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750B1 -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 Google Patents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750B1
KR102350750B1 KR1020200054689A KR20200054689A KR102350750B1 KR 102350750 B1 KR102350750 B1 KR 102350750B1 KR 1020200054689 A KR1020200054689 A KR 1020200054689A KR 20200054689 A KR20200054689 A KR 20200054689A KR 102350750 B1 KR102350750 B1 KR 10235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vertical support
support legs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439A (ko
Inventor
박병규
Original Assignee
박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규 filed Critical 박병규
Priority to KR102020005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목으로 이루어진 수평마감상판의 하부 양측 모서리에 수직받침다리를 다리접철부재로서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특히 펼쳐진 다리를 다리접철부재의 회동편을 회동하여 단부의 회동원형탄성부의 외주면을 수직받침다리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고정편의 직선부와 고정원형탄성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원목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 탁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마감상판의 후면에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자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독서받침대를 조립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Solid wood small table with reading desk}
본 발명은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목으로 이루어진 수평마감상판에 수직받침다리를 다리접철부재로서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탁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마감상판의 후면에 독서받침대를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로써 다양한 종류의 가구 중에서도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면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가구로서, 구조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지고 응접, 회의, 식사 등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주로 목재를 이용해 제조하나 그 밖에 청동, 대리석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좌식 생활 문화가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문화권에서는 다리의 높이가 짧은 좌식 탁자(이하, 좌탁)가 일반화되어 바닥에 가깝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09-0036184호(발명의 명칭 : 거실용 원목 좌탁)는 원목으로 이루어진 넓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 모서리 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다리로 이루어져 거실 등에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좌탁은 입식 탁자와는 달리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동성 및 보관성을 고려하여 다리를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의 좌탁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69647호(고안의 명칭 : 접이식 원목 좌탁)에 공지된 기술 내용은, 상판의 저면에 힌지로 고정되는 한쌍의 가동형 보강대를 펼치거나 접는 조작만으로도 상판의 저면 모서리측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다리들을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줄여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손쉽게 운반, 취급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접혀진 다리가 급작스럽게 무단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양측 가동형보강대의 동작으로서 다리의 접힘 및 펼쳐짐을 유지시키게 됨에 따라 펼쳐짐시 다리를 지지하는 힘이 다소 약해 상판에 물건을 올려 놓거나, 사용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09-0036184호(2009.04.14.)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69647호(2013.10.21.) [특허문헌 3]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189호(2009.03.0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으로 이루어진 수평마감상판에 수직받침다리를 다리접철부재로서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안정되게 연결하여 탁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마감상판의 후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독서받침대를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원목의 무게를 줄이고 장식을 위한 수직구멍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모서리에 외향경사면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수직받침다리와; 하부 내측 모서리에 상기 수직받침다리의 외형경사면에 밀착되도록 내향경사면이 연장 형성되는 수평마감상판과; 상기 수직받침다리 상부와 수평마감상판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구비되어 수직받침다리를 접고 펼치고, 펼침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접철부재와; 상기 수평마감상판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책을 받치기 위한 독서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목으로 이루어진 수평마감상판의 하부 양측 모서리에 수직받침다리를 다리접철부재로서 접힘 및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특히 펼쳐진 다리를 다리접철부재의 회동편을 회동하여 단부의 만곡밀착부의 외주면을 수직받침다리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고정편의 직선부와 원형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원목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받쳐 탁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마감상판의 후면에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자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독서받침대를 조립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전체적이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다리접철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가 펼쳐지고 접힌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독서받침대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독서받침대에 대한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전체적이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다리접철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가 펼쳐지고 접힌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의 독서받침대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탁자는 동일 크기로 제작되는 수직받침다리(10)(11)와; 수직받침다리대(10)(11)의 상부에 마감되는 수평마감상판(20)과; 수직받침다리(10)(11) 상부와 수평마감상판(20)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구비되어 수직받침다리(10)(11)를 접고 펼치고, 접힘과 펼침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접철부재(30)와; 수평마감상판(2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책을 받치기 위한 독서받침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받침다리(10)(11)는 동일 크기의 원목으로 제작되고, 원목의 무게를 줄이고 장식을 위하여 대향되게 수직구멍(12a)이 형성되며, 상단 내측 모서리에 외향경사면(13a)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평마감상판(20)은 직사각을 유지하여 원목으로 제작되고, 하부 내측 모서리에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형경사면(13a)에 밀착되도록 내향경사면(21a)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수직받침다리(10)(11) 및 수평마감상판(20)의 외향경사면(13a)과 내향경사면(21a)은 각각 45°를 유지하여 형성된다.
