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130A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130A
KR20230149130A KR1020220048433A KR20220048433A KR20230149130A KR 20230149130 A KR20230149130 A KR 20230149130A KR 1020220048433 A KR1020220048433 A KR 1020220048433A KR 20220048433 A KR20220048433 A KR 20220048433A KR 20230149130 A KR20230149130 A KR 2023014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backplate
cover glas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진
정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맹그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맹그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맹그로브
Priority to KR102022004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130A/ko
Publication of KR2023014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과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화면을 접고 펼칠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모바일 기기가 각광을 받으면서, 이에 대응하여 접고 펼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cover glass)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공개특허 제10-2021-0083883호에는 커버 글래스와 백플레이트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에 의해 접착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면의 폴딩부에 홈 형태의 주름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083883호 (2021.07.07)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부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을 개선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부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이 커버 글래스 및 백플레이트의 접착제로 주로 사용되는 PSA가 다른 구조 층의 소재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커버 글래스 및 백플레이트의 접착제를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대체하여 폴딩부에서의 주름 발생 현상을 개선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과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정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백플레이트는, 공극이 형성되는 글래스 판재와, 상기 글래스 판재의 양면을 각각 덮는 두 개의 코팅층들과, 상기 공극에 채워지고 상기 두 개의 코팅층들과 연결되는 충진물을 구비하며, 상기 글래스 판재는 서로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두 개의 비변형 구조부와, 상기 두 비변형 구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비변형 구조부를 연결하는 변형 구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형 구조부는 길이방향 상에서 변형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변형 구조부는 상기 변형 구조부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상기 공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들에 의해서 그물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글래스와 백플레이트의 접착제로 종래의 기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PSA 소재보다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TPE 소재가 사용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부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백플레이트로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는 금속 또는 CFRP 소재보다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유리 기반 소재가 사용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부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백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플레이트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백플레이트에서 글래스 판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에 배치되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12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130)와, 커버 글래스(12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과, 백플레이트(13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을 포함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길이방향 일정 구간(E)에 걸쳐서 굽힘부(101)가 형성되어서, 실선 및 파선으로 도시된 형태와 같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고 펼칠 수 있게(foldable)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도 1에서 상면) 상에 커버 글래스(120)가 배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도 1에서 하면) 상에 백플레이트(130)가 배치된다.
커버 글래스(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 상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덮도록 배치되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한다. 커버 글래스(120)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 상에 접착된다. 커버 글래스(120)는 초박막 유리(UGT: Ultra Thin Glass)로서, 40㎛ ~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커버 글래스(120)의 두께가 40㎛보다 작으면, 복원력이 미흡하여 굽힘부(101)에서 주름 형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20)의 두께가 50㎛보다 크면, 굽힘부(101)에서 요구되는 굽힘 성능(대체로 1.5mm의 곡률반경)을 구현하기 어렵다.
백플레이트(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백플레이트(130)는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상에 접착된다. 도 2에는 백플레이트(130)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백플레이트(130)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서, 중심층(140)과, 중심층(140)의 양면을 각각 전체적으로 덮는 제1 코팅층(150) 및 제2 코팅층(160)을 포함한다.
백플레이트(130)에는 평면 상에서 변형부(131)와, 변형부(13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변형부(133) 및 제2 비변형부(137)가 형성된다. 변형부(131)는 백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X) 상에서 변형 구간(B)에 걸쳐서 형성되며,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1 비변형부(133)와 제2 비변형부(137)의 사이에 위치한다. 변형부(131)는 백플레이트(130)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가변된다. 변형부(131)가 형성되는 변형 구간(B)은 도 1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굽힘부(101)가 형성되는 구간(E)에 대응한다. 제1 비변형부(133)는 변형부(131)와 길이방향(X)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제1 비변형 구간(C1)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1 비변형부(133)는 변형되지 않고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유지한다. 제2 비변형부(137)는 변형부(131)와 길이방향(X)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제2 비변형 구간(C2)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2 비변형부(137)는 변형되지 않고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유지한다.
도 3에는 백플레이트(130)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심층(140)은 글래스 판재(141)와, 글래스 판재(141)에 형성된 공극을 채우는 충진물(149)을 구비한다.
