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848A -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848A
KR20230153848A KR1020220053800A KR20220053800A KR20230153848A KR 20230153848 A KR20230153848 A KR 20230153848A KR 1020220053800 A KR1020220053800 A KR 1020220053800A KR 20220053800 A KR20220053800 A KR 20220053800A KR 20230153848 A KR20230153848 A KR 2023015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p
module
heating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원
이민우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848A/ko
Priority to PCT/KR2023/003948 priority patent/WO2023210975A1/ko
Publication of KR2023015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모듈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걸레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청소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제너레이터 및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로 공급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워터 펌프가 공급하는 물의 양이 같도록 하여 일정한 양의 수분을 일정한 온도로 걸레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MODULE OF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레에 물을 토출시켜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 또는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바닥을 청소하는 방식은 크게 건식 청소와 습식 청소로 나뉜다. 건식 청소는 먼지를 쓸어내거나 빨아들여 청소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이에 해당한다. 습식 청소는 물걸레로 먼지를 닦아내 청소하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건식 청소를 위하여 건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고, 습식 청소를 위하여 습식 전용 청소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두가지 종류의 청소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본체, 건식 청소 모듈 및 습식 청소 모듈을 구비하여, 건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건식 청소 모듈을 장착하고, 습식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습식 청소 모듈(물걸레 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습식 청소 시, 바닥에 이물질이 눌러 붙은 경우에는 물이 흡수된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더라도 여전히 이물질이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바닥에 미생물 등이 번식된 경우에는 물이 흡수된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더라도 미생물을 완전히 살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히터를 통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이나 스팀을 걸레에 공급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물걸레 모듈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물 또는 스팀을 전달받아 바닥을 닦아내는 걸레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 부품들은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통이나 히터가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건식 청소 시에는 불필요한 부품으로 물통 또는 히터의 무게로 인하여 청소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의 용이성이나 모듈 교체의 용이성이나 공간 활용 면에서 물통이나 히터는 청소기 본체가 아닌 물걸레 모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등록특허 US9420933B2(216.08.23)에는 스팀 물걸레 청소기에 사용되는 히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팀 물걸레 청소기는 물탱크의 물을 공급받고 스팀 제너레이터를 통하여 스팀을 생성한 후 구비하여 청소용 패드에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의 스팀 제너레이터는, 물을 저수한 상태에서 히터를 통하여 가열시키고, 스팀 제너레이터의 상측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하여 가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스팀을 청소용 패드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KR1609444B1(2016.03.30)에는 스팀 발생수단이 구비된 물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물 청소기는 물 공급구와 스팀 토출구가 모두 스팀 발생수단의 상측에 배치되고, 물 공급구와 스팀 토출구가 U자형 배관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팀 제너레이터는 스팀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스팀 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스팀 제너레이터의 저수량은 워터 펌프가 여러 회 작동되어야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팀 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을 충분히 가열되기 전에 물이 토출되어 버리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의 한계에 의하여 스팀 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이 가열된 상태에서는 청소할 수 있는 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걸레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살균 및 이물질 제거 효과를 증가시키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팀 제너레이터에 유입된 물을 목표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레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이물질을 닦아 청소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있어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모듈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걸레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청소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제너레이터; 및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로 공급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워터 펌프가 공급하는 물의 양과 같은 수 있다.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히팅 챔버; 상기 히팅 챔버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히팅 챔버에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 및 상기 히팅 챔버에 형성되고, 가열된 수분이 토출되는 한 쌍의 수분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물 유입구와 한 쌍의 상기 수분 토출구를 연통시키되, 상기 물 유입구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팅 챔버는,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수분 토출구가 형성된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내부에 수분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히팅 챔버; 상기 히팅 챔버에 접촉되고, 상기 히팅 챔버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상기 히팅 챔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팅 챔버의 상측을 기밀하는 실러; 및 상기 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러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상기 히터와 상기 하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주기 간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동안 작동되고, 상기 워터 펌프가 상기 물 공급 시간동안 공급하는 물의 양은, 상기 물 공급 시간과 단위 시간 당 상기 걸레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의 곱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동안 작동되고,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물 공급 시간과 단위 시간 당 상기 걸레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의 곱과 같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의하면, 히터를 통하여 걸레에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살균 및 이물질 제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을 워터 펌프가 공급하는 물의 양과 같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을 주기로 물을 공급하여, 일정한 양의 수분을 일정한 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양의 수분을 일정한 온도로 걸레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히팅 제너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의 상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의 후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가 모듈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히팅 