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095A -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095A
KR20230150095A KR1020220049630A KR20220049630A KR20230150095A KR 20230150095 A KR20230150095 A KR 20230150095A KR 1020220049630 A KR1020220049630 A KR 1020220049630A KR 20220049630 A KR20220049630 A KR 20220049630A KR 20230150095 A KR20230150095 A KR 2023015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ondary battery
thickness
adjustmen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엠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엠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엠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4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095A/ko
Publication of KR2023015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6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roller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7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adjustable calibrators, e.g. the dimensions of the calibrator being change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47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이송되는 소재를 압착시키는 압출부와 압출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소재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압출부에 형성되며, 압착되는 소재의 두께를 조정하는 조정부와 조정부 및 조절부를 제어하며, 소재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Produc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압출할 때 소재의 두께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조정할 수 있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언와인더 롤러와 리와인더 롤러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대상물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더 롤러와 상기 리와인더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접촉식으로 지지하는 자기베어링유닛; 상기 자기베어링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자기베어링 유닛에 의한 베어링지지력을 산출하는 제1 연산부와, 상기 이동대상물이 기준장력을 갖도록 상기 자기베어링유닛이 지지하여야 하는 기준지지력과 상기 베어링지지력을 비교하여 상기 베어링지지력과 상기 기준지지력의 차이값이 허용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제2 연산부와, 상기 차이값이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이동대상물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언와인더 롤러와 상기 리와인더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값을 산출하는 제3 연산부를 갖는 제어유닛; 그리고, 상기 전류값을 상기 자기베어링유닛에 인가하는 전류인가유닛을 포함하는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장력제어장치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002는 전극리드 제조방법은 전극리드용 금속 판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압연장치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의 정도는 상기 금속 판재 중앙부에 비해 양단부의 압축율을 크게 하여, 가압된 금속 판재는 양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져 경사면을 가지게 되고, 상기 압연장치는 그 양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직경이 큰 한 쌍의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상기 가압된 금속 판재의 중앙부 두께가 D1일 때에 상기 가압된 금속 판재의 양단부 최소 두께 D2는 D1/2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길이 L은 10D1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극리드 제조방법은 상기 금속 판재를 롤투롤(roll-to-roll) 이송하면서 가압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003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 S에 형성된 액정 조성물층을 구비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반송 경로를 따라, 도포 장치에 반송하는 공정 1과, 상기 도포 장치에 의해, 상기 표면 S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액정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2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의 반송은, 반송 부재를 사용하여 행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표면 S를 비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부재이고, 상기 반송은, 상기 공정 2를 행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와, 상기 표면 S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이 이루어진 용융수지를 T-다이를 통해 막 상태로 압출하여 두 개 이상의 압연롤에서 뱅크를 형성하여 혼련, 압연하여 이후, 배치되는 한 쌍의 성형 롤 및 복수의 냉각 롤을 거치면서 폭이 넓은 소정 두께의 박막 시트/필름을 성형하는 롤 성형 장치 및 롤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T-다이를 이용한 금속 롤 성형 법과, 캘린더 성형 법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두께 정밀도 및 평활성이 향상된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시트/필름을 고속으로 성형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817751 B1 (2018년01월05일) KR 10-2016-0138810 A (2016년12월06일) KR 10-2016-0138810 A (2016년12월06일) KR 10-2020-0031794 A (2020년03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전지 생산용 소재를 압출할 때 소재의 두께를 정확하게 판단한 후 복수의 롤 간격을 미크론 단위로 조정하여 일정한 두께의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는 이송되는 소재(10)를 압착시키는 압출부(100); 상기 압출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소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 상기 압출부(100)에 형성되며, 압착되는 소재(10)의 두께를 조정하는 조정부(300);상기 조정부(300) 및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며,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100)에 형성되며, 소재(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회전롤(110); 상기 제 1회전롤(110)을 관통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조정부(300)가 상단이 결합되는 제 1회전축(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롤(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소재(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회전롤(120); 상기 제 2회전롤(120)을 관통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조정부(300)가 하단이 결합되는 제 2회전축(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제 2회전축(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1)과 상기 제 2회전축(121)을 연결하는 연결축(310); 상기 연결축(31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롤(110)과 상기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장치(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1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1)에 연결되는 제 1연결축(311);
