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547A -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547A
KR20230152547A KR1020220172513A KR20220172513A KR20230152547A KR 20230152547 A KR20230152547 A KR 20230152547A KR 1020220172513 A KR1020220172513 A KR 1020220172513A KR 20220172513 A KR20220172513 A KR 20220172513A KR 20230152547 A KR20230152547 A KR 2023015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card
payment
trade
virtual credit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시영
김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피플
Publication of KR2023015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5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a payment switch or gatew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판매자의 정산 요청시 구매자가 보유한 은행 계좌에 연동된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여 상기 가상 신용카드의 한도 금액을 상기 판매자가 신청한 정산 대금으로 설정하거나, 기발행하여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한도를 상기 판매자가 신청한 정산 대금으로 분할한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함에 따라, 상기 매출채권의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이라 하더라도 상기 판매자가 상기 가상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지불 결제 사업자(결제 대행사)를 통해 신청한 정산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PREPAYMENT SYSTEM FOR ACCOUNT RECEIVABLES BASED ON VIRTUAL CREDIT CARD}
본 발명은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판매자의 정산 요청시 구매자가 보유한 은행 계좌에 연동된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여 상기 가상 신용카드의 한도 금액을 상기 판매자가 신청한 정산 대금으로 설정하거나, 기발행하여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한도를 상기 판매자가 신청한 정산 대금으로 분할한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함에 따라, 상기 매출채권의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이라 하더라도 상기 판매자가 상기 가상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지불 결제 사업자(결제 대행사)를 통해 신청한 정산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매자(공급자)가 부품, 장비 등의 재화 또는 각종 용역 등의 서비스를 구매자(수요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의 기업간 거래에 있어서,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지급하는 방식은 양자 또는 양자 사이에 개입된 중개자(플랫폼 사업자 등)에 의해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소정의 대가를 선지급한 후 판매자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실상 대부분의 기업간 거래는 양자 또는 양자 사이에 개입된 중개자에 의해 결정된 기일(대금 지급 기일)에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때. 구매자는 제공한 대가는 정해진 기간이 지나거나, 대금 지급 기일에 대금 지급을 약속하기 위한 증표로서의 어음, 거래 은행의 시스템을 활용한 전자방식의 외상매출채권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전술한 유무형의 증표 없이 결정된 기일에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이라 하더라도,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지 않는 이상 판매자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조기에 현금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까지 비용 부담의 짐을 판매자가 일방으로 지는 불합리한 상거래 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합리한 상거래 구조 속에서 판매자의 비용 회수 문제를 해갈하는 차원에서 어음 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 등이 이용되고 있다.
어음 할인은 어음 소지자의 의뢰에 의해 만기일 이전에 어음의 배서양도라는 형식을 통해 어음의 액면 금액에서 만기일까지의 이자를 공제하고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또는 제3자가 매입하는 제도로서, 어음 소지자는 어음을 할인 매입한 금융기관 또는 제3자로부터 만기일 전에 이자를 공제한 금액을 지급받는다.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은 전자 방식으로 발행된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제도로서, 은행이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해당 외상매출채권의 채권자, 즉 판매자에게 외상매출채권의 액면가에 대해 일정 이자율을 적용한 대출을 해주고, 그 외상매출채권의 만기일에 구매자가 상기 대출금을 대신 상환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어음 할인 및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 모두 채권자인 판매자가 어음 할인 또는 담보 대출의 시행자에게 소정의 수수료를 부담하여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는 조기 비용 회수를 위해 추가적으로 불필요한 지출을 하여야 한다.
