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919A -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919A
KR20230150919A KR1020230139807A KR20230139807A KR20230150919A KR 20230150919 A KR20230150919 A KR 20230150919A KR 1020230139807 A KR1020230139807 A KR 1020230139807A KR 20230139807 A KR20230139807 A KR 20230139807A KR 20230150919 A KR20230150919 A KR 20230150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dy
head
center pin
central axis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9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627B1 (en
Inventor
권기찬
최성준
권준혁
김훈재
이종준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하우징 쉘과, 상기 하우징 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터 핀을 구비하는 하우징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 쉘에 탈착 가능한 헤드 쉘과, 상기 헤드 쉘의 내측에 고정되는 헤드 바디와, 상기 헤드 바디에 장착되는 소켓을 구비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는 4개 이상의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shell and a center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a head assembly including a head shell detachable from the housing shell, a head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d shell, and a socket mounted on the head body, wherein the socket is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It may includ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and socket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assembly and a socket for the connector assembly.

커넥터 어셈블리는 각종 모듈의 구성 요소들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란, 카메라를 구성하는 각종 렌즈 및 전자 부품을 실장하고 있는 모듈이다. 각각의 부품들의 공차 및 조립 공정상 오차 등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된 헤드 어셈블리가 하우징 어셈블리에 정확하게 결합하지 못하여, 커넥터 어셈블리의 성능이 감소하거나, 부품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Connector assemblies can be used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of various modules. For example, the connector assembly may be used in a camera module. A camera module is a module on which various lenses and electronic components that make up a camera are mounted. Due to tolerances of each component and errors in the assembly process, the head assembly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was not accurately coupled to the housing assemb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assembly or damage to the components.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부품들의 공차 또는 조립 공정상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헤드 어셈블리 및 하우징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stably couple a head assembly and a housing assembly, even considering tolerances of parts or errors in the assembly process.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하우징 쉘과, 상기 하우징 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터 핀을 구비하는 하우징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 쉘에 탈착 가능한 헤드 쉘과, 상기 헤드 쉘의 내측에 고정되는 헤드 바디와, 상기 헤드 바디에 장착되는 소켓을 구비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는 4개 이상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shell and a center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a head assembly including a head shell detachable from the housing shell, a head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d shell, and a socket mounted on the head body, wherein the socket is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shape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센터 핀은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모두에 접촉하고,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센터 핀은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촉 부재에 접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When the center pin is coupled to the socke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e center pin contacts all of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and the center pin is offse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coupled to the socket. In this case, the center pin is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or more contact members among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중 인접한 2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센터 핀의 직경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gap between two adjacent contact members among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enter pin.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센터 핀을 통과시키는 원형의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의 반경의 길이는, 상기 센터 핀의 반경의 길이 및 상기 센터 핀의 최대 오프셋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The head body has a circular inlet through which the center pin passes, and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inle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m of the radius of the center pin and the maximum offset length of the center pin.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결합한 경우, 상기 헤드 쉘은 상기 하우징 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헤드 쉘 및 상기 헤드 바디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센터 핀의 최대 오프셋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When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are combined, the head shell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when the center pin is coupled to the socke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shell and the head body is I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offset length of the center pin.

상기 헤드 쉘은, 상기 헤드 쉘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지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에 하측으로 함몰된 둥근 형상으로 마련된 제 2 부분을 갖는 복수 개의 분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hell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shell; and a plurality of branch groov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and having a first part whose width becomes wider downward and a second part provided in a round shape depress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art. You can.

상기 소켓은, 상기 헤드 바디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기울어진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내벽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and the contact member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fixing part and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상기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의 연결 부분은, 상기 센터 핀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소켓의 다른 부분 보다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an other portions of the socket so as to contact the center pin.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upward.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를The contact member extends upward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touches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기준으로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3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xtension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s a reference.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헤드 바디의 내벽에 나란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may be parallel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 보다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ar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an the fixing part.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센터 핀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바디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센터 핀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 2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바디의 상부 내벽에 가까워질 수 있다.When the contact member is not pressed by the center p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and when the contact member is pressed by the center p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may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상기 제 3 연장부의 내측은, 상기 헤드 바디의 내측 보다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에 근접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may be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an the inside of the head body.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절곡선을 따라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펼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를 절삭하여 복수 개의 접촉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절곡선을 따라, 절삭된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bending a plate along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cutting the plate in an unfolded state; bending the cut plate along the plurality of bending lines; And it may include joining the left end and right end of the plate.

상기 복수 개의 절곡선은, 서로 평행하고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 1 절곡선, 제 2 절곡선 및 제 3 절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절곡선을 따라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절곡선을 따른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 절곡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절곡선을 따른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3 절곡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end lines include a first bend line, a second bend line, and a third bend line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ed sequentially, and the step of bending the plate includes bending the plate along the first bend line. ordering step; bending the plate along the second bend lin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along the first bend line; and bending the plate along the third bend lin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along the second bend line.

일 실시 예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센터 핀이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되더라도, 접촉 부재가 충분히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므로, 센터 핀 및 소켓의 안정적인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of one embodiment, even if the center pin is inserte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e contact member has a shape bent sufficiently inward, so that stable coupling of the center pin and the socket can be implemented.

또한, 복수 개의 접촉 부재 간의 간격은 센터 핀의 폭보다 크므로, 센터 핀 및 소켓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pin, poor contact between the center pin and the socket can be prevented.

