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335A -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0335A KR20230150335A KR1020237032766A KR20237032766A KR20230150335A KR 20230150335 A KR20230150335 A KR 20230150335A KR 1020237032766 A KR1020237032766 A KR 1020237032766A KR 20237032766 A KR20237032766 A KR 20237032766A KR 20230150335 A KR20230150335 A KR 20230150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body
- male contact
- electrical connection
- connection device
- spreader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10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OIUWJQBRNEFGX-XAMSXPGMSA-N cathelicid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NC(N)=N)C(=O)N[C@@H](CCCCN)C(=O)N[C@@H](CO)C(=O)N[C@@H](CCCCN)C(=O)N[C@@H](CCC(O)=O)C(=O)N[C@@H](CCCCN)C(=O)N[C@@H]([C@@H](C)CC)C(=O)NCC(=O)N[C@@H](CCCCN)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CCCN)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C(=O)N[C@@H](CCCNC(N)=N)C(=O)N[C@@H](CC(N)=O)C(=O)N[C@@H](CC(C)C)C(=O)N[C@@H](C(C)C)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C(O)=O)C(=O)N[C@@H](CO)C(O)=O)NC(=O)[C@H](CC=1C=CC=CC=1)NC(=O)[C@H](CC(O)=O)NC(=O)CNC(=O)[C@H](CC(C)C)NC(=O)[C@@H](N)CC(C)C)C1=CC=CC=C1 POIUWJQBRNEFGX-XAMSXPGM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16—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co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spring force increased by screw, cam, wedge, or othe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로서,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를 포함하고, 수형 접점 몸체는 삽입 방향을 따라 암형 접점에 삽입될 수 있고, 수형 접점 몸체는 수형 접점 몸체를 통해 도달하는 공동을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공동은 수형 접점 몸체의 내부 면으로 한정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공동 내로 삽입되고 고정 방향으로 스프레더 요소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테이퍼지는 단면을 갖는 스프레더 요소를 추가로 가지며, 스프레더 요소는 고정 방향을 따라 해제된 위치로부터 조여진 위치로 변환되어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져서 벌어져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에 접촉 압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동은 전체 수형 접점 몸체를 통과하여 수형 접점 몸체에 두 개의 개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접점 몸체의 내부 면은 제1 래칭 요소를 갖고, 스프레더 요소의 외부 면은 제2 래칭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1 래칭 요소는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도달할 때 제2 래칭 요소와 래칭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는 버스바(busbar)를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는 암형 접점(female contact)과 수형 접점 몸체(male contact body)를 포함하고, 수형 접점 몸체는 삽입 방향을 따라 암형 접점 내로 삽입 가능하고, 수형 접점 몸체는 수형 접점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공동(cavity)을 갖고, 공동은 수형 접점 몸체의 내부 표면으로 한정되고, 디바이스는 공동에 삽입되는 스프레더 요소(spreader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하고, 스프레더 요소는 잠금 방향으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테이퍼진(taper) 단면을 갖고, 스프레더 요소는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져 개방되어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에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해제된 위치로부터 조여진 위치로 잠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공동은 전체 수형 접점 몸체를 통해 연장되어 수형 접점 몸체에 두 개의 개구를 형성한다.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는 EP 2 141 719 A1에 알려져 있다. 이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는 두 위치 사이에 이동될 수 있는 단로기(disconnector)이다. 여기서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접촉 압력의 유지는 수형 접점 몸체, 암형 접점 및 스프레더 요소 사이의 마찰 연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열에서는 연결 디바이스의 진동과 같은 특정 교란 영향 하에서 접촉 압력 및 이에 따라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압력을 더 잘 보장하여 접촉을 보장하는 일반적인 유형의 개선된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에서, 수형 접점 몸체의 내측에는 제1 래칭 요소(latching element)가 있고, 스프레더 요소의 외측에는 제2 래칭 요소가 있고,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도달할 때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1 래칭 요소는 제2 래칭 요소와 래칭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과제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퓨즈가 제조하기 간단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는 스프레더 요소의 조여진 위치와 이에 따른 접촉 압력이 제1 래칭 요소와 제2 래칭 요소의 래칭에 의해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생성된 접촉 압력이 설계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따라서 사용자가 스프레더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형 접점 몸체를 충분히 펼치지 않아 접촉 압력이 너무 작게 될 위험이나 또는 사용자가 스프레더 요소를 수형 접점 몸체 내로 너무 멀리 이동시켜 수형 접점 몸체 및/또는 암형 접점을 손상시킬 수 있을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동은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 펼쳐지는 스프레더 요소의 외부 표면과 수형 접점 몸체의 내측 사이의 평면 접촉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지도록 잠금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으로 제공된다. 