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353A -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353A
KR20230151353A KR1020220050950A KR20220050950A KR20230151353A KR 20230151353 A KR20230151353 A KR 20230151353A KR 1020220050950 A KR1020220050950 A KR 1020220050950A KR 20220050950 A KR20220050950 A KR 20220050950A KR 20230151353 A KR20230151353 A KR 2023015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ank
supplied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용
Original Assignee
윤홍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용 filed Critical 윤홍용
Priority to KR102022005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353A/ko
Publication of KR2023015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40Combinations of exhaust-steam and smoke-gas pre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6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hot liquid or hot vapour, e.g. waste liquid, waste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3Feed-water heate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세탁소, 목욕탕 등과 같이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에서 증기 트랩을 통해 버려지는 수증기의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T)에서 제 1 탱크(T1)로 수증기가 제공되고, 제 1 탱크(T1)가 제 2 리저버 탱크(T2)와 용수 공급관(L1)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리저버 탱크(T2)로부터 수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와 열교환기(10)가 저온수 공급관(L2) 및 제 1 이중관(20)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 내부에 제 1 코일관(22)이 배치됨으로써, 제 1 탱크(T1)의 수증기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으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저온수 공급관(L2)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으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0)에서 수증기와 용수가 열교환되고,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을 통과한 용수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코일관(22)으로 공급되어, 용수가 제 1 코일관(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과하는 고온의 수증기와 다시 한 번 더 열교환하게 되어,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리턴되고, 제 1 탱크(T1)에 배출관(L3)이 연결되어,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에서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SYSTEM FOR RECOVERING WASTE HEAT WATER VAPOR}
본 발명은 대형 세탁소, 목욕탕 등과 같이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에서 증기 트랩을 통해 버려지는 수증기의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리저버 탱크에서 제 1 탱크로 공급된 저온의 용수가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에서 제 1 탱크로 공급된 수증기와 열교환기 및 이중관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가열된 용수가 보일러로 공급됨으로써, 보일러에서 저온의 용수를 가열하는 것보다 열교환에 의해 1차 가열된 용수를 가열하게 되어, 사용처에 필요한 온도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09568호(2020년 9월 23일, 공개)에 "응축수 탱크의 배출 수증기를 이용한 온수가열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탱크의 배출 수증기를 이용한 온수가열시스템은 보일러와, 이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되는 저온의 응축수를 공급받아 수용하기 위한 응축수 탱크와, 이 응축수 탱크로부터 이송되는 응축수를 고온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로부터 온도가 상승된 고온의 응축수를 받아 수용함과 동시에 온도가 떨어진 저온의 응축수를 다시 열교환기 측으로 순환 공급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기 및 응축수 탱크를 포함한 온수탱크의 각 이송라인에는 제1 내지 제5밸브 및 제1, 제 2펌프가 결속되어 유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고온 및 저온의 응축수가 순환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응축수 탱크의 배출 수증기를 이용한 온수가열시스템은 열교환기에서만 수증기와 응축수를 열교환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리저버 탱크에서 제 1 탱크로 공급된 저온의 용수가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에서 제 1 탱크로 공급된 수증기와 열교환기 및 이중관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가열된 용수가 보일러로 공급됨으로써, 보일러에서 저온의 용수를 가열하는 것보다 열교환에 의해 1차 가열된 용수를 가열하게 되어, 사용처에 필요한 온도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의 냉수가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으로 공급되기 전에, 제 2 보일러의 연도에 감긴 제 3 코일관을 거치게 되어, 냉수가 제 3 코일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20℃ ~ 30℃의 온도로 가열되고, 용수가 제 1 보일러에서 열매체와 열교환에 의해 증기 상태로 상변환되 후,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에서 제 1 탱크로 수증기가 제공되고, 제 1 탱크가 제 2 리저버 탱크와 용수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리저버 탱크로부터 