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073A - 인공수분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수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073A
KR20230150073A KR1020220049592A KR20220049592A KR20230150073A KR 20230150073 A KR20230150073 A KR 20230150073A KR 1020220049592 A KR1020220049592 A KR 1020220049592A KR 20220049592 A KR20220049592 A KR 20220049592A KR 20230150073 A KR20230150073 A KR 2023015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pollen
unit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숙
Original Assignee
황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숙 filed Critical 황희숙
Priority to KR102022004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073A/ko
Publication of KR2023015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7Apparatus for pol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인공수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는, 내부에 꽃가루를 수용하고 전방에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출구에서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전달하는 수분매개부; 본체부에 결합되고 공기를 이동시켜 꽃가루를 수분매개부로 전달하는 송풍부; 송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배터리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수분장치{Artificial Poll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인공수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꽃가루를 암술에 묻혀 수분하는 과정을 인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루받이(pollination)란 종자식물의 유성생식에서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의 머리로 옮겨지는 것을 말하며, 수분(受粉)이라고도 한다.
같은 꽃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것을 자가 수분이라고 하고, 다른 꽃의 꽃가루를 받는 경우를 타가 수분이라고 한다.
수분은 보통 꽃가루가 곤충이나 새 등의 몸에 붙어서 암술로 옮겨지거나 바람에 날려서 암술로 옮겨져서 이루어진다.
환경오염으로 벌과 같은 곤충의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과수 재배 농가에서 과일을 맺기 위한 꽃의 자연 수분이 어려워 인공수분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공수분을 실시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작은 솜봉에 꽃가루를 묻혀 손으로 일일이 꽃 하나 하나에 찍어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입구가 작은 꽃가루 통에 작은 솜봉을 넣어 너무 많은 양의 꽃가루가 묻지 않도록 주의하여 꽃가루를 묻힌 후 꺼내어 암술에 묻히는 과정이 포함되어 작업과정 전체에서 집중을 요하고 노동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하는 노동집약적 방법으로서, 육체적 피로와 체력적 부담이 증가하여 인건비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꽃가루통에서 솜봉에 꽃가루를 묻힌 후 꽃술로 옮기는 과정에서 꽃가루가 떨어지거나 바람에 날리며 낭비되어 꽃가루 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농가에서는 차량에 대형 꽃가루 분사 장치를 장착하고 이동하면서 바람으로 꽃가루를 날리거나, 소형 꽃가루 분사 장치를 몸에 부착하거나 직접 들고 다니며 바람으로 꽃가루를 날리는 방법으로 인공수분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짧은 시간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지만, 인공수분 확률이 낮은 문제점 및 가격이 비싼 꽃가루가 낭비되는 문제점, 특히 직접 들고 다녀야 하는 소형 꽃가루 분사 장치의 경우 무거운 무게로 인해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966호는 인공수분작업에 있어서 꽃가루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분출하여 다수의 꽃에 수분이 이루어지게 하여 인공수분작업을 빨리할 수 있게 하고, 수분되지 못한 꽃가루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꽃가루를 절감할 수 있는 송풍형인공수분기를 개시하고 있지만,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옮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4966호 (공개일자 2015년07월02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동효율성을 높이고 꽃가루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암술에 직접 꽃가루를 묻힐 수 있는 인공수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는, 내부에 꽃가루를 수용하고 전방에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출구에서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전달하는 수분매개부; 본체부에 결합되고 공기를 이동시켜 꽃가루를 수분매개부로 전달하는 송풍부; 송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배터리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본체부는, 파이프 형태의 제1몸체; 및 몸체에서 전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연장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출구는, 제2몸체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수분매개부는, 표면이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솜 또는 털 등 암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꽃가루를 암술에 묻힐 수 있는 부드러운 소재로 덮인 뭉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뭉치는,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송풍부는, 제1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파지부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대; 연결대를 본체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 및 연결대에 결합되고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의하면, 암술에 직접 꽃가루를 묻혀 인공수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의하면, 쉽고 빠르게 대량의 인공수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의하면, 인공수분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의하면, 인공수분 작업에 사용되는 꽃가루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의하면, 인공수분 작업에 의한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보호커버가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에 호퍼가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분장치는, 내부에 꽃가루를 수용하고 전방에 출구(13)가 형성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출구(13)에서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전달하는 수분매개부(20); 본체부(10)에 결합되고 수분매개부(20)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부(30); 송풍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0); 배터리부(40)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50); 및 본체부(10)에 결합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 내부에 수용되는 꽃가루는 송풍부(30)가 이동시키는 공기에 의해 수분매개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수분매개부(20)로 전달되는 꽃가루는 암술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는 내부에 꽃가루를 수용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요소이다.
