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81A -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81A
KR20230151781A KR1020220051545A KR20220051545A KR20230151781A KR 20230151781 A KR20230151781 A KR 20230151781A KR 1020220051545 A KR1020220051545 A KR 1020220051545A KR 20220051545 A KR20220051545 A KR 20220051545A KR 20230151781 A KR20230151781 A KR 2023015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ustee
digital asset
walle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태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Priority to KR102022005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781A/ko
Priority to PCT/KR2023/002334 priority patent/WO2023182666A1/ko
Publication of KR2023015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이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원화 대출 서비스와, 대출 만기 또는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에 따른 담보물 청산을 수탁자 단말에 수탁하여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은 여신사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제공받아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원화 대출을 신청받는 단계; 고객사의 위탁자 단말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이 수탁자 단말로 이용자가 담보로 제공한 디지털 자산을 수탁하여 운용을 요청하는 단계; 수탁자 단말이 위탁자 단말 별로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에 등록하는 단계;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 업체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이 디지털 자산의 시세와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대출 한도를 설정하는 단계; 여신사 단말이 P2P 대출 모집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 한도 내에서 이용자에 원화를 대출하는 단계; 여신사 단말이 원화 대출 만기 도래시 또는 디지털 자산의 시세가 기준 시세 미만으로 하락시 수탁자 단말에 담보물 청산을 지시하는 단계; 및 수탁자 단말이 여신사 단말의 담보물 청산 지시에 따라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SSET MORTGAGES LOAN IN WON USING LENDING INSTITUTION}
본 발명은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원화 대출 서비스와, 대출 만기 또는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에 따른 담보물 청산을 수탁하여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가상자산의 관리를 수탁하여 가상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는 고객의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는 대부분 단순히 가상자산을 보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일 예로,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등의 자산을 담보로 P2P 대출을 받는 P2P 대출 서비스가 있으나, 가상자산의 경우 시세가 짧은 시간에 급변동하여 이를 담보로 원화 대출을 수행하는 서비스는 활용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용자가 가상자산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P2P 대출을 받는 과정이 번거로우며, 가상자산을 매도하여 현금화하는 경우 가상자산으로 인한 투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이용자는 자신의 판단으로 가상자산의 투자(매매 거래)나 이전, 관리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가상자산을 이용하여 높은 투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는 고객이 기업 등의 조직일 경우, 담당 직원이 디지털 자산을 탈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해킹의 위험도 있어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원화 대출 서비스와, 대출 만기 또는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에 따른 담보물 청산을 수탁자 단말에 수탁하여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서비스와 함께, 이용자, 고객사(여신사), 수탁사 및 운용사 간의 협업 및 운영키 공유를 통한 디지털 자산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및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은 여신사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원화 대출을 신청받는 단계; 고객사의 위탁자 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여신사 단말이 수탁자 단말로 상기 이용자가 담보로 제공한 상기 디지털 자산을 수탁하여 운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위탁자 단말 별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에 등록하는 단계;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 업체에 해당하는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시세와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대출 한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P2P 대출 모집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여 상기 대출 한도 내에서 상기 이용자에 원화를 대출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원화 대출 만기 도래시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시세가 기준 시세 미만으로 하락시 상기 수탁자 단말에 담보물 청산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여신사 단말의 담보물 청산 지시에 따라 상기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을 통해 상기 수탁자 지갑에 보유 중인 상기 디지털 자산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매수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수탁자 지갑에서 여신사 지갑으로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이전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을 통해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매도하여 현금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매도하여 지급받은 현금을 상기 이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은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수탁자 지갑에 대해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운영키를 생성하여 상기 수탁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운영키를 디지털 자산을 운용하는 운용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사 단말로부터 상기 운영키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운용에 따른 운용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 데이터에 따른 수익을 위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탁자 지갑은 상기 수탁자 단말의 대표 지갑으로 등록되는 수탁자 대표 지갑과, 상기 고객사를 기준으로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의 하위 지갑으로 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수탁자 서브 지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탁자 서브 지갑은 상기 운용사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운용사 서브 지갑, 상기 여신사 단말이 운용 가능한 고객사 서브 지갑, 상기 수탁자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수탁사 서브 지갑, 및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이용자 서브 지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은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운용사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1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여신사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2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3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이용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4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제1 