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771A -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 Google Patents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771A
KR20230150771A KR1020230135577A KR20230135577A KR20230150771A KR 20230150771 A KR20230150771 A KR 20230150771A KR 1020230135577 A KR1020230135577 A KR 1020230135577A KR 20230135577 A KR20230135577 A KR 20230135577A KR 20230150771 A KR20230150771 A KR 2023015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air
walking
rearfoo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진표
Original Assignee
홍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표 filed Critical 홍진표
Priority to KR102023013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771A/en
Publication of KR2023015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77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인솔에 에어 포켓(air pockets)을 탑재하여 상호간의 풍선 효과(balloon effect)를 이용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보행 또는 러닝 시 발생하는 착지(landing) 충격(strike)을 완화하고 도약(takeoff) 및 전진 보행 운동 에너지를 증강시키는 구조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에어 포켓을 통해 외측 중족부 착지의 충격완화와 직후 내측 전족부 충격흡수를 통해 관절 부상을 억제하고, 착지와 도약을 통한 에어 포켓의 풍선효과가 후족부 및 발 아치(foot arch)를 밀어 올리므로써 도약을 용이하게 하고 전진 보행 에너지를 증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후족부 및 아치의 압력을 통한 긴장(tension)은 착지 지점을 후족부가 아닌 외측 중족부 착지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과내전(overpronation) 및 과외전(oversupination) 되지 않게 올바른 보행(correct walking) 습관을 유도하도록 시스템화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ir pockets in the shoe insole to relieve the landing strike that occurs when walking or running through air flow using the mutual balloon effect and takeoff. ) and a structure and method for enhancing forward walking kinetic energy.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joint injuries by alleviating the shock of landing on the outer midfoot and absorbing shock on the inner forefoot immediately afterward through the air pocket, and the balloon effect of the air pocket through landing and jumping increases the effect on the rearfoot and foot arch. The purpose is to facilitate jumping and increase forward walking energy by pushing up the arch.
This tension through the pressure of the rearfoot and arch not only leads to landing on the outer midfoot rather than the rearfoot, but also prevents overpronation and oversupination by correct walking. Systemize to induce habits.

Description

에어 포켓 풍선 효과를 통해 전진 보행 에너지를 증강시키는 신발 인솔의 시스템{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본 발명은 워킹화 및 러닝화 등 신발 부품의 하나인 인솔(insole)의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재(cushioning)를 포함한 도약(takeoff) 등의 운동 역학적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ffectively controlling kinetic energy such as takeoff, including cushioning for cushioning the impact of an insole, which is one of the shoe components such as walking shoes and running shoes.

보다 세부적으로는 신발 인솔에 에어 포켓(air pockets)을 탑재하여 상호간의 풍선 효과(balloon effect)를 이용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보행 또는 러닝 시 발생하는 착지(landing) 충격(strike)을 완화하고 도약(takeoff) 및 전진 보행 운동 에너지를 증강시키는 구조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ir pockets are installed in the shoe insole to relieve the landing strike that occurs when walking or running through mutual airflow using the balloon effect and jumping ( It relates to a structure and method for enhancing takeoff) and forward walking kinetic energy.

인솔은 신발 내부 바닥에 깔면서 착화자의 발에 직접적으로 맞대어 있게 되는 착화감에 있어 중요한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인솔은 신체 활동 시 발의 피로를 감소하거나 부상을 예방하기위해 충격완화용 쿠션재(cushioning)를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등산화와 같이 격한 활동용으로 쿠션재 이외에도 안정성을 증강하기위한 아치 지지대(arch support)를 직접적으로 탑재하는 등 인솔 자체에 쿠셔닝과 안정성이란 복합적인 기능성을 2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접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The insol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erms of comfort as it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shoe and com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 In general, insoles are equipped with shock-absorbing cushioning to reduce foot fatigue or prevent injuries during physical activity.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to incorporate two or more complex functions of cushioning and stability into the insole itself, such as directly mounting arch support to enhance stability in addition to cushioning for strenuous activities such as mountaineering shoes. there is.

