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73A -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73A
KR20230151673A KR1020220051291A KR20220051291A KR20230151673A KR 20230151673 A KR20230151673 A KR 20230151673A KR 1020220051291 A KR1020220051291 A KR 1020220051291A KR 20220051291 A KR20220051291 A KR 20220051291A KR 20230151673 A KR20230151673 A KR 20230151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op
support
sides
frame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치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띠
Priority to KR102022005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73A/ko
Publication of KR2023015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일면은 세라믹, 대리석, 타일, 철판,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상판(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의 반대면은 목재, 합성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상판(120)으로 형성되어 이종의 재질로 구성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테이블 상판(100)과; 테이블 상판(100)의 사각의 꼭지점측이 받침지지되고,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받침홈부(220)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테이블 지주(200)와; 상기 테이블 지주(200)간에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테이블 상판의 4면을 이루는 측면을 받침지지하고, 이탈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과 이질감이 없도록 동일면을 이루는 받침걸림부(310)가 형성된 테이블 프레임(300);으로 형성되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지주를 연결하는 테이블 프레임상에 걸림단턱과 받침부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이 결합된 상부에 상판이 안치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받침홈부를 형성함과 함께 테이블 상판을 서로 다른 재질의 양면으로 형성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블을 뒤집어 사용가능하도록 지주에 형성된 받침홈부를 통해 돌출된 테이블 상판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으로부터 해제가 용하하여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A table that can be us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top}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테이블 상판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테이블을 구성하여 사용자 취향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하여 사용가능하고, 테이블 상판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세계각국에는 다양한 식사 문화가 있다. 이러한 식사 문화에는 필요로하는 가구가 개시되어 있는 데 서양의 경우에는 테이블과 같은 식탁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동양의 경우에는 좌식 생활을 기반으로 둔 밥상과 같은 가구가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현대사회에는 특정 나라의 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의 세계와 같이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실생활에 널리 퍼져있는 상태이고, 그 중 하나로 식탁과 같은 테이블에서 많은 생활을 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의 사용은 책상과 같은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테이블, 식사를 하기 위한 식탁으로 사용하는 테이블 등 생활속 곧곧에서 테이블의 사용빈도가 높은 추세이다.
이러한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편리성과 건강에 있어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인 데, 테이블에서 식사와 같은 생활을 할 경우에는 다양한 음식을 배치하여 식사하는 데 장점과 정리정돈된 느낌이 있고, 빠른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현 사회의 사람들에게는 빠르게 식사하고, 정리하기 위해서는 종래 밥상문화와 같이 음식을 준비하고, 이를 밥상에 옮겨담고, 다시 식사를 하기 위한 장소로 옮겨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항상 일정한 장소에 테이블이나 식탁이 비치되어 있어 준비된 음식 등을 빠르게 옮겨 바로 식사하고 정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좌식의 식사문화보다는 테이블을 사용하는 데 허리건강에 더 유익하다는 이론들이 발표되고 있어 사용자의 건강에도 좋은 가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식탁과 같은 테이블은 통상 정형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데, 주로 직사각형의 상판에 이를 받치기 위한 다리가 고정결합되어되어 있거나 원형의 상판에 다리가 결합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판과 다리는 짜맞춤에 의해 조립되거나 볼트나 못과 같은 피스를 이용하여 상판과 다리가 결합된 형태로 상판과 다리가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테이블을 사용함에 있어 어떠한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상판의 손상정도가 다른 데, 예를 들면 테이블에서 칼을 쓰는 작업을 하게 되면 칼자국이 테이블 상판에 남게 되어 상판의 손상이 가게 된다. 또한, 식탁으로 사용시에는 통상 목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뜨거운 음식이 수용된 냄비와 같은 용기를 바로 올려놓으면 검게 표면이 탄화되는 등의 문제로 별도의 받침을 사용하여 올려놓는 수고가 필요하다.