수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용수가 제 1 탱크로 공급되고, 제 1 탱크와 열교환기가 저온수 공급관 및 제 1 이중관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이중관의 제 1 외관 내부에 제 1 코일관이 배치됨으로써, 제 1 탱크의 수증기가 제 1 이중관의 제 1 외관을 통해 열교환기의 제 1 매체공간으로 공급되고, 제 1 탱크의 용수가 저온수 공급관을 통해 열교환기의 제 2 매체공간으로 공급되어, 열교환기에서 수증기와 용수가 열교환되고, 열교환기의 제 2 매체공간을 통과한 용수가 제 1 이중관의 제 1 코일관으로 공급되어, 용수가 제 1 코일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이중관의 제 1 외관을 통과하는 고온의 수증기와 다시 한 번 더 열교환하게 되어,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로 리턴되고, 제 1 탱크에 배출관이 연결되어,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에서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배출관과 제 1 보일러가 바이패스관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탱크의 용수가 배출관 및 바이패스관을 통해 제 1 보일러로 공급되고, 제 1 보일러에서 가열되어 스팀(증기) 상태로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온수 공급관에는 제 1 펌프가 장착되어, 제 1 탱크의 용수가 제 1 펌프에 의해 열교환기의 제 2 매체공간로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여러번 공급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제 2 펌프가 장착되어, 제 1 탱크의 용수가 제 2 펌프에 의해 제 1 보일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열교환기의 제 1 매체공간과 제 2 이중관의 제 2 외관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관에 송풍팬이 장착되고, 제 2 이중관의 배출단이 제 2 리저버 탱크와 연결되고, 제 2 이중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코일관에 냉수 공급관이 연결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열교환기의 제 1 매체공간의 수증기가 제 2 이중관의 제 1 외관으로 공급되고, 냉수가 냉수 공급관을 통해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으로 공급되어, 냉수가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고, 온수로 가열된 냉수가 제 2 리저버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상기 제 2 리저버 탱크와 냉수 공급관 사이에 용수 순환관이 연결되고, 용수 순환관에 제 3 펌프가 장착되어, 상기 제 3 펌프에 의해 제 2 리저버 탱크의 용수가 용수 순환관을 통해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용수가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어, 제 2 리저버 탱크의 용수가 제 1 탱크로 공급되기 전에 30℃ ~ 40℃의 온수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수는 제 2 이중관의 제 2 코일관으로 공급되기 전에, 제 2 보일러의 연도에 감긴 제 3 코일관을 거치게 되며, 냉수가 제 3 코일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20℃ ~ 3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보일러는 내부에 제 3 코일관이 배치되고, 제 1 보일러의 외부에 제 3 탱크가 배치되어, 열매체가 제 1 보일러와 제 3 탱크를 순환하게 되며, 제 1 보일러에 전기히터가 장착되어, 제 1 보일러로 공급된 열매체가 먼저 히터에 의해 250℃ ~ 300℃로 가열되고, 제 3 코일관으로 공급되는 용수와 고온의 열매체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열교환에 의해 용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어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에서 버려지는 수증기의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제 1 보일러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T)에서 제 1 탱크(T1)로 수증기가 제공되고, 제 1 탱크(T1)가 제 2 리저버 탱크(T2)와 용수 공급관(L1)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리저버 탱크(T2)로부터 수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용수(用水)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와 열교환기(10)가 저온수 공급관(L2) 및 제 1 이중관(20)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 내부에 제 1 코일관(22)이 배치됨으로써, 제 1 탱크(T1)의 수증기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으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저온수 공급관(L2)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으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0)에서 수증기와 용수가 열교환되고,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을 통과한 용수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코일관(22)으로 공급되어, 용수가 제 1 코일관(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과하는 고온의 수증기와 다시 한 번 더 열교환하게 되어,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리턴되고, 제 1 탱크(T1)에 배출관(L3)이 연결되어,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에서 사용처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L3)과 제 1 보일러(30)가 바이패스관(L4)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배출관(L3) 및 바이패스관(L4)을 통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되고, 제 1 보일러(30)에서 가열되어 스팀(증기) 상태로 사용처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저온수 공급관(L2)에는 제 1 펌프(P1)가 장착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제 1 펌프(P1)에 의해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로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여러번 공급된다.
