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029A -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029A
KR20230153029A KR1020220052721A KR20220052721A KR20230153029A KR 20230153029 A KR20230153029 A KR 20230153029A KR 1020220052721 A KR1020220052721 A KR 1020220052721A KR 20220052721 A KR20220052721 A KR 20220052721A KR 20230153029 A KR20230153029 A KR 2023015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onitoring unit
battery
cell monitoring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송
박현영
한경희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세종중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중앙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중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029A/ko
Publication of KR2023015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된 다수 개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양측 셀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 정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셀 연성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커넥터; 상기 기판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유닛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셀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셀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셀 모니터링 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용접 및 솔더링 공정 없이 셀 모니터링 유닛이 결합되므로 제작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 폐기를 줄일 수 있으며,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셀 간의 절연성이 개선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간의 통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Battery module having detachable cell monitoring unit}
본 발명은 무선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셀 모니터링 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의 튜닝 및 교체가 용이하고 부품 폐기비용 절감과 부품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다. 각각의 배터리모듈은 다수개의 배터리셀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터리셀들을 연결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셀의 양극과 음극측에는 각각 다수 개의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모듈의 측면 또는 상단에는 용접, 솔더링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셀 모니터링 유닛(CMU: Cell Monitoring Unit)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FPC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바,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배터리셀의 온도와 전압 등의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무선으로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U: Battery Manage Unit)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버스바 및 연성회로기판과 용접 및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버스바 및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셀 모니터링 유닛이 손상되는 경우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배터리모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바 수리 및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품의 개발과정에서는 셀 모니터링 유닛을 수 회에 걸쳐 튜닝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셀 모니터링 유닛의 분리가 불가하면 배터리모듈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개발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용접 및 솔더링 공정은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작업이므로 배터리모듈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용접 및 솔더링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셀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한 각 부품들을 모두 폐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모듈은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셀이 매우 근접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간의 통신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KR 10-2022-004086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셀 모니터링 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용접 및 솔더링 공정 없이 셀 모니터링 유닛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셀 간의 절연성이 개선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간의 통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된 다수 개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양측 셀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 정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셀 연성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커넥터; 상기 기판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유닛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셀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셀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도성 금속으로 제작되어 각각의 셀탭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결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판커넥터는 커넥터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셀 중 상기 기판커넥터가 연결된 측을 덮도록 장착되되 상기 기판커넥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인슐레이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인슐레이션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다수 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에 결합된다.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인슐레이션의 외측면 중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판커넥터가 통과된 후 전체 또는 일부가 절연재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 중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이 결합된 측을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엔드캡;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엔드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정비창;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비창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셀 모니터링 유닛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용접 및 솔더링 공정 없이 셀 모니터링 유닛이 결합되므로 제작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 폐기를 줄일 수 있으며,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셀 간의 절연성이 개선되어 셀 모니터링 유닛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간의 통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에 포함되는 기판들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셀 모니터링 유닛이 인슐레이션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인슐레이션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기판커넥터와 유닛커넥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에 포함되는 기판들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셀(100)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로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고정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된 다수 개의 배터리셀(100)과, 상기 배터리셀(100)의 양측 셀탭(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100)의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300)과,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300)을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1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10)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셀(100)의 온도 정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으로 전달하는 셀 연성회로기판(400)과,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300)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커넥터(500)와, 상기 기판커넥터(500)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유닛커넥터(710)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으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셀(100)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배터리셀(100)은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몸체하우징(210)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몸체하우징(2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버스바프레임(22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버스바프레임(220)에 결합되되, 구리 등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된 별도의 연결팁(310)에 의해 각각의 셀탭(110)과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셀(100)의 전압 정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 의해 감지되어 기판커넥터(500) 및 유닛커넥터(710)를 통해 셀 모니터링 유닛(700)으로 전달되고, 상기 배터리셀(100)의 온도 정보는 상기 셀 연성회로기판(400)의 온도센서(410)에 의해 감지되어 인쇄회로기판(300)으로 전달된 후 기판커넥터(500) 및 유닛커넥터(710)를 통해 셀 모니터링 유닛(700)으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배터리셀(100)의 전압 정보와 온도 정보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구성은 종래의 배터리모듈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커넥터(500) 및 유닛커넥터(710)를 연결매체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셀 모니터링 유닛(700)만을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고,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튜닝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만을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셀 모니터링 유닛(700)만이 독립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배터리모듈의 부품 중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그대로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부품 폐기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모듈은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용접이나 솔더링 방식에 의해 접합되는데, 용접 및 솔더링은 작업 난이도가 높아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 및 솔더링 과정에서 셀 모니터링 유닛(700)의 접합 부위에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모듈 전체를 폐기해야 하므로, 부품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과 같이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커넥터를 연결매개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셀 모니터링 유닛(700) 결합의 난이도가 매우 낮아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결합 공정에서의 불량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부품을 폐기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기판커넥터(500)와 유닛커넥터(710)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셀(100)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배터리셀(100)의 전자기장에 노출되므로 각종 노이즈에 의해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과의 통신 및 성능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절연물질로 제작된 인슐레이션(600)이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셀(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션(600)은 다수 개의 배터리셀(100) 중 셀탭(110)이 위치하는 측 전체를 덮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셀(100) 사이에 인슐레이션(600)이 구비되면,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셀(100) 간의 거리가 가깝더라도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배터리셀(100)의 전자기장 영향을 거의 받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은 배터리셀(100)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정상적으로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간의 통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션(600)은 기준치 이상의 절연성과 내열성,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배터리셀(100)의 전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면 어떠한 물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인슐레이션(60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인슐레이션(6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기판커넥터(500)와 유닛커넥터(71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인슐레이션(600)이 배터리셀(100)의 일측(더 명확하게는 셀탭(110)이 위치하는 측) 전부를 덮도록 결합되면 기판커넥터(500)와 유닛커넥터(710)가 연결될 수 없으므로, 상기 기판커넥터(500)는 인슐레이션(600)을 관통한 후 유닛커넥터(7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결합되면, 셀 모니터링 유닛(700)의 유닛커넥터(710)를 상기 기판커넥터(500)에 연결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커넥터(500)는 별도의 커넥터 연성회로기판(51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00)에 연결되고, 상기 인슐레이션(600)은 배터리셀(100) 중 기판커넥터(500)가 연결된 측을 덮도록 장착되되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61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판커넥터(500)가 커넥터 연성회로기판(51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00)에 연결되면,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판커넥터(500)와 유닛커넥터(71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610)은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관통홀(610)을 통과한 이후에는 상기 관통홀(61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셀(100)의 전자기장이 상기 관통홀(610)을 통해 셀 모니터링 유닛(700)으로 전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610)은 상기 기판커넥터(500)가 관통된 후 별도의 절연재(미도시)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가 막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61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절연재로 막히면 배터리셀(10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일정 수준 차단되므로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간의 통신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배터리셀(100) 사이에 인슐레이션(6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은 상기 인슐레이션(60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체결볼트(720)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6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클립(미도시)원터치 방식으로 인슐레이션(600)에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클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은 기판커넥터(500)의 입출에 방해가 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인슐레이션(600)의 외측면 중 상기 관통홀(61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60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인슐레이션(600) 중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결합된 측을 덮는 엔드캡(8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엔드캡(800)을 분리하지 아니하고서도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인슐레이션(600)으로부터 탈거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엔드캡(800) 중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구부(8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810)는 셀 모니터링 유닛(7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개구부(810)를 통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엔드캡(800)에는 상기 개구부(810)를 덮는 정비창(9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엔드캡(800)의 개구부(810)에 정비창(9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되도록 구성되면, 배터리모듈을 사용하는 평소에는 상기 정비창(900)을 장착시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보호하고,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정비창(900)만을 탈거시킨 후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인슐레이션(6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정비창(9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내열성과 강도, 탄성이 우수한 고분자 복합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 정비창(900)을 탈거하지 아니하고서도 셀 모니터링 유닛(70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정비창(900)을 통해 셀 모니터링 유닛(700)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정비창(90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이나 불투명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셀 110 : 셀탭
210 : 몸체하우징 220 : 버스바프레임
300 : 인쇄회로기판 310 : 연결팁
400 : 셀 연성회로기판 410 : 온도센서
500 : 기판커넥터 510 : 커넥터 연성회로기판
600 : 인슐레이션 610 : 관통홀
700 : 셀 모니터링 유닛 710 : 유닛커넥터
720 : 체결볼트 800 : 엔드캡
810 : 개구부 900 : 정비창