상기 다리접철부재(30)는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향경사면(13a)으로부터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수직요홈(32)과; 수직받침다리(10)(11)의 수직요홈(31)과 연통되게 수평마감상판(20)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요홈(34)과; 수직요홈(32)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고정편(36)과, 수직고정편(36)의 상단부와 제1회동핀(37)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부(38a)와 일체로 형성되고, 수평요홈(34)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38)으로 구성되어 수직받침다리(10)(11)를 접고 펼치기 위한 회동힌지재(40)와; 수평고정편(38)의 단부에 제2회동핀(50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받침다리(10)(11)의 펼쳐짐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접힘 및 펼침유지재(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요홈(34)의 단부에 수평요홈(34)보다 깊은 이탈홈(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회동편(54)의 회동시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부(38a)는 수평고정편(38)이 수평요홈(34) 내부에 체결 고정시 간격이 유지되어 수직받침다리(10)(11) 접힘시 제1회동핀(37)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다리 펼침유지재(50)는 상기 수직고정편(3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자체 탄성을 갖는 원형부(52)와; 수평고정편(38)의 단부에 제2회동핀(50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요홈(34) 내부에 밀착되며, 단부에 수직고정편(36)의 직선면과 원형부(52) 외주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만곡밀착부(53)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편(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독서받침대(60)는 수평마감상판(2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수평요홈(61a)(61b)과; 수평요홈(61a)(61b)에 후단이 노출되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공(62a)이 형성되는 고정수평레버(62)와; 하부에 고정수평레버(62)의 회동공(62a)과 대응되게 조립공(63a)이 형성되어 회동핀(64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조립통공(63b)이 형성되는 회동레버(63)와; 회동레버(63)의 조립통공(63b)과 대응되게 거치대(65)의 양단에 매설되는 다수의 매립너트(66)와; 회동레버(63)의 조립통공(63b)과 매립너트(66)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거치대(6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볼트(67)로 이루어진다.
이때, 거치대(64)의 전면 하부에는 책을 세우기 위한 받침판(7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받침판(70)의 전면 양측에는 넘긴 책페이지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재(7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좌탁의 조립 및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목으로 동일 크기로 수직받침다리(10)(11)를 제작한 다음, 원목의 무게를 줄이고 장식을 하기 위하여 대향되게 수직구멍(12a)을 천공하고, 상단 내측 모서리에 외향경사면(13a)을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직사각을 유지하여 원목으로 수평마감상판(20)을 제작하고, 하부 내측 모서리에 내향경사면(21a)을 형성한 다음,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향경사면(13a)과 수평마감상판(20)의 내향경사면(21a)을 일치시키고, 수직받침다리(10)(11) 상부와 수평마감상판(20)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수직받침다리(10)(11)를 접고 펼치고, 펼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리접철부재(30)로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마감상판(20) 후면 양측에 책을 세워놓고 독서를 할 수있도록 독서받침대(60)를 분리 가능하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독서대를 갖는 원목 좌탁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는 독서대를 갖는 원목 좌탁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원목 좌탁을 사용하기 위하여 접혀진 상태의 수직받침다리(10)(11)를 외측으로 펼치게 된다.