즉, 테이블 사용에 있어 용도에 따라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 테이블 상판 위에 강화유리 내지는 합성수지필름과 같은 재질을 상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첩하여 사용하고 있어 이 역시, 테이블 구매비용 이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테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나 필름과 같은 재질을 상판 상부에 커버링하여 배치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외부요인인 열이나 스크래치 등으로 상판의 파손이 심각하게 되고, 이를 원상복귀 하기에는 테이블과 다리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새로운 테이블로의 교체 외에는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테이블을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는 오랜기간 동안 테이블 사용에 대한 식상함과 변화를 주고 싶어하여 멀쩡한 테이블을 버리고 새로운 테이블을 사용하는 등의 소비적인 문제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개시되고 있는 테이블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1835호, 상판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의 테이블이 개시되고 있고, 상기 종래 테이블을 살펴보면 테이블 상판과 다리의 결합을 별도의 고정판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판 하부에 피스결합을 통해 구성하고 있다. 즉, 과거에는 테이블 상판 하부면에 테이블 지주나 프레임을 고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별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고정판을 이용하여 테이블 상판 하부에 피스 결합을 통해 다리와 상판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테이블 상판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테이블은 상판 하부면에 피스홀이 구성되어 있어 교체만 가능할 뿐 상판 자체를 뒤집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상판을 별도로 구매해야만 교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중이던 상판의 다른 미감의 표출이나 사용목적에 따른 교체시 하나의 상판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95162호, 상판 분리형 테이블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테이블은 지주부와 지주부 사이에 연결부를 둔 프레임부를 복수개 준비하고, 연결부 중앙에는 힌지를 갖는 회전부가 구성되 있어 4개의 다리를 가지도록 프레임부 2개를 회전부가 중심이 되도록 중첩하여 힌지결합한 후, 엑스자 형태로 프레임부가 상호 교체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연결부에는 지지판 안착시 바닥면이 4방향으로 접하도록 연결부 상에 탄성지지부재를 결합하고, 지지판은 좌우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파지공을 형성하여 상향 경사진 벽부가 형성되고, 나머저 전후측은 파지공이 없는 벽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부의 연결부를 회전부에 힌지결합을 통해 구성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좌우측과 전후 측 어느 한 측은 높이가 서로 다른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프레임 자체 유동이 발생되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판에 해당되는 지지판을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결합한다고 하더라도 앞서 프레임의 교차되어 중첩된 회전부의 높낮이 차이로 인한 유동은 발생하게 되어 지주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야 하거나 레벨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별도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나아가, 테이블 상판에 해당되는 지지판을 연결부상에 결합된 탄성지지부재상에 올려놓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지주가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외관상 보기 좋지 못한 문제점과 더불어 상판을 뒤집어 사용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아 지지판의 교체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뒤집어 바닥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후좌우의 벽부가 상향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지지판이 탄성지지부재상에 안치되지 못하게 되어 불안정한 결합으로 인한 유동발생과 테이블로서 사용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상판 분리형 테이블은 사실상 대형 테이블에 적용은 앞서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어렵고, 대부분이 소형 테이블에 적용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이 4개의 지주측에 밀착되어 유동발생없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후좌우로의 지지판 유동이 발생되어 실질적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될 수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1835호, 공개일자 2009년07월02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95162호, 등록일자 2022년03월1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지주를 연결하는 테이블 프레임상에 걸림단턱과 받침부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이 결합된 상부에 상판이 안치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받침홈부를 형성함과 함께 테이블을 서로 다른 재질의 양면으로 형성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블을 뒤집어 사용가능하도록 마련된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분리가 용이하여 상판의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사용자 취향에 따른 테이블 전체의 교체 없이 상판이나 테이블다리와 테이블프레임만을 교체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취향을 고려할 수 있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이 테이블 상판과의 결합이 분리된 것과 같은 이질감 없이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장식미나 완성도가 뛰어나고, 테이블 