또한, 구매자의 신용도가 낮을 경우, 애초에 어음 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 실행이 불가하거나, 대금 지급 기일 도래 전 구매자의 부도시 판매자가 대출액을 변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가 발행한 어음 또는 구매자를 채무자로 한 외상매출채권을 보유 중인 판매자가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어음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현금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은 여전히 판매자가 소정의 부담을 지게 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부담은 구매자의 신용에도 영향을 받는 것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 어음 또는 외상매출채권에 근거한 중간 수수료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어음 또는 외상매출채권에 의한 비용 정산 대신 대금 지급 기일뿐만 아니라 대금 지급 기일 전이라 하더라도 판매자의 선택에 의해 즉각적인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거래 구조의 도입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망의 설계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채무자인 구매자가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 방법은, 채무자인 구매자가 기발행되어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 중 일부를 한도 분할하여 채무자인 구매자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여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에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전에 정산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임에 따라,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는 것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 대신에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구매자의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산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판매자가 각자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임에 따라,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초과하는 매입채무가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초과분의 정산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가 발행한 어음 또는 구매자를 채무자로 한 외상매출채권을 보유 중인 판매자가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가상 신용카드 발행을 통해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전에 정산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지불 결제 사업자를 통해 상기 가상 신용카드에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게 되는데, 단순히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에 대한 소정의 결제 수수료만을 부담하면 된다는 점에서 종래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의 과도한 수수료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은 현재 금융망에 적용된 가상 신용카드 발행에 근거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지급 시스템의 설계 및 도입을 위해 기존의 금융망의 설계를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채무자인 구매자가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에게 부품, 장비 등의 재화 또는 각종 용역 등의 서비스(이하, 재화 또는 용역이라 함)를 제공하는 자이며, 상기 판매자 및 상기 구매자는 개인 사업자 및 법인 사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와 상기 구매자 사이에 재화 또는 용역의 제공 및 상기 제공의 대가에 관한 계약이 성립한 후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는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의 대가에 관한 채권이 발생하고, 상기 구매자는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의 대가의 지불에 관한 채무가 발생한다. 즉, 상기 판매자는 채권자이고 상기 구매자는 채무자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공급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구매자(수요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의 거래에 있어서,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지급하는 방식은 양자 또는 양자 사이에 개입된 중개자(플랫폼 사업자 등)에 의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소정의 대가를 선지급한 후 판매자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양자 또는 양자 사이에 개입된 중개자에 의해 결정된 기일(대금 지급 기일)에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판매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면서 대금 지급 기일에 그 대가를 받는 경우, 상기 채권자인 판매자에게는 "매출채권"이 발생하고, 상기 채무자인 구매자에게는 "매입채무"가 발생한다.
상기 "가상 신용카드"는 온라인에서 금융거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발행된 가상의 신용카드로서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각종 상품 결제를 비롯해 금융 서비스를 실물 신용카드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상 신용카드는 경제 상품이나 서비스의 대금 지급을 은행이 보증하여 일정 기간 뒤에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신용 판매 제도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신용카드 방식뿐만 아니라, 체크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포인트 머니 등 카드 발급사나 금융사가 구매자에게 발급한 후 상기 가상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판매자가 선지급 대금을 정산 받을 수 있는 모든 카드 내지 이와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신용카드는 통상의 신용카드와 마찬가지로 신용카드 발급 주체인 카드 발급사에게 고객, 즉, 채무자인 구매자가 가상 신용카드 발행을 요청하여 발급된다.
이 때, 상기 가상 신용카드는 예를 들어, 카드번호, 카드 보안 코드{CVV (Card Verification Value), CVC (Card Validation Code), CID (Confidential Identifier Number or Card Identification Number)}, 지급 한도, 유효기간 및 암호화 정보{예를 들어, EMV (Europay Mastercard Visa)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지급 방법은,
(a)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 발생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판매자가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단계 (b)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기발행되어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발급사에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한도 분할하여 상기 (c) 단계의 상기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지불 결제 사업자(payment gateway)를 통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해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상기 구매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매출채권 및 이에 대응되는 매입채무는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의 종류, 제공 회수, 기간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구매자와 상기 판매자 사이에 기 존재하는 계약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이 제공될 때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는 채권자 및 채무자의 인적사항, 매입채무액, 채무의 종류, 변제기 및 특약 사항 등 매입채무 및 매출채권을 발생시키는 계약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저장된 매입채무의 정보는, 상기 구매자가 직접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에 송신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 내지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상기 매출채권, 상기 매입채무, 선지급용 신용카드 및 가상 신용카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 송신, 입력,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선지급 단말기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의 정보기기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판매자에게 본인이 소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판매자는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입력한 후 유선 내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본인이 소유한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판매자와 상기 구매자 사이에 기 존재하는 계약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재화 또는 용역이 제공될 때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출채권의 정보는 채권자 및 채무자의 인적사항, 채권액, 채권의 종류, 변제기 및 특약 사항 등 매입채무 및 매출채권을 발생시키는 계약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매출채권, 상기 매입채무, 선지급용 신용카드 및 가상 