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840A -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840A
KR20230150840A KR1020237032663A KR20237032663A KR20230150840A KR 20230150840 A KR20230150840 A KR 20230150840A KR 1020237032663 A KR1020237032663 A KR 1020237032663A KR 20237032663 A KR20237032663 A KR 20237032663A KR 20230150840 A KR20230150840 A KR 2023015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canalicular
injectable material
distal end
cannula
applica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자렛
에릭 웡
Original Assignee
오큘라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큘라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큘라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특정 실시예에 개시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공동을 형성하는 본체 및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된 캐뉼러를 포함한다. 캐뉼러는 본체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캐뉼러는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본체에 결합된 팁 구조를 더 포함한다. 팁 구조는 캐뉼러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된다.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함으로써 누점을 확장하도록 구성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 구동 구조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21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53,316호, 및 2021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50,17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삽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intracanalicular depot inserter device)에 관한 것이다.
누점은 눈꺼풀 가장자리에 있는 극미한 개구이다. 누점은 소관(canaliculus)으로 이어진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의사에 의해 누점을 통해 환자에게 주사되는 주사 가능한 약제 또는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일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환자의 눈의 질환 또는 상태의 예방, 치료, 또는 치유에 적용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의 도면에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예시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상이한 참조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참조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구동 구조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를 예시한다.
도 5a 내지 도 5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를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캡을 예시한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을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8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9a 내지 도 9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를 예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구동 구조를 예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를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캡을 예시한다.
도 12h 내지 도 12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주사 가능한 약제,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 데포 등)을 환자에게 주사하는 데 사용되는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누점 확장 어플리케이터, 주사기 등)에 관한 것이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폴리머계 소관내 인서트, 데포)은 눈에 존재하는 다수의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요법으로서 사용된다. 누점은 위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 모두의 안쪽 코너에 위치된 작은 구멍이다. 누점은 눈의 외분비샘(누선)에 의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눈물을 배출한다. 통상적으로 원통형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인서트)은 누점을 통해 하누소관에 배치되거나 누점을 통해 상누소관에 배치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일반적으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유지를 돕기 위해 누점 개구의 직경에 비교하여 직경이 더 크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의사가 누점을 통해 환자에게 주사하는 주사 가능한 약제 또는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일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환자의 눈의 질환 또는 상태의 예방, 치료, 또는 치유에 적용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추가적인 확장 시술(예를 들어, 누점 확장)을 사용하여 누점 둘레에 위치된 유연하고 섬세한 누점 조직(예를 들어, 소관의 개구)을 팽창시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통과를 허용한다. 누점 확장은 누점 확장이 주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섬세하게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협적인 시술이다. 누점 확장의 이 추가 단계는 또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많은 의사는, 누점 직경이 개인마다 크기가 상당히 다양하고 누점 확장이 필요한 시기를 때때로 알기 어렵기 때문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주사(예를 들어, 삽입)하기 전에 누점 확장을 수행하는 것을 무시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주사(예를 들어, 삽입) 시술 중에, 친수성 폴리머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안구 표면 및 주변 조직으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직경이 증가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주사 가능 물질의 유지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는 누점(예를 들어, 누점 개구)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성공적으로 통과시키는 데 이용 가능한 시간량을 제한함으로써 시술에 대한 어려움을 제시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작은 크기는, 수술 시술에 표준이 아닌 특수 기구를 사용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더욱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너무 단단히 잡으면 손상될 수 있고 충분히 단단히 유지하지 않으면 떨어질 수도 있다.
가변적인 환자 의존적 특성과 주사 시술(예를 들어, 삽입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 기구의 사용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배치가 부적절할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하누소관은 2개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즉, 경사진 팽대부를 통해 약 8 밀리미터(mm) 길이의 수평 세그먼트에 연결된 약 2.5 mm 길이의 수직 세그먼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유효성과 소관(예를 들어, 누소관)에 유지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능력은 주사 시술(예를 들어, 삽입 시술) 동안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초기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누점 개구에 대한 주사 가능 물질의 근접도는 주사 가능 물질로부터 누액으로 활성 작용제(존재하는 경우)를 전달하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은 시술의 복잡성을 증가시켜 주사(예를 들어, 삽입) 실패, 누조직 손상, 제2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필요로 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낙하, 및 시술 연장을 초래할 수 있다. 주사 시술(예를 들어, 삽입 시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훈련과 기술의 양은 의사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사용을 선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실패가 발생할 때 좌절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주사 시술(예를 들어, 삽입 시술)을 단순화하고 간소화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보관 및 운송 중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호하고, 누점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쉽고 안전하게 누점을 확장시키며, 그후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전개시킨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공동을 형성하는 본체 및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된 캐뉼러를 포함한다. 캐뉼러는 본체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캐뉼러는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본체에 결합된 팁 구조를 더 포함한다. 팁 구조는 캐뉼러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된다.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함으로써(예를 들어, 그리고 원위 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누점을 확장하도록 구성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본체의 공동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캐뉼러의 채널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동 구조를 더 포함한다. 구동 구조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은 종래의 해결책에 비교하여 이점이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누점을 안전하게 확장하고 종래의 해결책보다 더 빠르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삽입하는 데 사용되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흡수하는 습기의 양을 제한하고 주사(예를 들어, 삽입)의 성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손상을 회피하고 종래의 해결책에 비교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낙하를 회피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올바른 위치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주사(예를 들어, 삽입) 및 유지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종래의 해결책에 비교하여 손상이 감소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참조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누점 및/또는 소관에 주사(예를 들어, 삽입, 전개)될 하나 이상의 물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체는 소관에 주사(예를 들어, 삽입, 전개)될 물체, 주사 가능한 약제,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 약제(예를 들어, 의료 약물, 치료 약물)를 전달하는 물체, 누점을 차단하는 물체, 플러그(예를 들어, 누점 플러그, 앵커와 같이 형성된 강성 플라스틱 물체, 눈꺼풀과 동일 높이에 있는 헤드를 갖는 물체 등),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누점 바로 아래에 위치됨), 히드로겔로 이루어진 물체, 폴리(락트산)(PLA)으로 이루어진 물체,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으로 이루어진 물체, 원통형 물체, 생체 흡수성 물체, 물리적으로 제거되는 물체, 폴리머계 물체, 팽창하는(예를 들어, 누점을 폐색하도록 팽윤되는) 물체, 폴리머 물체, 엘라스토머 물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는 누점을 확장하고 단일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에 전개하는 데 사용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참조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다수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적층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단일 소관으로 전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통해 제1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제공하고 제2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통해 제2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동일한 소관에 제공하는 것, 동일한 소관내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및 제2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동일한 소관으로 제공하는 것 등).