뿐만 아니라 쿠션재의 경우에도 가장 일반적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이외에도 파일론(phylon:고압축 EVA), 피유(polyurethane), 메모리 폼(memory foam), 오솔라이트 폼(ortholite foam), 에어 패드(air pad) 등 다양한 소재 발전으로 차별화되는 경향을 띤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cushioning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most common EVA (ethylene vinyl acetate), phylon (high compression EVA), polyurethane, memory foam, ortholite foam, air pad, etc. There is a tendency for differenti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상기와 같이 인솔의 쿠션재는 발바닥의 굴곡(curve)와 미드솔(midsole:중창) 상판의 서로 다른 형태 때문에 불가피하게 보완해야 하고 다양하게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다. 또한 개개인별로 발 형태가 다르고 신발 상품도 제각각이다. 따라서 인솔은 개개인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교체가능한(removable) 부품이어야 한다. 다만 인솔의 사용 기간에 따라 쿠션재가 납작하게 변질되는 등 쿠셔닝 기능 저하 및 내구성의 문제가 보다 새로운 쿠션재의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ushioning material of the insole must inevitably be supplemented due to the different shapes of the curve of the sole and the top of the midsole, and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various ways. Additionally, each person's foot shape is different, and shoe products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each individual to select and use the insole and it should be a removable part. However, problems with deterioration of cushioning function and durability, such as the cushioning material deteriorating into a flat shape depending on the period of use of the insole, are accelera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cushioning materials.

이 중에서 에어 패드 인솔은 공기를 완충제(buffer)로 활용한 쿠셔닝 방식으로 새롭고 진화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인솔은 에어 패드 부품을 별도 제작하여 구조상 대체로 후족부(rearfoot) 뒤꿈치(heel)의 충격을 완화하기위해 인솔에 삽입하는 형태이다. 다만 쿠셔닝 기능을 위한 에어 패드의 두께만큼 인솔 두께도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일반적으로 인솔의 두께가 전족부(forefoot) 5mm내외 후족부(rearfoot) 10mm내외임을 가정하면 에어 패드를 후족부 이외의 위치에 배치하기에 어려운 한계가 있다.Among these, the air pad insole can be said to be a new and evolved cushioning method that uses air as a buffer. This insole is made with a separate air pad component and is generally inserted into the insole to relieve the impact of the heel of the rearfoo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insole must be increased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air pad for the cushioning function, and assuming that the insole thickness is generally around 5mm at the forefoot and around 10mm at the rearfoot, the air pad must be placed in a location other than the rearfoot. There are limita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deploy.

본질적으로 인솔은 보행(walking) 또는 러닝(running) 시 발생하는 충격완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때 발의 충격(strike)은 발의 근육과 관절은 물론 다리의 근육과 관절, 척추와 뇌까지 피로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Essentially, insoles are used to cushion the shock that occurs while walking or running. At this time, it is a well-known fact that foot strike can cause fatigue and damage not only to the muscles and joints of the feet, but also to the muscles and joints of the legs, spine, and brain.

일부 견해에 따르면 보행 및 러닝 동작에서 착지(landing) 시 뒤꿈치 충격(heel strike)이 발생하고 전족부(forefoot) 엄지 발가락(big toe) 방향으로 도약(takeoff) 과정이 반복된다고 한다. 이 때 후족부 착지 시 충격이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뒤꿈치 충격을 완화하도록 쿠셔닝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According to some views, heel strike occurs during landing during walking and running movements, and the takeoff process is repeated toward the big toe of the forefoot. At this time, it is explained that cushioning is necessary to relieve heel shock because the shock when landing on the heel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joints.

그러나 운동 역학적으로 볼 때, 보행 또는 러닝 시 충격(strike)이 뒤꿈치에만 집중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도 2와 같이 중족부 착지(midfoot landing)가 다수 관찰되며 특히 빠른 보행(fast walking) 및 러닝(running) 동작에서는 중족부(midfoot)와 전족부(forefoot) 착지와 도약으로 순환 반복된다.However, from an exercise mechanics perspective, the strike when walking or running is not concentrated only on the heel. Rather, as shown in Figure 2, many midfoot landings are observed, and especially in fast walking and running movements, midfoot and forefoot landings and jumps are repeated in a cycle.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후족부에 쿠션재를 강화하는 것은 뒤꿈치 충격이 미치는 영향이 인체(특히 무릎 관절)에 매우 해롭기 때문에 최후의 완충제(buffer)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지, 처음부터 후족부로 착지를 유도할 의도로 후족부에 쿠션재를 강화하는 것은 아니라고 봐야 한다. 더욱이 최근 맨발(barefoot) 운동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후족부 착지(rearfoot landing) 보행 습관은 심각한 관절 부상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Nevertheless, in general, reinforcing the cushioning material on the rearfoot serves as a final buffer because the impact of heel shock is very harmful to the human body (especially the knee joint), and encourages landing on the rearfoot from the beginning. It should be said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strengthen the cushioning material in the rearfoot area. Moreover, there has been a recent trend toward increased barefoot exercise, and the rearfoot landing walking habit inevitably exposes people to the risk of serious joint injuries.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에어 포켓을 통해 외측 중족부 착지의 충격완화와 직후 내측 전족부 충격흡수를 통해 관절 부상을 억제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착지와 도약을 통한 에어 포켓의 풍선효과가 후족부 및 발 아치(foot arch)를 밀어 올리므로써 도약을 용이하게 하고 전진 보행 에너지를 증강시키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joint injuries by alleviating the shock of landing on the outer midfoot and absorbing shock on the inner forefoot immediately after landing through an air pocket, as shown in Figure 2. In addition, the final purpose is to facilitate jumping and enhance forward walking energy by using the balloon effect of the air pocket through landing and jumping to push up the hindfoot and foot arch.