또한, 접촉 부재의 2단 절곡 구조를 통해, 소켓은 헤드 바디 내에서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rough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of the contact member, the socket can be compactly placed within the head body.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x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y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정확한 위치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의 전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x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y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are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in a state biased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pin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in a state bias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at an accurat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head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of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in a state biased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in a state bias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특허출원은 2017년 12월 18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7-0174544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This pat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74544 filed on December 18, 2017,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to this patent application.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with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with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플로팅(floating) 구조로 연결되는 헤드 어셈블리(1) 및 하우징 어셈블리(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onnector assembly 100 may include a head assembly 1 and a housing assembly 2 connected in a floating structure. Note that other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such as an image sensor,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헤드 어셈블리(1)는 인쇄회로기판(P)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어셈블리(1)는 인쇄회로기판(P)에 납땜될 수 있다. 헤드 어셈블리(1)는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P)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head assembly 1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 For example, the head assembly 1 may b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 The head assembly 1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image senso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

인쇄회로기판(P)은, 하우징 어셈블리(2)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은 하우징 어셈블리(2)의 내벽에 끼워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은 하우징 어셈블리(2)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이 하우징 어셈블리(2)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때, 헤드 어셈블리(1) 및 하우징 어셈블리(2)는 결합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P)이 하우징 어셈블리(2)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때, 헤드 어셈블리(1) 및 하우징 어셈블리(2)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방 및 하방이라 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좌표 축에서 z축 방향을 말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P)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ssembly (2).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P) may be fit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ssembly (2). The printed circuit board (P) can slid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ssembly (2).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P) moves up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ssembly (2), the head assembly (1) and the housing assembly (2) may be couple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 moves up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ssembly (2). When moving downward along , the head assembly 1 and the housing assembly 2 can be separated. Here, upward and downward refers to the z-axis direction in the coordinate axes shown in FIGS. 1 and 2.

하우징 어셈블리(2)는 하우징 바디(21), 하우징 쉘(22), 유전체(23), 센터 핀(24) 및 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assembly 2 may include a housing body 21, a housing shell 22, a dielectric 23, a center pin 24, and a coupling portion 25.

하우징 바디(21)는 하우징 어셈블리(2)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 바디(21)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다른 구성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이러한 돌출 형상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1)의 돌출 형상의 측부에는 결합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25)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다른 구성들이 하우징 바디(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25)가 돌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부(25)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부(25)는 홈 또는 홀일 수 있다.The housing body 21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housing assembly 2. The housing body 21 may have a protruding shape that protrudes upward. Other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for example, an image sensor (not shown),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this protruding shape. A coupling portion 25 may be provided on the protruding side of the housing body 21. The coupling portion 25 may prevent other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body 2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upling portion 25 is shown as a protrusion, but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5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25 may be a groove or a hole.

하우징 쉘(22)은 헤드 어셈블리(1)의 제 1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후술하는 헤드 쉘(11)일 수 있다. 하우징 쉘(22)은 헤드 어셈블리(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쉘(22)은 하우징 바디(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쉘(22)은 하우징 바디(21)의 돌출 형상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Housing shell 22 may contact the first portion of head assembly 1. For example, the first part may be the head shell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shell 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d assembly 1. The housing shell 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body 21. For example, the housing shell 22 may be mounted inside the protruding shape of the housing body 21.

유전체(23)는 하우징 쉘(22) 내측에 구비되어, 센터 핀(24)을 지지할 수 있다.The dielectric 23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hell 22 and can support the center pin 24.

센터 핀(24)은 헤드 어셈블리(1)의 제 2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은 후술하는 소켓(13)일 수 있다. 센터 핀(24)은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미도시)와 인쇄회로기판(P)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센터 핀(24)은 하우징 쉘(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 쉘(22)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Center pin 24 may contact the second portion of head assembly 1. For example, the second part may be a socket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enter pin 24 may electrically connect other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100, for example, an image sensor (not show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 The center pin 24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shell 22 and may be plac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shell 22.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x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y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정확한 위치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with the center pin biased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4 is a head view with the center pin bias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pin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6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pin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in order.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어셈블리(1)는 헤드 쉘(11), 헤드 바디(12) 및 소켓(13)을 포함할 수 있다.3 to 6, the head assembly 1 may include a head shell 11, a head body 12, and a socket 13.

헤드 쉘(11)은 하우징 쉘(22)에 탈착 가능하다. 헤드 쉘(11)은 헤드 어셈블리(1)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헤드 쉘(11)은 헤드 쉘(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112)와, 헤드 바디(12)를 고정시키기 위한 벤딩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부재(113)는 헤드 바디(12) 중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는 하우징 쉘(2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지 부재는 하우징 쉘(22)에 접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는 하우징 쉘(22)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112)는 예를 들어 헤드 쉘(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hell (11)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shell (22). The head shell 11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head assembly 1. The head shell 11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shell 11,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12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ead body 12. It may include a bending member 113 for fixing. The bending member 113 may support the surface of the head body 12 fac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shell 22, and at least one branch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may contact the housing shell 22.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may have an outwardly bent shape to facilitate contact with the housing shell 22 .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12 may include, for example, two support members 112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shell 11.

헤드 쉘(11)은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 사이에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1 부분(115a)과, 제 1 부분(115a) 하단에 하측으로 함몰된 둥근 형상으로 마련된 제 2 부분(115b)을 갖는 복수 개의 분지 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지 홈(115)의 형상으로 인해, 복수 개의 분지 부재(111)의 소성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head shell 11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includes a first part 115a whose width widens downward, and a round shape recess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art 115a.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grooves 115 having two parts 115b. Due to the shape of the branch groove 115, plastic de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111 can be reduced.

