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032A -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032A
KR20230153032A KR1020220052732A KR20220052732A KR20230153032A KR 20230153032 A KR20230153032 A KR 20230153032A KR 1020220052732 A KR1020220052732 A KR 1020220052732A KR 20220052732 A KR20220052732 A KR 20220052732A KR 20230153032 A KR20230153032 A KR 2023015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trance
radiation
movable plates
examinatio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기
Original Assignee
이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기 filed Critical 이순기
Priority to KR102022005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032A/ko
Publication of KR2023015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4Concretes; Other hydraulic harden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실에 있어서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구조체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괴 방식으로 제품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공간으로부터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둘레에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로 축조되어 일측 출입구를 통해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X-선 조사룸 및 이 조사룸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도어는 제1 및 제2가동판으로 분할되어 개방된 출입구에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여 방사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의 바닥면 양단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작동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상호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Entrance door device in radiographic testing room}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실에 있어서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구조체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괴 방식으로 제품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공간으로부터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산업용 철 구조물은 물론 각종 저장탱크나 고압용기 등과 같이 철강재를 이용하여 금속끼리 접합하는 경우 대부분 용접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의 연결부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비파괴 방법을 이용하여 결함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통상의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ing)는 재료나 제품의 원형과 기능을 변화시키지 않고 재료에 물리적 에너지(햇빛, 열, 방사선, 음파) 등을 적용하여 조직의 이상이나 결함의 존재로 인해 적용된 에너지의 성질 및 특성 등이 변하는 것을 적당한 변환자를 이용하여 이들 성질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조직의 이상 여부나 결함의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특히,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의 경우에는 방사선 검사실(Radiographic Testing Room: RT룸) 내에서 X-선이나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피대상물의 용접부위나 구조물에 투과시킨 후 방사선으로부터 필름이나 CRT 등에 그 상을 재생하여 피대상물의 내부결함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방사선을 이용하여 비파괴 검사를 행하는 경우, 인체에 일정 시간 이상 피폭되면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외부로의 누출을 억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개의 RT룸은 방사선이 누출되지 않도록 두꺼운 콘크리트 재질의 벽체로 이루어져 공간부(11)가 형성된 본체(10) 및 이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비파괴 조사장치(20)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 전면에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13)가 형성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는 작업자가 통로(15)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출입구(14)가 형성된다. 이 통로(15)는 본체(10)의 외측에 축조된 별도의 콘크리트 벽체(16)에 의해 본체(10)의 외측 벽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15)의 내부에는 비파괴 조사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1)가 구비되어 X-선이나 감마선 등을 이용한 피대상물의 결함유무를 특정하게 된다.
상기 도어(12)의 경우, 벽체와 거의 동일 두께로 상당한 하중을 갖도록 설계되며, 대개 도어(12)의 하부에 차륜이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를 설치함과 동시에 구동모터의 가동에 의해 롤러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고중량체로 이루어진 도어의 특성상 유격이나 기타 제조상의 문제로 인해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폐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방사선 누출과 함께 인체에 노출되어 버리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9-0035976호(2019.04.04 공개) - 방사선 조사실. 등록특허 제0334891호(2002.04.18 등록) - 도어 하부용 방사선 차폐장치. 등록특허 제1193997호(2012.10.17 등록) -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대상물의 비파괴 검사를 행할 때 방사선 검사실 내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이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둘레에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로 축조되어 일측 출입구를 통해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X-선 조사룸 및 이 조사룸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도어는 제1 및 제2가동판으로 분할되어 개방된 출입구에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여 방사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의 바닥면 양단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작동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상호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의 상단부는 출입구의 외측에 형성된 상부 요입홈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동축의 끝단부에 지지롤러가 장착되어 천정부에 매립된 ㄷ자형 앵글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부는 출입구의 바닥부에 형성된 하부 요입홈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H-빔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 상에 롤러가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Ey,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이 서로 마주 대하는 부위에는 각각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닫힘 동작시에 상호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의 양측 끝단에는 후벽부에 형성된 절취홈 측으로 출입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철근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로 축조된 X-선 조사룸의 출입구에 여닫이 방식으로 양 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개폐도어를 설치함으로써 X-선 조사룸으로부터 출입구를 통해 누출될 수 있는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X-선 조사룸의 출입구 외측에 상,하부 요입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개폐도어를 매립시킴과 동시에 단턱부나 돌출부 들을 형성함에 따라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시 직진성을 갖는 X-선이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사선 검사실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선행 등록특허 제1193997호에 개시된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의 a,b는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도어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 구성도,
도 6은 X-선 조사룸 및 개폐도어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개폐도어의 일측 모서리부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예로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특허 제1193997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 기술을 발췌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의 a,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어(110), 하우징(120), 구동부(130) 및 차폐막(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110)는 방사선 차단재로 형성되어 외부로 방사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곳이다. 이러한 도어(110)에 형성되는 차폐물질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며, 납 및 콘트리트 등과 같이 밀도가 높아 방사선 중 감마선까지 모두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0)은 구동부(130) 및 차폐막(140) 등을 수용한다. 또 하우징(120)은 구동부(130)가 작동됨과 동시에 차폐막(14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있다.