도 1a 내지 도 1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 플런저 구동식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누점 확장 어플리케이터, 주사기 등)를 예시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본체(110), 구동 구조(120), 및 캐뉼러(130)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캐뉼러(130)에 보관됨).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예를 들어, 데포)을 환자에게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 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은 의사가 누점을 통해 환자에게 주사하는 주사 가능한 약제 또는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일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은 환자의 눈의 질환 또는 상태의 예방, 치료, 또는 치유에 적용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은 Dextenza®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은 인서트 또는 소관내 인서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레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삽입 어플레이터 디바이스, 주사기, 삽입 디바이스(예를 들어, 누점을 확장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누점을 확장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주사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은 트라보프로스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덱사메타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공동(예를 들어, 중공 코어 등)을 형성한다. 캐뉼러(130)는 본체(110)의 원위 단부에 결합(예를 들어, 부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접착(예를 들어, 글루), 인서트 몰딩 등을 통해 본체(110)에 고정된다. 캐뉼러(130)는 본체(110)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예를 들어, 루멘)을 형성한다. 캐뉼러(130)는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의 채널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고, 보호하며, 그 정렬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조(120)는 본체(110)의 공동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캐뉼러(130)의 채널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조(120)는 채널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조(120)는 플런저 구조(122) 및 푸시 와이어(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본체(110)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제1 원위 단부는 구동 구조(120)(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 및 푸시 와이어(124))의 구동을 유발하는 힘(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플런저 구조(122)의 제1 원위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받도록 구성된다. 푸시 와이어(124)의 제1 원위 단부는 플런저 구조(122)의 제2 원위 단부에 부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런저 구조(122)의 제2 원위 단부는 슬롯(128)을 형성하고 푸시 와이어(124)의 제1 원위 단부는 플런저 구조(122)의 슬롯(128) 내로 인서트 몰딩된다. 푸시 와이어(124)의 제2 원위 단부는 구동 구조(120)의 구동 전에 캐뉼러(130)의 채널에 배치된다. 푸시 와이어(124)는 구동 구조(122)의 구동에 응답하여 채널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막대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금속 와이어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캐뉼러(130)의 채널의 원통형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형 주연부(예를 들어, 원통형)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의 외경은 캐뉼러(130) 채널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플런저 구조(122)는, 본체(110)의 외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대응 리세스에 삽입되어 플런저 구조(122)와 본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캐뉼러(130) 내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후크형 클립(126)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의 공동에 배치된 플런저 구조(122)의 일부는 비원형 주연부(예를 들어, 난형, 후크형 클립(126)에 근접한 플런저 구조의 부분)를 갖고 본체(110)의 공동의 일부는 플런저 구조(122)의 부분의 비원형 주연부에 대응하는 비원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난형)을 갖는다. 구동 구조(120)는 구동 구조(120)를 구동시키기 위해 본체(110)의 공동 부분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플런저 구조(122) 부분의 비원형 주연부를 정렬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공동과 플런저 구조(122)의 외부 프로파일은 푸시 와이어(123)를 캐뉼러(130)의 채널 내로 지향시키도록 테이퍼져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본체(110)의 제1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예를 들어, 캐뉼러(130)에 근접하여) 본체(1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150)을 포함한다. 캡(150)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에 대한 환기를 제공하기 위해 개구(예를 들어, 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본체(110)에 결합된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 확장기 팁)를 포함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캐뉼러(130)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조(120)는,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캐뉼러(130)의 채널 및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회전시킴으로써 누점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의 적어도 일부는 50 내지 70의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개구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일부는 평탄한 팁, 경사진 팁, 슬릿 팁, 평탄한 경사진 팁, 또는 둥근 경사진 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부분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하기 전에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경사진 팁을 갖지 않는다. 확장된 누점(예를 들어, 캡(150) 또는 별개의 확장 구성요소를 통해) 또는 정지 직경(예를 들어, 평균 정지 직경보다 높음)을 가질 수 있는 누점은 팁 구조(140)(예를 들어, 경사진 팁이 없음)을 수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팁 구조(140) 대신에) 캐뉼러(130)의 일부 둘레에 배치된 칼라 구조를 포함한다. 칼라 구조는 누점을 통해 캐뉼러(130)의 원위 단부가 소관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한다. 구동 구조(120)는, 캐뉼러(130)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채널을 통해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캐뉼러(130)의 채널에 로딩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키트는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2i 참조). 구성요소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로킹 위치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에 로딩되고 캡(150)이 키트의 본체(110) 상에 배치되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키트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와 별개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포일 파우치일 수 있다. 키트의 구성요소는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경제적이어서 열가소성 물질, 열경화성 물질, 및/또는 기계가공된 금속 구성요소로 정확하게 사출 몰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접착제를 갖지 않는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패키징에서 기계적 고장 및 습기에 기여할 수 있는 접착제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캐뉼러(130)(예를 들어, 텍스처화된 피하 캐뉼러)는 본체(110)(예를 들어, 플라스틱 핸들)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형상이 원통형이고, 보관 동안 보호하고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캐뉼러(130)의 루멘(예를 들어, 채널) 내에 보관된다. 또한, 캐뉼러(130)의 루멘 내에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후방에 위치 설정되는 짧은 길이의 푸시 와이어(124)가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원통형 주사 가능 물질)의 일 단부를 구속할 수 있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플런저 구조(122) 상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110)의 공동 내에(예를 들어, 핸들의 중공 코어 내에) 놓일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플런저 구조(122)와 본체(110)(예를 들어, 본체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만입부에 의해 구속되는 후크형 클립(126)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추가로 구속할 수 있으며 보관 전반에 걸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위치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하는 캐뉼러(130)(예를 들어, 피하 캐뉼러)를 둘러싸는 가요성 팁일 수 있다. 팁 구조(14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원위 단부(예를 들어, 가요성 팁)를 갖고, 이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이동 중에(예를 들어, 최악의 경우의 운송 조건 중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가요성 팁)의 재료 특성 및 가요성은 임계값 힘(예를 들어, 상당한 힘)이 인가될 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본체(110) 상의 대응 환형 돌출부(예를 들어, 본체(110)의 외부 표면에 의해 형성됨)에 스냅 체결되는 환형 리세스(예를 들어, 팁 구조(140)의 내부 표면에 의해 형성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조립 절차를 단순화하고 일관된 반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50)(예를 들어, 보호 캡)은 본체(110) 위에 마찰 끼워맞춤된다. 길이방향으로 캡(150)의 내경을 라이닝하는 리지를 통해 가벼운 압입 끼워맞춤이 달성될 수 있다. 리지는 본체(110)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리지는 본체의 외경 상에 끼워질 수 있음).
본체(110)의 내부 원형 코어(예를 들어, 공동)와 플런저 구조(122)의 원형 샤프트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가 본체(110)에 끼워짐에 따라, 테이퍼 프로파일은 푸시 와이어(124)를 캐뉼러(130)로 지향시킨다. 본체(110)의 내부 코어(예를 들어, 공동)의 베이스는 조립 중에 재밍을 방지하기 위해 푸시 와이어(124)를 캐뉼러(130) 내로 이동시키는 모따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와 본체(110)는 운송 및 취급 중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비의도적 전개를 방지하기 위해 "자물쇠 및 열쇠" 로킹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0)는 원통형 관형일 수 있고 본체(110)의 원통형 코어로 특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슬롯(예를 들어, 공동의 일부는 비원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음)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플런저 구조(122)의 원통형 샤프트 아래로 거리를 연장하는 대응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주연부(예를 들어,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비원형 주연부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본체(110)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정렬된다. 비원형 주연부와 비원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난형 피처)이 정렬되지 않으면, 플런저 구조(122)의 비원형 주연부의 최대 폭(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의 난형 돌출)이 본체(110)의 비원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본체(110)의 난형 슬롯)의 최소 폭을 간섭한다.
"로킹 위치"(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의 비원형 주연부가 본체(110)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서 비의도적 전방 구동을 방지하는 "자물쇠 및 열쇠" 메커니즘에 추가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플런저 구조(122)의 비의도적 회전을 방지하는 다른 피처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의 반대 측면에) 2개의 클립(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클립(126)이 본체(110)에 놓이는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정사각형 프로파일은 플런저 구조(1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임계값 힘(예를 들어, 상당한 힘)이 인가될 때까지 플런저 구조(12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정사각형 프로파일 위치의 본체 폭은 정지 클립 분리 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가 45도 회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본체(110)의 정사각형 프로파일의 대각선 거리를 극복하도록 굴곡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특정 이동(예를 들어, 더 나쁜 경우의 운송 조건)의 결과로서 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손가락 하나로 회전력이 달성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가 "로킹 해제 위치"에 위치 설정될 때 정사각형 피처의 폭은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의 정지 폭보다 클 수 있어(예를 들어, 약간 더 클 수 있어), 클립(126)이 굴곡되고 마찰을 생성하게 하여 임계값 힘(예를 들어, 상당한 힘)이 인가될 때까지 플런저가 "로킹 해제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굴곡 클립(126)과 본체(110)의 정사각형 피처(예를 들어, 정사각형 프로파일)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시술이 수행될 때 최종 사용자에게 물리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캡(150)은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폴리머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에 대한 개선된 환기를 허용하는 절결부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및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팁 구조(140)의)는 불활성 질소 컨디셔닝을 통해 습기를 제거해야 하며, 캡(150)(예를 들어, 보호 캡)의 절결부는 내부에 보관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폴리머계 인서트) 및 주변 재료로부터 잠복 습기 제거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팁 구조(140)의) 플라스틱 재료는 낮은 H2O 접착 및 응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누점을 임계값 직경까지 확장시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하고 후속적으로 추가 작업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간소화된 시술을 통해 수직 소관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경고 표시기가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에 통합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관형의 가요성 팁)는 베벨의 바로 그 팁이 다양한 크기의 누점에 사용하게 하는 치수를 갖는 난형 지점에 도달할 수 있게 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통과하게 하도록 관형일 수 있고, 처음에 누점 개구를 찾는 데 하나의 벽만 사용되도록 경사진 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큰 벽 두께가 허용되어 다양한 크기의 누점에 사용되는 확장을 수행하는 더 강성의 도구가 초래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외상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누점의 초기 확장을 수행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둥근 팁과 난형 프로파일을 갖는 베벨을 가질 수 있다. 난형 팁 프로파일은 원형 누점 개구에 삽입될 때 처음에는 한 평면에서 조직을 연장시킨다. 난형 팁을 회전시켜 누점의 전체 원주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는 확장 속도를 감소시키고 누점 개구가 작은 환자에게 성공적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경사진 팁의 테이퍼형 프로파일은 팁 구조(140)가 누점 개구를 임계값 직경(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까지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누점 개구를 둘러싸는 섬유탄성 조직에 외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느리고 섬세한 확장 속도가 사용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베벨 각도는 베벨이 소관내로 끼워질 때 확장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확장 팁)의 가요성 및 관형 구조는 공격적인 확장을 방지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원위 단부가 처음 삽입될 때 붕괴되어 더 작은 소관 프로파일에 일치할 수 있고, 그 다음 소관 조직이 점진적으로 팽창되게 하는 외향력을 나타내면서 원위 단부의 원래 형상으로 천천히 팽창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의 전체 베벨이 소관 내부에 끼워지면, 팁 구조(140)(예를 들어, 확장 팁)의 외경은 추가 삽입 및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는 직경으로 갑자기 증가한다(예를 들어, 팁 구조(140)는 소관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를 갖고, 원위 단부는 원위 단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소관에 진입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팁 구조(140)의 부분에 인접함). 누점 개구 또는 소관의 직경을 과도하게 확장하면 섬유탄성 누점 조직이 손상되고 및/또는 너무 커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없는 오리피스가 초래된다.