벤딩 부재(113)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벤딩 부재(113)는 헤드 바디(12)가 헤드 쉘(11) 내측에 장착된 다음,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벤딩 부재(113)는 헤드 바디(12)가 헤드 쉘(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ending member 113 may be a member that protrudes downward. The bending member 113 may be bent inward after the head body 12 is mounted inside the head shell 11. The bending member 113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can prevent the head body 12 from separating from the head shell 11.

헤드 바디(12)는 헤드 쉘(1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은 헤드 쉘(11)의 중심축과 동일할 수 있다. 헤드 바디(12)는 소켓(13)을 지지할 수 있다. 헤드 바디(12)는 헤드 쉘(11)의 내벽에 끼워지는 헤드 측부(121)와, 헤드 측부(121)의 상방에 형성되는 헤드 상부(122)와, 삽입 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상부(122)는 중앙에 센터 핀(24)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 홈(125)은 헤드 측부(1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바디(12)는 인쇄 회로 기판(P)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head body 12 may be mounted inside the head shell 11.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may be the same as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shell 11. The head body 12 may support the socket 13. The head body 12 may include a head side 121 fit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shell 11, a head upper 122 formed above the head side 121, and an insertion groove 125. . The head upper part 122 may have a hole in the center into which the center pin 24 is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12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side 121. The head body 1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P).

소켓(13)은 헤드 바디(12)에 탈착 가능하다. 소켓(13)은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 고정부(132) 및 삽입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13 is detachable from the head body 12. The socket 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a fixing part 132, and an insertion member 135.

고정부(132)는 헤드 바디(12)의 내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헤드 바디(12)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3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and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센터 핀(24)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중앙부는 상부 또는 하부 보다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고정부(132)를 중심으로 변형될 수 있다. 센터 핀(24)이 헤드 어셈블리(1)에 삽입되는 동안, 센터 핀(24)은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센터 핀(24)이 x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1)에 삽입되는 경우, 접촉 부재(131)는 고정부(132)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센터 핀(24)이 y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1)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접촉 부재(131)는 고정부(132)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er pin 24, and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have a shape bent more inward than the upper or lower por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have elastic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be deformed around the fixing portion 132. While the center pin 24 is inserted into the head assembly 1, the center pin 24 may push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outwar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center pin 24 is inserted into the head assembly 1 while being biased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ntact member 131 is deformed outward around the fixing portion 132. It can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even when the center pin 24 is inserted into the head assembly 1 with a bias in the y-axis direction, the contact member 131 may be deformed outward about the fixing portion 132. You can.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가 4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는 제 1 연장부(1311), 제 2 연장부(1312) 및 제 3 연장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Referring to FIGS. 3 to 5 , it is shown that four contact members 131 are formed, but the number of contact members 131 may be four or mor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1311, a second extension part 1312, and a third extension part 1313.

제 1 연장부(1311)는 고정부(1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연장부(1311)는 상방으로 갈수록 헤드 바디(12)의 헤드 측부(121)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1311)는 길이 방향 부재일 수 있다. 제 1 연장부(1311)로 인해,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따라 삽입되지 않더라도, 센터 핀(24) 및 접촉 부재(131)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11 extends upward from the fixing portion 132 and may b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In other words, the distance of the first extension 1311 from the head side 121 of the head body 12 may increase as it moves upward. The first extension 1311 may be a longitudinal member. Due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11, the center pin 24 and the contact member 131 can easily contact even if the center pin 24 is not inserted along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here is.

제 2 연장부(1312)는 제 1 연장부(13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헤드 바디의 내벽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연장부(1312)는 상방으로 갈수록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1312)는 길이 방향 부재일 수 있다. 제 2 연장부(1312)는,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따라 삽입되지 않더라도, 센터 핀(24)을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2 연장부(1312)는, 센터 핀(24)이 접촉 부재(131)에 걸려 소켓(13) 내측으로의 삽입이 제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1311 and may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In other words, the distance away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may increase as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moves upward. The second extension 1312 may be a longitudinal membe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12 moves the center pin 24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even if the center pin 24 is not inserted along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I can guide you.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12 can prevent the problem of the center pin 24 being caught on the contact member 131 and insertion into the socket 13 being restricted.

제 1 연장부(1311) 및 제 2 연장부(1312)의 연결 부분은, 소켓(13)의 다른 부분 보다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분은 센터 핀(24)에 접촉 가능하다. 상기 연결 부분을 통해, 접촉 부재(131) 및 센터 핀(24)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분은, 헤드 어셈블리(1)의 평면도에서 관찰된다. 헤드 어셈블리(1)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부분은 촘촘하게 배열된다. 인접한 접촉 부재(131)의 연결 부분 간의 간격은, 센터 핀(24)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과 어긋나게 삽입되더라도,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131)는 센터 핀(24)에 접촉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1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1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han other portions of the socket 13. The connection portion can contact the center pin (24).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tact member 131 and the center pin 2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necting portion is observed in a plan view of the head assembly (1). Referring to the top view of the head assembly 1, the connecting portions are densely arranged. The gap between connecting portions of adjacent contact members 13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pin 24. Therefore, even if the center pin 24 is inserted mis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at least one contact member 131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can contact the center pin 24. there is.