이러한 후족부 및 아치의 압력을 통한 긴장(tension)은 착지 지점을 후족부가 아닌 외측 중족부 착지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과내전(overpronation) 및 과외전(oversupination) 되지 않게 올바른 보행(correct walking) 습관을 유도하도록 시스템화 한다.This tension through the pressure of the rearfoot and arch not only leads to landing on the outer midfoot rather than the rearfoot, but also prevents overpronation and oversupination by correct walking. Systemize to induce habi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솔에 에어 포켓 기능을 포함시킨다. 에어 포켓의 구조는 인솔 자체에 포함되는 일체형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기술상 문제가 있을 경우 부품을 별도로 만들어 내포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ocket function in the insole. The structure of the air pocket is preferably integrated into the insole itself, but if there is a problem with manufacturing technology, parts can be made separately and included.

세부적으로 구조상 한발 기준으로 2쌍으로 구성되고, 1쌍은 2개의 포켓과 그를 연결하는 공기통로(5)로 구성된다. 내부의 공기압은 착화 전 기준으로 표준 대기압(14.7psi)과 유사하게 하고, 착화 시(압력 발생 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운동 하중으로 에어 포켓이 터지지 않도록 품질 관리해야 한다. 또한 공기통로(airway)를 기준으로 한 쪽 포켓을 누를 경우 다른 쪽 포켓에 압력이 상승하고 누르지 않을 경우 원상회복 되는 구조로 한다.In terms of structure, it consists of two pairs per foot, and one pair consists of two pockets and an air passage (5) connecting them. The internal air pressure should be similar to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 (14.7 psi) before ignition, and quality control should be carried out to prevent air from leaking out or bursting of air pockets due to exercise load during ignition (when pressure is generated). In addition, based on the airway, if one pocket is pressed, the pressure in the other pocket increases, and if not pressed, the pressur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보다 자세하게 인솔 오른발 기준으로 에어 포켓의 배치를 설명하기로 한다.We will explain the placement of the air pocket in more detail based on the right foot of the insole.

1차적으로 착지 충격(landing strike)에 중요한 지점은 발 외측(lateral) 중족부(1)이다. 1번 포켓은 특히 5번 중족골(15)을 따라 발달된 발 근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길쭉한 원형으로 조성하고 이와 연결된 2번 포켓은 후족부(2)에 조성한다.The first important point for landing strike is the lateral midfoot (1). The first pocket is created in an elongated circular shape to support the foot muscles developed along the fifth metatarsal bone (15), and the second pocket connected to it is created in the hindfoot (2).

착지에서 5번 중족골(15) 부위만으로 충격을 모두 흡수하는 것은 아니다. 이론상 힘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다(쿨롱의 법칙)고 한다. 도 2와 같이 바람직한 발의 동작은 5번 중족골(15)에서 1번 중족골(11)과 기절골(21)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충격을 분산하고 그 여파를 지연시키도록 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충격 여파(strike aftermath)는 3번 포켓에서 소멸된다.When landing, the 5th metatarsal (15) region alone does not absorb all of the shock. In theory, it is said that the magnitude of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Coulomb's law). As shown in FIG. 2, the desired foot movement should dissipate the shock in a chain from the 5th metatarsal bone (15) to the 1st metatarsal bone (11) and the coxa bone (21) and delay the aftermath. Finally, the strike aftermath is dissipated in pocket 3.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지 충격의 힘을 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고 오랜 세월 인체는 이런 시스템으로 진화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려할만한 문제는 이러한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나쁜 보행 습관이다. 후족부만으로 착지하거나 편중된, 과한, 억지스러운 보행 습관으로 발과 다리의 관절 부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Dispersing the force of landing impact to protect the feet is a very important issu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uman body has evolved this system over a long period of time. A cause for concern is bad walking habits that go against the laws of nature. Landing only on the back foot or biased, excessive, or forced walking habits can expose you to the risk of joint injuries in the feet and legs.