평면 접촉은 개선된 마찰 연결을 형성하고, 접점 몸체는 제1 래칭 요소와 제2 래칭 요소의 래칭에 더하여 이러한 마찰 연결에 의해 조여진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래칭 요소 및/또는 제2 래칭 요소는 잠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확장 요소에 힘을 가하여 제1 래칭 요소와 제2 래칭 요소 사이의 래칭을 비파괴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라운딩(rounding)을 갖는 것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연결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의 각 측에 부착된 구성요소를 교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형 접점 몸체는 잠금 방향과 반대쪽에 놓인 축 방향 단부에 슬롯을 가져서, 스프레더 요소에 의해 수형 접점 몸체가 더 적은 힘의 작용 하에 이 영역에서 펼쳐져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원하는 접촉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수형 접점 몸체의 필요한 펼쳐짐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인다. 또한, 이는 수형 접점 몸체의 변형이 탄성 영역 내에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사용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삽입 방향과 잠금 방향이 평행하고 반대인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의 간단하고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형 접점 몸체가 암형 접점에 삽입될 때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가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레더 요소는 또한 수형 접점 몸체와 동축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한 구조와 힘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의 단면적과 스프레더 요소의 단면적은 각각 원형, 바람직하게는 원형 영역을 갖는다. 이는 한편으로는 공동에 대한 스프레더 요소의 정렬을 단순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의 접촉 압력이 더 잘 분포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레더 요소와 수형 접점 몸체 내부 사이에 마찰 연결을 야기하는 접촉 면적이 극대화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접점 몸체의 외측의 접점 표면은 접점 형성 융기부(elevation)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점 형성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접점 몸체의 외측을 따라 잠금 방향으로 연장되는 웹(web)으로서 형성된다. 접점 형성 융기부는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에 복수의 접점 지점을 생성한다. 이것은 접촉 저항을 낮춘다. 또한 융기부는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레더 요소는 외측에 원주 방향 돌출부로서 제2 래칭 요소를 갖고, 수형 접점 몸체는 내측에 원주 방향 홈으로서 제2 래칭 요소를 갖고, 돌출부와 홈은 서로에 대해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는 제1 래칭 요소와 제2 래칭 요소의 안전한 래칭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개별 구성요소에 대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원주 방향 래칭은 개별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조여진 위치에서 스프레더 요소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유리하게는, 원주 방향 돌출부와 원주 방향 홈은 잠금 방향으로 또는 잠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레더 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 하에서 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부의 표면을 활주시킴으로써 조여진 위치로 또는 조여진 위치로부터 스프레더 요소를 비파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형 접점 몸체의 외측은 제3 래칭 요소를 포함하고, 암형 접점의 내측은 제4 래칭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도달할 때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접촉이 확보되도록 제3 래칭 요소는 제4 래칭 요소와 맞물린다. 이러한 추가 고정을 통해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접촉 부분이 진동하지 않도록 추가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스프레더 요소의 이동을 야기하는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을 포함하고, 이동 메커니즘은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가능한(lockable) 것으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조여진 위치에서 스프레더 요소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어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유리하게는, 이동 메커니즘은 수형 접점 몸체에 대해 선회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lever)를 포함하고, 레버의 제1 레그(leg)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레버의 이동이 해제된 위치와 조여진 위치 사이에서 스프레더 요소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잠금 방향으로 수형 접점 몸체의 공동 밖으로 연장되는 스프레더 요소의 영역에 부착된다. 