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946A -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946A
KR20230153946A KR1020230055580A KR20230055580A KR20230153946A KR 20230153946 A KR20230153946 A KR 20230153946A KR 1020230055580 A KR1020230055580 A KR 1020230055580A KR 20230055580 A KR20230055580 A KR 20230055580A KR 20230153946 A KR20230153946 A KR 2023015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water
cosmetic composition
oil
thi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진
손남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15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9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유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 증점제를 포함하여 수중유형(O/W) 제형의 유화 입자간의 합일이 방지되므로 장기 보관이나 고온 보관에 따른 상 분리 문제점이 해결되고 상 안정성이 개선되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므로 백탁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충분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면서도 사용감이 좋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 screening without white cloudy phenomenon}
본 발명은 수상에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유상에 오일 증점제 및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수중유형(O/W) 제형의 유화 입자간의 합일이 방지되므로 장기 보관이나 고온 보관에 따른 상 분리 문제점이 해결되고 상 안정성이 개선되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므로 백탁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충분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면서도 사용감이 좋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UV-A, UV-B 및 UV-C로 나누어 지는데, 320 내지 400nm의 파장은 UV-A로, 280 내지 320nm의 파장은 UV-B로, 그리고 200 내지 280nm의 파장은 UV-C로 분류된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을 유발하고, 주름과 멜라닌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하여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상기와 같은 일광 노출과 관련된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갖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제품은 높은 SPF 값을 나타내기 위해 티타늄다이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에틸헥실트리아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또는 다이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와 같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피부에 발랐을 때 백탁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다시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수용성 유기자차)와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유용성 유기자차)로 분류되며, 종래에는 O/W 또는 W/O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사용감 면에서 유중수형(W/O) 제형은 무거운 반면 수중유형(O/W) 제형은 가볍고 산뜻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용성 유기자차를 불연속상인 내상에 포함하고 있는 수중유형(O/W) 제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도포 과정에서 공극이 발생하면서 피부에 고르게 발라지지 않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상인 수상에 수용성 유기자차를 포함하는 경우, 에멀젼(유화) 안정성을 위해 외상에 포함되는 증점제가 수용성 유기자차로 인해 수상에 포함되는 염에 영향을 받아 그 기능이 감소하고 그 결과 에멀젼(유화) 안정성이 감소하여 상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증점제는 pH 조절(알칼리제)에 의해 중화되면서 랜덤코일 형태가 확장(extending)되어 증점 작용을 하는 증점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코일 형태로 존재하는 카보폴(Carbopol) 등의 점증제(thickener) 백본(backbone)이 수용액 상에서 알칼리 물질로 중화(neutralization)되어 확장(extending)된 형태가 됨으로써 점증 시스템이 이루어지는데, 수상에 포함된 염 때문에 점증제 백본이 다시 랜덤코일(random coil) 형태로 리코일링되면서 점증 시스템이 붕괴되고, 그에 따른 유화 입자들의 합일, 상분리가 일어나 점도 및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여 유화안정도와 사용감을 개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6649호)”, “2종의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여 시원하고 산뜻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3473호)”와 같은 선행 문헌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상부에만 증점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는 여전히 피부에 펴바를 때 공극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과 증점제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증점제의 기능 저하로 조성물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즉, 종래 기술로는 사용감 및 안정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온전히 나타내는 화장료를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화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염과 증점제 간의 상호작용으로 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66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34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에 수용성 유기자차를 포함하는 O/W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있어서 백탁 현상 없이 상 안정성 및 사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충분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 증점제 및 유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고, 수중유형(O/W) 제형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백탁 현상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1% 미만, 0.5% 미만, 0.1% 미만, 또는 실질적으로 미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로는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여 유화안정도와 사용감을 개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6649호)”,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여 시원하고 산뜻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고형 스틱 제형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3473호)”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들은 유중수형 형태의 수용성 증점제를 제조하여 첨가하거나 식물유래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여 수용성 증점제만으로 에멀젼의 안정도 개선, 조성물 경도 증진, 또는 이수현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안정도 개선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여 백탁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색차계 및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분석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이 현저히 증가함에도 자외선 차단 효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상부 및 유상부에 각각 증점제를 포함함으로써 유화 입자의 균일도를 향상시켜 입자 크기 불균일로 인해 일어나는 오스트발트 숙성(Ostwald ripening) 현상을 억제하여 입자간 합일이 지연되어 결론적으로 상안정성이 개선되어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월등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PhenylbenzimidazoleSulfonic Acid) 또는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DicamphorSulfon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자외선 차단을 위해 사용되어 온 유기 물질들 중 수용성인 것을 제한 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01 내지 20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2.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0.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조성물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증점제는 소수성기를 갖는 수용성 증점제를 사용한다.