제 3 연장부(1313)는 제 2 연장부(13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 2 연장부(1312)를 기준으로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3 연장부(1313)는 제 2 연장부(1312)의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3 연장부(1313)의 상단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제 3 연장부(1313)의 하단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연장부(1313)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헤드 바디(12)의 내벽에 가까워질 수 있고, 다른 예로, 제 3 연장부(1313)는 헤드 바디(12)의 내벽에 나란할 수 있다. 제 3 연장부(1313)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 2 연장부(1312)의 날카로운 단부가 헤드 바디(12)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헤드 바디(12)의 내벽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나, 도 3 등과 같이 제 3 연장부(1313)를 형성할 경우 이와 같은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부(1312)가 제 3 연장부(1313)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제 3 연장부(1313)는, 접촉 부재(131)가 고정부(132)를 중심으로 변형되는 각도 범위를 늘려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 부재(131)가 일정한 변형 각도 범위를 갖도록 설계할 때, 헤드 바디(12)의 내측 공간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바디(12)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반대로 헤드 바디(12)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헤드 바디(1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extends upward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and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In other words,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based on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The distance th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is the distance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It can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or example, the third extension 1313 may be closer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as it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nother example, the third extension 1313 may be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can do. If the third extension 1313 is not formed, the sharp end of the second extension 1312 ma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damaging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If the third extension 1313 is formed as shown in FIG. 3, such concern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extends to the height of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has the contact member 131 centered on the fixing part 132. The angle range of deformation can be increased. In other words, when the contact member 131 is designed to have a certain deformation angle range,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head body 12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head body 12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head body 12 or, converse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head body 12.

제 3 연장부(1313)는 고정부(132) 보다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접촉 부재(131)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더라도, 제 3 연장부(1313)가 헤드 바디(12)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han the fixing part 132. Due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contact member 131 is deformed outwar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3 may be designed so that it does not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접촉 부재(131)가 센터 핀(24)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 제 3 연장부(1313)의 상단은 헤드 바디(12)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거리 L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접촉 부재(131)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제 3 연장부(1313)가 헤드 바디(12)의 상부 내벽에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접촉 부재(131)가 센터 핀(24)에 의해 가압될 경우, 제 3 연장부(1313)의 상단은 헤드 바디(12)의 상부 내벽에 가까워질 수 있다.When the contact member 131 is not pressed by the center pin 24,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131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by a distance L.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third extension 1313 interfering wit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when the contact member 131 is deformed outward. When the contact member 131 is pressed by the center pin 24,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1313 may approac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12.

제 3 연장부(1311)의 내측은 헤드 바디(12)의 내측 보다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에 근접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바디(12)의 내측이란, 헤드 상부(122)의 내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3 연장부(1311)의 내측은 헤드 바디(12)의 내측 보다 거리 d만큼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에 근접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 3 연장부(1311)는 센터 핀(24)을 안정적으로 소켓(13)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third extension 1311 may be closer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han the inside of the head body 12. Here, the inside of the head body 12 means the inside of the head upper part 122.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1 is closer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by a distance d than the inside of the head body 12. Due to this structure,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1 can stably guide the center pin 24 into the socket 13.

삽입 부재(135)는 고정부(13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5)는 고정부(132)의 하방으로 연장된 뒤, 바깥쪽으로 2번 절곡되어 고정부(132)와 나란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135)는 삽입 홈(125)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5)가 삽입 홈(12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소켓(13)은 헤드 바디(12)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5)는, 고정부(132)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1 파트(1351)와, 제 1 파트(1351)로부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파트(1352)와, 제 2 파트(1352)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헤드 바디(12)에 삽입되는 제 3 파트(13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13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132. The insertion member 135 may extend downward of the fixing part 132 and then be bent outward twice to have a shape parallel to the fixing part 132. The insertion member 135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5. By inserting the insertion member 135 into the insertion groove 125, the socket 13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head body 12. The insertion member 135 includes a first part 1351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132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nd a first part 1351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135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part 1352 that extends from the second part 135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nd a third part 1353 that is inserted into the head body 12.

헤드 어셈블리(1)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석션 캡(c)이 장착될 수 있다.A suction cap (c)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head assembly (1) as needed.

도 3은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소켓(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따라 소켓(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pin 24 is offset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and coupled to the socket 13, and Figure 5 shows the center pin 24 of the head body 12. It shows a state coupled to the socket 13 along the central axis (a).

서로 마주하는 센터 핀(24) 간의 간격은, 센터 핀(24)의 직경의 길이(D2)보다 작을 수 있다. 센터 핀(24)이 센터 바디(12)의 중심축(a)을 따라 소켓(13)에 결합될 경우, 센터 핀(24)은 4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에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센터 핀(24)이 4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 모두에 접촉을 유지하므로, 센터 핀(24) 및 접촉 부재(131)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인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center pins 24 facing each other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length D2 of the center pins 24. When the center pin 24 is coupled to the socket 13 along the central axis (a) of the center body 12, the center pin 24 can contact all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131. Since the center pin 24 maintains contact with all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131,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pin 24 and the contact members 131 can be ensured.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소켓(13)에 결합될 경우, 센터 핀(24)은 4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는 서로 인접한 접촉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센터 핀(24)이 -x 방향으로 오프셋될 경우, 센터 핀(24)은 +x 방향에 배치된 접촉 부재(13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센터 핀(24)은 -x 방향, +y 방향 및 -y 방향 각각에 배치된 접촉 부재(131)에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enter pin 24 is offset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and coupled to the socket 13, the center pin 24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of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131. You can contact (131). The two or more contact members 131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3 , when the center pin 24 is offset in the -x direction, the center pin 2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member 131 disposed in the +x direction. In this case as well, the center pin 24 may contact the contact members 131 disposed in the -x direction, +y direction, and -y direction, respectively.