제너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에서 히팅 챔버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상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닥면"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면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카펫 등과 같은 청소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400)와, 상기 청소기 본체(400)에 연결되고, 바닥면의 공기 및 이물을 흡입하며, 바닥면을 닦아 청소하기 위한 물걸레 모듈(100) 및 청소기 본체(400)와 물걸레 모듈(100)을 연결하는 연장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100)은, 모듈 하우징(110)과, 모듈 하우징(1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물걸레 모듈(100)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 또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물걸레 모듈(100)은 청소기 본체(400) 또는 연장관(3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400) 또는 연장관(300)에서 연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걸레 모듈(100)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걸레 모듈(100)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400)는 멀티 싸이클론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100)은 청소기 본체(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100)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400)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므로, 흡입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물걸레 모듈(100)로 작용하여 물걸레 모듈(100)에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물걸레 모듈(100)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관(180)은 모듈 하우징(110)의 후측 중앙부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1)로 안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방향을 정의하면, 물걸레 모듈(100)에서 연결관(180)이 연결되는 부분이 물걸레 모듈(100)의 뒷쪽(후방)이라고 할 수 있고, 연결관(180)이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 부분이 물걸레 모듈(100)의 앞쪽(전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연결관(180)에서 흡입구(113a)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유로 형성부(113)의 왼쪽을 물걸레 모듈(100)의 왼쪽(좌측)이라 할 수 있고, 유로 형성부(113)의 오른쪽을 물걸레 모듈(100)의 오른쪽(우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부를 수 있다. 좌우 방향은 전후 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물걸레 모듈(100)을 바닥면에 놓은 상태, 즉 걸레(150)가 바닥면에 놓여져 바닥면을 닦을 수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바닥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측 또는 하방이라 할 수 있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 또는 상방이라 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100)은, 모듈 하우징(1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청소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청소부(1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회전 청소부(140)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청소부(140)는 제1 회전 청소부(141)와 제2 회전 청소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걸레(150)와 결합될 수 있다. 걸레(150)는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레(150)는, 제1 걸레(151)와 제2 걸레(1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레(15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물걸레 모듈(100)의 하중에 의하여 걸레(150)가 바닥면과 밀착되므로, 걸레(150)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모듈 하우징(110)은, 물걸레 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3a)는 일 예로 모듈 하우징(11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3a)는 모듈 하우징(1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10)은, 하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은, 회전 청소부(140)가 장착되고, 물걸레 모듈(1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은 회전 청소부(140)가 결합되는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면의 하측 면은 물걸레 모듈(100)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저면의 상측 면에는 수분 공급부(130), 히팅 제너레이터(200) 및 구동 모터(17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에는 흡입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에는 흡입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3a)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본체(400)의 흡입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바닥면 주변에 존재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구(113a)를 통하여 물걸레 모듈(100)의 유로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하우징(111)에는 구동 모터(170)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기판 설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기판 설치부는 하부 하우징(111)에서 유로 형성부(113)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에는 수분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수분이 통과하기 위한 노즐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통하여 히팅 제너레이터(200)를 통과한 물 또는 스팀(수증기)은 노즐 홀(미도시)을 통하여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2)은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을 덮고, 본 발명의 물걸레 모듈(1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모듈 하우징(110)은, 흡입구(113a)와 연통되어 흡입구(113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400)로 유도하는 유로 형성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13)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고, 유로 형성부의 후측 단부는 연결관(18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형성부(113)의 배치에 의해서 흡입구(113a)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흡입구(113a)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물걸레 모듈(100)에서의 유로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13)의 앞쪽 부분은 흡입구(113a)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13)는 전단부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 형성부(113)의 상측 면은, 바닥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유로 형성부(113)의 상측 면은,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유로 형성부(113)는 앞쪽 부분의 높이가 뒷쪽 부분에 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113)의 앞쪽 부분의 높이가 낮으므로, 상기 물걸레 모듈(100) 전체 높이 중에서 앞쪽 부분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걸레 모듈(100)의 높이가 낮을수록 가구나 의자 등의 하측의 좁은 공간에 인입되어 청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유로 형성부(113)는 상측에 히팅 제너레이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 상태로 하부 하우징(1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의 하측 면에는 블로커(114)가 배치된다. 블로커(114)는 흡입구(113a)가 배치된 전방공간과 걸레(150)가 배치된 후방 공간을 차폐하여, 걸레(150)에서 방출된 수분이 흡입구(113a)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커(114)는 원형의 걸레(150)를 둘러싸도록 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의 하측 면에는 물걸레 모듈(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하우징(111)에서 걸레(150)의 전방에 전방 롤러(115)가 위치될 수 있다. 전방 롤러(115)는 제1 롤러(115a) 및 제2 롤러(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15a) 및 제2 롤러(115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15a) 및 제2 롤러(115b)는 각각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111)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와 하부 하우징(111)의 전단부 간의 거리는 걸레(150)와 하부 하우징(111)의 전단부 간의 최소 거리 보다 길다.