상판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부품의 간소화가 가능하면서도 공구없이 테이블 상판의 교체가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에 테이블 상판의 교체 내지는 양면사용을 위해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은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일면은 세라믹, 대리석, 타일, 철판,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상판(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의 반대면은 목재, 합성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상판(120)으로 형성되어 이종의 재질로 구성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테이블 상판(100)과; 테이블 상판(100)의 사각의 꼭지점측이 받침지지되고,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받침홈부(220)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테이블 지주(200)와; 상기 테이블 지주(200)간에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테이블 상판의 4면을 이루는 측면을 받침지지하고, 이탈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과 이질감이 없도록 동일면을 이루는 받침걸림부(310)가 형성된 테이블 프레임(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지주(200)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수직선상으로 기립되어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단에 테이블 상판(100) 측으로 만곡진 곡선면(212)이 형성된 지주부(210)와; 상기 곡선면(212) 중앙으로 사각의 테이블 상판(100) 꼭지점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으로 요입형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프레임(300)에 안치되면서 꼭지점 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이 받침됨과 함께 지주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만곡진 곡선면(212)을 따라 돌출된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 하부와 상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받침홈부(220)와; 상기 받침홈부(220) 좌우로 상기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과 이어지는 선분의 전방과 좌측면, 전방과 우측면, 후방과 좌측면, 후방과 우측면으로 받침걸림부(310)의 형상과 일치되어 테이블 프레임(300)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모서리측이 상기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프레임결합부(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테이블 상판(100)의 하부면과의 각도는 35~45°각도로 형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돌출길이는 테이블 지주를 벗어나지 않는 내측에서 40mm 보다 길게 돌출되며,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 사이 공간은 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걸림부(310)는 단면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되, 테이블 상판(100)의 전후좌우측면의 테두리측 하부면을 받침하도록 테이블 프레임(300) 내측으로 수평상의 편평한 받침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312)의 외측으로 수직상으로 기립되어 테이블상판(100)의 전후좌우 유동방지 및 이탈이 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걸림단턱(3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지주를 연결하는 테이블 프레임상에 걸림단턱과 받침부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이 결합된 상부에 상판이 안치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받침홈부를 형성함과 함께 테이블을 서로 다른 재질의 양면으로 형성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블을 뒤집어 사용가능하도록 지주에 형성된 받침홈부를 통해 돌출된 테이블 상판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어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으로부터 해제가 용하하여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분리가 용이하여 상판의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사용자 취향에 따른 테이블 전체의 교체 없이 상판이나 테이블다리와 테이블프레임만을 교체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취향을 고려할 수 있고,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이 테이블 상판과의 결합이 분리된 것과 같은 이질감 없이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장식미나 완성도가 뛰어나고, 테이블 상판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부품의 간소화가 가능하면서도 공구없이 테이블 상판의 교체가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에 테이블 상판의 교체 내지는 양면사용을 위해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요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며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은 테이블 상판을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여 양면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손상이나 파손시, 테이블 상판의 교체 내지는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을 교체하여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장식미와 기능적 테이블로의 변형이 가능하고,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테이블 상판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부품의 간소화가 가능하면서도 공구없이 테이블 상판의 교체가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에 테이블 상판의 교체 내지는 양면사용을 위해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고, 테이블 상판과 테이블지주, 테이블 프레임간의 분리된 것과 같은 이질감 없이 단일화된 테이블로 