Claims (8)

  1.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된 다수 개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양측 셀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 정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셀 연성회로기판;
    상기 한 쌍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커넥터;
    상기 기판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유닛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셀의 전압 및 온도 정보를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셀 모니터링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으로 제작되어 각각의 셀탭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연결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판커넥터는 커넥터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셀 중 상기 기판커넥터가 연결된 측을 덮도록 장착되되 상기 기판커넥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인슐레이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인슐레이션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다수 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인슐레이션의 외측면 중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판커넥터가 통과된 후 전체 또는 일부가 절연재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 중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이 결합된 측을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셀 모니터링 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엔드캡;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엔드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정비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비창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KR1020220052721A 2022-04-28 2022-04-28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KR20230153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21A KR20230153029A (ko) 2022-04-28 2022-04-28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21A KR20230153029A (ko) 2022-04-28 2022-04-28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029A true KR20230153029A (ko) 2023-11-06

Family

ID=8874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21A KR20230153029A (ko) 2022-04-28 2022-04-28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0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69A (ko)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69A (ko)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457B1 (ko) 배터리 모듈
US20220336929A1 (en) Wiring module
CN108140765B (zh) 电池模组
KR100696685B1 (ko) 이차 전지 모듈
CN108289372A (zh) 电路板及电池连接模块
CN207441900U (zh) 一种电池模组的电芯采样结构
CA2595566A1 (en) Battery cartridge-connecting system for battery module
CN101567283B (zh) 表面贴装熔断器及其制造方法
WO2014023480A1 (de) Gehäuse für eine batteriezelle mit einem gehäusedeckel eine überwachungselektronik aufweisend, batteriezelle, batteriemodul sowie kraftfahrzeug
KR20230153029A (ko) 착탈 가능한 셀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
US20220094003A1 (en) Battery module assembly
CN207183332U (zh) 电池模组
CN112821002B (zh) 电池模块及具有其的车辆
CN216250865U (zh) 温度检测装置及电池模组
CN211152522U (zh) 新型io模块
CN212542538U (zh) 一种动力电池系统电压和温度采集系统
CN220544188U (zh) 电池采样装置、电池管理装置及车辆
DE202012012655U1 (de) Gehäuse für eine Batteriezelle mit einem Gehäusedeckel eine Überwachungselektronik aufweisend, Batteriezelle, Batteriemodul sowie Kraftfahrzeug
CN116235350A (zh) 电池配线模块
CN220585441U (zh) 汇流排组件电池装置
CN112542659A (zh) 一种动力电池用连接模块及生产工艺
CN220873672U (zh) 一种精准探测电芯温度的ccs母排
CN212301610U (zh) 一种汽车座椅电检设备检测插头
CN116826221B (zh) 温度采集组件及用于新能源电池包的温度采集线路板
CN217768571U (zh) 动力电池组信息采集组件、电池模组以及动力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