즉, 수직받침대(10)(11)를 외측으로 펼치게 되면, 수직받침다리(10)(11)의 수직요홈(32)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고정편(36)의 상단부와, 수평마감상판(20)의 수평요홈(34)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38)의 경사부(38a)에 연결되는 제1회동핀(37)을 중심으로 수직받침다리(10)(11)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마감상판(20)의 내향경사면(21a)에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향경사면(13a)이 밀착되어 직각을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평요홈(34) 단부의 이탈홈(33)을 통하여 회동핀(54)의 만곡밀착부(53)를 파지한 다음, 회동편(54)을 제2회동핀(50a)로서 외측으로 회동시키면 회동편(54)의 만곡밀착부(53)의 외주면이, 수직고정편(36)의 직선부와 원형부(52)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됨과 동시에 회동편(54)이 적정 각도로 유지되어 수직받침다리(10)(11)의 펼쳐짐을 유지시키게 된다.(도 4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마감상판(20) 상부에 차등을 올려놓고 다과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뿐만아니라 수평마감상판(20)의 후면에 구비된 독서받침대(60)를 이용하여 책을 받쳐 놓고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도 1참조)
즉, 독서받침대(60)를 구성하는 거치대(64)에 책을 기대는 동시에, 받침판(70)에 책을 받친 상태에서 독서를 하게 되고, 넘긴 페이지는 받침판(70) 전면의 홀딩재(72)로서 홀딩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독서받침대(60)의 거치대(64)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회동레버(63) 상부의 조립통공(63b)을 통하여 거치대(64)의 매립너트(65)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66)의 체결력을 해제하고, 조립통공(63b)으로부터 각도조절볼트(66)를 분리한 다음, 회동레버(63)를 상기 회동핀(64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고, 회동레버(63) 상부의 조립통공(63b)을 거치대(64) 양단에 매설되는 다수의 매설너트(65)에 선택적으로 일치시킨 다음, 이를 통해 각도조절볼트(66)를 체결하면 거치대(64)의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책이 받쳐지는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원목 좌탁의 사용이 완료되면 거치대(64)의 매립너트(65)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66)의 체결력을 해제하고 분리한 다음, 회동편(54)과 하부에 회동핀(64a)으로 연결된 상태의 고정수평레버(62)를 수평요홈(61a)(61b)으로부터 분리하고, 거치대(65)를 제거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회동편(54)을 제2회동핀(50a)로서 내측으로 회동시켜 수평요홈(34) 내부에 밀착시킨 다음, 수직받침다리(10)(11)를 제1회동핀(37)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게 되면 접힘이 유지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도 3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11 : 수직받침다리 12a : 수직구멍
13a : 외형경사면 20 : 수평마감판
21a : 내향경사면 30 : 다리접철부재
32 : 수직요홈 33 : 이탈홈
34 : 수평요홈 36 : 수직고정편
37,50a : 제1,2회동핀 38 : 수평고정편
38a : 경사부 40 : 회동힌지재
50 : 다리 펼침유지재 52 : 고정원형탄성부
53 : 회동원형탄성부 54 : 회동편
60 : 독서받침대 61a,61b : 수평긴요홈
62 : 고정수평레버 62a : 회동공
63 : 회동레버 63a : 조립공
63b : 조립통공 64a : 회동핀
65 : 거치대 66 : 매립너트
67 : 각도조절볼트

Claims (5)

  1. 원목의 무게를 줄이고 장식을 위한 수직구멍(12a)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모서리에 외향경사면(13a)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수직받침다리(10)(11)와;
    하부 내측 모서리에 상기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형경사면(13a)에 밀착되도록 내향경사면(21a)이 연장 형성되는 수평마감상판(20)과;
    상기 수직받침다리(10)(11) 상부와 수평마감상판(20)의 내측면 모서리 영역에 구비되어 수직받침다리(10)(11)를 접고 펼치고, 접힘과 펼침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접철부재(30)와;
    상기 수평마감상판(2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수평요홈(61a)(61b)과, 수평요홈(61a)(61b)에 후단이 노출되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공(62a)이 형성되는 고정수평레버(62)와, 하부에 고정수평레버(62)의 회동공(62a)과 대응되게 조립공(63a)이 형성되어 회동핀(64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조립통공(63b)이 형성되는 회동레버(63)와, 회동레버(63)의 조립통공(63b)과 대응되게 거치대(65)의 양단에 매설되는 다수의 매립너트(66)와, 회동레버(63)의 조립통공(63b)과 매립너트(66)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거치대(6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볼트(67)로 구성되어 책을 받치기 위한 독서받침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접철부재(30)는