보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판(100), 테이블 지주(200), 테이블 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100)은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되,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은 세라믹, 대리석, 타일, 철판,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상판(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의 반대면은 목재, 합성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상판(120)으로 형성되어 이종의 재질로 구성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상판(100)의 제1상판(110)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내구성과 내열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등이 강하여 뜨거운 물체를 올려놓기 편하고, 철판의 경우 칼을 사용하는 작업에 용이하기 때문에 특별한 목적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상판(120)은 목재와 같은 천연재질로 사용함에 따라 자연친화적인 장식미 내지는 공부를 하거나 컴퓨터를 다루는 작업 등에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이나 목적에 따라 테이블 상판(100)의 제1상판(110)이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로 하거나 제2상판(120)이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양면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 지주(200)는 전술한 테이블 상판의 사각의 꼭지점측을 받침하도록 구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이 지주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블 상판(100)을 제1상판(110)이 상부면으로 위치된 상태인 목재, 합성목재 등으로 사용하다가 특별한 작업을 요할 경우 반대편측인 제2상판(120)측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판(100)의 돌출된 꼭지점측 부분의 하부를 손으로 지지하면서 들어올려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지주(200)와 후술되는 테이블 프레임(300)으로부터 이격시켜 뒤집어 다시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테이블 지주(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판의 4개의 꼭지점측 하측으로 위치되어 테이블 상판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테이블 상판(100)의 사각의 꼭지점측이 받침지지되고,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받침홈부(220)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지주(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210), 받침홈부(220), 프레임결합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210)는 테이블 상판(10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사각의 테이블 상판 꼭지점측 4군대에 마련되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수직상으로 기립설치되고, 상단에 테이블 상판(100) 측으로 만곡진 곡선면(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선면(212)은 외관의 장식적 미감의 표출과 함께 후술되는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 하부면으로 사용자의 손이 다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진입하여 테이블 상판(100)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홈부(220)는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 하부면을 받침하도록 함과 함께 양면 사용을 위한 테이블 상판(100)을 사용자가 들어올릴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술한 곡선면(212)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곡선면(212) 중앙으로 사각의 테이블 상판(100) 꼭지점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으로 요입형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프레임(300)에 안치되면서 꼭지점 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이 받침됨과 함께 지주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만곡진 곡선면(212)을 따라 돌출된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 하부와 상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사, 사용자가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 하부로 손을 넣어 테이블 상판을 파지하여 양면 사용을 위해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테이블 상판(100)의 하부면과의 각도(θ)는 35~45°각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35도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되면 사용자의 손이 곡면을 따라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으로 진입이 제한되어 사용자의 외력을 전달할 수 없게되고, 45도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면 테이블 지주와의 분리된 이질감이 크게 형성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미감과 더불어 외부에서 힘이 쉽게 작용될 수 있어 테이블 상판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테이블의 사용이 어렵다.