이동 메커니즘의 이러한 실시예는 구현하기에 건설적으로 저렴하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해제 가능한 고정은 레버가 폐쇄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레버를 폐쇄된 위치에 잠근다. 이러한 레버의 해제 가능한 고정은 안전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건설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레버의 고정은 후크(hook) 형태의 스냅 요소로서 설계되어, 레버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할 때 후크가 선회 축에 대해 레버의 제1 레그와는 반대쪽 레버의 제2 레그에 후크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레버가 폐쇄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수형 접점 몸체를 둘러싼다. 하우징은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유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전기적 연결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연결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서스펜션(suspension)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기 절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하우징은 수형 접점 몸체와 조립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우징은 수형 접점 몸체와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암형 접점이 수형 접점 몸체와 하우징 부분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은 슬리브로서 설계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형 접점 몸체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형 접점 몸체가 암형 접점에 삽입될 때, 암형 접점의 외측이 하우징 부분의 내측과 접촉한다. 이는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의 정렬을 단순화하고,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접촉 표면은 오염으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은 외부로부터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지는 동안 하우징 부분이 암형 접점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우징 부분이 암형 접점을 지지하므로 암형 접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무엇보다도 이 구성요소의 재사용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버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는 연결 디바이스의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냅 결합 요소는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이는 더욱 컴팩트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하우징은 암형 접점과 조립체를 형성하고, 수형 접점 몸체와의 조립체의 하우징이 추가 하우징과 암형 접점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접점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슬리브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형 접점 몸체가 암형 접점에 삽입될 때 하우징의 외측이 추가 하우징의 내측과 접촉한다. 이는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정렬을 더욱 단순화하고, 효과적인 절연을 제공하고 오염으로부터 매우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이를 통해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의 접촉 표면을 수동 접근으로부터 크게 보호하여 연결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안전성을 높인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암형 접점은 커넥터 부재의 제1 표면에 안착되고, 제1 표면과 암형 접점의 축은 70° 내지 90°의 각도를 포함하고, 커넥터 부재는 제1 표면에 배치된 구획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 구획의 법선 벡터와 제1 표면의 법선 벡터 사이의 교차각은 70°내지 90°이고, 이 구획은 절연 재료의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는 연결 디바이스의 공간 절약 및 안전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절연 층이 있는 구획은 수형 접점 몸체와 암형 접점 사이의 연결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로부터 추가 구성요소를 보호한다.
유리하게는, 추가 하우징은 연결 부재의 일부 주위의 층과 동일한 절연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제1 표면도 또한 절연 재료로 둘러싸이고, 추가 하우징은 커넥터의 제1 표면 주위에 절연 재료와 일체로 형성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추가 하우징이 제1 표면 주위와 연결 부재 부분 주위의 절연 재료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추가 하우징을 특히 간단히 생산할 수 있고 필요한 생산 단계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암형 접점이 없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하우징이 없는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수형 접점 몸체, 레버, 스프레더 요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의 연결을 폐쇄하기 위해 다양한 공정 단계 동안 암형 접점 주위에 추가 하우징이 있는 실시예의 경사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추가 하우징이 있는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암형 접점이 없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하우징이 없는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수형 접점 몸체, 레버, 스프레더 요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암형 접점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의 연결을 폐쇄하기 위해 다양한 공정 단계 동안 암형 접점 주위에 추가 하우징이 있는 실시예의 경사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추가 하우징이 있는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관련 