임계값 확장(예를 들어, 적절한 확장)이 달성되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의 루멘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푸시 와이어(124)를 따라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주사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전에 푸시 와이어(124)의 일부가 캐뉼러(130) 내에 놓이게 하면 푸시 와이어(124)의 정렬이 추가로 유지되고 불발 가능성이 방지된다. 캐뉼러(130)의 내부 벽(예를 들어, 피하 캐뉼러)은 와이어 편향을 방지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푸시하는 선형 축방향 힘 벡터를 유지한다.
사용자(예를 들어, 성인 손의 평균 크기를 기준으로)는 검지로 플런저를 로킹 해제하고 구동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삽입 시술(예를 들어, 한 손 삽입)의 전체 지속 기간 동안 한 손으로 유지되어 기능할 수 있다.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자물쇠 및 열쇠" 로킹 메커니즘"은 양손잡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을 이용하면 플런저 구조(122)와 본체(11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할 때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할 때 "로킹 해제"되고 정렬되게 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팁 구조(140)(예를 들어, 확장 팁)의 외경의 급격한 증가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 전에 소관에서 팁의 위치를 결정한다. 소관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능력은 인간 요인에 무관하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폴리머계 인서트)의 정확하고 일관된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 깊이는 본체(110) 내부의 공동(예를 들어, 난형 절결부)의 비원형 부분의 깊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공동의 비원형 부분(예를 들어, 난형 부분)이 원형 부분으로 변환되면,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형상) 주연부를 갖는 플런저 구조(122)의 부분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할 수 없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 삽입 장벽과 조합한 플런저 구조(122) 및 푸시 와이어(124)(예를 들어, 플런저 및 푸시 와이어 조립체)의 고정된 스트로크 길이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일관되게 미리 결정된 깊이까지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되게 한다.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 깊이를 지정하는 이들 피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하누소관의 수직 세그먼트에 전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더 짧은 푸시 와이어(124)를 사용하여 누점 개구 아래 1 밀리미터(mm)의 최대 깊이까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하누소관의 수직 세그먼트에 있는 경사진 팽대부 바로 위에 놓인다. 짧은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 깊이는 팁 구조(140)의 경사진 원위 단부(예를 들어, 경사진 팁)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더 짧은 거리에서 방출될 수 있게 한다.
하누소관의 수평 영역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배치하기 위해, 푸시 와이어(124)의 길이를 증가시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팽대부를 지나 푸시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확장 팁)의 가요성은 누점 해부구조에 합치할 수 있고 만곡된 팽대부를 지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를 나타내는 청각적 및/또는 물리적 피드백을 갖는다. 청각적 및/또는 물리적 피드백은, 플런저 구조(122)가 최종 "전개된 위치", "주사된 위치", 또는 "삽입된 위치"에 도달하면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이 본체(110)와 인터페이싱되는 방식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가 전개된 위치에 도달하면,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본체(110)의 리세스에 스냅 체결되어 청각적 딸깍 소리를 생성한다. 플런저 구조(122)가 전개된 위치에서 제자리에 딸깍 소리를 생성하는 것은 또한 푸시 와이어(124)를 노출된 위치(예를 들어, 푸시 와이어(124)의 연장 위치)에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푸시 와이어(124)가 후퇴하는 일 없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제자리(예를 들어, 해당할 경우)에 추가로 푸시하게 한다. 본체(110)의 리세스에 스냅 체결되는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클립(126)이 리세스에 스냅 체결될 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기계적 진동을 통해 물리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시각적 피드백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청각적 및/또는 물리적 피드백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 플런저 구조(122)는 표시기(예를 들어, 플런저 상에 인쇄된 적색 및 녹색 표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구조(12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유일한 이동 구성요소일 수 있다. 표시기는 본체(110)의 공동 안으로 들여다보는 절결부 구멍을 통해 볼 수 있다. 제2 표시기(예를 들어, 녹색 마킹)로 천이될 때 제1 표시기(예를 들어, 적색 마킹)의 위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완전히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될 때 정렬될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 캐뉼러(130)(예를 들어, 피하 캐뉼러), 및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의 치수는 다양한 크기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삽입 시술을 간소화하고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삽입 시술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량을 감소시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소관에 배치되기 전에 팽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삽입 실패 가능성을 완화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설계 및 조성은 접착제 없이 본체(110)(예를 들어, 원통형 관형 본체) 상에 인서트 몰딩되는 캐뉼러(130)(예를 들어, 피하 캐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러(13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측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접착제 없이 플런저 구조(122) 상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구동 구조(120)(예를 들어, 푸시 와이어(124) 및 플런저 구조(122) 서브조립체)는 본체(110)의 공동(예를 들어, 코어) 내에 조립될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근위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플런저 구조(122)와 본체(110)(예를 들어, 플런저 및 본체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와 인터페이싱하는 후크형 클립(126)을 가질 수 있다.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는 캐뉼러(130)(예를 들어, 피하 캐뉼러)를 둘러쌀 수 있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원위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임계값 힘이 인가될 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는 재료 특성과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팁 구조(140)는 팁 구조(140)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110) 상의 대응 환형 돌출부에 스냅 체결되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환형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캡(150)(예를 들어, 보호 캡)은 본체(110) 위에 마찰 끼워맞춤될 수 있다. 캡 내부의 리지에 의해 마찰 끼워맞춤이 생성될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의 일부는 푸시 와이어(124)의 정렬을 유지하고 푸시 와이어(124)의 불발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전에 캐뉼러(130) 내에 놓일 수 있다. 본체(110)는 공동(예를 들어, 내부 원형 코어)을 가질 수 있고 플런저 구조(122)의 샤프트는 조립 중에 푸시 와이어(124)의 정렬을 돕기 위해 테이퍼질 수 있다. 본체(110)의 공동(예를 들어, 내부 코어) 베이스에 있는 챔버는 푸시 와이어(124)를 캐뉼러(130)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를 구속하는 로킹 피처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비의도적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본체(예를 들어, 원통형 관형 본체)는 원통형 코어 내로 연장되는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돌출부를 갖는 플런저 구조(122)는 플런저 구조(122)의 원통형 샤프트 아래로 연장된다. 플런저 구조(122)의 비원형 주연부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본체(110)의 비원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난형 슬롯)과 정렬된다. 전개 깊이 또는 스트로크 깊이는 로킹 피처로도 사용되는 본체(110) 내부의 비원형 부분(예를 들어, 난형 절결부)의 깊이에 직접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전개를 위해 본체(110)와 정렬되도록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가요성 클립(126)과 본체(110)의 정사각형 프로파일은 임계값 힘이 인가될 때까지(예를 들어, 한 손가락을 통해) 플런저 구조(12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서로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한 손가락으로 인가(예를 들어, 대응, 극복)될 수 있는 스프링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가요성 클립(126)과 본체(110)의 정사각형 프로파일은 플런저 구조(122)가 구동될 때 저항의 형태로 물리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캡(150)(예를 들어, 보호 캡)은 내부에 보관된 폴리머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및 구성요소의 더 높은 속도의 H2O 확산을 허용하는 절결부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H2O의 존재 하에 불안정한 흡습성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투여하기 위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는 낮은 습기 응집 및 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패키징 내에서 H2O 노출을 완화하면 보관 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로딩된)는 내부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건조제 라이닝된 포일 파우치에 보관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로딩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건조제 패킷과 함께 포일 파우치에 보관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베벨의 바로 그 팁이 다양한 크기의 누점에 끼워질 수 있는 주연부(예를 들어, 원주)를 갖는 난형 지점에 도달하게 하도록 경사진 관형의 가요성 팁일 수 있다. 베벨 팁은 외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가 라운딩될 수 있다. 베벨은 작은 누점 개구를 확장할 정도로 충분히 작은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팁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큰 벽 두께를 허용할 수 있다. 난형 형상의 베벨 팁 프로파일은 팁이 먼저 누점 개구를 한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회전될 때 사용자가 모든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초기 확장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누점 개구가 작은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베벨은 누점 조직에 외상을 유발하지 않고 꾸준하고 점진적인 속도의 누점 확장이 가능하게 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가요성 관형 팁은 소관에 처음 삽입될 때 붕괴될 수 있으며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확장 속도가 느려진다.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확장 팁)는 추가 삽입 및 과다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급격히 증가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확장 팁)의 루멘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푸시 와이어(124)를 따라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주사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고, 누점을 확장한 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 완전히 작동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완전한 양손잡이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의 수직 세그먼트에 일관되게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할 수 있다. 경사진 팁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경사진 팁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로 방출되게 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누소관의 수평 세그먼트에 존재하도록 수직 소관 및 팽대부를 지나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주사(예를 들어, 전개 등)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만곡된 팽대부를 지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전개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완전히 전개되면 청각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피드백 피처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플런저 구조(122)가 완전히 전개되면 본체(110)의 리세스에 스냅 체결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과 본체(110)의 치수는 느껴질 수 있고(예를 들어, 진동으로서) 청각적 딸깍 소리로서 들을 수 있는 방식으로 스냅 체결될 수 있다. 본체(110)의 리세스에 유지되는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은 임계값 힘에 의해서만 이동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당한 힘을 인가하지 않으면 이동될 수 없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완전히 전개되면 시각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시각적 신호 피처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런저 구조(122)의 마커(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 상에 인쇄된 적색 및 녹색 마킹)는 본체(110)의 공동 안으로 들여다보는 절결부 구멍을 통해 볼 수 있다. 제1 마커(예를 들어, 녹색 마커)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완전히 전개된 경우에만 절결부 구멍을 통해 볼 수 있다. 제2 마커(예를 들어, 적색 마커)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에 사전 로딩된 경우(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만 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구조(120)는 푸시 와이어(124)에 결합된 플런저 구조(122)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구조(120)는 푸시 와이어(124)에 결합된 슬라이더 구조를 포함한다. 플런저 구조(122)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하기 위해 푸시 와이어(124)를 통해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주사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힘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원위 단부에 있는 플런저 구조(122)에 인가된다. 슬라이더 구조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경우, 슬라이더 구조는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본체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경사진 캐뉼러(130)를 포함한다. 캐뉼러(130)는 무딘 팁과 테이퍼진 베벨을 갖도록 맞춤 가공된 피하 금속 캐뉼러일 수 있다. 무딘 팁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가 누조직을 천공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가 누점 개구를 찾아 확장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테이퍼형 베벨은 테이퍼형 베벨이 소관으로 구동될 때 누점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캐뉼러(130)의 루멘 내에 보관되고 구동 구조(120)(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 또는 슬라이더 구조)를 통해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될 수 있다. 베벨은, 캐뉼러(130)가 제거될 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과 소관 조직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소관 조직에 적절한 양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에 의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부주의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캐뉼러(130)가 소관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칼라(예를 들어, 금속 칼라)가 캐뉼러(130)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가요성인 팁 구조(140)를 포함한다. 팁 구조(140)는 경사진 캐뉼러(130)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팁의 연질은 누조직 천공의 위험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팁 구조(140)(예를 들어, 가요성 팁)의 루멘은 보관 중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유지하기 위해 크기가 작을 수 있으며, 팁 재료의 가요성 특성은 구동력이 인가될 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통과하게 한다. 팁 재료는 누점을 적절하게 확장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성이다.