상기 제 2회전축(121)에 연결되는 제 2연결축(312); 상기 제 1연결축(311)과 상기 제 2연결축(312)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장치(320)가 체결되는 체결판(3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정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연결축(311)의 체결판(313)에 체결되는 제 1조정부재(321); 상기 제 1조정부재(3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 2조정부재(322); 상기 제 2조정부재(322)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조정부재(32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출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압착 전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1측정센서(410); 상기 제 1측정센서(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출부(100)의 후면에서 압착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2측정센서(4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은 소재(10)를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0); 상기 공급단계(S1100) 후, 상기 제 1측정센서(410)에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단계(S1200); 상기 제 1측정단계(S1200) 후, 상기 압출부(100)에서 소재(10)를 압착하는 압출단계(S1300); 상기 압출단계(S1300) 후, 상기 제 2측정센서(420)에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2측정단계(S1400); 상기 제 2측정단계(S1400) 후, 상기 조정부(300)에서 상기 압출부(100)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소재의 압출 전과 압출 후의 두께를 복수의 측정센서에서 각각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소재의 두께를 상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롤의 간격을 조정부에서 조정함에 따라 미크론 단위로 정확히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부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는 이송되는 소재(10)를 압착시키는 압출부(100)와 상기 압출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소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와 상기 압출부(100)에 형성되며, 압착되는 소재(10)의 두께를 조정하는 조정부(300)와 상기 조정부(300) 및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며,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는 전지용 필름 생산, 전극 생산, 마이크로 코팅 등에 활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롤 프레스, 압출기 또는 마이크로 코팅 장비에서 소재(10)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롤에 갭을 조절하는 롤의 위치를 전동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로 승하강함에 따라 위치가 제어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롤의 승하강 장치로는 소재(10)에 도포되는 용액에 의하여 두께가 일정치 않음에 따라 수 미크론의 보정치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소재(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롤투롤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롤을 각각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소재(10)는 공급부에 형성되는 권취롤에 의하여 권취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공급부는 권취롤을 회전시켜 소재(1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소재(10)를 공급할 때 소재(10)의 장력, 표면정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소재(10)는 압출부(100)에서 압착되는 것으로 압출부(100)는 소재(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회전롤(110)과 소재(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회전롤(120)로 형성되며,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은 롤투롤로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소재(10)가 관통된다. 이때,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소재(10)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제 1회전롤(110)은 제 1회전축(111)에 의하여 회전하고 제 2회전롤(120)은 제 2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제 1회전축(111)과 제 2회전축(121)은 서로 다른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출부(100)의 하단에는 조절부(200)가 형성되며, 조절부(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소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 2회전축(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210)가 형성된다. 가변장치(210)는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로 형성되며, 제 2회전롤(1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 2회전롤(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소재(10)의 두께를 다양한 방향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부(200)는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 1회전롤(110)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 2회전롤(120)의 위치는 제어부(400)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은 조정부(300)가 형성되며, 조정부(300)는 도 4를 참조하면, 제 1회전축(111)과 제 2회전축(121)을 연결하는 연결축(310)이 형성된다. 연결축(310)은 제 1회전축(111)과 제 2회전축(121)에 각각 접하는 제 1연결축(311)과 제 2연결축(312)이 형성되며, 제 1연결축(311)과 제 2연결축(312)이 마주하는 위치에는 체결판(3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체결판(313)은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장치(320)가 결합되며, 조정장치(320)는 제 1연결축(311)의 제 1체결판(313a)에 체결되는 제 1조정부재(321)와 제 2연결축(312)의 제 2체결판(313b)에 체결되는 제 2조정부재(322)가 형성된다. 제 1조정부재(321)와 제 2조정부재(322)는 서로 접하는 면이 경사지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며, 제 1조정부재(321)와 제 2조정부재(3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조정부재(322)는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조정부재(321)를 상부 또는 하부로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 2조정부재(322)가 체결되는 제 2체결판(313b)에는 제 2조정부재(3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14)이 형성되며, 가이드레일(314)에서 제 2조정부재(322)가 이동부재(323)에 의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 1조정부재(321)가 승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부재(323)는 이동모터(325)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324)가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부재(324)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제 2조정부재(322)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324)는 제 2조정부재(322)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회전홈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홈의 나선돌기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회전부재(324)가 이동모터(325)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 2조정부재(32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조정부재(322)는 제 1조정부재(321)를 미세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 1조정부재(321)는 제어부(400)에 의하여 제 2조정부재(322)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소재(10)의 두께를 미크론의 갭 제어로 2차 전지 필름의 두께를 일정하게 생산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조정부(300)재는 조절부(200)에 의하여 제 2회전롤(12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연결축(310)에 의하여 제 1회전롤(110)의 위치도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 2회전롤(120)이 상승 또는 하강한 높이와 동일하게 제 2조정부재(322)를 이동시켜 제 1조정부재(321)의 위치를 조정한 후 소재(10)를 압착한다.