도면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참조 부호가 도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전 또는 다음 도면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은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암형 접점(3)이 없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또한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1)의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여기에서는 하우징(5)과 레버(6)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도 4는 수형 접점 몸체(2), 레버(6), 스프레더 요소(4), 및 제1 하우징 부분(11)과 제2 하우징 부분(12)으로 구성된 하우징(5)으로 구성된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1)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에 의해 특정 접촉 압력으로 전기적 접촉이 생성된다. 이를 위해 수형 접점 몸체(2)는 삽입 방향(15)으로 암형 접점(3) 내로 안내된다. 따라서 암형 접점(3)은 슬리브로 설계된다. 원추형 공동이 수형 접점 몸체(2)를 통해 연장되어 수형 접점 몸체(2)를 완전히 관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동은 무엇보다도 원통형, 직육면체 또는 피라미드형일 수도 있다. 이 공동 내에는 또한 원추형 스프레더 요소(4)가 있으며, 이 스프레더 요소는 잠금 방향(14)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 위치로부터 조여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레더 요소(4)는 또한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서 원추형 형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레더 요소(4)는 잠금 방향(14)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가져야 한다. 해제된 위치로부터 조여진 위치로 잠금 방향(14)으로 확장 요소(4)가 이동하면 수형 접점 몸체(2)의 영역이 확장되어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 사이에 접촉 압력이 생성된다. 이 경우, 수형 접점 몸체(2)는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추는 리지(ridge)(19)를 외부 표면에 갖는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스프레더 요소(4)는 조여진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수형 접점 몸체(2)는 각각 암형 접점(3)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다양한 구성요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이러한 이동의 일반적인 방향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프레더 요소(4)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펼쳐져 개방되는 수형 접점 몸체(2)의 영역에서 수형 접점 몸체(2)에는 슬릿(18)이 형성되어 보다 유연한 핑거(finger)(13)가 형성되고 펼쳐짐은 탄성 변형이다. 수형 접점 몸체(2)의 이 영역에는 원추형 공동을 둘러싸는 수형 접점 몸체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원주 방향 홈(9) 형태의 제1 래칭 요소(9)가 또한 있다. 스프레더 요소의 외측에는 비드(bead)(10) 형태의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제2 래칭 요소(10)가 있고, 비드(10)의 기하학적 구조는 원주 방향 홈(9)과 형태 끼워 맞춤이 가능하다. 제1 래칭 요소(9)와 제2 래칭 요소(10)를 사용하면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로 안내되자마자 비드(10)가 원주 방향 홈(9)에 맞물리기 때문에 스프레더 요소가 조여진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를 통해 스프레더 요소(4)가 조여진 위치와 이에 따라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 사이의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또한, 제1 래칭 요소(9)와 제2 래칭 요소(10)가 래칭하면 스프레더 요소(4)가 원하는 최종 위치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접촉 압력의 설계 사양을 구현한다. 한편, 원주 방향 홈(9)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된 비드(10)의 기하학적 구조를 사용하면 두 곡선이 서로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래칭 요소(9)와 제2 래칭 요소(10)를 비파괴적으로 래칭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방향(14)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레더 요소(4)에 충분한 힘이 작용하면 제1 래칭 요소(9)로부터 제2 래칭 요소(10)를 비파괴적으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잠금 방향(14)으로 그리고 잠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레더 요소(4)가 이동하는 것은 스프레더 요소(4)의 이동 메커니즘의 일부로서 레버(6)를 통해 수행된다. 레버(6)는 서스펜션(7)을 통해 수형 접점 몸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6)의 제1 레그는 잠금 방향(14)으로 수형 접점 몸체(2)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레더 요소(4)의 부분에 형성된 스프레더 요소(4)의 리세스(16)와 맞물린다. 레버(6)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에 스프레더 요소(4)는 느슨한 위치와 조여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레버는 개구를 갖고, 레버(6)가 폐쇄된 위치에 도달할 때 수형 접점 몸체(2)에 부착된 후크(8)는 개구를 통해 제자리에 스냅 결합된다. 이는 스프레더 요소(4)가 조여진 위치를 벗어날 수 없도록 레버(6)를 폐쇄된 위치에 잠근다. 이는 스프레더 요소(4)를 조여진 위치에 추가 고정하고 이에 따라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 사이의 접촉 압력을 추가로 확보하는 것을 생성한다. 따라서 후크(8)는 레버(6)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이동될 때 레버(6)와의 맞물림이 수동으로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5)은 특정 영역에서 수형 접점 몸체(2)를 둘러싸고, 수형 접점 몸체뿐만 아니라 레버(6) 및 스프레더 요소(4)와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하우징(5)은 제1 하우징 부분(11)과 제2 하우징 부분(12)을 갖는다.