경사진 캐뉼러(130)나 가요성인 팁 구조(140)가 사용될 수 있다. 양자 모두가 누점 확장을 위해 제공되고(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크도록 누점의 직경을 증가시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통과 및 소관 내의 퇴적을 허용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3차원(3D) 인쇄될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폴리머 인서트)을 포유동물 누소관으로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고 다수의 소관에 다수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삽입하는 데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제품(예를 들어, 액체, 고체, 약제 등)을 누점 및/또는 소관에 적용하는 데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약제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삽입하기 위해(예를 들어, 약제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약제를 포함하지 않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삽입하는 데 사용된다(예를 들어, 단지 폐색하기 위해 사용됨).
도 1a는 본체(110), 구동 구조(120)(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 및 푸시 와이어(124)), 캐뉼러(130), 팁 구조(140), 및 캡(150)을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본체(110), 플런저 구조(122), 및 팁 구조(140)를 포함하는 조립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캡(150) 없음)를 예시한다. 도 1c는 도 1b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된 조립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캡(150) 없음)를 예시한다. 도 1c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캡(150) 없음)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d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캡(150) 없음)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e는 전개되지 않은(예를 들어, 푸시 와이어(124)가 전개되지 않은 위치에 있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예를 들어, Dextenza®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갖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팁 구조(14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e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팁 구조(14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전개되었고, 푸시 와이어(124)는 전개된 위치에 있음). 도 1g는 팁 구조(140) 및 캡(150)이 제거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캡(150) 없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총 길이는 약 62 내지 80 밀리미터(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길이가 약 12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길이가 약 1 내지 5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런저 구조(122)의 폭(예를 들어, 하나의 클립(126)의 외부 표면에서 반대쪽 클립(126)의 외부 표면까지)은 약 9 mm이다. 본체(110)의 최대 폭은 약 6 mm이다. 본체(110)의 중심 부분(예를 들어, 파지부)의 길이는 약 37 mm이다. 본체(110)의 중심 부분과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의 단부) 사이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 부분의 길이는 약 19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길이가 약 8 내지 9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약 1파운드(lb)의 최소 인장 강도로 인서트 몰딩을 통해 본체(110)에 고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약 1 lb min으로 플런저 구조(122)에 고정된다. 인장 강도.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구조(120)(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122) 및 푸시 와이어(124))는 본체(110)에 배치되고 방해 없이 전방으로 전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예를 들어, 본체(110), 구동 구조(120), 및 함께 조립된 캐뉼러(130)), 팁 구조(140), 및 캡(150)은 별개로 패키징된다.
도 2a 내지 도 2f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를 예시한다. 도 2a는 본체(11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b는 본체(110)의 제1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2b는 본체(110)의 제1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2c는 본체(110)의 제2 측면도(예를 들어, 도 2b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됨)를 예시한다. 도 2d는 본체(110)의 제1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e는 본체(110)의 제2 단면도(예를 들어, 도 2d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됨)를 예시한다. 도 2f는 본체(110)의 비원형 부분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본체 팁(112)과 환형 리지(114)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110)에는 그리스 또는 이형제가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50)은 본체 팁(112) 위에(예를 들어, 본체 팁(112)의 약 5 mm 위에) 가볍게 압입 끼워맞춤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돌출부(예를 들어, 약 0.15 mm 범프)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본체(110)는 원형 프로파일(116)을 갖는 제1 부분 및 비원형(예를 들어, 난형) 프로파일(118)을 갖는 제2 부분을 갖는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 구조(122)는 90도 회전되어 비원형 프로파일(118)과 정렬되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 밖으로 푸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구동 구조(120)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플런저 구조(122)를 포함하는 구동 구조(120)를 예시한다. 도 3a는 구동 구조(12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구동 구조(120)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구동 구조(120)의 제1 단면도이다. 도 3d는 구동 구조(120)의 제2 단면도이다.
플런저 구조(122)에는 그리스 또는 이형제가 없을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플런저 구조(122)의 슬롯에 접착(예를 들어, 글루 접착), 인서트 몰딩 등이 될 수 있다. 클립(126)에 근접한 플런저 구조(122)의 부분은 본체(110)의 공동의 일부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비원형 주연부를 가질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구동시키기 위해, 플런저 구조(122)는 비원형 주연부를 갖는 플런저 구조(122)의 부분이 본체(110)의 공동의 일부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정렬되도록 회전되어야 한다.
푸시 와이어(124)의 양쪽 원위 단부는 절단되고, 라운딩되며, 디버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패시베이션 작업을 받을 수 있다. 푸시 와이어(124)는 연마 블래스트(예를 들어, 전체 외부 길이)일 수 있다.
도 3e는 본체(110)와 인터페이싱하는 플런저 구조(122)의 클립(126)을 예시한다. 플런저 표면(122)의 클립(126)과 본체(110) 사이의 마찰 인터페이스는 플런저 구조(122)가 물리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양쪽 클립(126)의 0.2-0.5 편향이 마찰을 생성함).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측면(예를 들어,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된 전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엄지 전개 메커니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롤러(예를 들어, 측면 롤링 노브), 굴곡 프레스 액추에이터, 슬라이더, 리빙 힌지 등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리빙 힌지는 리빙 힌지가 연결하는 2개의 강성 피스와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착되도록 동일한 배향으로 사출 몰딩된 플라스틱)로 제조된 얇은 가요성 힌지(예를 들어, 굴곡 베어링)일 수 있다).
도 3f 및 도 3g는 슬라이더 피처를 갖는 구동 구조(120)를 갖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엄지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를 파지하고 검지로 슬라이더 피처를 구동시킨다. 슬라이더 피처는 푸시 와이어(124)를 갖는 구동 구조(12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캐뉼러(130)를 예시한다. 도 4a는 캐뉼러(13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b는 본체(110)에 결합된(예를 들어, 인서트 용접, 사출 몰딩, 접착, 글루 접착, 인서트 몰딩된) 캐뉼러(13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4c는 본체(110)에 결합된(예를 들어, 인서트 용접, 사출 몰딩, 접착, 글루 접착, 인서트 몰딩된) 캐뉼러(13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캐뉼러(130)는 본체(110)의 모따기부와 동일 높이에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20 게이지의 얇은 벽 캐뉼러(130)이다. 캐뉼러(10)의 양쪽 원위 단부는 절단되고 디버링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내경 및 외경). 캐뉼러(130)는 연마 블래스트(예를 들어, 전체 외부 길이)일 수 있다. 캐뉼러(130)는 패시베이션 작업을 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플라스틱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금속이다.
도 4d 내지 도 4i는 베벨을 갖는 캐뉼러(130)를 예시한다. 도 4d 내지 도 4f는 둥근 베벨을 갖는 캐뉼러(130)(예를 들어, 둥근 경사진 캐뉼러)를 예시한다. 도 4g 내지 도 4i는 평탄한 베벨을 갖는 캐뉼러(130)(예를 들어, 평탄한 경사진 캐뉼러)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팁 구조(140)를 갖는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캐뉼러(130)가 누점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칼라(132)를 갖는다.