상기 바이패스관(L4)에는 제 2 펌프(P2)가 장착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제 2 펌프(P2)에 의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에서 버려지는 수증기의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제 2 리저버 탱크(T2)에서 제 1 탱크(T1)로 공급된 저온의 용수가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T)에서 제 1 탱크(T1)로 공급된 수증기와 열교환기(10) 및 제 1 이중관(10)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가열된 용수가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됨으로써, 보일러(30)에서 저온의 용수를 가열하는 것보다 열교환에 의해 1차 가열된 고온의 용수를 증기 상태로 가열하게 되어, 사용처에 필요한 수증기 온도로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과 제 2 이중관(40)의 제 2 외관(41)이 연결관(L5)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관(L5)에 송풍팬(F)이 장착되고, 제 2 이중관(40)의 배출단이 제 2 리저버 탱크(T2)와 연결되고, 제 2 이중관(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코일관(42)에 냉수 공급관(L6)이 연결됨으로써, 송풍팬(F)에 의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의 수증기가 제 2 이중관(40)의 제 1 외관(41)으로 공급되고, 냉수가 냉수 공급관(L6)을 통해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되어, 냉수가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41)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고, 온수로 가열된 냉수가 제 2 리저버 탱크(T2)로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제 2 리저버 탱크(T2)와 냉수 공급관(L6) 사이에 용수 순환관(L7)이 연결되고, 용수 순환관(L7)에 제 3 펌프(P3)가 장착되어, 상기 제 3 펌프(P3)에 의해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용수 순환관(L7)을 통해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용수가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41)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어,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기 전에 30℃ ~ 40℃의 온수로 가열된다.
이때,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는 30℃ ~ 40℃의 온수로 가열될 때까지 용수 순환관(L7)을 통해 여러번 반복적으로 순환될 수 있으며, 30℃ ~ 40℃의 온수에 도달하면, 제 1 탱크(T1)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는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기 전에, 냉수 공급관(L6)의 냉수 또는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에서 제 2 이중관(40)의 제 2 외관(42)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상기 냉수 및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기 전에 30℃ ~40℃의 온수로 가열되어, 제 1 탱크로 공급된 용수가 열교환기(10) 및 제 1 이중관(20)에서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50℃ ~ 80℃의 고온의 온수로 쉽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냉수는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되기 전에, 제 2 보일러(50)의 연도(51)에 감긴 제 3 코일관(52)을 거치게 되며, 냉수가 제 3 코일관(5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도(5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20℃ ~ 30℃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제 3 코일관(52)은 단열재(53)에 의해 커버된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온도는 계절에 따라 4℃ ~ 15℃ 정도의 냉수로, 낮은 온도의 냉수가 보일러의 연도에 감긴 제 3 코일관을 통해 1차적으로 20℃ ~30℃로 가열된 후,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됨으로써, 버려지는 배기가스의 열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제 3 코일관을 통해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하여, 용수가 열교환기(10)와 제 2 코일관(22)을 순환하는 회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보일러(30)는 내부에 제 3 코일관(31)이 배치되고, 제 1 보일러(30)의 외부에 제 3 탱크(32)가 배치되어, 열매체가 제 1 보일러(30)와 제 3 탱크(32)를 순환하게 되며, 제 1 보일러(30)에 전기히터(33)가 장착되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된 열매체가 먼저 히터(33)에 의해 250℃ ~ 300℃로 가열되고, 제 3 코일관(31)으로 공급되는 용수와 고온의 열매체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열교환에 의해 용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어 사용처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보일러(30)에서 고온의 열매체와 용수가 열교환을 하게 됨으로써, 용수가 증기 상태로 배출되어, 사용처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 : 증기 트랩 T1 : 제 1 탱크
T2 : 제 2 리저버 탱크 10 : 열교환기
20 : 제 1 이중관 30 : 제 1 보일러
40 : 제 2 이중관

Claims (7)