제1 하우징 부분(11)은 서스펜션(7)과 후크(8)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하우징 부분(11)은 잠금 방향(14)으로 수형 접점 몸체(2)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레더 요소(4)의 영역을 둘러싸는 캡(cap)(17)을 형성한다. 캡(17)은 레버(6) 방향으로 개구를 갖고, 이에 레버(6)는 스프레더 요소의 리세스(16)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캡(17)은 먼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잠금 방향(14)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6)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지 않은 힘이 스프레더 요소(4)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하우징 부분(12)은 암형 접점(3) 내로 안내되는 영역에서 특정 거리를 두고 수형 접점 몸체(2)를 둘러싸며, 이에 의해 제2 하우징 부분은 주로 슬리브로 형성된다. 이 거리는 암형 접점 몸체가 제2 하우징 부분(12)과 수형 접점 몸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는 암형 접점(3) 내에 수형 접점 몸체(2)가 배열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두 접점 요소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2 하우징 부분(12)은 스프레더 요소(4)가 조여진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형 접점 몸체(2)가 펼쳐지는 동안 암형 접점(3)이 외부로부터 안정화되어 암형 접점(3)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하우징(5)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설계는 하우징(5)의 조립뿐만 아니라 하우징(5), 레버(6) 및 스프레더 요소의 전체 조립을 단순화한다. 또한, 2개의 하우징 부분(11, 12)은 하우징 부분(11, 12)의 특성을 각각의 의도된 용도에 더 적합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연결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조립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여기서 암형 접점(3)은 계단형 연결 요소(20)에 부착된다. 암형 접점(3)은 이에 의해 계단형 연결 요소(20)의 하위 표면에 안착되고 또한 이 하위 표면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계단형 연결 요소(20)는 하위 표면 영역 및 그 위에 배열된 부분에서 절연 재료(21)로 둘러싸여 있으며, 추가 하우징(22)이 절연 재료로 암형 접점(3) 주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추가 하우징(22)과 암형 접점(3) 사이에는 암형 접점(3) 내로 수형 접점 몸체(2)를 삽입할 때 수형 접점 몸체(2)와 하우징(5)의 조립체의 하우징(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여기서, 추가 하우징(22), 하우징(5), 암형 접점(3) 및 스프레더 요소(4)는 모두 서로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제 암형 접점(3) 내로 수형 접점 몸체(2)를 확장하기 위해 레버(6)는 개방된 위치(도 5b 참조)로부터 폐쇄된 위치(도 5c 참조)로 이동된다. 이는 스프레더 요소(4)를 잠금 방향(14)으로 수형 접점 몸체(2) 내로 이동시켜 수형 접점 몸체를 펼쳐서 개방하게 한다. 도 5b에서는 후크(8)가 레버(6)에 스냅 결합하여 레버를 폐쇄된 위치에 고정하는 방식을 보여줄 수 있다. 수형 접점 몸체(2)를 암형 접점(3)에 배열하는 것뿐만 아니라 레버(6)를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켜 접점을 폐쇄하는 것은 이 설계로 인해 매우 간단하고, 단 몇 가지 작업 단계만을 요구하여 이에 추가로 로봇에 의해 쉽게 자동화될 수 있다.
도 6은 도 5c의 배열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1)의 단면을 도시한다. 하우징(5)과 추가 하우징(22)에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을 배열하는 것으로 인해 수형 접점 몸체(2)와 암형 접점(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매우 잘 절연될 수 있으며 양호한 오염 방지도 가능하다.