도 5a 내지 도 5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팁 구조(140)(예를 들어, 확장 팁, 가요성 팁, 폴리머 팁 등)를 예시한다. 도 5a는 팁 구조(140)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팁 구조(140)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팁 구조(140)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전개하기 전에 팁 구조(140)의 측면도이다. 도 5e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이 전개된 팁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f 내지 도 5h는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를 예시한다. 도 5i는 팁 구조(140)의 단면도이다.
팁 구조(140)는 누점을 확장하고, 누점을 확장한 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개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확장 및 전개는 누점으로부터 팁 구조(140)를 제거하지 않고 수행됨).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누점을 확장하고 소관 내의 위치(예를 들어, 반복 가능한 위치)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경사진 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누점은 직경이 0.2 내지 0.5 mm이다(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보다 더 작을 수 있음). 소관의 수직 단면의 길이는 약 1.7 내지 2 mm일 수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길이가 약 2 mm일 수 있다(예를 들어, 소관의 수직 단면보다 길 수 있음).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되고 팽윤되어 사용되는 동안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는 수직 세그먼트로 후퇴 및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예를 들어, 경사진 단부의 원위 단부)의 직경은 약 0.1 내지 0.4 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예를 들어, 경사진 단부의 원위 단부)의 직경은 약 0.2 내지 0.3 mm일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재료는 누점을 확장시킬 정도로 충분히 강하고(예를 들어, 강성),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에 있는 개구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요성(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질)일 수 있다(예를 들어, 누점을 통해 소관에 진입하기 위해).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반경방향 가요성(예를 들어, 외향 굴곡되고, 팁이 팽창됨)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경사진 단부(예를 들어, 대각선 절단, 절단 경사 등)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를 통과하는 채널은 원형이고 경사진 단부에서의 개구는 난형 형상이다. 경사진 단부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평탄한 단부보다 깊지 않게 더 빨리 소관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경사진 단부는 평탄한 단부보다 더 작은 지점에 도달할 수 있으며 더 작은 지점은 누점을 확장시키기 위해 누점에 힘을 집중시키게 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의료 등급 실리콘 고무, 클래스 VI 재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블록 공중합체, 실리콘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50 내지 약 12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50 내지 약 11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50 내지 약 7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85 내지 약 11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90 내지 약 95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약 95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는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약 0.45 내지 0.54 mm 직경 및/또는 약 2.92 내지 3.08 mm 길이의 원통형 안과 인서트)을 하소관(예를 들어, 누관) 또는 상소관(예를 들어, 누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누관은 0.4 m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가 완전히 삽입되면 0.7 내지 0.9 mm로 팽창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누관의 개구를 찾아 삽입에 의해 확장시킬 정도로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입(예를 들어, 개구)을 통해 전개될 때 누관에 남아 있을 수 있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는 제1 임계값 직경(예를 들어, 0.54 mm)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관통하게 하도록 가요성일 수 있고, 또한 제2 임계값 직경(예를 들어, 0.45 mm)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낙하로부터 유지할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도 있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전개 후 누관의 개구 아래 0.2 내지 0.8 mm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실리콘 팁을 갖는다. 전체 팁이 소관에 안착된 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탄성 실리콘 개구를 통해 활주 푸시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소관을 확장시키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최종 위치에 접근한다.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직경은 약 0.3-0.5 mm일 수 있다. 팁 구조(140)의 팁의 최대 직경은 약 0.7-0.9 mm일 수 있다. 최대 배치 깊이는 약 1-5 mm일 수 있다. 팁 구조(140)의 듀로미터는 누점을 찾고 팁 구조의 팁을 고정하기 위해 견고할 수 있다. 팁 구조(140)의 듀로미터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전개하기 위해 가요성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는 평탄한 팁(도 5f 참조), 경사진 팁(도 5g 참조), 및/또는 슬릿 팁(도 5h 참조)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경사진 캐뉼러(130)를 갖는다. 캐뉼러(130)는 누점을 찾고 누점을 확장하여 캐뉼러(13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도록 라운딩될 수 있다. 캐뉼러(130)의 베벨이 더 이상 노출되지 않으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전개될 수 있다. 금속 칼라는 누점 내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에서 캐뉼러(130)의 폭은 약 0.1 내지 0.15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의 외경은 약 0.5 mm 내지 1.5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최대 삽입 깊이는 약 5 내지 6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의 평탄한 팁은 무딘 표면을 생성하여 잠재적인 조직 손상을 감소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누점 개구에 더 가깝게(예를 들어, 0.5 내지 0.75 mm 깊이) 퇴적되도록 하는 2각 베벨 설계를 갖는다.
도 5i를 참조하면, 팁 구조(140)는 원위 단부(510A 및 510B), 외부 표면(520), 및 내부 표면(5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표면(520)은 원위 단부(510A)로부터 원위 단부(510B)까지 경사질 수 있다(예를 들어, 곡선형, 테이퍼형 등)(예를 들어, 이는 사용자가 사용 동안 누점을 볼 수 있게 함). 내부 표면(530)은 내부 체적(540), 리세스(542), 및 채널(544)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표면(530)은 원위 단부(510A)에 더 가까운 더 큰 직경으로부터 원위 단부(510B)에 더 가까운 더 작은 직경으로 가기 위해 경사형, 곡선형, 테이퍼형, 깔때기형 등 중 하나 이상인 영역(532A-B)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의 제1 원위 단부는 본체(110)에 결합되고 캐뉼러(130)의 제2 원위 단부는 팁 구조(140)의 채널(544)의 내부 표면(53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영역(532A)은 캐뉼러(130)의 제2 원위 단부를 채널(544) 내로 안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의 제2 원위 단부는 영역(532B)의 일부에 맞접한다. 영역(532B)은 캐뉼러(130)로부터 경사진 에지(512)의 개구(546)(예를 들어, 난형 개구)까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안내할 수 있다. 내부 표면(5530)의 일부는 본체(110)의 일부 위에 배치된다(예를 들어,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본체(110)에 고정됨).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의 리세스(542)는 본체(110)의 돌출부(예를 들어, 환형 링)와 인터페이싱(예를 들어, 스냅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510A)를 포함한다. 팁 구조(140)는 캐뉼러(130)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예를 들어, 채널(544))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530)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캐뉼러(130)의 다른 원위 단부는 본체(110)에 결합됨). 팁 구조(140)의 내부 표면(530)과 캐뉼러(130)는 캐뉼러(13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정합(예를 들어, 마찰 끼워맞춤)될 수 있다. 팁 구조(140)는 누점을 확장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캐뉼러(130)로부터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전개하기 위해 누점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경사진 에지(512)(예를 들어, 경사진 팁)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51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캡(150)을 예시한다. 도 6a는 캡(150)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캡(150)의 저면도이다. 도 6c는 캡(150)의 제1 측면도이다. 도 6d는 캡(150)의 제1 단면도이다. 도 6e는 캡(150)의 제2 측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6c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됨). 도 6f는 캡(150)의 제2 단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6d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됨).
캡(150)은 하나 이상(예를 들어, 2개)의 개구(152)(예를 들어,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캡(150)은 본체(110)에 가볍게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다. 캡(150)에는 그리스 또는 이형제가 없을 수 있다. 캡(150)은 본체(110)와의 압입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내부 표면(예를 들어, 도 6b, 도 6d 및 도 6f 참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154)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50)은 본체와의 압입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내부 표면에서 각각 90도 떨어져 있는 4개의 돌출부(154)를 포함한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700)을 예시한다. 특정 시퀀스나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작동 순서는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만 이해하여야 하며, 예시된 작동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일부 작동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작동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에서 모든 작동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702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에 의해 형성된 채널(예를 들어, 루멘)에 로딩된다. 채널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에 의해 형성된 공동과 정렬된다.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구동 구조는 부분적으로 본체의 공동에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캐뉼러의 채널에 배치된다.
블록 704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팁, 경사진 에지 등)가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되어 누점을 확장시킨다.
블록 706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회전되어 누점을 더 확장시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수용한다.
블록 708에서, 구동 구조는 회전되어 구동 구조의 비원형 주연부(예를 들어, 플런저 구조의 난형 주연부 부분)를 본체 공동의 비원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본체의 공동의 난형 부분)과 정렬시킨다.
블록 710에서, 구동 구조는 (예를 들어, 구동 구조의 원위 단부를 가압하여) 구동되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주사(예를 들어, 전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작동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방법(700)은 블록 704의 삽입 및 블록 710의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는 사전 로딩됨).
도 8a 내지 도 12g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를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12g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는 도 1a 내지 도 7에 설명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의 특징은 유사한 참조 번호를 갖는 다른 도면에서의 다른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예시한다. 도 8a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8b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에 삽입되는 구동 구조(12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c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에 삽입되는 구동 구조(120)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8d는 조립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e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8f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g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도 8f)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8h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전개하는 본체(11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8g의 상세도). 도 8i는 로딩된 위치에 있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포함하는 본체(11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8g의 상세도).