상기와 같이 착지 충격은 1번 포켓(1)과 3번 포켓(3)으로 공기 압력이 이동하면서 완화된다고 설명하였다. 이 때 반작용으로 2번 포켓(2)과 4번 포켓(4)은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즉 후족부와 아치를 압력 에너지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공기 압력으로 후족부(2)와 아치(4)를 바닥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미는 힘은 도약(takeoff) 에너지를 증강시켜 전진 보행에 유익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 후 착지 동작에서 후족부 착지 대신 외측 중족부 착지를 유도하는 시스템을 조성한다. 결국 본 발명의 에어 포켓의 구조는 올바른 보행 및 러닝을 위해 착지와 도약을 1번 포켓(1)과 3번 포켓(3)의 부위로 순환하도록 시스템화 한다.As described above, it was explained that the impact of landing is alleviated as the air pressure moves to the first pocket (1) and the third pocket (3). At this time, as a reaction, the pressure in the 2nd pocket (2) and the 4th pocket (4) increases. In other words, it works to lift the hindfoot and arch using pressure energy. In this way, the force that pushes the rear foot (2) and the arch (4) upward from the floor by air pressure increases takeoff energy and is beneficial for forward walking. In addition, in the subsequent landing movement, a system is created that induces a landing on the outer midfoot instead of a rearfoot landing. Ultimately, the structure of the air p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ystemized so that landing and jumping are circulated to the areas of the first pocket (1) and the third pocket (3) for correct walking and running.

도 1은 오른쪽 발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인솔에 에어 포켓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1 : 1번 포켓 또는 외측 중족부 2 : 2번 포켓 또는 후족부
3 : 3번 포켓 또는 내측 전족부 4 : 4번 포켓 또는 아치
5 : 공기통로
도 2는 올바른 보행을 위한 착지 동작에서 충격 지점이 외측 중족부에서 내측 전족부 방향으로 힘의 이동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주요 관절을 설명하는 사진이다.
11 : 1번 중족골 15 : 5번 중족골
21 : 1번 기절골 25 : 5번 기절골
Figure 1 is an image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air pockets in the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right foot.
1: Pocket 1 or outer midfoot 2: Pocket 2 or rearfoot
3: Pocket 3 or medial forefoot 4: Pocket 4 or arch
5: Air passage
Figure 2 is an image showing the movement of force from the point of impact from the outer midfoot to the inner forefoot during a landing motion for correct walking.
Figure 3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the main joi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1st metatarsal bone 15: 5th metatarsal bone
21: No. 1 stunning goal 25: No. 5 stunning goal

본 발명은 1과 2번 에어 포켓, 3과 4번 에어 포켓 상호간에 풍선효과와 같이 공기 흐름과 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보행 및 러닝 시 착지와 도약의 올바른 동작을 유도하기위해 고안한 것이다. 따라서 1차적으로 올바른 착지와 도약의 발 부위에 에어 포켓이 배치되어야 하고, 2차적으로 에어 포켓 상호간에 딛고 누르는 힘에 따라 공기 흐름과 압력이 변화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러닝과 같이 보다 활동적인 신체활동을 예시로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nduce correct movements of landing and jumping when walking and running by using changes in air flow and pressure between air pockets 1 and 2 and air pockets 3 and 4, like a balloon effect. Therefore, firstly, air pockets must be placed at the foot area for correct landing and jumping, and secondly, air flow and pressure must change according to the force of stepping on and pressing between the air pockets. Below, more activ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running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examples.

1차적으로 러닝 시 올바른 착지는 외측 중족부(1)가 바람직하다. 후족부 충격으로 관절 부상의 위험은 주지의 사실이다. 세부적으로 1번 에어 포켓 배치와 같이 5번 중족골(15)과 이를 둘러싼 근육 부위가 최초 충격 지점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이 충격은 거리가 있는 1번 기절골(21) 부위로 급격히 이동하여 흡수되거나 최소화 된다. 3번 에어 포켓(3)은 1번 기절골(21)과 중족골(11)이 만나는 볼록한 지점(무지기저부)을 중심으로 배치한다. 도 2와 같이 착지 충격이 무지기저부로 이동되는 것은 바로 도약으로 연결되는 준비 동작이기도 하다.Firstly, the outer midfoot (1) is preferable for correct landing when running. The risk of joint injury due to hindfoot impact is well known. In detail, as shown in the placement of the first air pocket, the 5th metatarsal bone (15) and the muscle area surrounding it are the initial impact points. As mentioned, as shown in Figure 2, the impact is rapidly moved to the distant 1st coxa bone (21) and is absorbed or minimized. The third air pocket (3) is placed centered on the convex point (base of the hallux) where the first coxa bone (21) and the metatarsal bone (11) meet. As shown in Figure 2, moving the impact of landing to the base of the hallux is also a preparatory movement that leads directly to jumping.