제어부(400)는 조절부(200) 또는 조정부(30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소재(10)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센서가 형성된다. 측정센서는 압출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1측정센서(410)와 압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2측정센서(4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 1측정센서(410)와 제 2측정센서(420)에서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제 1조정부재(321)를 이동시켜 제 2조정부재(322)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소재(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는 소재(10)의 압출 과정에서 소재(10)에 도포된 잉크 등에 의하여 소재(10)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소재(10)의 압출 과정 전 또는 후에 소재(10)의 두께를 정확히 측정하며, 복수의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차이에 따라 제 1회전롤(110)의 위치를 미크론 단위로 가변시켜 소재(10)를 상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은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활용한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재(10)를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0)가 형성된다. 공급단계(S1100)는 권취롤에 권취된 소재(10)를 이송하는 것으로 소재(10)는 다양한 공정을 거쳐 진행될 수 있으며, 공급된 소재(10)는 제 1측정단계(S1200)에서 제 1측정센서(410)에 의하여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 1측정센서(410)에서 두께가 측정된 소재(10)는 압출부(100)에서 압착되는 것으로 압출부(100)는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로 형성되며, 제 2회전롤(120)은 소재(10)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변장치(210)에 의하여 위치가 가변된다.
이와 같이 압출부(100)에서 압출되는 소재(10)는 제 2측정단계(S1400)에서 압출부(100)의 후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측정센서(420)에 의하여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 1측정단계(S1200)에서 측정한 소재(10)의 두께와 제 2측정단계(S1400)에서 측정한 소재(1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경우 조정부(300)에서 압출부(100)의 미세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단계(S1500)가 형성된다. 조정단계(S1500)는 제 1회전롤(110)과 제 2회전롤(120) 사이에 연결되는 각각 연결축(310)과 복수의 연결축(310)에 각각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정장치(320)에 의하여 압출부(100)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조정장치(320)는 제 2조정부재(322)가 이동부재(323)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조정부재(321)를 승하강시켜 제 1회전롤(110)의 위치를 미크론 단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소재 100: 압출부
110: 제 1회전롤 111: 제 1회전축
120: 제 2회전롤 121: 제 2회전축
200: 조절부 210: 가변장치
300: 조정부 310: 연결축
311: 제 1연결축 312: 제 2연결축
313: 체결판 313a: 제 1체결판
313b: 제 2체결판 314: 가이드레일
320: 조정장치 321: 제 1조정부재
322: 제 2조정부재 323: 이동부재
324: 회전부재 325: 이동모터
400: 제어부 410: 제 1측정센서
420: 제 2측정센서
S1100: 공급단계 S1200: 제 1측정단계
S1300: 압출단계 S1400: 제 2측정단계
S1500: 조정단계

Claims (9)

  1. 이송되는 소재(10)를 압착시키는 압출부(100);
    상기 압출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소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
    상기 압출부(100)에 형성되며, 압착되는 소재(10)의 두께를 조정하는 조정부(300);
    상기 조정부(300) 및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며,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100)에 형성되며, 소재(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회전롤(110);
    상기 제 1회전롤(110)을 관통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조정부(300)가 상단이 결합되는 제 1회전축(111);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롤(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소재(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회전롤(120);
    상기 제 2회전롤(120)을 관통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조정부(300)가 하단이 결합되는 제 2회전축(121);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제 2회전축(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210);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1)과 상기 제 2회전축(121)을 연결하는 연결축(310);
    상기 연결축(31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롤(110)과 상기 제 2회전롤(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장치(320);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31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1)에 연결되는 제 1연결축(311);
    상기 제 2회전축(121)에 연결되는 제 2연결축(312);
