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827A -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827A
KR20230149827A KR1020237030592A KR20237030592A KR20230149827A KR 20230149827 A KR20230149827 A KR 20230149827A KR 1020237030592 A KR1020237030592 A KR 1020237030592A KR 20237030592 A KR20237030592 A KR 20237030592A KR 20230149827 A KR20230149827 A KR 20230149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figuration
passive
transfer devic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카마이클
Original Assignee
차지포인트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지포인트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지포인트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65G69/183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with co-operating closure members on each of the parts of a separable transfer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22Hoses provided with integrated fixing means, e.g.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lift valves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is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4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for special environments
    • F16L2201/44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for special environments ster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5/00Pipe units with cleaning aperture and closur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liding Valv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입구(14) 및 출구(16)를 갖는 본체(12)를 포함하는 능동 부재(10)를 구비한 이송 장치로서, 입구(14)와 출구(1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격납 구성과, 도관이 출구(16)와 입구(14) 사이에서 연장되고 출구(16)와 입구(14)가 도관(18)을 통해 서로 연통하며 재료가 이들 사이에서 도관(18)을 통해 지나갈 수 있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가능한/연장 가능한 도관(18)에 의하여 재료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입구와 출구가 서로 연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작자 및/또는 제품 보호를 위해 이용되는 격리 및/또는 봉쇄 시스템에서 또는 종래의 청정실에서 실시될 수 있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재료 이송을 돕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느 한 무균 용기로부터 다른 무균 용기로의 재료의 이송은, 특히 이송되고 있는 재료, 용기 자체, 및 재료의 이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한 이송 장치의 조작자가 위치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무균 환경의 유지에 관하여 많은 문제를 제기한다.
무균성의 유지는 다수의 제조 프로세서에 있어서, 프로세스에서 제조되고 있는 제품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본적인 관심 대상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또는 격리/봉쇄 시설에서 무균 생산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산업으로는 제약, 의료 기기, 생명 공학 및 식품 산업 등이 있다.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가 어느 한 무균 인클로저로부터 다른 무균 인클로저로 이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특별한 어려움이 유발될 수 있다.
봉쇄 시설의 발달로 직접 및 간접 이송 장치가 도입되었다. 직접 이송 장치의 예로는 분할 버터플라이 밸브 시스템이 있고, 간접 이송 장치의 예로는 RTP(rapid transfer port)로 더 잘 알려진 정합 포트가 있다. 두 이송 장치 모두, 재료 또는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서 어느 한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재료가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알려진 포트들에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인클로저에 있어서의 소요 위치에는 이송 컨테이너의 대응 포트와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 후에, 정합된 포트들은 재료가 어느 한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알려진 이송 포트는 특히 무균 이송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를 야기한다. 시일(들)의 존재는 시일의 노출된 주변에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오염의 영역이다. 이송되는 재료는 시일의 노출된 섹션과 쉽게 접촉하여 재료 및/또는 프로세스 인클로저의 무균성과 봉쇄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알려진 이송 포트는 대개 조작자가 조작하기에 번거롭거나 커서, 대개 처리 환경에서 이동 및 작동시키기 어려운 복잡한 리프팅 장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추가적인 개량이 이송 장치에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해제 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 및 밀봉될 수 있도록 정합 가능하고 그 사이에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로서,
각각의 부재는 포트를 갖는 하우징과, 재료가 통과하는 움직임을 제어하고 무균 환경을 유지하도록 상기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가 포트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며 도어가 폐쇄된 제1 구성과, 밀봉이 해제되고 도어가 개방된 제2 구성을 갖고,
상기 능동 부재의 하우징은 능동 부재의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관에 의해 능동 부재의 포트와 연통할 수 있는 출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포트와 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있지 않은 격납 구성과, 재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포트와 출구가 도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밸브 요소의 크기 및 중량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와, 봉쇄 및 무균성을 위협할 수 있는, 도어와 같은 장치의 커버 요소, 분말과 같은 임의의 표류 물질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는 능동 요소 및/또는 수동 요소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 및 공기 흐름과 관련된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부재의 포트와 능동 부재의 출구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능동 부재 및/또는 수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무겁고 및/또는 다루기 힘든 리프팅 장비에 대한 요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멸균 또는 무균 환경에서의 취급 또는 처리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살균한 상태인 재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재료에는 분말, 정제, 캡슐 또는 이러한 제품의 보관 또는 전달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물품인 마개, 바이알, 가요성 백 및/또는 병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살균 온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살균 온도는 1 bar의 압력에서 적어도 90℃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살균 온도는 1 bar에서 약 90℃ 내지 2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온도를 충족시키는 조건의 예로는, 예를 들어 1 bar에서 120℃ 온도의 유체가 있다.