운영키, 상기 제2 운영키, 상기 제3 운영키, 및 상기 제4 운영키를 상기 수탁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1 운영키를 상기 운용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키를 상기 여신사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4 운영키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운용사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운용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여신사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고객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수탁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3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수탁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4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이용자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사 서브 지갑, 상기 고객사 서브 지갑, 상기 수탁사 서브 지갑, 상기 이용자 서브 지갑 별로 각각 디지털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상기 여신사 단말로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의 담보 가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은 상기 수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 요청부에 의해,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계정 검증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확인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상기 수탁자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관리부에 의해, 상기 계정 검증부와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하는 원화 대출 서비스와, 대출 만기 또는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에 따른 담보물 청산을 수탁자 단말에 수탁하여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서비스와 함께, 이용자, 고객사(여신사), 수탁사 및 운용사 간의 협업 및 운영키 공유를 통한 디지털 자산 투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및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을 투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탁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투자를 위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10)은 위탁자 단말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여신사 단말(100), 수탁자 단말(200), 수탁자 DB(300),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 운용사 단말(500), 및 이용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10)은 여신사 단말(100)이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원화를 대출하는 서비스와, 대출 만기 또는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에 따른 담보물 청산 과정을 수탁자 단말(200)에 수탁하여, 디지털 자산 담보에 의한 원화대출을 이용자가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자산 시세 하락시 디지털 자산 변동성으로 인한 위험 요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10)은 여신사 단말(100)이 수탁자 단말(200)로 디지털 자산 매수 또는 매도 등의 거래/투자를 수탁하여 디지털 자산 운용을 요청하면, 수탁자 단말(200)이 여신사 단말(100) 별로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등록하고,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운영키를 여신사 단말(100), 운용사 단말(500), 및 이용자 단말(600)에 공유하며, 운용사 단말(500)로부터 운용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여신사 단말(100) 및/또는 수탁자 단말(200)에 의한 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을 산출하여 위탁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디지털 자산 투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은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원화를 대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신사의 단말기임과 동시에, 수탁자 단말(200)에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 거래(매매), 및 투자를 위탁하는 위탁사에 해당하는 위탁자 단말일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은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 업체의 단말기일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 수탁자 단말(200),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 운용사 단말(500), 및/또는 이용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랩탑,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탁자 단말(200)은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매도, 보관, 이전, 투자 등을 수탁하여,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 관리하는 외에 디지털 자산을 투자하는 디지털 자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탁자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300)는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위탁받은 디지털 자산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후술되는 오너 계정 정보, 신청자 계정 정보, 승인자 계정 정보,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기 위한 디지털 자산 지갑 정보(예를 들어, 난수번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 지갑 주소/지갑 계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여신사를 통한 디지털 담보 원화대출 서비스와 함께, 디지털 자산의 투자 서비스까지 가입한 경우, 여신사 단말(100)은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거래를 통한 수익화를 위해, 제휴된 수탁사에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 투자를 수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600)을 이용하여 여신사 단말(100)에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 및 대출 한도를 조회하여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여 원화 대출을 요청하면(S1-1, S1-2), 여신사 단말(100)은 이용자 단말(600)의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 대출 신청에 따라 수탁자 단말(200)에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수탁한다(S2).
수탁자 단말(200)은 고객사인 위탁사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이용자가 담보로 제공한 디지털 자산을 수탁받아 운용하며, 이를 위해 위탁자인 여신사와 이용자 별로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등록한다(S3).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 업체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100)은 디지털 자산의 시세와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대출 한도를 설정하며, P2P 대출 모집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여 디지털 자산의 시세와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대출 한도 내에서 이용자에 원화를 대출한다(S4-1, S4-2). 이용자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등록된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 담보에 해당하는 수탁자 지갑에 보유된 디지털 자산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S4-3).