구동부(130)는 도어(110)의 작동상태에 연동하여 차폐막(140)을 이동시키되, 도어(110)가 열리는 경우에는 차폐막(140)을 도어(110) 측에서 지면으로 하강시키고, 도어(110)가 닫히는 경우에는 차폐막(140)을 지면 측에서 도어(110)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힌지(131) 및 기어(13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131)는 도어(110)와 결합되어 도어(110)가 열리고 닫히도록 힌지의 축(131a)과 연결되어 한쪽은 문틀에 다른 한쪽은 도어(110)에 고정된다. 또한 힌지의 축(131a)은 도어(11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131) 중 도어에 고정된 부분과 함께 회전된다.
즉, 도어(110)가 열리고 닫히는 경우, 힌지(131) 중 도어(110)에 고정된 부분과 힌지의 축(131a)이 함께 회전되어 도어(110)의 움직임을 기어(132) 측으로 전달하게 되고, 힌지의 축(131a)의 일단은 하우징(120)에 구속되어 회전된다.
기어(132)는 힌지의 축(131a)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회전기어(132a) 및 전환기어(132b)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기어(132a)는 힌지의 축(131a)의 회전에 의해 작동한다.
이러한 회전기어(132a)는 회전기어(132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20)에 의해 구속되는 힌지의 축(131a)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도어(110)의 경우 도어(110)가 열리고 닫히는 작동반경은 180도 이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기어(132a)에 형성되는 톱니 또한 도어(110)의 작동반경에 따라 회전기어(132a)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전환기어(132b)는 회전기어(132a)와 맞물려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교차 축기어의 형태로 회전기어(132a)와 직교하여 맞물린다. 또한 전환기어(132b)는 도어(110)의 작동반경에 따라 형성되는 회전기어(132a)의 톱니와 마찬가지로 전환기어(132b)의 일측에만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환기어(132b)는 차폐막(140)과 연결되어 차폐막(140)을 이동시킨다. 즉 전환기어(132b)의 일측은 회전기어(132a)와 연결되어 회전기어(132a)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며, 전환기어(132b)의 타측은 차폐막(140)과 연결되어 차폐막(140)을 이동시킨다.
구동부(130)는 도어(110)의 움직임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차폐막(140)을 도어(110) 측으로 상승하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차폐막(140)은 도어(110)의 하부와 접촉되는 형태로 상승될 수 있지만 도어(110)의 기울어짐 등의 현상과 무관하게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110)와 겹쳐지는 형태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막(140)은 도어(110)와 지면 사이의 틈으로 방출되는 방사선을 차단하여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차폐막(140)은 방사선 중 알파선 및 베타선을 차단하는 금속 등을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으며, 방사선 중 알파선, 베타선 및 감마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납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막(140)의 일측에는 전환기어(132b)의 톱니와 맞물리는 다수의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환기어(132b)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가 차폐막(14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홈(G1)과 차례대로 맞물리면서 전환기어(132b)의 회전운동이 차폐막(1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다수의 홈(G1)은 내구성이 뛰어난 금속 등의 합금을 이용하여 전환기어(132b)와 맞물리도록 성형한 뒤 이를 차폐막(140)에 포함시키는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10)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차폐막(140)이 도어(110)와 겹쳐지는 상태로 상승되어 도어(110)의 하부 틈으로 방사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도어(110)가 열리게 되면 도어(110)의 힌지의 축(131a)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기어(132a)가 작동하고, 회전기어(132a)의 회전시에 회전기어(132a)와 맞물려 있는 전환기어(132b)가 작동하게 된다.