신용카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 송신, 입력,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며,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의 정보기기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상기 단계 (b)를 통해 수신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대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가 서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매자는 상기 판매자에게 지급 기일 전의 매입채무에 대한 선지급 거절을 통지한 후 우편, 유선 내지 무선통신 및 대면 방식으로 소명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대응 과정을 통해, 상기 구매자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잘못 입력된 매출채권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산액과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비교하되, 상기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산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지급 한도내로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발행되어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는 신용카드, 가상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포인트 머니 등과 같은 카드 발급사나 금융사가 구매자에게 발급한 후 한도분할을 통해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할 수 있는 모든 카드 내지 이와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받은 카드 발행사는, 상기 제2 지급 한도가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도 분할 이후의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도는 상기 한도 분할 전 제1 지급 한도에서 상기 제2 지급 한도를 뺀 것으로 감액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은 구매자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기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가상 신용카드는 카드번호, 카드 보안 코드{CVV (Card Verification Value), CVC (Card Validation Code), CID (Confidential Identifier Number or Card Identification Number)}, 제2 지급 한도, 유효기간 및 암호화 정보{예를 들어, EMV (Europay Mastercard Visa)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에게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가 운용 내지 보유하는 결제 대행 서버는 상기 판매자의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 승인 요청 신호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제 대행 서버는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 승인 요청 신호에 대한 제2 가상 신용카드 결제 승인 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상기 카드 발급사로 전송하며, 상기 카드 발급사로부터 전송되는 제2 가상 신용카드 결제 승인 결과 전문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발급사에 요청되는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 결제 승인 요청 전문은 ID 정보, 주소 정보, 사업자 정보, 대표자 정보, 입금계좌 정보, 결제 요청 송신 위치 정보, 기존 결제 내역 정보 등과 같은 구매자 내지 판매자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카드 결제의 결제 금액 정보, 이용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요청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발급사에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가 승인되면, 상기 결제 대행 서버는 승인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 요청에 따른 정산 금액(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급 한도액)을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계좌 내지 상기 판매자에 미리 부여된 상기 판매자 전용 가상 계좌로 입금하여 정산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PG, Payment Gateway)"는 카드 발급사와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곤란한 중소 기업 내지 개인을 대신에 상기 카드 발급사와 대표 가맹점 계약을 맺고 신용카드 결제 및 지불을 대행한 뒤 상기 중소 기업 내지 개인에게 수수료를 받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함으로써, 구매자가 발행한 어음 또는 구매자를 채무자로 한 외상매출채권을 보유 중인 판매자가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가상 신용카드 발행을 통해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전에 정산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지불 결제 사업자를 통해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에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게 되는데, 단순히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에 대한 소정의 결제 수수료만을 부담하면 된다는 점에서 종래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의 과도한 수수료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은 현재 금융망에 적용된 가상 신용카드 발행에 근거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지급 시스템의 설계 및 도입을 위해 기존의 금융망의 설계를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은 구매자가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정도의 신용도를 갖추면 되므로, 상기 구매자의 신용도가 낮아 어음 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 실행이 불가하거나, 대금 지급 기일 도래 전 구매자의 부도시 판매자가 대출액을 변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구매자의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의 합산 채무액인 전체 채무액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구매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는 것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판매자가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매출채권의 비용(또는, 제2 지급 한도)을 상향 조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판매자가 소유한 매출채권의 전체 채권액(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과정 없이도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의 비용(또는, 제2 지급 한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판매자의 수, 판매자의 매출 및 판매자가 선지급 받고자 하는 희망 채권액의 변동으로 인해 단일의 판매자 내지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매입채무의 전체 액수가 증감하는 경우, 구매자가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액수의 증감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복수의 판매자가 각자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단일 판매자가 소유한 매출채권의 전체 채권액(단일 판매자에 대한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이하일지라도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이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초과하여,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초과분의 정산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판매자들이 조기 정산 요청한 대금의 합(복수의 제2 가상 신용카드의 제2 지급 한도의 합)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범위에 존재하는 이상,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제2 가상 신용카드 발행은 각각 독립적 및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매출채권의 정보(예를 들어, 채권액, 변제기 등)를 갖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지급 방법은,
(a)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 발생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매입채무의 정보를 기반으로 카드 발급사에게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하여 발급받는 단계;