살균에 적합한 매체로는, 증기, 과산화수소, 이산화염소 및/또는 생물-오염 제거 매체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매체는 유체이다. 더 유리하게는, 상기 유체는 가스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수동 부재의 특징들에 의해 부여되는 우수한 밀봉 특성으로 인하여 미생물학적 프로세스에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해제 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정합 가능한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로서,
각각의 부재는 포트와, 재료가 통과하는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들 중의 어느 한 도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형 정합 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도어는 상보적인 형상의 암형 정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두 도어의 해제 가능한 정합 및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도어들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윤곽을 변경하도록 변위 가능한 가동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먼저 능동 부재의 도어를 제거한 후에 수동 부재의 도어를 잠금 해제 및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메커니즘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어들의 잠금 해제와 도어들의 연결을 조합하였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단지 예로서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능동 부재를 보여주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능동 부재의 다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과 도 2a 및 도 2b의 능동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수동 부재를 보여주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부재의 도어를 보여주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부재의 도어를 보여주고;
도 9a 내지 도 9c는 수동 부재와, 수동 부재의 도어, 시일 및 하우징의 확대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8은 입구(14) 및 출구(16)를 갖는 본체(12)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능동 부재(10)로서, 입구(14)와 출구(1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격납 구성(도 3)과, 도관이 출구(16)와 입구(14) 사이에서 연장되고 출구(16)와 입구(14)가 도관(18)을 통해 서로 연통하며 재료가 이들 사이에서 도관(18)을 통해 지나갈 수 있는 전개 구성(도 4)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가능한/연장 가능한 도관(18)에 의하여 재료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입구와 출구가 서로 연통할 수 있는 것인 능동 부재를 보여준다.
본체(12)는 평면형 상면(20)과 하면(22)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 사이에 본체 챔버를 형성하는 측벽(24)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횡방향 섹션을 갖는다.
상면(20)에 있어서 이 상면과 연관된 원형 개구인 입구(14)가 삼각형 본체(12)의 어느 한 코너에 위치해 있고, 능동 잠금 고정 링(32)과 무균 링 양자 모두가 본체의 상부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부재들이다.
도어(30)가 입구(14)를 덮고 개구부는 폐쇄되어 있는 폐쇄 구성과, 도어(30)가 개방되어 있고 입구(14)는 재료의 흐름의 통과를 자유롭게 허용하는 개방 구성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는 도어(30)(도 4)가 입구(14)와 연관되어 있다. 본체(12)는,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의 도어들이 서로 연결되고 유동 경로의 밖으로 이동될 때,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의 도어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내부 공간을 하우징 내에 제공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능동 부재(10)와 수동 부재(100)가 선택적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의 수동 부재(100)와 협력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능동 잠금 고정 링(32)이 입구(14)와 연관되어 있다.
도관(18)은, 격납 구성과 전개 구성 사이에서 도관(18)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 가능한 측벽 부재(42)가 연결되는 원통형 본체(40)를 포함한다. 가요성 측벽 부재(42)의 일단부(44)는 본체/하우징(12)의 출구(16)에 대해 근위측에 있고 이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그 자유 단부(46)는 선택적으로 입구(14)를 통해 그리고 수동 요소/부재(100)의 내부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원통형 본체(40)와 연관되어 있다. 원통형 몸체는, 도관을 그 격납 구성과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작동 아암(43)에 연결된 원주 칼라(41)를 구비한다.