본체부(1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서 전방에 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전방 내부에 수분매개부(20)가 결합되고 후방에 송풍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후방의 제1몸체(11)와 전방의 제2몸체(1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몸체(11)는 꽃가루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후방에 송풍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11)는 양측면에 파지부(60)의 연결대(6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11)는 하부에 전선(70)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전선(70)과 통공 사이를 밀폐하는 고무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11)는 내부에 수용된 꽃가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는 제1몸체(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전방에 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의 전방에 형성되는 출구(13)는 제2몸체(12)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정면보다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2)는 내부에 수용된 꽃가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수정 장치는 출구(13)를 막는 보호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80)는 제2몸체(12)를 모두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수분매개부(20)는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수분매개부(20)는 본체부(1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대략 구 형태의 뭉치(21)로 형성될 수 있다.
뭉치(21)는 일부가 출구(13)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뭉치(21)는 출구(13)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뭉치(21)와 출구(13) 사이로 꽃가루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 내부에서 송풍부(30)에서 일으키는 바람에 의해 출구(13) 방향으로 이동하는 꽃가루는 뭉치(21)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꽃가루가 부착된 뭉치(21)를 암술에 접촉하면 꽃가루가 암술로 전달되어 인공수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뭉치(21)는 표면이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솜 또는 털(우모, 오리털 등 부드러운 소재)로 덮이도록 형성되거나, 전체가 솜 또는 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뭉치(21)는 표면이 솜 또는 털로 덮이도록 형성되면, 바람에 의해 출구(13) 방향으로 이동하는 꽃가루가 뭉치(21)의 표면에 더 잘 부착될 수 있고, 뭉치(21)가 암술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암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뭉치(21)는 표면이 정전기를 띠도록 처리할 수 있다.
뭉치(21)의 표면에 정전기 처리를 하면 뭉치(21)가 암술에 접촉하기 전에 꽃가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매개부(20)는 뭉치(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부(4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제1구동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모터(22)는 본체부(10) 내부에 결합되고, 뭉치(21)는 제1구동모터(2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송풍부(30)는 바람을 일으켜 꽃가루를 출구(13)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송풍부(30)는 본체부(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출구(13)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송풍부(30)가 일으키는 바람에 의해 본체부(10) 내부에 수용된 꽃가루가 출구(1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출구(13) 방향으로 이동한 꽃가루는 뭉치(21)에 부착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제1몸체(11)의 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31); 하우징(31)에 결합되는 제2구동모터(32); 및 제2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제2구동모터(32)와 송풍팬(33)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송풍팬(33)은 제1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본체부(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3몸체(34); 제3몸체(34)의 전방에 결합되는 브래킷(35); 및 제3몸체(34)의 후방에 결합되는 덮개(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제1몸체(11) 내부에 결합되는 셔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는 송풍팬(33) 전방을 폐쇄하여 송풍팬(33)으로 꽃가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는 카메라 조리개 방식의 센트럴 셔터 또는 루버(louver) 방식의 셔터를 이용할 수 있다.
셔터는 수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셔터는 제3구동모터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고, 제어부(50)는 제3구동모터에 배터리부(40)의 전원을 공급하여 제3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3몸체(34)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몸체(34)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3몸체(34)는 전방에 제2구동모터(32)와 송풍팬(33)이 장착되는 브래킷(35)이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5)은 제2구동모터(32)와 송풍팬(33)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송풍팬(33)은 제1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덮개(36)는 브래킷(35)에 장착되어 제3몸체(34) 내부에 위치하는 제2구동모터(32)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제3몸체(34)의 후방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브래킷(35)은 제2구동모터(32)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배터리(4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배터리부(4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배터리부(40)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부(40)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전선(70)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부(40)에서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배터리부(40)는 제1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41) 및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42)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부(40)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배터리부(40)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50)는 배터리부(40),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배터리부(40)에서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배터리(41)에서 제1모터에 공급되는 전원 및 제2배터리(42)에서 제2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배터리(41)에서 제1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51) 및 제2배터리(42)에서 제2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치(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51)는 파지부(6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스위치(52)는 송풍부(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파지부(60)는 인공수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파지부(60)는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대(61); 및 연결대(61)에 결합되고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대(61)는 본체부(10)의 제1몸체(11)와 파지부(60)의 손잡이(62)를 이어주는 부분이다.
연결대(61)의 상부는 제1몸체(11)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연결대(61)의 하부는 손잡이(62) 상부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대(61)는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연결대(61)를 본체부(10)에 밀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62)는 본체부(10)의 하부에서 이격되거나 본체의 하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2)가 본체부(10)의 하부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연결대(61)는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없다.