센터 핀(24)이 더 많은 수의 접촉 부재(131)와 접촉할수록, 센터 핀(24) 및 소켓(13)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인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센터 핀(24)이 정위치로 소켓(13)에 결합되는 경우, 센터 핀(24)은 4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 모두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핀(24)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오프셋될 경우, 센터 핀(24)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핀(24)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오프셋될 경우, 센터 핀(24)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에 접촉할 수 있다.As the center pin 24 contacts a greater number of contact members 131,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pin 24 and the socket 13 can be realized. When the center pin 24 is coupled to the socket 13 in the correct position, the center pin 24 may contact all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131. Additionally, when the center pin 24 is offset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the center pin 24 may contact at least three or more contact members 131. Additionally, when the center pin 24 is offset betwee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 center pin 24 may contact at least two or more contact members 131.

한편, 4개 이상의 접촉 부재(131) 중 인접한 2개의 접촉 부재(131) 사이의 간격(D1)은, 센터 핀(24)의 직경의 길이(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핀(24)이 인접한 2개의 접촉 부재(131) 사이로 오프셋되더라도, 센터 핀(24)은 상기 인접한 2개의 접촉 부재(131)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gap D1 between two adjacent contact members 131 among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13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length D2 of the center pin 24. Accordingly, even if the center pin 24 is offset between the two adjacent contact members 131, the center pin 24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two adjacent contact members 131.

헤드 바디(12)는 센터 핀(24)을 통과시키는 원형의 입구부(122a)를 구비할 수 있다. 센터 핀(24)은 입구부(122a)를 관통하여 소켓(13)에 결합할 수 있다. 입구부(122a)의 반경의 길이(R)는 센터 핀(24)의 반경의 길이(D2의 절반) 및 센터 핀(24)의 최대 오프셋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센터 핀(24)의 오프셋 길이(D3)는, 센터 핀(24)의 중심축 및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 사이의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오프셋 길이란, 헤드 어셈블리(1) 및 하우징 어셈블리(2)가 결합되는 동안(도 1 참조), 구조적으로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입구부(122a)의 반경의 길이(R)는 센터 핀(24)의 반경의 길이(D2의 절반) 및 센터 핀(24)의 최대 오프셋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센터 핀(24)은 최대로 오프셋되더라도, 입구부(122a)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The head body 12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r inlet portion 122a through which the center pin 24 passes. The center pin 24 may penetrate the inlet portion 122a and be coupled to the socket 13. The radial length (R) of the inlet portion 122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m of the radial length (half of D2) of the center pin 24 and the maximum offset length of the center pin 24. The offset length D3 of the center pin 24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 pin 24 and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Here, the maximum offset length means that while the head assembly 1 and the housing assembly 2 are coupled (see FIG. 1), the center pin 24 structurally extends from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o the maximum. It means the distance that can be separated. Since the radius length (R) of the inlet portion 122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m of the radius length of the center pin 24 (half of D2) and the maximum offset length of the center pin 24, the center pin 24 Even if it is offset to the maximum, it may not be caught in the inlet portion 122a.

한편, 하우징 어셈블리(2) 및 헤드 어셈블리(1)가 결합한 경우, 헤드 쉘(11)은 하우징 쉘(2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핀(24)이 헤드 바디(12)의 중심축(a)을 따라 소켓(13)에 결합될 경우, 헤드 쉘(11) 및 헤드 바디(12) 사이의 거리는 센터 핀(24)의 최대 오프셋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센터 핀(24)이 최대로 오프셋되더라도, 헤드 쉘(11)은 헤드 바디(12)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센터 핀(24)의 오프셋 가능 길이를 제한하지 않는다.Meanwhile, when the housing assembly 2 and the head assembly 1 are combined, the head shell 11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shell 22. When the center pin (24) is coupled to the socket (13) along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12),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shell (11) and the head body (12) is the maximum offset of the center pin (24). It can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Due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center pin 24 is offset to the maximum, the head shell 11 does not contact the head body 12, so there is no limit to the possible offset length of the center pin 24.

헤드 쉘(11)은 하단 테두리부에 함몰 형성되는 쉘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바디(12)는 외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쉘 가이드(114)에 삽입되는 바디 돌기(1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hell 11 may include a shell guide 114 recessed in the lower edge portion. The head body 12 may include a body protrusion 129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the shell guide 114.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의 전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은, 플레이트를 절삭하여 복수 개의 접촉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920)와, 복수 개의 절곡선을 따라, 절삭된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930)와,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접합시키는 단계(94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includes the steps of cutting a plate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920) and bending the cut plate along a plurality of bend lines (930). ) and a step 940 of joining the left end and right end of the plate.

도 7에서, 절삭되기 전 플레이트(139)의 형상은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복수 개의 절곡선은 쇄선으로 표시하였음을 밝혀둔다.In Figure 7, the shape of the plate 139 before cutting is indicated with a dotted line, and a plurality of bend lines are indicated with a chain line.