(b) 판매자가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단계 (b)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상기 단계 (a)에서 발행된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사에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한도 분할하여 상기 (c) 단계의 상기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지불 결제 사업자(payment gateway)를 통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해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받은 카드 발급사에게 상기 구매자의 신분, 직업, 소득, 재산, 신용 등 가상 신용카드 내지 신용카드의 발급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는 신용카드, 가상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포인트 머니 등과 같은 카드 발급사나 금융사가 구매자에게 발급한 후 한도분할을 통해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할 수 있는 모든 카드 내지 이와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발행을 요청하여 발급받는 제1 가상 신용카드는 카드번호, 카드 보안 코드{CVV (Card Verification Value), CVC (Card Validation Code), CID (Confidential Identifier Number or Card Identification Number)}, 제1 지급 한도, 유효기간 및 암호화 정보{예를 들어, EMV (Europay Mastercard Visa)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구매자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는 것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판매자가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매출채권의 비용(또는, 제2 지급 한도)을 상향 조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판매자가 소유한 매출채권의 전체 채권액(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과정 없이도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매출채권의 비용(또는, 제2 지급 한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의 (a) 단계에서 기발행된 선지급용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새롭게 제1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음으로써, 상기 구매자의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산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매자가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대기업인 경우, 각 사업 분야별로 제1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상기 각 사업 분야별로 상이한 계약 내용, 정산 방식 등을 갖는 판매자에 대한 정산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매입채무의 정보를 기반으로 카드 발급사에게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하여 발급받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a)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 내지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에 설정된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b) 내지 상기 (c)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 및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받은 카드 발행사는, 상기 제2 지급 한도가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도 분할 이후의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한도 분할 전 제1 지급 한도에서 상기 제2 지급 한도를 뺀 것으로 감액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신용카드의 발급사에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한도 분할하여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d)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 및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e) 단계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e)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 및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함으로써, 구매자가 발행한 어음 또는 구매자를 채무자로 한 외상매출채권을 보유 중인 판매자가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가상 신용카드 발행을 통해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전에 정산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지불 결제 사업자(PG, Payment Gateway)를 통해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에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게 되는데, 단순히 상기 지불 결제 사업자에 대한 소정의 결제 수수료만을 부담하면 된다는 점에서 종래 어음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의 과도한 수수료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은 현재 금융망에 적용된 가상 신용카드 발행에 근거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지급 시스템의 설계 및 도입을 위해 기존의 금융망의 설계를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은 구매자가 제1 가상 신용카드 및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정도의 신용도를 갖추면 되므로, 상기 구매자의 신용도가 낮아 어음 할인 또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 실행이 불가하거나, 대금 지급 기일 도래 전 구매자의 부도시 판매자가 대출액을 변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판매자의 수, 판매자의 매출 및 판매자가 선지급 받고자 하는 희망 채권액의 변동으로 인해 단일의 판매자 내지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매입채무의 전체 액수가 증감하는 경우, 구매자가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액수의 증감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복수의 판매자가 각자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지급 한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단일 판매자가 소유한 매출채권의 전체 채권액(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이하일지라도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이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초과하여,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초과분의 정산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판매자들이 조기 정산 요청한 대금의 합(복수의 제2 가상 신용카드의 제2 지급 한도의 합)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범위에 존재하는 이상,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제2 가상 신용카드 발행은 각각 독립적 및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매출채권의 정보(예를 들어, 채권액, 변제기 등)를 갖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신용카드 기반 선지급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구매자가 다양한 판매자가 입점하여 재화를 판매하는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플랫폼 사업자라고 가정해보자.
소비자가 상기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에서 임의의 판매자가 판매 중인 재화를 구입할 경우, 상기 소비자가 구매를 확정한 날로부터 익월 또는 익일월에 판매 대금이 정산되는 것이 현재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의 일반적인 정산 방식이다.
예를 들어, 2월 15일에 소비자가 재화를 구입함에 따라 2월 16일에 소비자에게 재화가 인도되었으나, 소비자가 곧바로 구매 확정을 하지 않음에 따라 3월 1일 플랫폼에 의해 강제적으로 구매 확정이 등록되었다. 이 때, 판매는 2월 중에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월에 구매 확정이 등록됨에 따라 상기 판매 건은 3월 정산 대상으로 등록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구매 확정월에 대한 익월인 4월에 3월에 구매 확정된 전체 판매 이력에 대한 정산 대금이 확정될 것이고, 구매확정월에 대한 익익월인 5월이 되어서야 판매자는 3월에 구매 확정된 정산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판매자는 재화에 대한 판매가 발생한 이후 약 3개월 동안 판매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선지급 방법에 따르면, 판매자가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이라 하더라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구매자가 해당 비용이 한도로 설정된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함으로써, 판매자는 상기 가상 신용카드를 통해 사전 정산받을 수 있게 된다.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 발생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여 소지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주 신용카드를 기발행하여 소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구매자가 통상적으로 월 단위로 정산하는 전체 대금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입점한 다양한 판매자에게 월 단위로 정산하는 전체 대금이 300억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때,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는 300억이 상기 제1 지급 한도로서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 또는 주 신용카드를 발행하여 소지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 A는 3월 20일에 본인이 소유한 총 3,000만원의 매출채권 중 일부인 1,500만원에 대한 조기 정산을 요청하였다. 이 때, 상기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은 판매자 A가 조기 정산 요청한 1,500만원이 제2 지급 한도로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자 A에게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 B는 3월 21일에 본인이 소유한 총 500만원의 매출채권 중 전부인 500만원에 대한 조기 정산을 요청하였다. 이 때, 상기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은 판매자 B가 조기 정산 요청한 500만원이 제2 지급 한도로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행하고,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자 B에게 전송한다.