  1. 스팀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생산하는 시설의 증기 트랩(T)에서 제 1 탱크(T1)로 수증기가 제공되고, 제 1 탱크(T1)가 제 2 리저버 탱크(T2)와 용수 공급관(L1)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리저버 탱크(T2)로부터 수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와 열교환기(10)가 저온수 공급관(L2) 및 제 1 이중관(20)에 의해 연결되며,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 내부에 제 1 코일관(22)이 배치됨으로써, 제 1 탱크(T1)의 수증기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으로 공급되고,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저온수 공급관(L2)을 통해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으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0)에서 수증기와 용수가 열교환되고,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을 통과한 용수가 제 1 이중관(20)의 제 1 코일관(22)으로 공급되어, 용수가 제 1 코일관(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이중관(20)의 제 1 외관(21)을 통과하는 고온의 수증기와 다시 한 번 더 열교환하게 되어,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리턴되고, 제 1 탱크(T1)에 배출관(L3)이 연결되어, 고온의 용수가 제 1 탱크(T1)에서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L3)과 제 1 보일러(30)가 바이패스관(L4)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배출관(L3) 및 바이패스관(L4)을 통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되고, 제 1 보일러(30)에서 가열되어 스팀(증기) 상태로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공급관(L2)에는 제 1 펌프(P1)가 장착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제 1 펌프(P1)에 의해 열교환기(10)의 제 2 매체공간(12)로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여러번 공급되고,
    상기 바이패스관(L4)에는 제 2 펌프(P2)가 장착되어, 제 1 탱크(T1)의 용수가 제 2 펌프(P2)에 의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과 제 2 이중관(40)의 제 2 외관(41)이 연결관(L5)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관(L5)에 송풍팬(F)이 장착되고, 제 2 이중관(40)의 배출단이 제 2 리저버 탱크(T2)와 연결되고, 제 2 이중관(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코일관(42)에 냉수 공급관(L6)이 연결됨으로써, 송풍팬(F)에 의해 열교환기(10)의 제 1 매체공간(11)의 수증기가 제 2 이중관(40)의 제 1 외관(41)으로 공급되고, 냉수가 냉수 공급관(L6)을 통해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되어, 냉수가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41)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고, 온수로 가열된 냉수가 제 2 리저버 탱크(T2)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저버 탱크(T2)와 냉수 공급관(L6) 사이에 용수 순환관(L7)이 연결되고, 용수 순환관(L7)에 제 3 펌프(P3)가 장착되어, 상기 제 3 펌프(P3)에 의해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용수 순환관(L7)을 통해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용수가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외관(41)의 수증기와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어, 제 2 리저버 탱크(T2)의 용수가 제 1 탱크(T1)로 공급되기 전에 30℃ ~ 40℃의 온수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는 제 2 이중관(40)의 제 2 코일관(42)으로 공급되기 전에, 제 2 보일러(50)의 연도(51)에 감긴 제 3 코일관(52)을 거치게 되며, 냉수가 제 3 코일관(5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도(51)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20℃ ~ 3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일러(30)는 내부에 제 3 코일관(31)이 배치되고, 제 1 보일러(30)의 외부에 제 3 탱크(32)가 배치되어, 열매체가 제 1 보일러(30)와 제 3 탱크(32)를 순환하게 되며, 제 1 보일러(30)에 전기히터(33)가 장착되어, 제 1 보일러(30)로 공급된 열매체가 먼저 히터(33)에 의해 250℃ ~ 300℃로 가열되고, 제 3 코일관(31)으로 공급되는 용수와 고온의 열매체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열교환에 의해 용수가 증기 상태로 변환되어 사용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KR1020220050950A 2022-04-25 2022-04-25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KR2023015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50A KR20230151353A (ko) 2022-04-25 2022-04-25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50A KR20230151353A (ko) 2022-04-25 2022-04-25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353A true KR20230151353A (ko) 2023-11-01

Family

ID=8874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950A KR20230151353A (ko) 2022-04-25 2022-04-25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3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99962U (zh) 热电厂循环水直接供暖系统
CN204757076U (zh) 热电厂供热抽汽疏水余热回收系统
EP2486330B1 (en) High efficiency device for heating environments and heating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CN209130850U (zh) 用于酒店洗衣房冷凝水的二次蒸汽热回收系统
KR20230151353A (ko) 수증기 폐열 회수장치
CN110848725A (zh) 一种热电厂多用途的烟气余热回收装置及回收方法
KR200423080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열매체 보일러
US8042496B2 (en) Hot-water supply system having supplementary heat exchanger
KR100809023B1 (ko) 목욕탕용 열교환 장치
CN217029033U (zh) 一种基于熔盐储热技术的燃煤发电机组快速启动系统
CN212720954U (zh) 一种新型节能蒸汽空气散热器
KR101083633B1 (ko) 열처리수의 믹스를 이용한 열증폭기
JP2001041554A (ja) 厨房排熱回収システム
CN211176872U (zh) 一种热电厂多用途的烟气余热回收装置
CN211650196U (zh) 一种汽动给水泵小机排汽余热回收利用装置
CN105953424A (zh) 电厂余热回收供热系统
KR100790306B1 (ko) 전기 가열 보일러
KR20190128830A (ko)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CN216240840U (zh) 一种电厂联供系统
CN104564189B (zh) 电厂余热的利用方法
CN204301276U (zh) 一种新型热水恒温器
CN210740723U (zh) 一种冷凝式零冷水燃气热水器
CN219756480U (zh) 一种基于多级热量利用的供热系统
CN210772268U (zh) 一种燃煤余热利用供热设备
KR100701969B1 (ko) 열매체 보일러의 온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