상기 소수성기를 갖는 수용성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소듐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다이메타트레이트/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터,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증제를 사용하는 것이 조성물의 안정성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증점제를 0.001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어, 0.001 내지 0.01 중량부, 0.001 내지 0.1 중량부, 0.001 내지 1 중량부, 0.001 내지 2.5 중량부, 0.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2.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증점제가 전체 조성물을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상안정성 개선을 기대할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두터운 도포감 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상을 점증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염을 수상에 포함하는 경우, 알칼리 물질로 중화되어 확장된 점증제 백본을 랜덤코일로 리코일링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증제 역할을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점증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상에도 점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유상을 점증시키기 위해, 오일 증점제로 유기 오일 증점제 또는 무기 오일 증점제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 증점제는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스테아로일이눌린(Stearoyl Inulin),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쿼터늄-18헥토라이트, 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탈로우벤질모늄헥토라이트, 쿼터늄-18/벤잘코늄벤토나이트, 쿼터늄-18벤토나이트, 쿼터늄-90벤토나이트 스테아랄코늄벤토나이트, 쿼터늄-90몬모릴로나이트, 및 쿼터늄-90세피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 증점제는 종래 유상 점증을 위해 사용되어 온 물질들 중 유용성인 것을 제한 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오일 증점제를 내상에 포함함으로써 유화 입자는 0.01 내지 30㎛ 범위의 균일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오일 증점제를 0.0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2.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증점제가 전체 조성물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상안정성 개선을 기대할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무겁고 답답한 기름진 사용감 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트리스-바이페닐트라이아진(Tris-Biphenyl Triazi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자외선 차단을 위해 사용되어 온 유기 물질들 중 유용성인 것을 제한 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01 내지 20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2.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0.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조성물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 자외선 차단제는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온에서 고체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액체 자외선 차단제 대비 자외선 차단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EG계 유화제는 1% 미만, 0.5% 미만, 0.1% 미만, 또는 실질적으로 미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베헤네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0.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어,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2.5 중량부, 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가 전체 조성물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조성물내에서 유화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경도 상승, 상분리 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페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밤(balm),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성상일 수 있다. 이때, 성상은 각 조성물을 유리판에 3 ㎛가 되도록 도포한 뒤 글자가 적힌 종이 위에 올려두고 반대편의 글자가 확인되는 평가(실험예 4)를 통해 글자가 뚜렷하게 보이는 경우 '투명', 글자가 흐릿하게 보이지만 읽을 수 있는 경우 '반투명', 글자가 보이지 않거나 보이더라도 읽을 수 없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을 경우 '불투명'으로 정의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각 국 정부에 의해 규정된 《화장품 사용허가》와 관련된 규정에 명시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에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유상에 오일 증점제 및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 증점제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질혼합하여 수중유형(O/W) 제형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균질혼합을 통해 수중유형 조성물의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에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유상에 오일 증점제 및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수중유형(O/W) 제형의 유화 입자간의 합일이 방지되므로 장기 보관이나 고온 보관에 따른 상 분리 문제점이 해결되고 상 안정성이 개선되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만을 포함하므로 백탁이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면서도 사용감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보관 후 안정성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 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 입도분석기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율 상승 원리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 육안 평가 결과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예를 하기에 예시하였다.
실험예 1.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오일 증점제 및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개선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과 함량으로 비교예1 내지 3과 실시예1을 제조하고 고온에서 안정한지 비교하였다.
성분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1,2-헥산디올 1.5 1.5 1.5 1.5
카보머 0.5 - 0.5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0.5 - 0.5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 4 4 4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4 4 4 4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5 5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7 7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4 4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1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1 1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0.5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 1 1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3
폴리아마이드-8 - - 1 1
세테아릴알코올 0.7 0.7 0.7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2 2
총합 100 100 100 100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1. 육안에 의한 평가
각 조성물을 50℃ 항온 챔버에 보관한 뒤 2주와 4주가 경과하면 육안으로 상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상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안정", 상이 분리된 경우 "분리"로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고,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각 조성물을 50℃ 항온 챔버에 4주 보관 후 외관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조건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상안정성 50ºC에서 2주 보관 분리 분리 분리 안정
50ºC에서 4주 보관 분리 분리 분리 안정
위 결과 중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수용성 증점제를 오일 증점제와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또는 소수성기를 포함하지 않는 수용성 증점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고온에서 상이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 및 실시예1의 결과로부터 수용성 증점제를 오일 증점제와 함께 사용하더라도 소수성기를 포함하지 않는 수용성 증점제를 사용하면 비교예 3과 같이 고온에서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평가 2. 입자 분석에 의한 평가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각 조성물을 제조 직후 현미경 또는 입도분석기(Mastersizer)으로 유화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내지 3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과 실시예1을 제조한 직후의 유화 입자를 관찰해보면, 실시예1은 비교예1에 비하여 현미경 상으로 입자 모양이 더 균일하며(도 2), 입도분석기(Mastersizer)상으로도 유화 입자의 size가 더 작고, 입자 크기 분포의 편차가 더 작은 것(도 3)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화 입자 분포의 차이에 의해 도 1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고 판단되며, 즉 본 발명과 같이 수상에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고 유상에 오일 증점제를 포함하는 화장료가 종래에 비해 더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및 오일 증점제의 종류에 따른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오일 증점제의 종류에 따른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3 내지 표 5의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2 내지 12를 제조하고 고온에서 안정한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조성물을 50℃ 항온 챔버에 보관한 뒤 4주가 경과하면 육안으로 상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상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안정", 상이 분리된 경우 "분리"로 평가한 결과를 표3 내지 표5에 포함하였다.