출구(16)는, 본체/하우징의 횡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52)을 갖고 원주 출구 플랜지(54)를 갖는 원형 개구(50)를 포함한다. 플랜지(54)와 측벽(52)은, 재료가 통과 또는 유입되도록 하류측 처리 설비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수동 부재/요소(100)는 원통형 메인 하우징(102)과 도어(104)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구비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메인 하우징(102)은, 이송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밀봉 경계, 재료의 이송을 위한 매끄러운 통로, 및 이송되고 있는 재료에 대한 하나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원통형 라이너(106)를 구비하여, 후속 이송 작업은 적절한 곳에서 다른 라이너로 수행될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경우에는 모든 처리 설비를 완전히 세척/살균할 필요성을 피할 수 있으며; 오히려 라이너를 다른 무균 라이너로 간단히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개구부의 상류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108)이 있는데, 이 측벽은, 도어(104)에 의해 폐쇄 가능한 개구부에 대하여 원위측에 있는 일단부에, 상류측 처리 설비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플랜지(110)를 구비한다. 도어(104)의 상류측에는, 재료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이동 가능한 일체형 밸브 폐쇄 부재(111)가 있다. 재료 이송 중에는, 능동 부재와 수동 부재가 함께 고정되고 이들 부재의 각각의 도어가 유동 경로의 밖으로 이동되며 이송이 요망될 때까지 밸브는 폐쇄될 것이다. 그 후에, 밸브 폐쇄 부재는 재료 이송을 허용하도록 그 개방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측 부분(64)과 최대 30도 회전 가능한 상측 부분(66)을 갖는 육각형 구동부를 포함하는 중앙 배치된 잠금 고정 키(60)를 구비하는 도어(30)는 선택적으로 폐쇄되어 있거나 개방되어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수동 부재/요소(100)의 도어(104)는 상기 육각형 구동부를 수용하는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12)를 구비한다. 상기 육각형 구동부의 상측 부분(66)의 회전(도 7b)으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은 어긋나게 되고, 상반부는 수동 부재의 도어(104)의 언더컷(114)에 포착된다. 이러한 포착으로 상기 도어들은 함께 유지되고, 정반대의 잠금 고정 동작으로 또한 상기 육각형 구동부는 재정렬되며 상기 도어들은 분리되는 것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을 갖는 구동부 등과 같은 다른 다각형 형상의 구동부가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수동 부재의 도어(104)는 캐리어(13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잠금 고정 탭(120)을 갖는 내부 편향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잠금 고정 탭들이 수동 부재의 하우징의 내부 측벽 면에 있는 원주 채널(131)과 협력하고 도어를 잠금 고정하여 도어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 구성과, 잠금 고정 탭들이 캐리어(130) 내에 수용되어 캐리어의 원주 너머로 연장되지 않고 도어는 개방/폐쇄될 수 있는 퇴각 구성 사이에서 잠금 고정 탭들은 이동 가능하다.
상기 내부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수동 부재의 도어(104)는 수동 부재의 라이너(106)의 밑면쪽으로 압박되어 무균 밀봉을 보장한다. 능동 부재의 도어(30) 상의 육각형 구동부가 수동 부재의 도어(104)의 안으로 밀어 올려지는 경우에만, 편향력을 극복하게 된다. 편향력은 무효화되었으므로, 잠금 고정 탭들(120)을 그 확장 구성(도 8a)으로부터 그 퇴각 구성(도 8b)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구동부를 회전시키고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것은 용이하다.
도 9a 내지 도 9c는,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포트가 능동 부재의 포트와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어가 잠금 해제되고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밀봉의 해제와 연관된 여러 단계들과 수동 부재(100)를 보여준다.
도 9a는 수동 부재의 하우징(102)에 고정 및 밀봉된 수동 부재의 도어(104)를 보여준다. 수동 부재는, 수동 부재의 도어(104)와 능동 부재(10)의 하우징의 입구(14)의 내부면과 각각 맞물리는 2개의 립(122, 124)을 갖는 고무 라이너(106)를 구비한다. 2개의 립(122, 124)은, 도킹 또는 도킹 해제를 위한 힘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밀봉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차의 변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이너는 교체 가능한 구성요소이고, 예를 들어 실리콘을 비롯한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라이너는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짧은 작동 수명을 갖고, 일단 충분한 가압 밀봉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교체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구성요소들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라이너를 제조하는 데 적절한 가요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9b는 잠금 고정 탭들(12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130)를 포트의 개구부와 수동 부재의 도어의 본체와 수동 부재의 라이너(106)의 밑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키기 위해 극복된 수동 부재의 도어(104)의 내부 편향 기구를 보여준다.