또한, 테이블 상판(100)의 돌출길이(L)는 테이블 지주를 벗어나지 않는 내측에서 40mm 보다 길게 돌출된다. 40mm 보다 작게 돌출되면 앞서 설명한 각도가 아무리 최적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손을 진입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 지주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면서 테이블 지주 내측에서 40mm 보다는 길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테이블 지주(200)의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 사이 공간은 높이(H)는40mm 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앞서 테이블 상판의 돌출길이와 각도와도 상관관계가 있으며, 40mm 높이를 둠에 따라 테이블 상판의 돌출길이도 확보하면서 사용자가 손을 진입하여 외력발생시, 보다 용이하게 테이블 상판을 들어올려 양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230)는 전술한 곡선면의 최상단측 좌우로 후술되는 테이블 프레임(300)과 연결되어 전체 틀이 사각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의 사각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받침홈부(220) 좌우로 상기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과 이어지는 선분의 전방과 좌측면, 전방과 우측면, 후방과 좌측면, 후방과 우측면으로 후술되는 테이블 프레임(300)의 받침걸림부(310)의 형상과 일치되어 테이블 프레임(300)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모서리측이 상기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테이블 지주에 상기 프레임결합부의 전방과 좌측, 전방과 우측이 전방의 테이블 프레임(300)과 결합되고, 후방과 좌측, 후방과 우측이 후방의 테이블 프레임과 결합되며, 전방 좌측과 후방 좌측, 전방 우측과 후방 우측에는 각각 좌측과 우측의 테이블 프레임이 결합되어 전체적인 사각의 테이블 프레임(30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결합부(230)는 후술되는 테이블 프레임(300)의 받침걸림부(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결합방법에 대하여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테이블 프레임(300)과는 짜맞춤 결합 내지는 접착 등의 결합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설명한 결합방법 이외에 피스결합 등의 일반적인 결합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테이블 프레임(300)은 복수의 테이블 지주(200)에 형성된 프레임결합부와 결합하여 전체적인 사각의 틀을 형성함에 따라 테이블 상판(100)의 전후좌우 및 각 꼭지점측을 안정적으로 안치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지주(200)간에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테이블 상판의 4면을 이루는 측면을 받침지지하고, 테이블 상판(100)이 이탈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과 높이 차이 등에 따른 각 구성의 분리된 느낌의 이질감이 없도록 동일면을 이루는 받침걸림부(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걸림부(3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판(100)이 안치된 후,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과 프레임결합부(230)의 둘레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상판과 받침걸림부(2310)간의 분리된 이질감이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프레임결합부(230) 역시 받침걸림부(310)의 받침부와 걸림단턱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테이블 상판이 안치되었을 때, 꼭지점측과 받침걸림부(310)의 높이 차이나 폭 차이로 인한 분리된 이질감이 없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테이블 상판(100)의 양면 사용에 따른 테이블 상판의 뒤집기 위한 공간이 제한됨에 따라 앞서 설명을 통해 테이블 상판을 사용자가 들어올리는 부분이 테이블 지주(200)의 곡선면에 형성되는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을 통해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걸림부(310)는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프레임(300) 내에 안치되어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해 단면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되, 테이블 상판(100)의 전후좌우측면의 테두리측 하부면을 받침하도록 테이블 프레임(300) 내측으로 수평상의 편평한 받침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312)의 외측으로 수직상으로 기립되어 테이블상판(100)의 전후좌우 유동방지 및 이탈이 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걸림단턱(31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은 테이블 지주(200)의 프레임결합부(230)에 테이블 프레임(300)이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사각의 틀을 이룬 후, 테이블 프레임(300)에 형성된 받침걸림부(310)의 받침부(312)에 테이블 상판(100)의 전후좌우 테두리의 하부면이 안치되고, 전후좌우 측면이 걸림단턱(314)에 걸림되어 이탈방지 및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테이블 지주(200)의 곡선면(212)에 형성된 받침홈부(220)에는 테이블 상판(300)의 꼭지점측이 돌출되어 결합되고, 프레임결합부(230)는 받침걸림부(3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테이블 상판이 안정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테이블 상판(100)의 높이와 테이블 프레임(300)의 받침걸림부(310)의 걸림단턱(314)의 높이가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테이블 상판과 같은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받침홈부(220)측의 높이 역시 테이블 상판(100)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고 있어 테이블 상판(100)과 프레임결합부(230), 테이블 프레임(300)이 서로 분리된 느낌없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이질감이 없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후, 테이블을 사용하다가 이종의 재질로 구성된 테이블 상판의 바닥면측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된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과 테이블 지주(200)의 곡선면(212) 사이 공간을 통해 손을 진입하여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의 하부면과 상부면을 파지하여 테이블 상판(100)의 일측을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지주(200)와 테이블 프레임(3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 사용자는 테이블 상판(100)의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돌려 먼저 반대편측의 테이블 지주(200)에 형성되는 받침홈부(220)에 테이블 상판(100)의 꼭지점측을 일치시키고, 측면은 테이블 프레임의 받침걸림부(310)의 받침부(312)와 걸림단턱(314)에 받침 및 걸림되도록 대응한 후, 서서히 손으로 파지한 측의 테이블 지주(200) 측의 받침홈부(220)와 받침걸림부(310)로 일치시켜 내려놓는다.