여신사 단말(100)은 원화 대출 만기 도래시 또는 디지털 자산의 시세가 기준 시세 미만으로 하락시 수탁자 단말에 담보물 청산을 지시한다(S5). 수탁자 단말(200)은 여신사 단말(100)의 담보물 청산 지시에 따라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여신사 단말(100)은 청산 위기 상황 발생시 이용자 단말(600)로 청산 위기 상황을 미리 알리고, 원금 변제, 추가 담보 제공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600)이 원금 변제, 추가 담보 제공 등에 응하지 않으면, 여신사 단말(100)은 수탁자 단말(200)을 통해 담보물 청산을 지시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청산을 위해, 수탁자 단말(200)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을 통해 수탁자 지갑에 보유 중인 디지털 자산으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을 매수하여 수탁자 지갑에서 여신사 지갑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이전한다(S6-1, S6-2, S6-3, S6-4).
여신사 단말(100)은 수탁사로부터 지급받은 스테이블 코인을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을 통해 매도하여 현금화할 수 있으며, 스테이블 코인을 매도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부터 지급받은 현금을 이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S7-1, S7-2, S7-3, S7-4, S8).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비-스테이블 코인은 시세가 급변동하고 매도 체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현금화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나,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이 적으며 거래 매매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디지털 자산 청산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여신사 단말(100)을 통해 담보로 제공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를 통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용자가 여신사 단말(100)을 통해 담보로 제공한 디지털 자산을 통해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여신사 단말(100)은 수탁자 단말(200)에 디지털 자산 투자를 일임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투자를 수탁한 수탁자 단말(200)은 제휴된 운용사(500)를 통해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운용하여 디지털 자산 투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을 투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하나 이상의 고객사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여신사 단말(100)이 수탁자 단말(200)로 디지털 자산을 수탁하여 운용을 요청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자산을 수탁받은 수탁자 단말(200)은 고객사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100) 별로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이용자가 담보로 제공한 디지털 자산이 수탁자 지갑으로 보관되어 투자에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은 수탁자가 보유한 수탁자 지갑에 대해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운영키(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 투자를 위한 암호/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수탁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로부터 전달받은 운영키를 여신사 단말(100), 디지털 자산을 운용하는 운용사 단말(500), 및/또는 이용자 단말(600)로 제공하여 운영키를 공유할 수 있다.
운용사 단말(500)은 수탁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운영키를 이용하여 수탁자 지갑에 보관된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여 투자/운용할 수 있으며, 운영키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운용에 따른 운용 데이터 및 수익 정보를 수탁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운용사 단말(500)에 의한 디지털 자산 투자에 따른 운용 데이터 및 수익 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수수료를 제한 후 운용 데이터에 따른 수익을 여신사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에게 제공된 수익 중의 적어도 일부는 이후 이용자에게 환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디지털 자산 투자 과정을 통해, 위탁자에 해당하는 여신사 단말(100)은 수탁자 단말(200)에 디지털 자산의 투자를 일임하여, 수탁자 단말(200)과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 운용사 단말(500) 및 이용자 단말(600)의 협업 및 운용키 공유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투자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면서 디지털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탁자 지갑은 수탁자 단말(200)의 대표 지갑으로 등록되는 수탁자 대표 지갑(20)과, 고객사(위탁자)인 여신사를 기준으로 수탁자 대표 지갑의 하위 지갑으로 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수탁자 서브 지갑(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탁자 단말(200)에 등록된 위탁자(여신사) 수가 N 개인 경우, 수탁자 대표 지갑(20)에는 N 개의 수탁자 서브 지갑(30)이 하위 지갑으로 등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탁자 서브 지갑(30)은 운용사 단말(500)에 의해 운용 가능한 운용사 서브 지갑(32), 여신사 단말(100)에 의해 고객사가 운용 가능한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운용 가능한 수탁사 서브 지갑(36) 및 이용자 단말(600)에 의해 운용 가능한 이용자 서브 지갑(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탁자 서브 지갑(30)의 하위 지갑으로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이 등록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500)은 운용사 단말(500)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1 운영키와, 여신사 단말(100)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2 운영키, 수탁자 단말(200)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3 운영키, 및 이용자 단말(600)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4 운영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운영키(운용사 운영키), 제2 운영키(위탁자 운영키), 제3 운영키(수탁자 운영키), 및 제4 운영키(이용자 운영키)를 수탁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운영키는 운용사 단말(500)로 제공하고, 제2 운영키는 여신사 단말(100)로 제공하며, 제3 운영키는 수탁자 단말(200)의 자체 투자를 위해 저장하고, 제4 운영키는 여신사 단말(100)을 통해 혹은 직접 이용자 단말(600)로 제공할 수 있다.