단계(920)에서, 평면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39)는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 고정부(132) 및 삽입 부재(135)를 형성하도록 절삭될 수 있다. 평면 형상인 플레이트(139)의 절삭 가공은 3차원 입체 형상의 절삭 가공보다 용이할 수 있다.In step 920, the plate 139 having a planar shape may be cut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fixing portions 132, and insertion members 135. Cutting the plate 139 in a planar shape may be easier than cutting the plate 139 in a three-dimensional shape.

단계(930)에서, 절삭된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절곡선(81, 82, 83, 84, 85)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곡선(81, 82, 83, 84, 85)은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절곡선(81, 82, 83)과, 삽입 부재(135)를 형성하기 위한 제 4 및 제 5 절곡선(84, 85)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930, the cut plate may be bent along a plurality of bend lines 81, 82, 83, 84, and 85.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81, 82, 83, 84, 85) form first to third bending lines (81, 82, 83)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and an insertion member 135. It may include fourth and fifth bending lines 84 and 85 for this purpose.

제 1 절곡선(81)을 따라 제 1 방향으로 플레이트(139)를 절곡시켜 제 1 연장부(13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절곡선(82)을 따라 제 2 방향으로 플레이트(139)를 절곡시켜 제 2 연장부(131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제 3 절곡선(83)을 따라 제 1 방향으로 플레이트(139)를 다시 절곡시켜 제 3 연장부(1313)를 형성할 수 있다. 3차례의 절곡을 통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 각각의 제 1 연장부(1311), 제 2 연장부(1312) 및 제 3 연장부(1313)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4 절곡선(84) 및 제 5 절곡선(85)을 따라 플레이트(139)를 절곡시켜 삽입 부재(135)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11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plate 139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bending line 81.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1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plate 139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bending line 82 .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3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plate 139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third bending line 83. Since the first extension part 1311,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2,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313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can be formed by bending three times, the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You can. Likewise, the insertion member 135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plate 139 along the fourth bend line 84 and the fifth bend line 85.

단계(940)에서, 플레이트(139)를 둥글게 말아서, 플레이트(139)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2)의 좌측 단부(132a) 및 우측 단부(132b)는 서로 접할될 수 있다.In step 940, the plate 139 may be rolled up to jo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139. For example, the left end 132a and the right end 132b of the fixing part 132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139)를 절삭하기 전에, 플레이트(139)를 복수 개의 절곡선(81, 82, 83, 84, 85)을 따라 절곡시키는 단계(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or example, bending the plate 139 along a plurality of bend lines 81, 82, 83, 84, and 85 before cutting the plate 139. Step 910 may be further included.

단계(910)에서, 평면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39)는 복수 개의 절곡선(81, 82, 83, 84, 85)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곡선(81, 82, 83, 84, 85)은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절곡선(81, 82, 83)과, 삽입 부재(135)를 형성하기 위한 제 4 및 제 5 절곡선(84, 85)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910, the plate 139 having a planar shape may be bent along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81, 82, 83, 84, and 85.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81, 82, 83, 84, 85) form first to third bending lines (81, 82, 83)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and an insertion member 135. It may include fourth and fifth bending lines 84 and 85 for this purpose.

단계(920)에서, 플레이트를 펼친 상태로, 플레이트를 절삭하여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 고정부(132) 및 삽입 부재(135)를 형성할 수 있다. 절곡된 플레이트(139)는 절삭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플레이트(139)를 펼친 상태로 용이하게 절삭을 수행될 수 있다.In step 920, with the plate in an unfolded state, the plate may be cut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fixing portions 132, and insertion members 135. Since the bent plate 139 is not easy to cut, cutting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e plate 139 unfolded.

단계(930)에서, 복수 개의 절곡선을 따라, 절삭된 플레이트를 절곡시킬 수 있다. 절삭을 마친 플레이트(139)는 단계(910)에서 한번 절곡되었던 절곡선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이미 한번 절곡된 부분이므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절곡시킬 수 있다.In step 930, the cut plate may be bent along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The plate 139 that has been cut may be bent along the bend line that was once bent in step 910. Since the part has already been bent once, it can be easily bent with little force.

단계(940)에서, 플레이트(139)를 둥글게 말아서, 플레이트(139)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2)의 좌측 단부(132a) 및 우측 단부(132b)는 서로 접할될 수 있다.In step 940, the plate 139 may be rolled up to jo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139. For example, the left end 132a and the right end 132b of the fixing part 132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연장부(1311)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복수 개의 접촉 부재(131)가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헤드 바디의 중심 축을 향해 기울어지더라도, 인접한 접촉 부재(131) 간의 오버랩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extension 1311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upward. Due to this shape, even if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131 gradually tilt upwar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overlap between adjacent contact members 131 can be prevented.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x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핀이 y축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er pin coupled to a head assembly with the center pin biased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10 is a head view with the center pin biased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it is assembled in an assembly,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헤드 어셈블리(3)는 헤드 쉘(31), 헤드 바디(32) 및 소켓(3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쉘(31)은 복수 개의 분지 부재(311), 복수 개의 지지 부재(312) 및 벤딩 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바디(32)는 헤드 측부(321), 헤드 상부(322) 및 삽입 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33)은 복수 개의 접촉 부재(331), 고정부(332) 및 삽입 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1, the head assembly 3 may include a head shell 31, a head body 32, and a socket 33. The head shell 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311,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2, and a bending member 313. The head body 32 may include a head side 321, a head top 322, and an insertion groove 325. The socket 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331, a fixing part 332, and an insertion member 335.