이 때, 복수의 판매자들이 조기 정산 요청한 대금의 합(복수의 제2 가상 신용카드의 제2 지급 한도의 합)이 상기 제1 지급 한도 범위에 존재하는 이상, 판매자 A와 판매자 B에 대한 제2 가상 신용카드 발행은 각각 독립적 및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판매자 A 및 판매자 B는 각각 지불 결제 사업자(payment gateway)를 통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해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채무자인 구매자가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하는 방법으로서,
    (a)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 발생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판매자가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단계 (b)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기발행되어 보유 중인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발급사에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한도 분할하여 상기 (c) 단계의 상기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지불 결제 사업자(payment gateway)를 통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해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변경 가능한,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복수의 판매자가 각자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용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6.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채무자인 구매자가 채권자인 판매자에게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하는 방법으로서,
    (a) 채무자인 구매자가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하는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재화 또는 용역 제공의 대가로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입채무 발생시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입채무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매입채무의 정보를 기반으로 카드 발급사에게 상기 매입채무의 전체 채무액 이상의 제1 지급 한도가 설정된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하여 발급받는 단계;
    (b) 판매자가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단계 (b)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매입채무의 채무액이 상기 단계 (a)에서 발행된 상기 제1 지급 한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가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사에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 상기 제1 지급 한도를 한도 분할하여 상기 (c) 단계의 상기 채무액이 제2 지급 한도로 설정된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을 요청한 후,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지불 결제 사업자(payment gateway)를 통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해 기설정된 한도의 대금을 사전 정산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선지급 관리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 이후에 변경 가능한,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복수의 판매자가 각자 본인이 소유한 상기 매출채권 중 대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기 전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지급 받고자 하는 매출채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가상 신용카드의 제1 지급 한도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매출채권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입채무의 채무액의 합 이상인,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판매자에 대한 상기 제2 가상 신용카드의 발급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KR1020220172513A 2022-04-27 2022-12-12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KR20230152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1865 2022-04-27
KR1020220051865 2022-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47A true KR20230152547A (ko) 2023-11-03

Family

ID=887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513A KR20230152547A (ko) 2022-04-27 2022-12-12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5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12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ed-Risk Extension of Credit
US5897621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urrency transactions
US8626599B2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debt conversion notification
KR100432430B1 (ko) 전자증권을 이용한 전자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28705A1 (en) Mediated conversion of cryptographic currency and other funding sources to gold
US200200729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sh-model fund transfers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08017765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nderwriting business credit
WO2003009084A2 (en) A payroll deduc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provision for financing and dispute resolution
MXPA02007983A (es) Sistema y metodo para comercio electronico internacional.
RU263995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кредитных сделок, а также связанная с ним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JP2020003960A (ja) 債権保証システム
US20130073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variable collateral revolving security
KR102160676B1 (ko) 소상공인 카드매출 상생운용 정산 시스템
KR20180068838A (ko) 카드 결제 시스템
US20080071654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ittance processing over a network
KR20010078851A (ko)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채권을 이용한 금융시스템 및 그의처리 방법
US20150213520A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sset conformation and/or valuation for a customer making a purchase
KR100729965B1 (ko) 구매현금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US20160210599A1 (en) Automated Payment System for Consumer Bills
KR20230152547A (ko) 가상 신용카드 기반 매출채권에 대한 선지급 방법
US20020103767A1 (en) Transaction and logistic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ALISMAN) for secure credit card payment and verified transaction delivery
KR20140134978A (ko) 온라인 가맹점의 매출 정보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40134975A (ko) 카드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대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160680B1 (ko) 소상공인 카드매출 상생운용 정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