일 예로 제1 롤러(115a)의 샤프트와 제2 롤러(115b)의 샤프트 사이에 회전 청소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회전 청소부(140)를 흡입구(113a)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고, 물걸레 모듈(100)이 위치하는 바닥면 중에서 회전 청소부(140)에 의해서 청소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바닥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롤러(115a)와 제2 롤러(115b)가 하부 하우징(111)의 하측에 결합되므로, 물걸레 모듈(100)의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1)에는 제3 롤러(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115a)와 제2 롤러(115b)는 제3 롤러(116)와 함께 물걸레 모듈(100)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롤러(116)는 걸레(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걸레(15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걸레 모듈(100)은 걸레(15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탱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20)는 모듈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120)는 상부하우징(11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120)는 상부하우징(112)의 상측면에 형성된 물통안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2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12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상부에서 히팅 제너레이터(20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물탱크(120)는 상부 하우징(112)을 사이에 두고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10)에 물탱크(1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물탱크(120)는 물걸레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물탱크(120)의 상측벽 전체가 물걸레 모듈(1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탱크(120)가 모듈 하우징(1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10)은 물탱크(120)가 모듈 하우징(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탱크(120)를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물탱크 분리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 분리 버튼은 물걸레 모듈(100)에서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물탱크 분리 버튼을 인식하고, 물탱크 분리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탱크(120)가 모듈 하우징(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탱크(120)의 물이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수분 공급부(130)를 통하여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탱크(12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호스)을 통하여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공급될 수 있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유입된 물은 히팅 제너레이터(200)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히팅 제너레이터(200)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은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탱크(120)는 급수구를 포함한다. 급수구는 물탱크(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구멍이다. 예를 들어, 급수구는 물탱크(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20)는 배수구를 포함한다. 배수구는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은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유동될 수 있다. 배수구는 물탱크(12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20)는 에어홀을 포함한다. 에어홀은 물탱크(1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물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물탱크(120) 내부에 압력이 하강하고, 하강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기가 에어홀을 통해 물탱크(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홀은 물탱크(1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걸레 모듈(100)은 물탱크(120)에서 유입되는 물을 걸레(150)로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된 수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공급부는, 물탱크(120)의 물을 모듈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탱크 연결부와, 물탱크 연결부로 유입된 물을 워터 펌프(130)로 공급하는 물 유입관과, 워터 펌프(130)에서 토출되는 물을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 연결부는 물탱크(120) 내의 밸브를 동작시킬 수 있고,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물탱크 연결부는 상부 하우징(11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일부가 상부 하우징(112)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으로 돌출된 물탱크 연결부는 물탱크(120)가 상부 하우징(112)에 안착되면, 물탱크(120)의 배출구를 관통하여 물탱크(1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2)에는 물탱크(120)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탱크 연결부의 주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실러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12)의 상측에서 상부 하우징(1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2)에는 물탱크(120)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워터 펌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워터 펌프(130)는, 물의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워터 펌프(130)는 물 유입관이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와, 안내관이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워터 펌프(130)를 기준으로 제1 연결 포트는 입구이고, 제2 연결 포트는 출구일 수 있다.