2차적으로 풍선효과로 발생하는 1번 포켓과 연결된 압력의 변화는 후족부 중심(center)에 배치된 2번 에어 포켓에서 일어난다. 또한 3번 포켓과 연결된 압력의 변화는 4번 포켓이 배치된 아치에서 일어난다. 이를 위해 2번과 4번 포켓은 약 2~3배의 공기압을 견디도록 설계해야 한다. 다만 인솔의 교체가능한(removable), 예비부품(spare parts) 특성을 고려하여 낮은 비용과 구조의 적정 설계가 효율적이다. 또한 부드러운 착화감을 유지하기위해 전후족부 두께 5~10mm(에어 포켓 제외) 정도의 일반 규격을 크게 상회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솔 상판과 하판을 분리 설계하여 견고하게 접착하는 방식으로 포켓을 내장(built in)한다. 포켓 및 공기통로는 몰딩(molding) 방식으로 설계하고 형태 유지를 위해 필요에 따라 포켓 내부에 형성재(스폰지 등) 및 공기통로에 적합한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포켓의 압력 지지를 위해 코팅막이나 코팅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Secondly, the change in pressure connected to pocket 1, which occurs due to the balloon effect, occurs in air pocket 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arfoot. Additionally, the change in pressure connected to pocket 3 occurs in the arch where pocket 4 is placed. To achieve this, pockets 2 and 4 must be designed to withstand approximately 2 to 3 times the air pressure. However, considering the removable and spare parts characteristics of the insole, low cost and appropriate structural design are efficient.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a soft fit, it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feet does not significantly exceed the general standard of 5 to 10 mm (excluding air pockets). For this purpose, the upper and lower insole panels are designed separately and the pockets are built in by firmly attaching them. The pocket and air passage are designed using a molding method, and forming materials (sponge, etc.) and members suitable for the air passage can be inserted inside the pocket as needed to maintain the shape. Additionally, a coating film or coating tape can be used to support the pressure of the air pocket.

Claims (2)

발바닥의 외측 중족부와 후족부에 각각 에어 포켓을 배치하여 공기통로로 연결하고
내측 전족부와 아치 부위에 각각 에어 포켓을 배치하여 공기통로로 연결하며
각각의 에어 포켓의 공기 흐름이 압력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구조
Air pockets are placed on the outer midfoot and hindfoot of the sole and connected to an air passage.
Air pockets are placed on the inner forefoot and arch area and connected to an air passage.
Inso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low in each air pocket generates pressure movement
발바닥의 외측 중족부, 후족부, 내측 전족부, 아치 부위에 각각 에어 포켓을 배치하여
포켓 상호간 교차 연결하거나 독립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구조
Air pockets are placed on the outer midfoot, rearfoot, inner forefoot, and arch areas of the sole.
Insole structure characterized by cross-connection between pockets or having an independent form
KR1020230135577A 2023-10-12 2023-10-12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KR202301507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77A KR20230150771A (en) 2023-10-12 2023-10-12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77A KR20230150771A (en) 2023-10-12 2023-10-12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771A true KR20230150771A (en) 2023-10-31

Family

ID=8854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577A KR20230150771A (en) 2023-10-12 2023-10-12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77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665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US6684532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7854075B2 (en) Orthotic device for open shoes
US10264847B2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KR20180004126A (en) Outlined Shoe Insole
JP2015526251A (en) Basketball insole
JP2018516117A (en) Contour support insoles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US20190208860A1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KR101433564B1 (en) Shoe midsole assembly equipped airbag system
CN111657628B (en) Pressure-reducing insole structure
KR20230150771A (en) Shoes insole system that enhances forward walking energy through the balloon effect of air pockets
JP3211473U (en) Insole structure
KR101263614B1 (en) Shoes
WO2017014698A1 (en) Pressure offloading insole with adjustable arch support
JP2010184098A (en)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sole
WO2015092352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US20170354201A1 (en) Insole
KR20230002135U (en) Double air pocket insole that prevents heel shock and over-pronation and supination when walking
CN209898418U (en) Bottom layer structure of sports insole and special heel bone position embedded piece thereof
CN210227075U (en) Functional shoes for children
KR101225750B1 (en) Sole assembly with shock-absorbing capability
TWM594872U (en) Insole structure with metatarsal pressure reducing cushion body and arch stability pad
TWM597064U (en) Insole structure with metatarsal decompression cushion body and arch stability pad
TWM613358U (en) Four-density composite i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