성분명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1,2-헥산디올 1.5 1.5 1.5 1.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5 - -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0.5 - -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 - 0.5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 - - 0.5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 4 4 4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4 4 4 4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5 5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7 7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4 4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1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1 1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0.5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 1 1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3
폴리아마이드-8 0.5 0.5 0.5 0.5
세테아릴알코올 0.7 0.7 0.7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2 2
총합 100 100 100 100
상안정성 50℃에서 4주 보관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성분명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1,2-헥산디올 1.5 1.5 1.5 1.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0.5 0.5 0.5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 4 4 4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4 4 4 4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5 5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7 7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4 4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1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1 1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0.5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 1 1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3
덱스트린팔미테이트 1 - - -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 1 - -
스테아로일이눌린 - - 1 -
폴리우레탄-79 - - - 1
세테아릴알코올 0.7 0.7 0.7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2 2
총합 100 100 100 100
상안정성 50℃에서 4주 보관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성분명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3 3
1,2-헥산디올 1.5 1.5 1.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0.5 0.5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 4 4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4 4 4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5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7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4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1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 1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3 3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1 - -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 1 -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 - 1
세테아릴알코올 0.7 0.7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2
총합 100 100 100
상안정성 50℃에서 4주 보관 안정 안정 안정
표 3 내지 5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과 다른 종류의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또는 다른 종류의 오일 증점제를 포함하더라도 동일하게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오일 증점제 및 수용성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율 개선 효과 확인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더라도 상이 안정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상 안정성 때문에 유용성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했을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6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비교예4와 실시예 13을 제조하고 각각의 자외선 차단 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을 PMMA plate(HelioScreen Labs, HD6)에 1.3mg/cm2으로 도포하고 상온에서 15분 건조한 뒤 SPF-290AS (Solar light, USA)을 통해 in vitro SPF를 측정하고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측정된 in vitro SPF 값과 계산된 자외선 차단 효율 값은 표 6에 포함하였다.
Figure pat00001
성분명 비교예4 실시예13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3
1,2-헥산디올 1.5 1.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0.3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 4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 4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3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5 3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 -
호모살레이트 10 -
폴리아마이드-8 0.5 0.5
세테아릴알코올 0.7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총 합 100 100
In vitro SPF 50.7 50.7
자외선 차단 효율 1.58 2.74
표 6의 결과로부터,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와 유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유용성 자외선 차단제만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자외선 차단 효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이 더 적은 양의 자외선 차단제로도 비교예 4와 동등한 수준의 SPF값을 달성하는 원리를 도 4에 도시하였다. 화장품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유화에 의해 일시적으로 합쳐져 있었던 내상과 외상이 다시 분리가 된다. 이 때 실시예 13과 같이 내상과 외상에 고르게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 도포 후 발생되는 공극, 즉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이 줄어들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험예 4: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증점제, 오일 증점제 및 수용성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 개선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 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표 7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비교예 5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함께 백탁도를 비교하였다.
성분명 비교예5
수상부 정제수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3
1,2-헥산디올 1.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 -
트로메타민 적량
유상부 페네틸벤조에이트 5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7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4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
에칠헥실트리아존 1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티타늄디옥사이드 7
징크옥사이드 6.5
폴리아마이드-8 0.5
세테아릴알코올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PEG-100 스테아레이트 -
총합 100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1. 육안에 의한 평가
각 조성물을 유리판에 3 ㎛가 되도록 도포한 뒤 글자가 적힌 종이 위에 올려두고 반대편의 글자가 확인되는지를 평가하였고, 그 양상은 도 5와 같았다. 평가 결과 실시예 1는 비교예 5와 비교했을 때 투명도가 우수하여 반대편의 글자가 확인되지만 비교예 5는 불투명하여 반대편의 글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탁도가 높을수록 백탁이 더 강하게 나타내므로, 비교예 5에 비해 실시예 1의 백탁 현상이 적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평가2. 색차계에 의한 평가
각 조성물을 유리판에 3 ㎛가 되도록 도포한 뒤 색차계(CR-400, MINOLTA,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측정값을 아래식에 대입하여 백탁도를 계산한 후 표 8에 나타내었다.