워터 펌프(130)는,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하면서 팽창 또는 축소되어 제1 연결 포트와 제2 연결 포트를 연통시키도록 작동하는 펌프로서,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워터 펌프(130)를 통과한 후에,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공급된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모듈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모듈 하우징(110)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저면은 바닥면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 청소부(140)는 구동 모터(1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청소부(140)는 회전판일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걸레(15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원판 형태의 회전 청소부(140)는 물걸레 모듈(100)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원판 형태의 회전 청소부(140)는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일 예로 모듈 하우징(110)의 하측에서 흡입구(113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 모듈(100)을 전진시키며 청소할 때, 흡입구(113a)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된 후에 걸레(150)에 의해서 바닥면이 닦일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모듈 하우징(110)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청소부(140)는, 제1 구동 모터(171)와 연결되고 제1 걸레(151)가 부착되는 제1 회전 청소부(141)와, 제2 구동 모터(172)와 연결되고 제2 걸레(152)가 부착되는 제2 회전 청소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청소부(140)는,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바디와, 외측 바디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며 외측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와, 내측 바디의 외주면과 외측 바디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청소부(14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걸레(150)로 공급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물 통과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청소부(140)는, 걸레(150)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수단은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하부 하우징(1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청소부(140)는 모듈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청소부(140)는 구동 모터(17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청소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구동 모터(170)와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모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는 제1 회전 청소부(141) 및 제2 회전 청소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걸레 모듈(100)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흡입구(113a)를 기준으로 하여, 제1 회전 청소부(141)는 좌측에 배치된 회전 청소부(140)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회전 청소부(142)는 우측에 배치된 회전 청소부(140)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가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청소부(141)의 회전 중심과 제2 회전 청소부(142)의 회전 중심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회전 청소부(140)의 회전 중심은 모듈 하우징(110)의 전후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축 보다 모듈 하우징(110)의 전단부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회전 청소부(140)가 흡입구(113a)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회전 청소부(141)의 회전 중심과 제2 회전 청소부(142)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걸레(15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걸레(151)와 제2 걸레(15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됨에 따른 상호 마찰을 줄이고, 간섭되는 부분만큼 청소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걸레(150)는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바닥면을 닦을 수 있다.
걸레(150)는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회전 청소부(14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걸레(15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걸레(15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150)는, 상하 방향 높이보다 수평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레(150)가 하부 하우징(111) 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걸레(150)의 저면은 바닥면과 평행할 수 있다.
걸레(15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고, 걸레(15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레(150)는 회전 청소부(140)의 저면에 탈부착 될 수 있고, 회전 청소부(140)에 결합되어 회전 청소부(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 및 걸레(150)가 모듈 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레(150)의 일부는 물걸레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물걸레 모듈(100)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면뿐만 아니라 물걸레 모듈(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닥면도 청소할 수 있다.
일 예로 걸레(150)는 물걸레 모듈(100)의 양 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걸레(150)는 제1 회전 청소부(141)와 결합되는 제1 걸레(151) 및 제2 회전 청소부(142)와 결합되는 제2 걸레(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청소부(141)가 제1 구동 모터(17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제1 걸레(151)도 함께 회전되고, 제2 회전 청소부(142)가 제2 구동 모터(17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제2 걸레(15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물걸레 모듈(100)은 걸레(150) 및 회전 청소부(1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170)는 제1 회전 청소부(141)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171)와, 제2 회전 청소부(14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동 모터(171)와 제2 구동 모터(172)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제1 구동 모터(171)와 제2 구동 모터(172)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에 의해서 회전 청소부(140)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구동 모터(171)와 제2 구동 모터(172)는 모듈 하우징(1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 모터(171)와 제2 구동 모터(172)는 흡입구(113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170)는 모듈 하우징(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모터(170)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하우징(11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모터(170)는 하부 하우징(111)와 상부 하우징(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물걸레 모듈(100)은 청소기 본체(400) 또는 연장관(300)과 결합되는 연결관(180)을 포함한다.