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에 보관된 디지털 자산은 서로 다른 운영키(상술한 제1 내지 제4 운영키)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수탁자 대표 지갑(20)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운용사 단말(500)에 의해 제1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은 운용사 서브 지갑(32)으로 분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수탁자 대표 지갑(20)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여신사 단말(100)에 의해 제2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은 고객사 서브 지갑(34)으로 분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수탁자 대표 지갑(20)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제3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은 수탁사 서브 지갑(36)으로 분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수탁자 대표 지갑(20)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이용자 단말(600)에 의해 제4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은 이용자 서브 지갑(38)으로 분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에 보관된 디지털 자산의 총합은 수탁자 서브 지갑(30)에 집계되며, 운용사, 여신사(고객사, 위탁사), 수탁사, 이용자는 각각 수탁자 서브 지갑(30)에 집계된 디지털 자산 한도 내에서 디지털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운용사, 여신사, 수탁사, 이용자는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 중 어느 서브 지갑에 보유 중인 디지털 자산을 매도할 것인지를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 별로 각각 디지털 자산 보관 개수, 디지털 자산 보관 기간, 디지털 자산 운용 수익율, 단위 기간당 디지털 자산 운용 수익율 등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각 디지털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여신사 단말(100) 및/또는 이용자 단말(600)로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 디지털 자산 투자 수익율 정보 등의 운용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은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에 따라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의 담보 가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용사 서브 지갑(32), 고객사 서브 지갑(34), 수탁사 서브 지갑(36), 이용자 서브 지갑(38)을 수탁자 서브 지갑(30)의 하위 지갑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서로 다른 운영키에 의해 투자 등의 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사와 고객사(여신사), 수탁사,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 투자에 따른 수익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각 주체 간의 수수료나 투자 성공 인센티브, 담보 가치 재평가 등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신사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110), 하나 이상의 신청자 단말(120), 및 하나 이상의 승인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0), 신청자 단말(120), 승인자 단말(130), 수탁자 단말(200),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 및 운용사 단말(5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0)은 기업이나 개인 등의 위탁자가 수탁한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및 투자를 수탁자에 위탁하기 위한 오너 계정과,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수탁자 단말(200)에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신청자 단말(120)은 관리자 단말(110)의 디지털 자산 보관, 관리 및 투자 요청에 따라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발급된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투자, 이전 등과 같은 디지털 자산 관리를 신청하는 신청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승인자 단말(130)은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발급된 승인자 계정에 접속하여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해 승인을 하는 승인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탁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탁자 단말(200)은 오너 계정 생성부(210),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 승인 요청부(250), 계정 검증부(260),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너 계정 생성부(210)는 여신사 단말(100)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여신사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오너 계정은 위탁자(여신사)에게 부여되는 계정으로, 오너 계정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오너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투자하기 위한 디지털 자산 지갑(수탁자 서브 지갑)을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400)에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수탁자 서브 지갑의 하위 지갑으로 복수개의 고객사 서브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여신사 단말(100)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신청자 계정 별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여신사 단말(100)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여신사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신청자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여신사 단말(100)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여신사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승인자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승인 요청부(250)는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계정 검증부(26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는 계정 검증부(260) 및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탁자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여신사의 담당 직원의 디지털 자산 탈취나,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오너 계정 별로 승인자 단말(130)은 하나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될 수도 있으나, 오너 계정에 대해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될 수도 있다. 또한, 승인자 계정은 신청자 계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오너 계정에 대해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되는 경우, 여신사 단말(100)의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을 신청하게 되면,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어느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에 대해 승인을 요청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랜덤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승인자 계정을 선택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오너 계정에 대해 3개의 승인자 계정이 설정될 경우, 3개의 승인자 계정 중에서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신청자는 3명은 승인자 중 어느 승인자에게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관, 관리 승인이 요청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신청자가 3명의 승인자 모두와 부정하게 모의를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전 모의에 의한 디지털 자산의 편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계정을 통해 접수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신청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의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탁자 단말(200)은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를 초과할 경우, 둘 혹은 셋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모든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될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단말(120)로부터 투자/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 이하인 경우, 하나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해당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투자를 위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오너 계정 생성이 요청되면(S11), 수탁자 단말(200)의 오너 계정 생성부(210)는 여신사에게 발급할 오너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S12). 오너 계정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오너 계정 정보는 여신사 단말(100)에 공유되고,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S13, S14).