본체(110)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예를 들어, 리지)를 가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를 예시한다. 도 9a는 캐뉼러(130)에 결합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9b는 캐뉼러(130)에 결합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9c는 캐뉼러(130)에 결합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9d는 캐뉼러(130)에 결합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b의 단면 A-A). 도 9e는 캐뉼러(130)에 결합된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c의 단면 B-B). 도 9f는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d의 상세 C). 도 9g는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e의 상세 D). 도 9h는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e의 상세 E). 도 9i는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본체(11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9b의 단면 F-F).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의 외부 표면은 캐뉼러(130)와 본체(110)가 캐뉼러(130)가 더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 경우보다 서로 더 잘 고정되도록 조면화된다(예를 들어, 샌드블래스팅을 통해).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30)는 본체(110)에 접착(예를 들어, 글루 접착), 인서트 몰딩(예를 들어, 사출 몰딩) 등이 된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구동 구조(120)를 예시한다. 도 10a는 구동 구조(12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0b는 구동 구조(120)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0c는 구동 구조(12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10b의 섹션 A-A). 도 10d는 구동 구조(120)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0e는 구동 구조(120)의 푸시 와이어(124)를 예시한다. 도 10f는 구동 구조(12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10c의 상세 B). 도 10g는 구동 구조(12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도 10d의 단면 E-E).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배치됨) 푸시 와이어(124)의 원위 단부는 굽힘되어 있다(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치되지 않음). 푸시 와이어(124)의 굽힘된 원위 단부는 플런저 구조(122)에 인서트 몰딩(예를 들어, 사출 몰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푸시 와이어(124)의 원위 단부가 굽힘되지 않은 경우보다 서로 더 잘 고정되도록). 몇몇 실시예에서, 푸시 와이어(124)는 푸시 와이어(124)와 플런저 구조(122)가 푸시 와이어(124)가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 경우보다 서로 더 잘 고정되도록 조면화(예를 들어, 샌드블래스팅)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팁 구조(140)를 예시한다. 도 11a는 팁 구조(140)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팁 구조(140)의 평면도이다. 도 11c는 팁 구조(140)의 단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1b의 단면 A-A). 도 11d는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평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1b의 상세 B). 도 11e는 팁 구조(140)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1c의 상세 C).
몇몇 실시예에서, 팁 구조(14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이 팁 구조(140)로부터 소관으로 나아갈 때 (예를 들어, 더 많은 사용자 피드백과 제어를 제공하도록) 사용자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시각화하게 하기 위해 반투명한(예를 들어, 투명한, 선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캡(150)을 예시한다. 도 12a는 캡(150)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캡(150)의 측면도이다. 도 12c는 캡(150)의 평면도이다. 도 12d는 캡(150)의 단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2b의 단면 A-A). 도 12e는 캡(150)의 평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2c의 상세 B). 도 12f는 캡(150)의 배면도이다. 도 12g는 캡(150)의 배면도이다(예를 들어, 도 12f의 상세 C).
몇몇 실시예에서, 캡(150)의 외부 표면은 돌출부(예를 들어, 캡(150)의 면을 따른 일련의 작은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본체(110)로부터 캡(150)을 제거할 때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그립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확장 및 주사(예를 들어, 삽입)를 수행할 때 손가락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그립을 제공하는 돌출부(예를 들어, 본체(110)의 길이를 따른 일련의 작은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50)(예를 들어, 캡 확장기, 보호 캡)은 원위 방향을 향하는 누점 개구를 확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테이퍼형 확장기를 갖는다. 캡(150)은 주사 시술(예를 들어, 삽입 시술) 전에 누점 개구 및 소관을 넓히기 위해 주사(예를 들어, 삽입) 시술 전에 의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캡(150)이 본체(110)에 부착(예를 들어, 제거 가능하게 결합,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확장을 달성하기 위해 확장기를 조작하도록 인체공학적 본체(110)를 이용할 수 있다.
캡(150)의 확장기 팁의 작은 세그먼트(예를 들어, 원위 단부의)는 팁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찾아 초기에 진입하기에 충분히 작을 수 있도록(예를 들어, 충분히 작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다. 테이퍼형 세그먼트 후방에는 캡(150)의 확장기가 더 깊게 진행되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이 있는 소관의 전체 길이를 확장(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의 길이와 동일하게 소관의 전체 길이를 확장)할 수 있게 하는 균일한 직경의 직선 세그먼트(예를 들어, 직경은 더 큰 직경으로 계속 테이퍼지기 전에 섹션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됨)가 있다. 캡(150)의 팁은 제2 팁 구조로 지칭될 수 있고, 캡(150)의 직선 세그먼트는 캡(150)의 제2 팁 구조에 인접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의 세그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종래의 확장기는 단일 테이퍼를 갖고 누점만을 확장시킨다. 캡(150)은 누점과 소관을 모두 확장시킨다. 수직 소관의 더 긴 세그먼트를 확장하면 사용자가 소관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진행시키는 것이 더 쉬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임계값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누점의 경우, 캡(150)의 팁은 누점과 소관을 부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제1 확장 시술에 사용되며, 이어서 팁 구조(140)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소관에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하기 위해 누점 및/또는 소관의 확장을 완료하기 위한 제2 확장 시술에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임계값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누점의 경우, 팁 구조(140)는 누점 및/또는 소관을 확장하여 (예를 들어, 누점 및/또는 소관을 확장하기 위해 캡(150)을 사용하지 않고)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을 소관으로 주사(예를 들어, 전개, 삽입)하는 확장 시술에 사용된다.
도 12h 내지 도 12i는 특정 실시예에 따른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예시한다. 도 12h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12i는 인클로저(1210)에 배치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키트(1200)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키트(1200)는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인클로저(1210)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로킹 위치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에 로딩되고 캡(150)이 키트(1200)의 본체(110) 상에 배치되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키트(1200)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100)와 별개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1210)는 포일 파우치일 수 있다. 키트(1200)의 구성요소는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 인서트, 데포 등)은 치료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 가능 물질(예를 들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160), 인서트 등)은 환자의 질환 또는 상태의 예방, 치료 또는 치유를 위해 의사에 의해 투여되는 주사 가능한 약제 또는 주사 가능한 생물학적 제제이다. 치료제는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또는 라타노프로스트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 길항제; 덱사메타손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사이클로스포린 유도체 또는 트라보데노손과 같은 아데닌 모방체일 수 있다.
치료제는 또한, 예를 들어 염증성 또는 비정상적인 혈관 상태, 망막 정맥 폐색, 지도형 위축, 색소성 망막염, 망막모세포종 등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작용제를 포함한다. 암의 경우, 작용제는, 예를 들어 항암 약물, 항-VEGF, 또는 암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일 수 있다.
치료제는, 예를 들어 항-VEGF, 블록 VEGFR1, 블록 VEGFR2, 블록 VEGFR3, 항-PDGF, 항혈관신생, 수니티닙, E7080, Takeda-6d, 티보자닙, 레고라페닙, 소라페닙, 파조파닙, 악시티닙, 닌테다닙, 세디라닙, 바탈라닙, 모테사닙, 마크로라이드, 시롤리무스, 에베롤리무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이마티닙, 게피니팁(IRESSA), 토세라닙(PALLADIA), 에를로티닙(TARCEVA), 라파티닙(TYKERB) 닐로티닙, 보수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바탈라닙, 다사티닙, 에를로티닙, 게피티닙, 이마티닙, 라파티닙, 레스타우르티닙, 닐로티닙, 세막사닙, 토세라닙, 또는 반데타닙인 것일 수 있다.