또, 차폐막(14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홈(G1)이 전환기어(132b)와 차례대로 맞물리면서 차폐막(140)이 하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차폐막(140)이 도어(110)와 겹쳐지는 상태로 상승되어 도어(110)의 하부 틈으로 방사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더라도 그 이외의 틈새로 방사선이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또한, 도어(110)의 주위 다른 부분에도 차폐막(140)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장치의 연동에 따른 제반 비용은 물론 복잡한 구조를 갖출 수 밖에 없어 상용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의료기관이나 연구소와 같이 X-선이 인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발생하는 간이시설에는 적용할 수 있을지라도 탱크나 고압용기 등의 용접부위를 검사하기 위한 RT룸에 있어서는 X-선이 투과할 수 없는 500㎜∼9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나 도어를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여러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로 X-선이 투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둘레에 철근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51)로 축조된 X-선 조사룸(50A) 및 이 조사룸(50A)의 출입구(52)에 설치되는 개폐도어(50B)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X-선 조사룸(50A)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비파괴 조사장치를 포함하여 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가 적절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비파괴 조사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X-선이나 감마선 등을 이용하여 피대상물을 파괴하지 않고 결함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X-선 조사룸(50A)의 바닥에는 피대상물이 탑재된 대차 등의 이동을 위한 레일 등이 부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통상의 방사선 검사실(RT룸)에 갖추어져 있어야 할 일반적인 설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X-선 조사룸(50A)의 후방부에는 비파괴 조사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53)를 포함하여 자재창고(54) 및 여닫이 문(55)이 배치된다. 상기 통로(53)는 X-선 조사룸(50A)의 후벽부(51)로부터 연이어지도록 동일 규격의 철근 콘크리트재로 축조하여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X-선 조사룸(50A)의 출입구(52)를 통해 피대상물을 공급한 후 개폐도어(50B)를 폐쇄한 상태에서 비파괴 조사장치 및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 때 작업자가 X-선에 노출되거나 출입구(52)와 개폐도어(50B)의 틈새로 누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X-선 조사룸(50A)의 후벽부(51)는 직진성을 갖는 X-선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대략 500㎜∼900㎜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후벽부(51)는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열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는 일반적인 건축방식으로 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폐도어(50B)의 경우 출입구(52)를 개방하거나 폐색할 수 있도록 약간 더 넓은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폐도어(50B)는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으로 분할되어 개방된 X선 조사룸(50A)의 출입구(52)에 대해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함으로써 방사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철판을 이용하여 1차 거푸집을 만든 상태에서 내부로 콘크리트를 채워넣어 제작하게 된다.
즉, 상기 거푸집은 이미 설계된 칫수에 맞춰 두께가 0.5㎜∼1.0㎜ 정도인 철판을 기계가공으로 절곡하거나 절단한 상태에서 각각의 이음부분을 용접작업에 의해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을 500㎜∼900㎜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별개로 제작한다.
이어서, 이들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의 내부에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타설구를 폐색하고 소정 기간동안 양생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의 바닥면 양단에는 구동모터(57)의 작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작동하는 롤러(5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58)가 레일(59) 상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57)는 작업자에 의해 리모컨(Remote control) 등의 작동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정,역방향으로 가동시키게 되며,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나 센서(Sensor) 등에 의해 개폐도어(50B)가 작동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개폐도어(50B)의 상단부는 출입구(52)의 외측에 형성된 상부 요입홈(60a)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동축(61a)의 끝단부에 장착된 지지롤러(61b)가 베어링(61c)을 개재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부 요입홈(60a)의 천정부에 매립되어 있는 ㄷ자형 앵글(62)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가이드된다.