오너 계정 생성 시에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기 위한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여신사 단말(100)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신청자 계정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여신사 단말(100)로부터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의 생성이 요청되면(S15), 수탁자 단말(200)의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및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여신사 단말(100)의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S16)
이때,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와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및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은 여신사 단말(100)에 공유되고,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S17, S1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승인 요청부(250)는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21).
승인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이 승인되면(S22), 계정 검증부(26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다(S23).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는 계정 검증부(260) 및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자산 관리에 따른 정보를 수탁자 DB(300)에 기록할 수 있다(S24, S25).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키고 고객사의 키 정보를 분할 보관하여 고객사의 내부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의 탈취,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탁자 단말(200)은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할 수 있다(S32).
여신사 단말(100)의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을 신청하게 되면,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어느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에 대해 승인을 요청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계정을 통해 접수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신청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S34).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랜덤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승인자 계정을 승인자 계정 개수만큼 선택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36).
수탁자 단말(200)은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를 초과할 경우, 둘 혹은 셋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모든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될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단말(120)로부터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 이하인 경우, 하나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해당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신청자 계정에 의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초로 2개의 승인자 계정을 랜덤으로 선택할 것으로 결정하면, 3개의 승인자 계정 중에서 2개의 승인자 계정을 임의로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38).
신청자는 다수의 승인자 중 어느 승인자에게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관, 관리 승인이 요청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신청자가 모든 승인자와 부정하게 모의를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전 모의에 의한 기업 등에서의 디지털 자산의 편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20 : 수탁자 대표 지갑
30 : 수탁자 서브 지갑
32 : 운용사 서브 지갑
34 : 고객사 서브 지갑
36 : 수탁사 서브 지갑
38 : 이용자 서브 지갑
100 : 여신사 단말(위탁사 단말)
110 : 관리자 단말
120 : 신청자 단말
130 : 승인자 단말
200 : 수탁자 단말
210 : 오너 계정 생성부
220 :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
230 : 신청자 계정 생성부
240 : 승인자 계정 생성부
250 : 승인 요청부
260 : 계정 검증부
270 : 디지털 자산 확인부
280 : 디지털 자산 관리부
290 : 제어부
300 : 수탁자 DB
400 :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
500 : 운용사 단말
600 : 이용자 단말

Claims (5)

  1. 여신사 단말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제공받아 상기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원화 대출을 신청받는 단계;
    고객사의 위탁자 단말에 해당하는 상기 여신사 단말이 수탁자 단말로 상기 이용자가 담보로 제공한 상기 디지털 자산을 수탁하여 운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위탁자 단말 별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수탁자 지갑을 생성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에 등록하는 단계;
    온라인 투자 연계 금융 업체에 해당하는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시세와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대출 한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P2P 대출 모집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여 상기 대출 한도 내에서 상기 이용자에 원화를 대출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원화 대출 만기 도래시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의 시세가 기준 시세 미만으로 하락시 상기 수탁자 단말에 담보물 청산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여신사 단말의 담보물 청산 지시에 따라 상기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을 청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을 통해 상기 수탁자 지갑에 보유 중인 상기 디지털 자산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매수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수탁자 지갑에서 여신사 지갑으로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이전하는 단계;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을 통해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매도하여 현금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스테이블 코인을 매도하여 지급받은 현금을 상기 이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수탁자 지갑에 대해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운영키를 생성하여 상기 수탁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운영키를 디지털 자산을 운용하는 운용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사 단말로부터 상기 운영키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운용에 따른 운용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 데이터에 따른 수익을 위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탁자 지갑은 상기 수탁자 단말의 대표 지갑으로 등록되는 수탁자 대표 지갑과, 상기 고객사를 기준으로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의 하위 지갑으로 등록되는 하나 이상의 수탁자 서브 지갑을 포함하고,