치료제는 거대분자, 예를 들어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거대분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Lucentis™의 활성 성분인 라니비주맙과 같은 VEGF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억제제는 눈의 유리체액으로 방출될 때 비정상 혈관의 회귀와 시력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 VEGF 억제제의 예는 Lucentis™(라니비주맙), Eylea™(VEGF Trap), Avastin™(베바시주맙), Macugen™(페갑타닙)을 포함한다.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PDGF) 억제제, 예를 들어 항-PGDF 압타머인 Fovista™도 전달될 수 있다.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그의 유사체와 같은 소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트리암시놀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아세테이트, 플루오시놀론, 플루오시놀론 아세테이트,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또는 그 유사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치료제의 소분자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항-VEGF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VEGF 치료제 및 작용제는 특정 암 및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절한 항-VEGF 치료제의 예는 베바시주맙(Avastin™)과 같은 단일 클론 항체 또는 라니비주맙(Lucentis™)과 같은 항체 유도체, 또는 라파티닙(Tykerb™), 수니티닙(Sutent™), 소라페닙(Nexavar™), 악시티닙, 또는 파조파닙과 같은 VEGF에 의해 자극되는 티로신 키나제를 억제하는 소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치료제는 Sirolimus™(라파마이신), Copaxone™(글라티라머 세테이트), Othera™ Complement C5aR 차단제, 섬모 신경영양 인자, 펜레티나이드, 또는 레오페레시스 중 하나 이상과 같은 건성 AMD의 치료에 적절한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REDD14NP(쿼크), Sirolimus™(라파마이신), ATG003; EYELEA(VEGF Trap) 또는 보완 억제제(POT-4)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습성 AMD의 치료에 적절한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BIBW 2992(EGFR/Erb2를 표적으로 하는 소분자), 이마티닙(소분자), 게피티닙(소분자), 라니비주맙(단일 클론 항체), 페갑타닙(소분자), 소라페닙(소분자), 다사티닙(소분자), 수니티닙(소분자), 에를로티닙(소분자), 닐로티닙(소분자), 라파티닙(소분자), 파니투무맙(단일 클론 항체), 반데타닙(소분자) 또는 E7080(VEGFR2, VEGFR3, 및/또는 FGFR1(Esai, Co.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소분자)를 표적으로 함)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키나제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항체 약물, 예를 들어 베바시주맙, 트라스투주맙, 세툭시맙, 및 파니투무맙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다양한 종류의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은,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NSAIDS), 항암제, 항생제, 항염증제(예를 들어, 디클로페낙), 진통제(예를 들어, 부피바카인), 칼슘 채널 차단제(예를 들어, 니페디핀), 항생제(예를 들어, 시프로플록사신), 세포 주기 억제제(예를 들어, 심바스타틴), 단백질(예를 들어, 인슐린)을 포함한다. 치료제는,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NSAIDS, 항산화제, 항생제, 진통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억제제, 화학요법제, 항바이러스 약물을 비롯한 약물 종류를 포함한다. NSAIDS의 예는 이부프로펜, 메클로페나메이트 나트륨, 메파남산, 살살레이트, 술린닥, 톨메틴 나트륨, 케토프로펜, 디플루니살, 피록시캄, 나프록센, 에토돌락, 플루비프로펜, 페노프로펜 칼슘, 인도메타신, 셀록시브, 케토롤락, 및 네파페낙이다. 약물 자체는 소분자, 단백질, RNA 단편, 단백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탄수화물, 핵산, 무기 및 유기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생물학적 활성 작용제에는 효소, 항생제, 항종양제, 국소 마취제, 호르몬, 혈관신생제, 항혈관신생제, 성장 인자, 항체, 신경전달물질, 향정신성 약물, 항암제, 화학요법 약물, 생식 기관, 유전자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또는 기타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치료제는 단백질 또는 기타 수용성 생물학적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분자량의 펩티드가 포함된다. 펩티드는 치료 단백질 및 펩티드, 항체, 항체 단편, 단쇄 가변 단편(scFv), 성장 인자, 혈관신생 인자, 및 인슐린을 포함한다. 기타 수용성 생물학적 제제로는 탄수화물, 다당류, 핵산, 안티센스 핵산, RNA, DNA, 소형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siRNA), 및 압타머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은 AMD, 녹내장, 안구 건조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백내장 수술 후 통증 및 염증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안구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치료제는 표시된 상태를 치료하거나 표시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ZOPT(브린졸아미드 안과 현탁액)는 안출압증 또는 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안내압 상승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포비돈-요오드 안과 용액에 포함된 BETADINE는 안구 주위 영역의 준비 및 안구 표면 관주에 사용될 수 있다. BETOPTIC(베탁솔롤 HCl)는 안내압을 낮추거나 만성 개방각 녹내장 및/또는 안출압증에 사용될 수 있다. CILOXAN(시프로플록사신 HCl 안과 용액)은 미생물의 감수성 변형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ATACYN(나타마이신 안과 현탁액)은 진균성 안검염, 결막염, 및 각막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NEVANAC(네판페낙 안과 현탁액)는 백내장 수술과 관련된 통증 및 염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TRAVATAN(트라보프로스트 안과 용액)은 안내압 상승 개방각 녹내장 또는 안출압증의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ML FORTE(플루오로메톨론 안과 현탁액)는 눈꺼풀 및 안구 결막, 각막 및 안구 전안부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LUMIGAN(비마토프로스트 안과 용액)은 안내압 상승 개방각 녹내장 또는 안출압증의 감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ED FORTE(브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는 눈꺼풀 및 안구 결막, 각막 및 안구 전안부의 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PROPINE(디피베프린 염산염)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에서 안내압의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RESTASIS(사이클로스포린 안과 유제)는 환자, 예를 들어, 건성각결막염과 관련된 안구 염증이 있는 환자의 눈물 생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ALREX(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안과 현탁액)는 계절성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일시적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OTEMAX(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안과 현탁액)는 눈꺼풀 및 안구 결막, 각막 및 안구 전안부의 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MACUGEN(페갑타닙 나트륨 주사)은 신생혈관(습성)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OPTIVAR(아젤라스틴 염산염)은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관련된 눈 가려움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XALATAN(라타노프로스트 안과 용액)은, 예를 들어 개방각 녹내장 또는 안출압증 환자의 안내압 상승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BETIMOL(티몰롤 안과 용액)은 안출압증 또는 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안내압 상승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라타노프로스트는 프로스타노이드 선택적 FP 수용체 작용제인 유리산 형태의 전구 약물이다. 라타노프로스트는 부작용이 거의 없이 녹내장 환자의 안내압을 감소시킨다. 라타노프로스트는 수용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용해도를 갖지만, 용매 증발을 사용하여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데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유기 용매에는 쉽게 용해된다.
전달을 위한 치료제의 추가 실시예는 표적 펩티드와 그 천연 수용체 또는 다른 리간드의 상호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생체내에서 표적 펩티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VASTIN은 VEGF와 결합하는 항체이다. IL-1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을 사용하는 IL-1 트랩도 알려져 있고; 트랩은 IL-1이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고 활성화하는 것을 차단한다. 전달용 작용제의 실시예에는 핵산, 예를 들어 압타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페갑타닙(MACUGEN)는 페길화된 항-VEGF 압타머이다. 입자 및 히드로겔 전달 프로세스의 이점은 압타머가 방출될 때까지 생체내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이다. 전달용 작용제의 추가 실시예는 거대분자 약물, 즉, 고전적인 소분자 약물, 즉, 올리고뉴클레오티드(압타머, 안티센스, RNAi), 리보자임, 유전자 치료 핵산, 재조합 펩티드, 및 항체와 같은 약물보다 훨씬 더 큰 약물을 지칭하는 용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한 약제의 연장 방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항히스타민제 및 비만 세포 안정제인 케토티펜은 입자로 제공되어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눈에 방출될 수 있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결막염(SAC) 및 다년생 알레르기성 결막염(PAC)은 알레르기성 결막 이상이다. 증상으로는 가려움증과 붉은 색에 가까운 핑크색 눈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눈 상태는 비만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일반적으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비특이적 조치는 냉찜질, 눈물 대체제를 사용한 눈세정, 및 알레르기 유발 물질 회피를 포함한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 비만 세포 안정제, 이중 메커니즘 항알레르기제, 또는 국소 항히스타민제로 구성된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봄철 각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VKC) 및 아토피성 각결막염(atopic keratoconjunctivitis)(AKC)과 같은 보다 심각한 형태의 알레르기성 결막염에만 사용된다.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은 안과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하도록 승인된 플루오로퀴놀론인 VIGAMOX의 활성 성분이다. VKC 및 AKC는 호산구(eosinophil), 결막 섬유모세포, 상피 세포, 비만 세포, 및/또는 TH2 림프구가 결막의 생화학 및 조직학을 악화시키는 만성 알레르기성 질환이다. VKC와 AKC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침투제는 작용제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겔, 히드로겔, 유기겔, 크세로겔, 및 생체재료에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약물이 의도된 조직에 침투하는 것을 돕는 작용제이다. 침투제는 조직에 대해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용 침투제, 고막용 침투제, 안구용 침투제가 있다.
작용제는, 예를 들어 후안부 질환의 치료일 수 있고, 여기서 후안부 질환은 연령 관련 황반 변성(AMD) 낭포황반부종(CME),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후포도막염, 및 당뇨병성 망막병증, 또는 녹내장이다.
작용제는, 예를 들어 항-VEGF, 블록 VEGFR1, 블록 VEGFR2, 블록 VEGFR3, 항-PDGF, 항-PDGF-R 블록 PDGFRβ, 항혈관신생제, 수니티닙, E7080, Takeda-6d, 티보자닙, 레고라페닙, 소라페닙, 파조파닙, 악시티닙, 닌테다닙, 세디라닙, 바탈라닙, 모테사닙, 마크로라이드, 시롤리무스, 에베롤리무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이마티닙 게피니팁, 토세라닙, 에를로티닙, 라파티닙, 닐로티닙, 보수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바탈라닙을 포함하는 작용제일 수 있거나, 녹내장, 네파페낙, 마크로라이드, 라파마이신, 시롤리무스, 타크로리무스에 대한 낮은 가용성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AMD에 대한 mTOR 수용체(문맥막 혈관신생(choroidal neovascularization)(CNV)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mTOR은 포유동물의 라파마이신 표적을 지칭한다. 작용제는, 예를 들어 목시플록사신, 덱사메타손, 트라보프로스트, 스테로이드, 플루오로퀴놀론,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프로스타미드일 수 있다.
안구 질환은 전안부 데포로 치료하기 위한 상태인 전방 출혈, 안출압증, 및 녹내장과 같은 안구 병리를 포함한다. 많은 작용제, 예를 들어, NSAID, 스테로이드, 항녹내장 약물,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산동제, 및 전방내 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항진균제가 안구 전달에 적합하다.