도 9c는 재료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동 부재의 도어를 유동 경로에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구동부가 회전되어 있는 퇴각 구성의 잠금 고정 탭(120)을 보여준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하측 부분(64)과 최대 30도 회전 가능한 상측 부분(66)을 갖는 육각형 구동부를 포함하는 능동 부재의 도어의 중앙 배치된 잠금 고정 키(60)와, 수동 부재의 도어(104)의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12)를, 상기 도어들을 정합하고 수동 부재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동안의 여러 구성으로 보여준다.
도 10a는 상측 부분(66)과 하측 부분이 정렬되어 있는 육각형 구동부와, 이 육각형 구동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112)가 마련되어 있는 수동 부재의 도어(104)를 보여준다.
도 10b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어 수용된 육각형 구동부를 보여준다.
도 10c는 라이너(106)의 밑면과 잠금 고정 탭(120)의 캐리어(130) 사이의 밀봉을 해제하기 위해 수동 부재의 포트의 종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 내에서 캐리어(130)와 라이너(106)의 밑면 사이로 변위되어 있는 육각형 구동부를 보여준다. 이 단계가 없으면, 수동 부재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밀봉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토크가 너무 커질 것이다.
도 10d는 육각형 구동부의 일부분을 회전시켜, 제2 방향으로 변위된 육각형 구동부로서, 육각형 구동부의 상측 부분을 어긋나게 하여 능동 부재의 도어와 수동 부재의 도어를 함께 고정하도록 상측 부분(66)이 30도 회전되는 제1 구성을 육각형 구동부가 채택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e는 도어들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측 부분(64)과 상측 부분(66)이 회전하고 수동 부재의 도어의 리세스(112)와 협력하여 잠금 고정 탭을 그 확장 구성으로부터 그 퇴각 구성으로 변위시키는 제2 구성으로 변위된 육각형 구동부를 보여준다.

Claims (35)

  1. 해제 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 및 밀봉될 수 있도록 정합 가능하고 그 사이에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로서,
    각각의 부재는 포트를 갖는 하우징과, 재료가 통과하는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가 포트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며 도어가 폐쇄된 폐쇄 구성과, 밀봉이 해제되고 도어가 개방된 개방 구성을 갖고,
    상기 능동 부재의 하우징은 능동 부재의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관에 의해 능동 부재의 포트와 연통할 수 있는 출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포트와 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있지 않은 격납 구성과, 재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포트와 출구가 도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가요성 호스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신축적으로 연장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능동 부재의 하우징의 출구에 대해 근위측에 있는 제1 단부에서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이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능동 부재의 하우징의 포트에 대해 근위측에 있는 제2 단부에서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능동 부재의 하우징의 포트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그 길이를 따라 있는 지점에서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인 이송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수동 부재의 포트와 상기 능동 부재의 출구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이송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부재와 상기 수동 부재는, 살균 매체가 통과해 들어갈 수 있는 상기 능동 부재 및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들의 외부면과의 사이에 입구를 포함하는 챔버가 형성되는 정합 구성을 갖는 것인 이송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매체는 가압 하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인 이송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들 중의 어느 한 도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형 정합 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도어는 상보적인 형상의 암형 정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는 상기 도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고 잠금 해제하도록 서로 정합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부재는,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가 개방 구성일 때, 상기 수동 부재의 포트를 통한 재료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가 개방 구성일 때 상기 수동 부재의 포트를 통한 재료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은 밸브 폐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폐쇄 부재는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또는 재료의 통과를 방지하는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을 각각 갖는 것인 이송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능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는 것인 이송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능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는 것인 이송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인 이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것인 이송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단부는 도어에 연결되며, 자유 단부는 그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자유 단부가 정렬되어 있는 제1 구성과, 상기 본체와 상기 자유 단부가 어긋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본체와 어긋나 있는 자유 단부 양자 모두가 정렬된 제1 구성으로부터 변위되어 있는 제3 구성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는, 도어를 잠금 고정하는 확장 구성과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퇴각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24. 재료의 통과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정합 가능한 능동 부재와 수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로서,