연결관(180)은, 유로 형성부(113)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과, 제1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관 및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내부를 연통시키는 안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유로 형성부(1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제2 연결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관은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이 제2 연결관 및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걸레 모듈(100)이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제2 연결관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은 물걸레 모듈(100)과 청소기 본체(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종의 관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연결관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제1 연결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청소기 본체(400) 또는 연장관(300)이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에는 전선이 내장될 수 있고,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에 내장된 전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안내관은 제1 연결관의 내부 공간과 제2 연결관의 내부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안내관은 물걸레 모듈(100)에서 흡입된 공기가 연장관(300) 및/또는 청소기 본체(400)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관은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의 회전에 따라 함께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관은 주름진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스팀 제너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가 모듈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스팀 제너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에서 스팀 제너레이터의 히팅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물 또는 스팀(수증기)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물탱크(12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걸레(150)로 공급시킬 수 있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청소기 본체(400)가 아닌 물걸레 모듈(100)에 구비된다. 이는 스팀 제너레이터가 청소기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 건식 청소 시 스팀 제너레이터의 무게 및 부피로 인하여 청소가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유로 형성부(11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유로 형성부(113)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되므로, 히팅 제너레이터(200)도 하부 하우징(11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팅 제너레이터(200)가 작동될 경우, 히팅 제너레이터(200)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특정 위치가 과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물걸레 모듈(10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걸레 모듈(100)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히팅 챔버(210), 히터(220), 단열부재(230), 하부 커버(240), 실러(250), 상부 커버(260) 및 온도 검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히팅 챔버(210)의 하측에 히터(220)가 배치되고, 히터(220)의 하측에는 단열부재(230)가 배치되며, 단열부재(230)의 하측에는 하부 커버(240)가 배치되어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히팅 챔버(210)의 상측에는 실러(250)가 배치되고, 실러(250)의 상측에는 상부 커버(260)가 배치되어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온도 검출부(270)는 히팅 챔버(210)의 외측 면에 구비될 수 있다.
히팅 챔버(210)는 내부에 수분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히터(2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유로를 유동하는 수분이 가열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 챔버(210)는 챔버 본체(211), 물 유입구(212), 수분 토출구(213) 및 히팅 유로(214)을 포함한다.
챔버 본체(211)는 히팅 챔버(2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분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본체(211)는 직육면체 블럭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챔버 본체(211)의 내부에 히팅 유로(2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 본체(211)의 상부는 개방되어 히팅 유로(214)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챔버 본체(211)에는 물 유입구(212) 및 수분 토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 본체(211)의 저면에는 물 유입구(212)와 수분 토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챔버 본체(211)의 저면에는 하나의 물 유입구(212)와 한 쌍의 수분 토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 유입구(212)와 수분 토출구(213)는 물걸레 모듈(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가장 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 유입구(212)로 유입된 물이 수분 토출구(213)로 토출될 때까지 유동하는 거리를 최대화하여 충분한 가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챔버 본체(211)의 후단은 챔버 본체(211)의 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후방-상향의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물은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후방 상부에서 전방 하부를 왕복하며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물 유입구(212)는 챔버 본체(211)에 형성되고, 물탱크(120)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물 유입구(212)는 챔버 본체(211)의 입구단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유입구(212)에는 물 공급부의 물 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관은 챔버 본체(211)의 하측에 결합되고, 물 공급관 내부의 유로와 물 유입구(21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워터 펌프(130)가 작동되면, 워터 펌프(130)에서 발생되는 유동력에 의하여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물 공급관을 유동한 후, 챔버 본체(2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수분 토출구(213)는 챔버 본체(211) 내부에서 가열된 수분이 토출될 수 있다. 수분 토출구(213)는 챔버 본체(211)의 출구단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수분 토출구(213)를 통하여 토출된 수분은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토출구(213)는 하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노즐 홀(미도시)의 연직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워터 펌프(130)가 작동되면, 워터 펌프(130)에서 발생되는 유동력에 의하여 챔버 본체(211)에서 가열된 수분은 노즐 홀을 통과한 후, 걸레(15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팀 제너레이터의 저면은 설치된 장소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스팀 제너레이터의 상측 면에 스팀이 토출되는 배관이 구비된다. 