    상기 수직받침다리(10)(11)의 외향경사면(13a)으로부터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수직요홈(32)과;
    상기 수직받침다리(10)(11)의 수직요홈(31)과 연통되게 상기 수평마감상판(20)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요홈(34)과;
    상기 수직요홈(32)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고정편(36)과, 수직고정편(36)의 상단부와 제1회동핀(37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부(38a)와 일체로 형성되고, 수평요홈(34)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고정편(38)으로 구성되어 수직받침다리(10)(11)를 접고 펼치기 위한 회동힌지재(40)와;
    상기 수평고정편(38)의 단부에 제2회동핀(50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받침다리(10)(11)의 접힘과 펼쳐짐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접힘 및 펼침유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접힘 및 펼침유지재(50)는
    상기 수직고정편(3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형부(52)와;
    상기 수평고정편(38)의 단부에 제2회동핀(50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요홈(34) 내부에 밀착되며, 단부에 원형부(52) 외주면에 밀착되는 만곡밀착부(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동편(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요홈(34)의 단부에 연통되고, 회동편(54)의 회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깊게 이탈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5. 삭제
KR1020200054689A 2020-05-07 2020-05-07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KR10235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89A KR102350750B1 (ko) 2020-05-07 2020-05-07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89A KR102350750B1 (ko) 2020-05-07 2020-05-07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39A KR20210136439A (ko) 2021-11-17
KR102350750B1 true KR102350750B1 (ko) 2022-01-14

Family

ID=7870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89A KR102350750B1 (ko) 2020-05-07 2020-05-07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3641A1 (en) * 2002-03-05 2005-08-25 Mass-Set Kabushiki Kaisha Folding structure
US20200077784A1 (en) * 2018-09-06 2020-03-12 Ihs Global Design Pty Ltd Folding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321Y1 (ko) * 1996-05-07 1999-02-18 성지한 누워서 독서가 가능토록 한 간이독서대
KR200443647Y1 (ko) 2007-08-31 2009-03-06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 보조수납함용 브라켓
KR20090036184A (ko) 2007-10-09 2009-04-14 한석천 거실용 원목 좌탁
KR200469647Y1 (ko) 2011-07-27 2013-10-28 (주)에덴주니퍼 접이식 원목 좌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3641A1 (en) * 2002-03-05 2005-08-25 Mass-Set Kabushiki Kaisha Folding structure
US20200077784A1 (en) * 2018-09-06 2020-03-12 Ihs Global Design Pty Ltd Folding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39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632A (en) Chair convertible to bench or settee
US20130119713A1 (en) Foldable chair
KR102350750B1 (ko) 독서대를 갖는 원목 소탁
US4025106A (en) Collapsible chair
CN213128494U (zh) 一种长度可调节桌子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US8479663B2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KR200453628Y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CN210055130U (zh) 一种折叠式储物学生床位桌
CN208837215U (zh) 组合式折叠桌椅及可折叠桌部
US6099074A (en) Folding table and bench assembly
CN216089359U (zh) 一种折叠式耐高温桌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CN205568238U (zh) 一种可折叠长条多功能桌椅
CN211154687U (zh) 一种新型插接式钢管椅
KR20200045714A (ko) 다용도 접이식 의자
KR20120001648U (ko) 다용도 상
CN220694657U (zh) 一种折叠桌
US20230015770A1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CN212574535U (zh) 一种椅子
CN210902198U (zh) 一种多用途公园长椅
CN218588529U (zh) 户外可折叠桌
CN2255186Y (zh) 折叠会议桌
KR20120008126A (ko)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