손잡이(62)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막대 형태로서, 하부에 제1배터리(41)를 보관하는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2)는 내부를 관통하여 전선(70)이 통과할 수 있다.
손잡이(62)는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파이프(telescopic pip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60)는 볼 마운트(ball moun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볼 마운트 형태의 파지부(60)는 본체부(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U자형 연결대(61) 및 U자형 연결대(61)의 하부에 볼 소켓 조인트(ball-and-socket)로 결합되는 손잡이(62)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마운트 형태의 파지부(60)는 손잡이(62)를 기준으로 U자형 연결대(61)가 회전할 수 있고, U자형 연결대(61)를 기준으로 본체부(10)가 회전할 수 있다.
파지부(60)는 연결대(61) 없이 손잡이(62)가 단독으로 본체부(10)의 하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손잡이(62)는 본체부(10)의 하부에 볼 소켓 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고, 본체부(10)는 손잡이(6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공수분장치는 본체부(10)에 결합되고 본체부(10) 내부로 꽃가루를 공급하는 호퍼(90)(h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퍼(90)는 꽃가루를 저장한 상태에서 본체부(10) 내부로 꽃가루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호퍼(90)는 저장된 꽃가루를 본체부(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장치는 제4구동모터로 작동하는 이송스크류 또는 전동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공급장치에 배터리부(40)의 전원을 공급하여 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본체부(10) 내부로 공급되는 꽃가루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11: 제1몸체
12: 제2몸체
13: 출구
20: 수분매개부
21: 뭉치
22: 제1구동모터
30: 송풍부
31: 하우징
32: 제2구동모터
33: 송풍팬
34: 제3몸체
35: 브래킷
36: 덮개
40: 배터리부
41: 제1배터리
42: 제2배터리
50: 제어부
51: 제1스위치
52: 제2스위치
60: 파지부
61: 연결대
62: 손잡이
70: 전선
80: 보호커버
90: 호퍼

Claims (7)

  1. 내부에 꽃가루를 수용하고 전방에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출구에서 꽃가루를 암술에 직접 전달하는 수분매개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공기를 이동시켜 꽃가루를 상기 수분매개부로 전달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파이프 형태의 제1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전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연장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제2몸체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매개부는,
    표면이 솜 또는 털 등 부드러운 소재로 덮인 뭉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뭉치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1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대;
    상기 연결대를 상기 본체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 및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수분장치.
KR1020220049592A 2022-04-21 2022-04-21 인공수분장치 KR2023015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92A KR20230150073A (ko) 2022-04-21 2022-04-21 인공수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92A KR20230150073A (ko) 2022-04-21 2022-04-21 인공수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73A true KR20230150073A (ko) 2023-10-30

Family

ID=8855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592A KR20230150073A (ko) 2022-04-21 2022-04-21 인공수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0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966A (ko) 2013-12-24 2015-07-02 이영창 송풍형인공수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966A (ko) 2013-12-24 2015-07-02 이영창 송풍형인공수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18067A1 (en) Method for dispensing grains of pollen
MX2013010849A (es) Aparato y metodo para suministrar granos de polen.
US9433161B2 (en) Large scale method for dispensing grains of pollen
KR20100006464A (ko) 인공수분 교배기
CN107205351B (zh) 花粉施用器
KR20230150073A (ko) 인공수분장치
CN102422807A (zh) 一种吹拂授粉器及使用此吹拂授粉器进行吹拂授粉的方法
ITRM20070006A1 (it) Distributore di antagonisti naturali o simili
EP3678470A1 (en) System for dry artificial pollination of cultivated trees or shrubs by insect-borne pollen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KR20160027695A (ko) 전복치패 선별장치
CN215302150U (zh) 一种用于沙田柚的授粉器
CN210746613U (zh) 一种模拟失重尾悬吊实验装置
CN116034867A (zh) 一种玉米遗传育种用隔离罩
CN113907000A (zh) 一种简便高效的水稻杂交去雄装置
JPH10299503A (ja) 可搬式動力ツール
JPH01262741A (ja) 人工授粉装置及び人工授粉方法
JP4985094B2 (ja) 花粉交配具
KR200470318Y1 (ko) 화분 교배기
CN216567561U (zh) 一种便携式电动玉米授粉器
JP3914823B2 (ja) 害虫防除用捕集機
CN215380575U (zh) 一种用于林业育种的操作简单便携式人工授粉枪
CN110521583A (zh) 快速授粉鼓风炮
WO2022230685A1 (ja) 花粉供給装置及び花粉供給方法
CN117243110A (zh) 一种手持式电动果树授粉器和授粉方法
CN217162369U (zh) 一种采精用台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