또, 상기 개폐도어(50B)의 하단부는 출입구(52)의 바닥부에 형성된 하부 요입홈(60b)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하부 요입홈(60b)에 2열로 매립되어 있는 H-빔(63)의 상측에 각각 레일(59)이 장착되어 구동모터(57)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롤러(58)가 탑재되어 개폐도어(50B)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50B)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이 서로 마주 대하는 부위에는 단차부(64a,64b)가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의 닫힘 동작시에 단차부(64a,64b)끼리 상호 끼워맞춰지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의 양측 끝단에는 후벽부(51)에 형성된 각각의 절취홈(65) 측으로 출입하는 돌출부(66)가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X-선 조사룸(50A)의 출입구(52)를 긴밀하게 폐색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로 축조된 X-선 조사룸의 출입구에 여닫이 방식으로 양 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개폐도어를 설치함으로써 X-선 조사룸으로부터 출입구를 통해 누출될 수 있는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X-선 조사룸의 출입구 외측에 상,하부 요입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개폐도어를 매립시킴과 동시에 단턱부나 돌출부 들을 형성함에 따라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시 직진성을 갖는 X-선이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A: X-선 조사룸 50B: 개폐도어
51: 후벽부 52: 출입구
53: 통로 54: 자재창고
55: 여닫이 문 56A: 제1가동판
56B: 제2가동판 57: 구동모터
58: 롤러 59: 레일
60a: 상부 요입홈 60b: 하부 요입홈
61a: 연동축 61b: 지지롤러
61c: 베어링 62: ㄷ자형 앵글
63: H-빔 64a,64b: 단차부
65: 절취홈 66: 돌출부

Claims (3)

  1. 외부 둘레에 콘크리트재의 두꺼운 후벽부로 축조되어 일측 출입구를 통해 피대상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X-선 조사룸(50A) 및 이 조사룸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도어(50B)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도어(50B)는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으로 분할되어 개방된 출입구(52)에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여 방사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의 바닥면 양단에는 구동모터(57)의 작동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작동하는 롤러(58)가 설치되어 레일(59)을 따라 상호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50B)의 상단부는 출입구의 외측에 형성된 상부 요입홈(60a)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동축(61a)의 끝단부에 지지롤러(61b)가 장착되어 천정부에 매립된 ㄷ자형 앵글(62)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며, 상기 개폐도어(50B)의 하단부는 출입구의 바닥부에 형성된 하부 요입홈(60b)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H-빔(63)의 상측에 설치된 레일(59) 상에 롤러(58)가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56A,56B)이 서로 마주 대하는 부위에는 각각의 단차부(64a,64b)가 형성되어 닫힘 동작시에 상호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판의 양측 끝단에는 후벽부(51)에 형성된 절취홈(65) 측으로 출입하는 돌출부(6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KR1020220052732A 2022-04-28 2022-04-28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KR20230153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32A KR20230153032A (ko) 2022-04-28 2022-04-28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32A KR20230153032A (ko) 2022-04-28 2022-04-28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032A true KR20230153032A (ko) 2023-11-06

Family

ID=8874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32A KR20230153032A (ko) 2022-04-28 2022-04-28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0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91B1 (ko) 1999-05-24 2002-05-02 김영창 도어하부용 방사선차폐장치
KR101193997B1 (ko) 2010-06-25 2012-10-24 한국과학기술원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
KR20190035976A (ko) 2017-09-25 2019-04-04 (주)대광산업 방사선 조사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91B1 (ko) 1999-05-24 2002-05-02 김영창 도어하부용 방사선차폐장치
KR101193997B1 (ko) 2010-06-25 2012-10-24 한국과학기술원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
KR20190035976A (ko) 2017-09-25 2019-04-04 (주)대광산업 방사선 조사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177B1 (ko) 방사선 차폐도어 및 그 개폐장치
US20090266648A1 (en) Modular Elevator With a Self-Propelled Cabin on a Mast
KR100738123B1 (ko) 방사선 투과 시험장비의 차폐장치
KR20230153032A (ko) 방사선 검사실의 출입구 도어 구조체
CN111188559A (zh) 一种大型电动推拉式隔音门及其施工方法
Calzada et al. Construction and assembly of the neutron radiography and tomography facility ANTARES at FRM II
CN113513246B (zh) 一种防辐射混凝土屏蔽门及其施工工艺
US11277947B2 (en)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shielding system
JP2021047119A (ja) 気密試験装置及び気密試験方法
US8549795B1 (en) High security blast door lock and seal
KR101929119B1 (ko) 벽과 도어 및 창 연결부의 방사선 차폐 구조물
CN112211440A (zh) 一种屏蔽机房
KR20190035976A (ko) 방사선 조사실
CN211851470U (zh) 一种增强隔音效果的大型电动隔音门
CN114673437A (zh) 通行零障碍防水文物库或金库房门
JPH0532672U (ja) 超重量扉の開閉構造
KR101193997B1 (ko) 방사선 차폐 도어 어셈블리
JP2001170196A (ja) 分割パネル式防火シャッタ
CN214532527U (zh) 转动门及屏蔽舱
JP3919264B2 (ja) 放射線遮蔽体
CN217872534U (zh) 一种射线防护屏蔽门
CN215292240U (zh) 旋转平开式辐射防护门
JP3809433B2 (ja) クリアランス遮蔽構造を備えた遮蔽扉
JP5592416B2 (ja) 津波対策用扉
JPH05195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