질환 상태 중 일부는 후안부 질환이다. 후안부 질환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분야의 장인에 의해 인식되며 일반적으로 망막, 황반 또는 문맥막의 혈관계 및 무결성에 영향을 미쳐 시력 장애, 시력 손실, 또는 시력 상실을 초래하는 후안부의 임의의 안구 질환을 지칭한다. 후안부의 질환 상태는 연령, 외상, 외과적 개입, 및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다. 일부 후안부 질환은 다음과 같다: 연령 관련 황반 변성(AMD) 낭포황반부종(CME),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후포도막염, 및 당뇨병성 망막병증. 일부 후안부 질환은 황반 변성 또는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같은 원치 않는 혈관신생 또는 혈관 증식으로부터 초래된다. 이러한 질환과 기타 안구 상태에 대한 약물 치료 옵션은 임플란트로부터 약물을 전달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앞선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양호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시스템, 구성요소, 방법 등의 예와 같은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을 기재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는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잘 알려진 구성요소 또는 방법은 본 개시내용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거나 간단한 블록도 형식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기재된 특정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특정 구현예는 이들 예시적인 세부 사항으로부터 다양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또는 "몇몇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또는 "몇몇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 아닌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제시된 공칭 값이 ±10% 이내의 정확성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방법의 작동이 특정 순서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각각의 방법의 작동 순서는, 특정 작동이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특정 작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작동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별개의 작동의 지시 또는 하위 작동은 간헐적 및/또는 교대 방식으로 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된다. 상기 설명을 읽고 이해하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많은 다른 실시예가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그러한 청구범위가 권리가 주어진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7)

  1.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이며,
    공동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된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본체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을 형성하고, 캐뉼러는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캐뉼러;
    본체에 결합되는 팁 구조로서, 팁 구조는 캐뉼러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되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함으로써 누점을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팁 구조;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구조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약 50 내지 약 12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의 개구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팁 구조의 원위 단부의 부분은 경사진 팁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소관으로 주사하기 전에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 구조는:
    본체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구조로서, 플런저 구조의 제1 원위 단부는 구동 구조의 구동을 유발하는 힘을 받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구조; 및
    푸시 와이어로서, 푸시 와이어의 제1 원위 단부는 플런저 구조의 제2 원위 단부에 부착되며, 푸시 와이어의 제2 원위 단부는 구동 구조의 구동 전에 캐뉼러의 채널에 배치되고, 푸시 와이어는 구동 구조의 구동에 응답하여 채널을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푸시 와이어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플런저 구조는, 본체의 외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대응 리세스에 삽입되어 플런저 구조와 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캐뉼러 내에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후크형 클립을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본체의 공동에 배치된 플런저 구조의 일부는 비원형 주연부를 갖고;
    본체의 공동의 일부는 비원형 주연부에 대응하는 비원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구동 구조는 구동 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해 본체의 공동 부분의 비원형 프로파일과 플런저 구조 부분의 비원형 주연부를 정렬하도록 회전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캐뉼러는 접착 또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본체에 고정되고, 플런저 구조의 제2 원위 단부는 슬롯을 형성하며, 푸시 와이어는 슬롯에 접착되거나 인서트 몰딩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본체의 공동과 플런저 구조의 외부 프로파일은 푸시 와이어를 캐뉼러로 지향시키도록 테이퍼져 있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하고, 캡은 제2 팁 구조 및 제2 팁 구조에 인접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제2 팁 구조 및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 세그먼트는 제2 팁 구조 및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함으로써 누점 및 소관의 적어도 일부의 사전 확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캐뉼러의 채널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고, 보호하며, 그 정렬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11.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이며, 팁 구조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1 원위 단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의 제1 캐뉼러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으로서, 캐뉼러의 제2 캐뉼러 원위 단부는 본체에 결합되는, 내부 표면; 및
    누점을 확장시키고 캐뉼러로부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주사하기 위해 누점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경사진 팁을 포함하는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팁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팁 구조는 약 50 내지 약 12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고, 팁 구조의 제2 원위 단부의 개구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팁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팁 구조의 제2 원위 단부는 약 1 내지 5 mm의 길이를 갖고, 제2 원위 단부의 직경은 약 0.1 내지 0.4 mm인, 팁 구조.
  14. 시스템이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된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본체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캐뉼러;
    본체에 결합되는 팁 구조로서, 팁 구조는 캐뉼러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되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함으로써 누점을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팁 구조; 및
    구동 구조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의 채널에 로딩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포함하고, 구동 구조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키트이며,
    복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성요소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제1 원위 단부에 결합된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본체의 공동과 정렬되는 채널을 형성하고, 캐뉼러는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캐뉼러;
    본체에 결합되는 팁 구조로서, 팁 구조는 캐뉼러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배치되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는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함으로써 누점을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팁 구조;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구조를 포함하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포함하는,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포일 파우치이고, 복수의 구성요소는 건조제를 더 포함하는, 키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키트 내의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에 로딩되는, 키트.
  18.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이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에 의해 형성된 채널에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로딩하는 단계로서, 채널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에 의해 형성된 공동과 정렬되는, 단계;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하여 누점을 확장시키는 단계;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구동 구조를 구동시켜,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구동 구조의 구동 전에 구동 구조의 비원형 주연부를 본체의 공동의 대응하는 비원형 프로파일과 정렬하도록 구동 구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팁 구조는 약 50 내지 약 12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의 개구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방법.
  21.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이며,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누점을 통해 소관에 삽입하여 누점을 확장시키는 단계로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캐뉼러에 의해 형성된 채널에 로딩되고, 채널은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본체에 의해 형성된 공동과 정렬되는, 단계; 및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 어플리케이터 디바이스의 구동 구조를 구동시켜, 팁 구조의 원위 단부가 누점을 통해 소관으로 삽입되는 동안 채널 및 팁 구조의 원위 단부를 통해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을 누점을 거쳐 소관으로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구동 구조의 구동 전에 구동 구조의 비원형 주연부를 본체의 공동의 대응하는 비원형 프로파일과 정렬하도록 구동 구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팁 구조는 약 50 내지 약 120의 쇼어 A 듀로미터를 갖고, 팁 구조의 원위 단부의 개구는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트라보프로스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트라보프로스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키트.
  26. 제18항에 있어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트라보프로스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소관내 주사 가능 물질은 트라보프로스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32663A 2021-02-24 2022-02-23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KR20230150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3316P 2021-02-24 2021-02-24
US63/153,316 2021-02-24
US202163250170P 2021-09-29 2021-09-29
US63/250,170 2021-09-29
PCT/US2022/017493 WO2022182740A1 (en) 2021-02-24 2022-02-23 Intracanalicular depot insert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840A true KR20230150840A (ko) 2023-10-31

Family

ID=8304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663A KR20230150840A (ko) 2021-02-24 2022-02-23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2054A1 (ko)
EP (1) EP4297707A1 (ko)
JP (1) JP2024508811A (ko)
KR (1) KR20230150840A (ko)
CA (1) CA3209420A1 (ko)
WO (1) WO20221827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292A (en) * 1995-10-26 1998-04-21 Eagle Vision Punctum dilating and plug inserting instrument with push-button plug release
GB0010871D0 (en) * 2000-05-06 2000-06-28 Duckworth & Kent Ltd Opthalmic injector
US20040068235A1 (en) * 2002-10-07 2004-04-08 Hallam Clive T. Packaging system for a medical device and particularly a punctum plug insertion device
WO2005102223A1 (de) * 2004-04-22 2005-11-03 Advanced Vision Science, Inc. Vorrichtung zum einsetzen verformbarer intraocularlinsen
CN102670352A (zh) * 2007-09-07 2012-09-19 Qlt股份有限公司 用于泪腺植入物的插入和抽出工具
US9849027B2 (en) * 2007-11-08 2017-12-26 Alimera Sciences, Inc. Ocular implantation device
WO2010093873A2 (en) * 2009-02-12 2010-08-19 Incept, Llc Drug delivery through hydrogel plugs
WO2011004821A1 (ja) * 2009-07-06 2011-01-13 株式会社カネカ 医療機器用挿入補助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医療機器
US9265655B2 (en) * 2013-06-05 2016-02-23 Enteroptyx Punctum plug insertion device and device packaging
US10935555B2 (en) * 2016-12-22 2021-03-02 Qiagen Sciences, Llc Determining candidate for induction of lab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09420A1 (en) 2022-09-01
EP4297707A1 (en) 2024-01-03
WO2022182740A1 (en) 2022-09-01
US20240082054A1 (en) 2024-03-14
JP2024508811A (ja)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628B1 (ko) 안구내 션트의 외부 배치
JP7003110B2 (ja) 生体吸収性眼球薬物送達デバイス
RU27104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ци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глазную ткань и способ инъекци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глазную ткань
EP1221917B1 (en) Drug delivery device
AU2014241163B2 (en) Ophthalmic implant for delivering therapeutic substances
JP2016127945A (ja) 1つまたは複数の薬剤の徐放性送達
JP2019509122A (ja) 眼科用送達装置および眼科用薬物組成物
WO2015085234A1 (en) Implantable therapeutic devices
US11564834B2 (en) Sterile lyophilized dru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or conditions
US20220296224A1 (en) Acute delivery of a drug or fluid to an ocular surface
KR20230150840A (ko) 소관내 데포 삽입 디바이스
CN117222382A (zh) 小管内储器插入器装置
US20240041647A1 (en) Implant injector device
US20230103975A1 (en) Injector for delivering im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