    상기 제 1연결축(311)과 상기 제 2연결축(312)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장치(320)가 체결되는 체결판(313);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연결축(311)의 체결판(313)에 체결되는 제 1조정부재(321);
    상기 제 1조정부재(3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 2조정부재(322);
    상기 제 2조정부재(322)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조정부재(32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23);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출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압착 전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1측정센서(410);
    상기 제 1측정센서(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출부(100)의 후면에서 압착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2측정센서(420);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를 활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재(10)를 공급하는 공급단계(S1100);
    상기 공급단계(S1100) 후, 상기 제 1측정센서(410)에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단계(S1200);
    상기 제 1측정단계(S1200) 후, 상기 압출부(100)에서 소재(10)를 압착하는 압출단계(S1300);
    상기 압출단계(S1300) 후, 상기 제 2측정센서(420)에서 소재(10)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 2측정단계(S1400);
    상기 제 2측정단계(S1400) 후, 상기 조정부(300)에서 상기 압출부(100)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단계(S1500);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방법.
KR1020220049630A 2022-04-21 2022-04-21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50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630A KR20230150095A (ko) 2022-04-21 2022-04-21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630A KR20230150095A (ko) 2022-04-21 2022-04-21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95A true KR20230150095A (ko) 2023-10-30

Family

ID=8855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630A KR20230150095A (ko) 2022-04-21 2022-04-21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0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10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리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17751B1 (ko) 2016-07-21 2018-01-11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장력제어장치 및 장력제어방법
KR20200031794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창영기계 시트/필름의 롤 성형 장치 및 롤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10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리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17751B1 (ko) 2016-07-21 2018-01-11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장력제어장치 및 장력제어방법
KR20200031794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창영기계 시트/필름의 롤 성형 장치 및 롤 성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6150B (zh) 带有褶皱发生防止装置的辊压机和辊压方法
JP6489560B2 (ja) ロールプレス機及びロールプレス機によるロールプレス方法
CN107350121B (zh) 一种在基材表面连续涂布粘性物料的三辊涂布印刷单元
KR100645297B1 (ko) 코팅 두께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코팅장치
US8875651B2 (en) Conveyance device for base material having both surfaces coated with coating solution
US39911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ceramic tape
KR101555697B1 (ko) 롤 프레스 장치
WO2018018460A1 (zh) 一种多辊压延装置
KR20230150095A (ko) 2차 전지 생산용 갭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638987B (zh) 一种粘性物料连续涂布装置
CN216988369U (zh) 一种涂布系统
CN113353701B (zh) 一种聚酯光学膜收卷系统
JPH02177256A (ja) ペースト式鉛蓄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KR20230019391A (ko) 필름 권취 시스템, 이러한 필름 권취 시스템과 필름 연신 유닛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초박형 필름 및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어셈블리의 용도
JP2020131620A (ja) フィ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20011379A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CN113353678A (zh) 一种非接触式收卷压辊装置及其调整方法
KR100867510B1 (ko) 시트성형장치
CN218319803U (zh) 一种储料架机构
JP2016112872A (ja) 圧延装置、圧延装置のギャップ調整方法
KR102536991B1 (ko) 슬롯 다이 코터 및 이를 구비한 코팅 두께 자동 조절 장치
CN214733221U (zh) 一种离型膜生产用张力调节装置
WO2023182440A1 (ja) 厚さ測定方法及び厚さ測定装置
WO2023182441A1 (ja) シート材製造方法、塗膜形成方法、シート材製造装置及びコーター
CN217122316U (zh) 滚压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