따라서, 스팀 제너레이터가 작동되어 스팀(수증기)이 발생되면 뜨거워진 스팀이 상승하면서 배관을 따라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스팀 제너레이터의 경우 스팀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스팀 제너레이터의 내벽 또는 배관과 접촉하여 드레인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팀의 유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량 손실을 줄이고, 드레인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재가열하여 걸레로 공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팅 제너레이터(200)는 바닥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물걸레 모듈(100)이 바닥면 상에 놓여진 상태(걸레(150)가 바닥면 상에 놓여져 바닥면을 닦을 수 있는 상태)에서, 챔버 본체(211)의 저면은 바닥면과 소정 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40) 및 걸레(150)가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과 챔버 본체(211)의 저면은 소정 각도(α)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챔버 본체(211)의 저면의 가상의 연장면은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의 가상의 연장면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에서부터 물 유입구(212)까지의 높이가 바닥면에서부터 수분 토출구(213)까지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물 유입구(212) 및 수분 토출구(213)가 모두 챔버 본체(21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 본체(211)의 저면은 원판 형태의 회전 청소부(140)의 가상의 연장면과 소정 각도(α)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챔버 본체(211)의 저면의 가상의 연장선은 회전 청소부(140)의 가상의 연장면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히팅 유로(214)는 히팅 챔버(210)에 형성되고, 물 유입구(212)와 수분 토출구(213)를 연통시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히팅 유로(214)는 챔버 본체(211)에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이때, 히팅 유로(214)는 물 유입구(212) 및 수분 토출구(213)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히팅 유로(214)는 물 유입구(212)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유로(214)는 하나의 물 유입구(212)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선대칭적)으로 형성되고, 물 유입구(212)의 양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분 토출구(213)와 연통될 수 있다.
히팅 유로(214)는 물 유입구(212)로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히팅 유로(214)는 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가열될 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긴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유로(214)는 분기 유로(214a), 하강 유로(214b), 전환 유로(214c) 및 상승 유로(214d)를 포함한다.
분기 유로(214a)는 물 유입구(2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물 유입구(212)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기 유로(214a)는 물 유입구(212)에서 양 측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분기 유로(214a)는 'Y'자 형태로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하강 유로(214b)는 분기 유로(214a) 또는 전환 유로(214c)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강 유로(214b)는 직선의 홈 형태로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하강 유로(214b)는 분기 유로(214a) 또는 전환 유로(214c)를 통과한 물이 중력에 의하여 하강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환 유로(214c)는 일측이 하강 유로(214b)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승 유로(214d)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전환 유로(214c)는 하강 유로(214b)와 상승 유로(214d)를 연결시키는 유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 유로(214c)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따라서, 하강 유로(214b)를 따라 하강 유동하는 물은 전환 유로(214c)를 통과하면서 중력을 거슬러 상승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승 유로(214d)를 따라 상승 유동하는 물은 전환 유로(214c)를 통과하면서 중력에 의하여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즉, 챔버 본체(211) 내에서 유동하는 물은 전환 유로(214c)에 의하여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승 유로(214d)는 전환 유로(214c) 또는 수분 토출구(213)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승 유로(214d)는 직선의 홈 형태로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상승 유로(214d)는 전환 유로(214c)를 통과한 물이 중력을 거슬러 상승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기 유로(214a), 하강 유로(214b), 전환 유로(214c) 및 상승 유로(214d)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분기 유로(214a)는 물 유입구(212) 및 한 쌍의 하강 유로(214b)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기 유로(214a)와 연결된 각 하강 유로(214b)는 전환 유로(214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하강 유로(214b)와 연결된 전환 유로(214c)는 타측에 상승 유로(214d)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이 전환 유로(214c)와 연결된 상승 유로(214d)의 타측에는 다시 전환 유로(214c)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강 유로(214b), 전환 유로(214c), 상승 유로(214d) 및 전환 유로(214c)의 연결이 반복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일측이 전환 유로(214c)와 연결된 상승 유로(214d)의 타측(상측 단부)에는 수분 토출구(213)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 유입구(212)로 유입된 물은 가열되어 상승 대류 운동하더라도, 중력에 의해서 하강 유로(214b)를 따라 챔버 본체(211) 내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전환 유로(214c)를 통과한 물은 워터 펌프(130)의 유동력에 의하여 중력을 거슬러 유동할 수 있고, 상승 유로(214d)를 따라 챔버 본체(211) 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물 유입구(212)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히팅 유로(214)를 따라 하강 및 상승 유동을 반복하면서 충분한 시간동안 가열될 수 있고, 목표한 온도까지 가열된 후 수분 토출구(213)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히터(220)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22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히터(220)는 히팅 챔버(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히팅 챔버(21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히터(220)는 히팅 챔버(210)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20)는 히팅 챔버(210)의 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20)에서 열이 발생되면, 히터(220)와 접촉하고 있는 히팅 챔버(210)는 전도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20)는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공급받아 히팅 