    상기 수탁자 서브 지갑은 상기 운용사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운용사 서브 지갑, 상기 여신사 단말이 운용 가능한 고객사 서브 지갑, 상기 수탁자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수탁사 서브 지갑, 및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의해 운용 가능한 이용자 서브 지갑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운용사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1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여신사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2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3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이용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운용을 위한 제4 운영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자산 거래소 단말이 상기 제1 운영키, 상기 제2 운영키, 상기 제3 운영키, 및 상기 제4 운영키를 상기 수탁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1 운영키를 상기 운용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2 운영키를 상기 여신사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제4 운영키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운용사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운용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여신사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고객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수탁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3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수탁사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대표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 중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4 운영키를 이용하여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이 상기 이용자 서브 지갑으로 분류되어 보관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운용사 서브 지갑, 상기 고객사 서브 지갑, 상기 수탁사 서브 지갑, 상기 이용자 서브 지갑 별로 각각 디지털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상기 여신사 단말로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여신사 단말이 상기 디지털 자산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의 담보 가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하고,
    상기 수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 요청부에 의해,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계정 검증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확인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상기 수탁자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관리부에 의해, 상기 계정 검증부와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방법.
KR1020220051545A 2022-03-23 2022-04-26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1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45A KR20230151781A (ko) 2022-04-26 2022-04-26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3/002334 WO2023182666A1 (ko) 2022-03-23 2023-02-17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45A KR20230151781A (ko) 2022-04-26 2022-04-26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81A true KR20230151781A (ko) 2023-11-02

Family

ID=8874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545A KR20230151781A (ko) 2022-03-23 2022-04-26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7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8011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US20210110474A1 (en) Blockchain-Bas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Accelerate Transaction Processing
KR20170142374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582653B1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KR20220046193A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TWM566363U (zh) 基於區塊鏈的借貸消費中介系統
JP2003528369A (ja) 証券仲介サービスを集計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0033081A2 (en) Secure server system for online transactions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KR20190073725A (ko) 복수의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 화폐 반대 매매를 위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25152A (ko)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EP4116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backed by crypto assets
KR20190121077A (ko) 가상화폐 차익거래 애플리케이션
KR20230059109A (ko)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디지털 금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1781A (ko) 대출 업체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담보 원화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640619B1 (ko) 디지털 자산 결제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658B1 (ko) 암호화폐 투자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US9721298B2 (en) Trade-credit exchange apparatus
TW202025067A (zh) 訂單結帳裝置、記錄媒體以及訂單結帳方法
US20230065042A1 (en) Blockchain marketplace for debt capital
KR20230151795A (ko) 디지털 자산 보호예수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12249A1 (en) Integration of financing into a customer self-checkout involving scanning products with a us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