복수 개의 접촉 부재(331)는 제 1 연장부(3311), 제 2 연장부(3312) 및 제 3 연장부(3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촉 부재(331)는 헤드 바디(32)의 중심축(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6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장부(3311)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연장부(3312)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촉 부재(331)는 헤드 바디(32)의 중심축(a)에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3311) 및 제 2 연장부(3312)의 연결 부분은, 접촉 부재(331) 중 가장 폭이 작은 부분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33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3311, a second extension part 3312, and a third extension part 3313. Six contact members 331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32. The first extension 3311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upward, and the second extension 3312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widens upward.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331 may become narrower as they approach the central axis (a) of the head body 32.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31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312 may be the portion with the smallest width among the contact members 331 .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may be used with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4)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쉘과, 상기 하우징 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터 핀을 구비하는 하우징 어셈블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쉘에 탈착 가능한 헤드 쉘과, 상기 헤드 쉘의 내측에 고정되는 헤드 바디와, 상기 헤드 바디에 장착되는 소켓을 구비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헤드 바디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구비하는 4개 이상의 접촉 부재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 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 바디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센터 핀은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모두에 접촉하고,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센터 핀은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촉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로부터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파트와, 상기 제 2 파트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 바디에 삽입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트는 상기 제 1 파트에 면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헤드 쉘은, 상기 헤드 바디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을 지지하는 벤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a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shell and a center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hell; and
A head shell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detachable from the housing shell, a head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d shell, and a head assembly including a socket mounted on the head body. do,
The socket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having a shape bent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It includes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and an insertion member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and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head body,
When the center pin is coupled to the socke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e center pin contacts all of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When the center pin is offse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coupled to the socket, the center pin contacts at least two or more contact members among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The head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insertion member includes a first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the second part. It includes a third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serted into the head body,
The second part is maintain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art,
The head shell further includes a bending member supporting a surface of the head body fac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 이상의 접촉 부재 중 이웃한 2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센터 핀의 직경의 길이보다 작은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a gap between two adjacent contact members among the four or more contact members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enter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센터 핀을 통과시키는 원형의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의 반경의 길이는, 상기 센터 핀의 반경의 길이와,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될 수 있는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body has a circular inlet through which the center pin passes,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inlet por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center pin and the maximum distance by which the center pin can be spac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및 헤드 어셈블리가 결합한 경우, 상기 헤드 쉘은 상기 하우징 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소켓에 결합될 경우, 상기 헤드 쉘의 내측면 및 상기 헤드 쉘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헤드 바디의 일부분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센터 핀이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될 수 있는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housing assembly and the head assembly are combined, the head shell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hell,
When the center pin is coupled to the socke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shell and a portion of the head body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shell is such that the center pin is connected to the head body. A connector assembly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distanc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a connecto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쉘은,
상기 헤드 쉘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지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분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단에 하측으로 함몰된 둥근 형상으로 마련된 제 2 부분을 갖는 복수 개의 분지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shell is,
a plurality of branch members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shell; and
A connector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anch member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ranch grooves having a first part whose width becomes wider downward and a second part provided in a round shape depress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art.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을 향해 기울어진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바디의 내벽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member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xing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inclined toward an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upwar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3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act member is,
The connecto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inclined in a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헤드 바디의 내벽에 나란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a connector assembly parallel to the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 보다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에 가까이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The third extension part is a connector assembly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an the fix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센터 핀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바디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센터 핀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 2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헤드 바디의 상부 내벽에 가까워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contact member is not pressed by the center p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When the contact member is pressed by the center pin, the top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pproaches the upper inner wall of the head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부의 내측은, 상기 헤드 바디의 내측 보다 상기 헤드 바디의 중심축에 가까이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0,
The in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ead body than the inside of the head body.
제1 항에 기재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절삭하여 복수 개의 접촉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절곡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used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cutting the plate to form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ending the plate along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joining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곡선은, 서로 평행하고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 1 절곡선, 제 2 절곡선 및 제 3 절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절곡선을 따라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절곡선을 따른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 절곡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절곡선을 따른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3 절곡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용 소켓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plurality of bend lines include a first bend line, a second bend line, and a third bend line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ed sequentially,
The step of bending the plate is,
bending the plate along the first bending line;
bending the plate along the second bend lin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along the first bend li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for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bending the plate along the third bend lin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along the second bend line.
KR1020230139807A 2017-12-18 2023-10-18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KR1026146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544 2017-12-18
KR20170174544 2017-12-18
KR1020180050202A KR102608751B1 (en) 2017-12-18 2018-04-30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02A Division KR102608751B1 (en) 2017-12-18 2018-04-30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919A true KR20230150919A (en) 2023-10-31
KR102614627B1 KR102614627B1 (en) 2023-12-19