    각각의 부재는 포트와, 재료가 통과하는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들 중의 어느 한 도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형 정합 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도어는 상보적인 형상의 암형 정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두 도어의 해제 가능한 정합 및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포트들의 개방 및 이를 통한 재료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윤곽을 변경하도록 변위 가능한 가동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이송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암형 부재에 의해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고 또한 암형 부재로부터 돌출부가 제거될 수 있는 구성과, 암형 부재에 의해 수용되어 있을 때 수형 부재가 제거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들을 함께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어긋난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능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는 것인 이송 장치.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능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수동 부재의 도어와 연관되어 있는 것인 이송 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인 이송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것인 이송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단부는 도어에 연결되며, 자유 단부는 그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자유 단부가 정렬되어 있는 제1 구성과, 상기 본체와 상기 자유 단부가 어긋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본체와 어긋나 있는 자유 단부 양자 모두가 정렬된 제1 구성으로부터 변위되어 있는 제3 구성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33. 제24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는 상기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이동 가능한 것인 이송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는, 도어를 잠금 고정하는 확장 구성과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퇴각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이송 장치.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장치를 통해 재료를 이송하는 방법으로서:
    ⅰ) 능동 부재와 수동 부재가 서로 접촉하고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의해 수용되도록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의 도어들을 집합시키는 단계;
    ⅱ) 능동 부재와 수동 부재의 도어들을 연결하는 단계;
    ⅲ) 능동 부재와 수동 부재의 도어들을 잠금 해제하고 두 도어 모두를 이송될 재료의 유동 경로의 밖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ⅳ) 도관을 그 격납 구성으로부터 그 전개 구성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ⅴ) 능동 부재 및 수동 부재의 포트를 통하여 그리고 능동 부재의 출구의 밖으로 재료를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30592A 2021-02-26 2022-02-25 이송 장치 KR20230149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2762.8A GB2604151A (en) 2021-02-26 2021-02-26 Transfer Device
GB2102762.8 2021-02-26
PCT/GB2022/050511 WO2022180402A1 (en) 2021-02-26 2022-02-25 Transf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827A true KR20230149827A (ko) 2023-10-27

Family

ID=7537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592A KR20230149827A (ko) 2021-02-26 2022-02-25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42033A1 (ko)
EP (1) EP4298043A1 (ko)
JP (1) JP2024509407A (ko)
KR (1) KR20230149827A (ko)
CN (1) CN116981635A (ko)
CA (1) CA3209903A1 (ko)
GB (1) GB2604151A (ko)
WO (1) WO20221804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5384A (en) * 1994-11-23 1996-05-29 Atomic Energy Authority Uk Dispensing valve
DE19526510C2 (de) * 1995-07-20 1997-05-15 Waldner Gmbh & Co Hermann Automatisches Transfersystem
GB9707641D0 (en) * 1997-04-15 1997-06-04 Matcon R & D Ltd Apparatus and system for handling material
ITTO20031052A1 (it) * 2003-12-30 2005-06-30 Paolo Debolini Dispositivo di carico/scarico di apparecchiature di processo.
DE102018000978A1 (de) * 2018-02-07 2019-08-08 Pharmatec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fer von pharmazeutischen Feststoffen mit einem Andock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81635A (zh) 2023-10-31
GB2604151A (en) 2022-08-31
US20240142033A1 (en) 2024-05-02
EP4298043A1 (en) 2024-01-03
CA3209903A1 (en) 2022-09-01
WO2022180402A1 (en) 2022-09-01
JP2024509407A (ja) 2024-03-01
GB202102762D0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6941T3 (es) Válvula dividida
US10722892B2 (en) Transfer device
EP0730907B1 (en) Transfer port system
US9816618B2 (en) Valve assembly
US5238660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US6679672B1 (en) Transfer port for movement of materials between clean rooms
KR20230149827A (ko) 이송 장치
EP0187892B1 (en) Separable couplings for containers
US6913048B2 (en) Apparatus for coupling two storage and/or transport units to a safety device
US20110088353A1 (en) Docking device comprising two coupling closures for the environmentally sealed transfer of bulk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locking unit
CN115103743A (zh) 允许两个封闭体积之间的密封转移的门组合件
CN107339425B (zh) 一种控制交叉污染的双圈密封装置
US20230023376A1 (en) Door Arrangement Fitted To A First Enclosed Space For Reducing Contamination Risks When A Second Enclosed Space Is Connected To The First Enclose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