이렇게 되면 테이블 상판의 전후측은 자연스럽게 테이블 프레임(300)의 받침걸림부(310)에 안치되어 테이블 상판의 반대편측이 상측으로 위치되어 사용함에 따라 양면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테이블 상판이 파손이나 손상이 되면 테이블 상판(100)만을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가 가능하고, 수리도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테이블 상판이 아닌 테이블 지주와 테이블 프레임을 교체하여 사용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테이블 상판 110 : 제1상판
120 : 제2상판 200 : 테이블 지주
210 : 지주부 212 : 곡선면
220 : 받침홈부 230 : 프레임결합부
300 : 테이블 프레임 310 : 받침걸림부
312 : 받침부 314 : 걸림단턱

Claims (4)

  1.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일면은 세라믹, 대리석, 타일, 철판,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상판(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의 반대면은 목재, 합성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2상판(120)으로 형성되어 이종의 재질로 구성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테이블 상판(100)과;
    테이블 상판(100)의 사각의 꼭지점측이 받침지지되고,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받침홈부(220)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테이블 지주(200)와;
    상기 테이블 지주(200)간에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테이블 상판의 4면을 이루는 측면을 받침지지하고, 이탈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과 이질감이 없도록 동일면을 이루는 받침걸림부(310)가 형성된 테이블 프레임(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지주(200)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수직선상으로 기립되어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단에 테이블 상판(100) 측으로 만곡진 곡선면(212)이 형성된 지주부(210)와;
    상기 곡선면(212) 중앙으로 사각의 테이블 상판(100) 꼭지점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으로 요입형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이 테이블 프레임(300)에 안치되면서 꼭지점 측과 꼭지점을 잊는 선분인 측면 모서리측이 받침됨과 함께 지주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만곡진 곡선면(212)을 따라 돌출된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 하부와 상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받침홈부(220)와;
    상기 받침홈부(220) 좌우로 상기 테이블 상판의 꼭지점측과 이어지는 선분의 전방과 좌측면, 전방과 우측면, 후방과 좌측면, 후방과 우측면으로 받침걸림부(310)의 형상과 일치되어 테이블 프레임(300)이 결합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모서리측이 상기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프레임결합부(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를 통해 돌출되는 테이블 상판(100)의 하부면과의 각도(θ)는 35~45°각도로 형성되고, 테이블 상판(100)의 돌출길이(L)는 테이블 지주를 벗어나지 않는 내측에서 40mm 보다 길게 돌출되며, 곡선면(212)과 받침홈부(220) 사이 공간은 높이(H)는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걸림부(310)는 단면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되,
    테이블 상판(100)의 전후좌우측면의 테두리측 하부면을 받침하도록 테이블 프레임(300) 내측으로 수평상의 편평한 받침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312)의 외측으로 수직상으로 기립되어 테이블상판(100)의 전후좌우 유동방지 및 이탈이 방지되면서 테이블 상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걸림단턱(3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220051291A 2022-04-26 2022-04-26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KR20230151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91A KR20230151673A (ko) 2022-04-26 2022-04-26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91A KR20230151673A (ko) 2022-04-26 2022-04-26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73A true KR20230151673A (ko) 2023-11-02

Family

ID=8874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91A KR20230151673A (ko) 2022-04-26 2022-04-26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835A (ko)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에리트 상판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의 테이블
KR200495162Y1 (ko) 2019-07-05 2022-03-16 오수미 상판 분리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835A (ko)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에리트 상판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의 테이블
KR200495162Y1 (ko) 2019-07-05 2022-03-16 오수미 상판 분리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3492A1 (en) Table assembly
USD954504S1 (en) Beer glass
KR20230151673A (ko) 테이블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테이블
US20070261612A1 (en) Multi-purpose variable height table and chairs
CN104352059A (zh) 一种可拆装多用途桌
CN202932390U (zh) 一种酒柜
CN208558826U (zh) 一种旋转开合的摆件结构
EP3566621B1 (en) Multipurpose furniture apparatus
CN206666107U (zh) 多用组合式托盘分酒器
CN203692841U (zh) 多功能桌
CN201798249U (zh) 多功能茶几
CN209610319U (zh) 茶几及组合家具
CN206586665U (zh) 一种桌椅两用家具及其组合家具
CN102389226A (zh) 一种便于用餐的红木椅子
CN216566222U (zh) 一种异形拼花板材及家具
CN205306271U (zh) 一种统筹用不锈钢组合桌子
CN213882751U (zh) 一种餐盘托架套装
CN208480809U (zh) 一种茶几
CN106562571A (zh) 一种方便折叠茶几
CN212590972U (zh) 一种可折叠小茶几
CN201082025Y (zh) 棋盘式茶几
CN213909015U (zh) 一种凳子及其应用餐桌
CN220571744U (zh) 一种新型不锈钢桌子
KR102350750B1 (ko)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CN203809452U (zh) 桌椅的脚管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