백탁도(W) = 100-[(100-L*)2+(a*)2+(b*)2]1/2
실시예 1 비교예 5
백탁도 (W) 21.7 56.6
그 결과, 육안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와 동일하게 색차계에 의한 객관적인 측정 결과에서도 실시예 1가 비교예 5와 비교했을 때 백탁도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3. 가시광선 투과율에 의한 평가
각 조성물을 유리판에 3 ㎛가 되도록 도포한 뒤 분광광도계 (Varioskan LUX, thermos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400-990nm)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상기 파장대에 걸친 투과율의 면적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투과율 측정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고 계산된 투과율 면적은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5
투과율 면적 363.89 60.16
그 결과, 실시예 1의 광투과율이 400-990 nm 영역대 전체에서 비교예 5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투과율 면적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어 실시예 1가 도포 시 투명도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 증점제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수중유형(O/W) 제형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PhenylbenzimidazoleSulfonic Acid),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DicamphorSulf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증점제는 소수성기를 갖는 수용성 증점제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기를 갖는 수용성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소듐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다이메타트레이트/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터,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증점제는 폴리아마이드-8(Polyamide-8),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스테아로일이눌린(Stearoyl Inulin), 폴리우레탄-79(Polyurethane-79),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및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트리스-바이페닐트라이아진(Tris-Biphenyl Triazi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유상부에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베헤네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백탁 현상이 없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55580A 2022-04-29 2023-04-27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53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3565 2022-04-29
KR1020220053565 2022-04-29
KR1020220060797 2022-05-18
KR20220060797 2022-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946A true KR20230153946A (ko) 2023-11-07

Family

ID=8851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580A KR20230153946A (ko) 2022-04-29 2023-04-27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3946A (ko)
WO (1) WO202321121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49B1 (ko) 2011-12-12 2014-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점증제로서 실리콘 내상에 물과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여 유화안정도를 높이고 사용감을 증진시켜주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33473B1 (ko) 2019-05-27 2019-10-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한천을 함유하는 고형 스틱 제형 수중 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1644B2 (ja) * 2002-09-18 2011-09-14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70141709A (ko) * 2015-04-29 2017-12-26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국소 자외선 차단 유화액
KR102415538B1 (ko) * 2016-04-28 2022-07-0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WO2020128556A1 (en) * 2018-12-19 2020-06-25 L V M H Recherche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with ultraviolet ray-protecting effect
KR102161124B1 (ko) * 2019-03-12 2020-09-29 주식회사 인터코스코리아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49B1 (ko) 2011-12-12 2014-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점증제로서 실리콘 내상에 물과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여 유화안정도를 높이고 사용감을 증진시켜주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33473B1 (ko) 2019-05-27 2019-10-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한천을 함유하는 고형 스틱 제형 수중 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1211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3006B1 (de) Alkoholhaltiges,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EP3093007B1 (de)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enthaltend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
EP2905012B1 (de)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mit geringer Klebrigkeit
KR102502084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630990B1 (de) Leichte, wasserfeste kosmetische Zubereitung
EP3093009B1 (de)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mit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
EP1996153A1 (de) Verwendung von glycyrrhetinsäure und/oder glycyrrhizin zur herstellung kosmetischer zubereitungen zur bräunung der haut
EP3093008A1 (de)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enthaltend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
EP3093004B2 (de) Octocrylenfreies sonnenschutzmittel mit minimaler klebrigkeit
KR102526363B1 (ko) 화장료 썬스크린 조성물
KR102313519B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E202010006005U1 (de) Transparentes Sonnenschutzmittel mit hohem Lichtschutz
EP2485806B1 (de) Verwendung von cetearylsulfosuccinaten in sonnenschutzmitteln
WO2021099090A1 (de) Neues, silica enthaltendes sonnenschutzmittel zum schutz vor blauem licht
US9572759B2 (en)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KR20230153946A (ko)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496309B1 (de) Cetearylsulfosuccinate enthalten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flüssigen uv-filtern
EP1180360B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unsymmetrisch substituierten Triazinderivaten und Dialkylcarbonaten
KR20200132710A (ko)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복합 제형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E102020205042A1 (de) Farbstabiles Sonnenschutzmittel
DE102006009783A1 (de) Verwendung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1,3,5-triazin t zur Steigerung der Pigmentierung der Humanhaut
US9539195B1 (en)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US20240173234A1 (en) Sunscreen composition
US9539194B1 (en)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CN117320687A (zh) 包含贝莫三嗪醇的防晒组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