1: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2: 수형 접점 몸체
3: 암형 접점
4: 스프레더 요소
5: 하우징
6: 레버
7: 서스펜션
8: 후크
9: 제1 래칭 요소/홈
10: 제2 래칭 요소/비드
11: 제1 하우징 부분
12: 제2 하우징 부분
13: 핑거
14: 잠금 방향
15: 삽입 방향
16: 리세스
17: 캡
18: 슬롯
19: 리지
20: 계단형 연결 요소
21: 절연 재료
22: 추가 하우징
2: 수형 접점 몸체
3: 암형 접점
4: 스프레더 요소
5: 하우징
6: 레버
7: 서스펜션
8: 후크
9: 제1 래칭 요소/홈
10: 제2 래칭 요소/비드
11: 제1 하우징 부분
12: 제2 하우징 부분
13: 핑거
14: 잠금 방향
15: 삽입 방향
16: 리세스
17: 캡
18: 슬롯
19: 리지
20: 계단형 연결 요소
21: 절연 재료
22: 추가 하우징
Claims (16)
-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로서,
암형 접점 및 수형 접점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접점 몸체는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암형 접점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수형 접점 몸체는 상기 수형 접점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공동을 갖고, 상기 공동은 상기 수형 접점 몸체의 내부 표면으로 한정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공동에 삽입되는 스프레더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더 요소는 잠금 방향으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테이퍼지는 단면을 갖고, 상기 스프레더 요소는 상기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져 개방되며, 상기 암형 접점과 상기 수형 접점 몸체 사이에 접촉 압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해제된 위치로부터 조여진 위치로 잠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수형 접점 몸체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형 접점 몸체와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암형 접점이 상기 수형 접점 몸체와 하우징 부분 사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상기 수형 접점 몸체를 펼치는 동안 상기 암형 접점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하우징은 상기 암형 접점과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수형 접점 몸체와의 조립체의 하우징이 상기 추가 하우징과 상기 암형 접점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접점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래칭 요소가 있고, 상기 스프레더 요소의 외측에는 제2 래칭 요소가 있고, 상기 스프레더 요소가 상기 조여진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스프레더 요소가 상기 조여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래칭 요소는 상기 제2 래칭 요소와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스프레더 요소가 상기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 펼쳐지는 스프레더 요소의 외부 표면과 상기 수형 접점 몸체의 내측 사이의 평면 접촉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수형 접점 몸체가 펼쳐지도록 잠금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 요소 및/또는 상기 제2 래칭 요소는 잠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확장 요소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래칭 요소와 상기 제2 래칭 요소 사이의 래칭을 비파괴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라운딩(rounding)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접점 몸체는 잠금 방향과 반대쪽에 놓인 축 방향 단부에 슬롯을 가져서, 상기 스프레더 요소에 의해 상기 수형 접점 몸체가 더 적은 힘의 작용 하에 이 영역에서 펼쳐져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단면적과 상기 스프레더 요소의 단면적은 각각 원형, 바람직하게는 원형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요소는 외측에 원주 방향 돌출부로서 제2 래칭 요소를 갖고, 상기 수형 접점 몸체는 내측에 원주 방향 홈으로서 제2 래칭 요소를 갖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은 서로에 대해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와 상기 원주 방향 홈은 상기 잠금 방향으로 또는 상기 잠금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프레더 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 하에서 상기 홈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표면을 활주시킴으로써 상기 조여진 위치로 또는 상기 조여진 위치로부터 상기 스프레더 요소를 비파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스프레더 요소의 이동을 유발하는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스프레더 요소가 상기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가능한(lock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수형 접점 몸체에 대해 선회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제1 레그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레버의 이동이 해제된 위치와 조여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프레더 요소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상기 잠금 방향으로 상기 수형 접점 몸체의 공동 밖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프레더 요소의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해제 가능한 고정은 상기 레버가 폐쇄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레버를 상기 폐쇄된 위치에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고정은 상기 후크 형태의 스냅 요소로서 설계되어, 상기 레버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후크가 선회 축에 대해 상기 레버의 제1 레그와는 반대쪽 상기 레버의 제2 레그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1104244.5 | 2021-02-23 | ||
