A1 (fr)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745A (en) Relocatable sprinkler assemblage
US7798431B2 (en) Flow control device
EP3273129B1 (en) Sprinkl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piping system
CN103697219B (zh) 具有阀盘制动器组件的紧急切断安全装置
WO1999058200A1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US20090056958A1 (en)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US20190388720A1 (en) Tool and Method for Draining a Fire Sprinkler System and a Fire Sprinkler
US11389682B2 (en) Sprinkler assembly with cap and cover
EP1107829B1 (en) sprinkler nozzle
KR20230154226A (ko) 자동 물 소화기 및 관련 화재 방지 설비
JP6242500B2 (ja) 絞りリングを有する、定置式消火システム用の消火流体ノズルシステム、並びに消火流体ノズルおよび消火流体ノズル用の絞りリング
DK2512607T3 (en) FIRE-FIGHTING DEVICE FOR TRANSFORMING A LIQUID TO A LIQUID MIST
CN117241863A (zh) 自动水灭火器及相关的火灾防护设施
US20210154505A1 (en) Inline valve for sprinkler head replacement
EP3580483B1 (en) Purge and vent valve assembly
KR102030043B1 (ko) 가공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US20050051674A1 (en) Pipe surge protector and hanger support
US20240159344A1 (en) Take-up device
US20230158350A1 (en) Protected Branch Connector Assembly For Fire Protection Systems
CN117120760A (zh) 拉紧装置
EP2404644A1 (en) Sprinkler head box
GB2163953A (en) Fire protective sprinkler 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