챔버(21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히터(22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단열부재(230)는 히터(220)와 하부 커버(240) 사이에 배치되고, 히터(22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재(230)는 히터(220)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부재(2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로 모듈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커버(240)는 히터(2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히터(220)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24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히터(220)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240)는 히터(2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로 모듈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220)에서 발생된 열이 단열부재(230) 및 하부 커버(240)에 의하여 이중으로 차단되어, 에너지 효율 향상 및 부품 파손 방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실러(250)는 히팅 챔버(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히팅 챔버(210)의 상측을 기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러(250)는 챔버 본체(211)의 개방된 상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실러(250)는 수분의 통과를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팅 챔버(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승하더라도 실러(250)에 의하여 차단되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커버(260)는 실러(250)의 상측에 배치되고, 실러(250)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26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실러(250)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260)는 실러(25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로 모듈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 검출부(27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검출부(270)는 써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검출부(270)는 측정된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검출부(270)는 써모스탯(thermostat)일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검출부(27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켜,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1)는 연장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300)은 청소기 본체(400) 및 물걸레 모듈(1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관(30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300)의 내부 공간은 물걸레 모듈(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연장관(300)은 청소기 본체(400)에 형성된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 모터(미도시)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되면, 청소기 본체(400)의 흡입부 및 연장관(300)을 통해 물걸레 모듈(1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400)에는 물걸레 모듈(100)과, 연장관(300)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걸레 모듈(100)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연장관(300)을 통과한 후 청소기 본체(4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연장관(300)에는 전선이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400)와 물걸레 모듈(100)은 연장관(3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400)는 흡입 모터, 먼지통,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40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흡입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흡입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400)에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어 물걸레 모듈(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400)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나선 유동되면서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400)는 먼지통을 구비하여, 싸이클론 유동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400)에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원의 공급 여부와 공기 흡입의 세기는 물론, 걸레의 회전 세기, 물 공급량, 물 가열 여부, 스팀 공급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100)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모듈(100)은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메모리(미도시) 및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에는 미리 설정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타이머(미도시)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청소기 본체(300) 또는 물걸레 모듈(100)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청소기 본체(300) 또는 물걸레 모듈(100)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물걸레 모듈(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온도 검출부(270)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검출부(270)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를 측정하여,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워터 펌프(130)를 제어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물탱크(120)에서 걸레(150)로 공급하는 수분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워터 펌프(130)의 작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Tw)동안 워터 펌프(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주기(Cw) 간격으로 워터 펌프(130)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 주기(Cw)는 물 공급 시간(Tw)보다 클 수 있다. 즉, 워터 펌프(130)가 작동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상기 물 공급 시간(Tw)동안 작동된 후 작동이 중지되고, 워터 펌프(130)가 작동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상기 물 공급 주기(Cw)가 경과된 후 다시 워터 펌프(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물 공급 시간(Tw)은 워터 펌프(130)의 출력(즉, 단위 시간 당 토출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 시간(Tw)과 단위 시간 당 워터 펌프(130)가 토출하는 물의 양의 곱은, 히팅 제너레이터(200)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다. 