DE102021104244.5A DE102021104244A1 (de) | 2021-02-23 | 2021-02-23 |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
PCT/EP2022/053766 WO2022179897A1 (de) | 2021-02-23 | 2022-02-16 |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0335A true KR20230150335A (ko) | 2023-10-30 |
Family
ID=8078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2766A KR20230150335A (ko) | 2021-02-23 | 2022-02-16 |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97446A1 (ko) |
EP (1) | EP4298695A1 (ko) |
JP (1) | JP2024510552A (ko) |
KR (1) | KR20230150335A (ko) |
CN (1) | CN117178435A (ko) |
DE (1) | DE102021104244A1 (ko) |
WO (1) | WO202217989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326474A1 (de) | 1993-08-06 | 1995-02-09 | Wolfgang B Thoerner | Verspannbar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JP2004349632A (ja) | 2003-05-26 | 2004-12-09 | Nissan Motor Co Ltd | 基板実装構造、基板実装方法および実装部品 |
DE102005054849A1 (de) * | 2005-11-15 | 2007-05-16 | Newfrey Llc | Elektrisch leitende Kupplung |
ES2478015T3 (es) | 2008-07-02 | 2014-07-18 | Eaton Industries (Netherlands) B.V. | Desconectador fijo |
-
2021
- 2021-02-23 DE DE102021104244.5A patent/DE102021104244A1/de active Pending
-
2022
- 2022-02-16 WO PCT/EP2022/053766 patent/WO2022179897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16 CN CN202280030025.9A patent/CN117178435A/zh active Pending
- 2022-02-16 JP JP2023551169A patent/JP2024510552A/ja active Pending
- 2022-02-16 US US18/278,491 patent/US20240297446A1/en active Pending
- 2022-02-16 KR KR1020237032766A patent/KR2023015033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02-16 EP EP22710500.4A patent/EP4298695A1/de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79897A1 (de) | 2022-09-01 |
CN117178435A (zh) | 2023-12-05 |
DE102021104244A1 (de) | 2022-08-25 |
JP2024510552A (ja) | 2024-03-08 |
US20240297446A1 (en) | 2024-09-05 |
EP4298695A1 (de) | 202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8899B1 (ko) | 전기 장치 | |
KR101608128B1 (ko)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
JP6961390B2 (ja) | 2つの電気フラットコンタクトを接続する接続ケージ | |
US20040177989A1 (en) | Screwed cable gland | |
KR930024224A (ko) | 광섬유 컨넥터 | |
KR970707710A (ko) | 개폐기 캐비닛용 프레임(frame for a switchgear cabinet) | |
US10283905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5199902A (en) | Connector device | |
EP3034896B1 (en) | One-hand operable end fitting connector assembly | |
JPS6161501B2 (ko) | ||
KR20200022511A (ko) | 커넥터 | |
US102909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20230150335A (ko) |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 | |
US5199910A (en) | Connector device | |
US11095015B2 (en) | Locking of a roof antenna of a vehicle by means of a star wheel | |
EP3349310B1 (en) | Cover member, cover unit and connector | |
CN210018111U (zh) | 具有旋转锁定机构的连接器 | |
CA2165009C (en) | Angled cable clamp | |
EP3345261B1 (de) | Kontaktträger | |
RU2615044C9 (ru) | Комбинация термопары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газового клапана | |
KR950015869A (ko) | 차폐형 케이블용 커넥터 | |
US1036150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first housing secured in a second housing | |
JP7081978B2 (ja) |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 |
CA2828624C (en) | System of plug connectors fixed on mounting rails | |
US20230101956A1 (en) | Wire harness support member and wire harn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