Family

ID=671049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02A KR102608751B1 (en) 2017-12-18 2018-04-30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KR1020230139807A KR102614627B1 (en) 2017-12-18 2023-10-18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02A KR102608751B1 (en) 2017-12-18 2018-04-30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110121A (en)
KR (2) KR102608751B1 (en)
CN (1) CN10999486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2376B1 (en) * 2019-07-22 2020-06-24 Smk株式会社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CN111009758B (en) * 2019-10-30 2021-07-3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Large-tolerance flo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30156858A (en) 2022-05-06 2023-11-15 주식회사 신화콘텍 Connector assembly
KR20240028163A (en)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Connector assembly for camera module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403A (en) * 1988-10-11 1990-05-15 Gilbert Engineering Company, Inc. Coaxi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or
JPH0645034A (en) * 1992-05-22 1994-02-18 Teledyne Inc Coaxial connector
US5980290A (en) * 1997-01-20 1999-11-09 Radiall Coaxial electric connector element with movable contact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connector
KR20050058436A (en) * 2002-08-22 2005-06-16 코닝 길버트 인코포레이티드 High frequency, blind mate, coaxial interconnect
US7008235B2 (en) * 2002-07-31 2006-03-07 Honda Tsushin Kogyo Co., Ltd. Coaxial connector and ground pad that mounts said coaxial connector
JP2009104836A (en) * 2007-10-22 2009-05-14 Kuurii Components Kk Connector plug
WO2010087202A1 (en)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 plug connector, rf receptacle connector, and rf connector
US20110039448A1 (en) * 2009-08-14 2011-02-17 Casey Roy Stein Coaxial Interconnect and Contact
US20120282823A1 (en) * 2011-05-05 2012-11-08 Michael Glick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207242A1 (en) * 2012-10-03 2015-07-2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16039001A (en) * 2014-08-06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axial connector
DE102016006923A1 (en) * 2016-06-06 2017-12-0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oaxi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453A (en) * 1992-11-25 1994-06-21 M/A-Com Omni Spectra, Inc. RF connector jack and plug assembly
CN1241048A (en) * 1998-06-25 2000-01-12 三星电子国际公司 Hoodless Electrical socket contact
DE10028859A1 (en) * 2000-06-10 2002-01-03 Appbau Kirchheim Teck Gmbh Und Contact pin for electrical connector or socket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vehicle and trailer, has fixing sleeve, contact section and terminal region integrated in one piece of metal
DE102004002402B3 (en) * 2004-01-16 2005-11-03 Tyco Electronics Amp Gmbh High-current connection device and associated contacting element
CN201075536Y (en) * 2007-10-17 2008-06-18 惠州市万迅通电子五金塑胶厂 Signal connection element for signal distributing equipment
US7806737B2 (en) * 2008-02-04 2010-10-05 Methode Electronics, Inc. Stamped beam connector
JP5279912B2 (en) * 2008-09-10 2013-09-04 エフシーアイ Electrical contact, set of electrical contacts, product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electrical contac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JP5191568B2 (en) * 2009-07-31 2013-05-08 株式会社フジクラ Coaxial connector
CN101997188A (en) * 2009-08-28 2011-03-30 安费诺凯杰科技(深圳)有限公司 Lightning-proof SPC connector for communication
US9325095B2 (en) * 2011-05-05 2016-04-26 Lear Corporation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840436B2 (en) * 2011-05-05 2014-09-23 Lear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ng terminal
US8678867B2 (en) * 2011-10-31 2014-03-2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receptacle assembly
US8414339B1 (en) * 2011-10-31 2013-04-0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receptacle assembly
JP6041107B2 (en) * 2014-09-16 2016-12-07 Smk株式会社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WO2016056660A1 (en) * 2014-10-10 2016-04-14 株式会社フジクラ Termin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9680247B1 (en) * 2016-03-04 2017-06-13 Lear Corporation Round terminal with low profile cap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403A (en) * 1988-10-11 1990-05-15 Gilbert Engineering Company, Inc. Coaxi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or
JPH0645034A (en) * 1992-05-22 1994-02-18 Teledyne Inc Coaxial connector
US5980290A (en) * 1997-01-20 1999-11-09 Radiall Coaxial electric connector element with movable contact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connector
US7008235B2 (en) * 2002-07-31 2006-03-07 Honda Tsushin Kogyo Co., Ltd. Coaxial connector and ground pad that mounts said coaxial connector
KR20050058436A (en) * 2002-08-22 2005-06-16 코닝 길버트 인코포레이티드 High frequency, blind mate, coaxial interconnect
JP2009104836A (en) * 2007-10-22 2009-05-14 Kuurii Components Kk Connector plug
WO2010087202A1 (en)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 plug connector, rf receptacle connector, and rf connector
US20110039448A1 (en) * 2009-08-14 2011-02-17 Casey Roy Stein Coaxial Interconnect and Contact
US20120282823A1 (en) * 2011-05-05 2012-11-08 Michael Glick Female typ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207242A1 (en) * 2012-10-03 2015-07-2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16039001A (en) * 2014-08-06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axial connector
DE102016006923A1 (en) * 2016-06-06 2017-12-0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oax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0121A (en) 2019-07-04
CN109994863A (en) 2019-07-09
KR102614627B1 (en) 2023-12-19
KR102608751B1 (en) 2023-12-04
KR20190073240A (en) 2019-06-26
CN109994863B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627B1 (en)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JP6041107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US933141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428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TWI530036B (en) Connectors and performance boards, motherboards,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s including the connector
JP3905518B2 (en) Floating connector
JP2003217710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EP3499652B1 (en) Connector assembly
US911815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55371B1 (en) Electric connector for substrate
JP202216200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452626B1 (en) Connector assembly for perpendicularly connecting two substrates
JP2019033037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M622378U (en) Floating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2010033953A (en) Coupling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connector and substrate electric connector
JP2017147171A (en) connector
WO201507215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with same
JP2017050269A (en) connector
JP2011048982A (en) Floating connector
JP2006147372A (en) Connector
JP2015230390A (en) Optical connector
KR20140001551U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148179B1 (en) Connector assembly
JP6845435B2 (en) Socket and module unit with the same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