그리고, 물 공급 시간(Tw)과 단위 시간 당 워터 펌프(130)가 토출하는 물의 양의 곱은, 물 공급 시간(Tw)과 단위 시간 당 걸레(150)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의 곱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 워터 펌프(130)를 1회 작동시켜 물탱크(120)에서 히팅 제너레이터(200)로 공급하는 물의 양은, 히팅 제너레이터(200)가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고, 1회의 물 공급 주기(Cw)동안 히팅 제너레이터(200)에서 걸레(150)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수분을 일정한 시간동안 가열한 후 걸레(15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양의 수분을 일정한 온도로 걸레(150)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히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걸레(150)로 공급하는 수분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히터(220)의 작동 시간 및 히터(220)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온도 검출부(270)에서 측정되는 히팅 제너레이터(20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와 다를 경우, 히터(220)의 작동 시간 및 히터(220)에 인가되는 전력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 제너레이터(200)에 유입된 물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구동 모터(170)를 제어할 수 있다. 물걸레 모듈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구동 모터(170)의 회전 속도(rpm)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청소기
100: 물걸레 모듈
110: 모듈 하우징
111: 하부 하우징
120: 물탱크
130: 워터 펌프
140: 회전 청소부
150: 걸레
200: 히팅 제너레이터
210: 히팅 챔버
211: 챔버 본체
212: 물 유입구
213: 수분 토출구
214: 히팅 유로
220: 히터
230: 단열부재
240: 하부 커버
250: 실러
260: 상부 커버
270: 온도 검출부
400: 청소기 본체
700: 물걸레 모듈 제어부

Claims (10)

  1. 바닥면의 이물질을 닦아 청소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있어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과 결합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모듈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걸레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청소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 제너레이터; 및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로 공급하는 워터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워터 펌프가 공급하는 물의 양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히팅 제너레이터는,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히팅 챔버;
    상기 히팅 챔버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히팅 챔버에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 및
    상기 히팅 챔버에 형성되고, 가열된 수분이 토출되는 한 쌍의 수분 토출구;
    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물 유입구와 한 쌍의 상기 수분 토출구를 연통시키되, 상기 물 유입구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챔버는,
    상기 물 유입구와 상기 수분 토출구가 형성된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내부에 수분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히팅 챔버;
    상기 히팅 챔버에 접촉되고, 상기 히팅 챔버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히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
    상기 히팅 챔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팅 챔버의 상측을 기밀하는 실러; 및
    상기 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러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상기 히터와 상기 하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상기 히팅 챔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는,
    상기 히팅 챔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펌프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동안 작동되고,
    상기 워터 펌프가 상기 물 공급 시간동안 공급하는 물의 양은,
    상기 물 공급 시간과 단위 시간 당 상기 걸레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의 곱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펌프는,
    미리 설정된 물 공급 시간동안 작동되고,
    상기 히팅 제너레이터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물 공급 시간과 단위 시간 당 상기 걸레로 토출되는 수분의 양의 곱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KR1020220053800A 2022-04-29 2022-04-29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KR20230153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00A KR20230153848A (ko) 2022-04-29 2022-04-29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PCT/KR2023/003948 WO2023210975A1 (ko) 2022-04-29 2023-03-24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00A KR20230153848A (ko) 2022-04-29 2022-04-29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848A true KR20230153848A (ko) 2023-11-07

Family

ID=8851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00A KR20230153848A (ko) 2022-04-29 2022-04-29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3848A (ko)
WO (1) WO20232109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3199A1 (en) * 2003-02-20 2004-08-26 Bill Hsu Steam cleaner
KR101408733B1 (ko) * 2007-05-15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1342567B1 (ko) * 2013-03-28 2013-12-17 노승환 스팀 청소기
KR101796646B1 (ko) * 2015-09-04 2017-11-10 신일산업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
KR200485335Y1 (ko) * 2015-12-10 2017-12-22 홍기남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75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041B2 (en) Nozzle for cleaner
JP4046347B2 (ja) 携帯・可搬型真空掃除機
US20240138644A1 (en) Cleaner
TWI766785B (zh) 清掃機
CN214965126U (zh) 基站设备及清洁系统
KR20230153848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EP4378366A2 (en) Mop module of cleaner
KR20220122474A (ko) 청소기
EP4378365A2 (en)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er
KR20230017096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IT201800010902A1 (it) Apparecchio per il trattamento di superfici calpestabili, come ad esempio pavimenti
CN113317725B (zh) 基站设备及清洁系统
KR20230170492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N113413098A (zh) 清洁系统及清洁设备
KR20230170493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TWI843060B (zh) 吸塵器
TWI842021B (zh) 清掃機
US20240130591A1 (en) Cleaner
KR20060064404A (ko)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EP4144271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15937257U (zh) 基站及表面清洁系统
EP4378367A1 (en) Cleaner
TW202400067A (zh) 吸塵器
TW202320692A (zh) 清掃機
KR100800185B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