도 4에는 글래스 판재(141)가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글래스 판재(141)는 백플레이트(130)의 형태에 대응하는 유리 재질의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로서, 변형 구간(B)에 걸쳐서 형성되는 변형 구조부(142)와, 제1 비변형 구간(C1)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1 비변형 구조부(144)와, 제2 비변형 구간(C2)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2 비변형 구조부(147)를 구비한다. 변형 구간(B)은 도 1에서 굽힘부(101)가 형성되는 구간(E)에 대응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글래스 판재(141)의 두께는 약 100㎛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대체로 직사각형인 글래스 판재(141)의 길이(L)는 약 159.2㎜이고, 폭(W)은 약 66㎜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 구조부(142)는 길이방향(X) 상에서 변형 구간(B)에 걸쳐서 형성된다. 변형 구조부(142)는 글래스 판재(141)에서 길이방향(X) 중심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 구조부(142)가 형성된 변형 구간(B)은 전체 길이(L)의 약 10%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 구조부(142)는 백플레이트(130)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벤딩부를 형성한다. 변형 구조부(142)는 메시(mesh)(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변형 구조부(142)의 메시 구조에 의해 접고 펼칠 수 있는 변형은 가능하지만 두께는 변하지 않는다. 메시 구조인 변형 구조부(142)에 의해 변형 구조부(412)에는 두께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구(143)들이 형성된다. 변형 구조부(142)는 굽힘시 곡률반경을 가능한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며, 본 실시예에서 관통구(143)들에 의한 변형 구조부(142)의 공극률은 2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20%보다 낮으면 원하는 곡률을 확보하기 어렵고, 공극률이 50%보다 높으면 변형 구조부(142)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관통구(143)들은 충진물(149)로 채워진다.
제1 비변형 구조부(144)는 길이방향(X) 상에서 제1 비변형 구간(C1)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1 비변형 구조부(144)는 변형 구조부(142)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제1 비변형 구조부(144)는 대체로 편평한 판상으로서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제1 비변형 구조부(144)에는 복수개의 제1 비변형 구조부 홀(145)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비변형 구조부 홀(145)들에 의한 제1 비변형 구조부(144)의 공극률은 1.5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비변형 구조부(144)의 공극률이 1.5%보다 낮으면 원하는 열적 성능을 얻기 어렵고, 공극률이 20%보다 높으면 제1 비변형 구조부(144)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복수개의 제1 비변형 구조부 홀(145)들은 충진물(149)로 채워진다.
제2 비변형 구조부(147)는 길이방향(X) 상에서 제2 비변형 구간(C2)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2 비변형 구조부(147)는 변형 구조부(142)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제2 비변형 구조부(147)는 대체로 편평한 판상으로서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제2 비변형 구조부(147)에는 복수개의 제2 비변형 구조부 홀(148)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비변형 구조부 홀(148)들에 의한 제2 비변형 구조부(147)의 공극률은 1.5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비변형 구조부(147)의 공극률이 1.5%보다 낮으면 원하는 열적 성능을 얻기 어렵고, 공극률이 20%보다 높으면 제2 비변형 구조부(147)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복수개의 제2 비변형 구조부 홀(148)들은 충진물(149)로 채워진다.
충진물(149)은 글래스 판재(141)의 변형 구조부(142)에 형성된 관통구(143)들, 제1 비변형 구조부(144)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비변형 구조부 홀(145)들 및 제2 비변형 구조부(147)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비변형 구조부 홀(148)들을 채운다. 충진물(149)은 제1 코팅층(150) 및 제2 코팅층(160)과 일체로 형성된다. 충진물(149)은 제1 코팅층(150)과 제2 코팅층(160)과 동일한 소재로서, 두 코팅층들(150, 16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코팅층(150)은 중심층(140)의 양 면중 제1 면(140a)(도면에서 상면)을 덮는다. 제1 코팅층(150)은 탄소기반 수지재로 이루어져서 고탄성/고열전도율 및 우수한 절연 특성을 제공한다. 제1 코팅층(150)은 코팅액을 글래스 판재(141)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제1 코팅층(150)은 중심층(140)의 충진물(149)과 일체로 형성되고 충진물(149)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코팅층(150)의 두께는 5 ~ 20㎛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코팅층(160)은 중심층(140)의 양 면중 제2 면(140b)(도면에서 하면)을 덮는다. 제2 코팅층(160)은 제1 코팅층(15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2 코팅층(160)은 코팅액을 글래스 판재(141)의 타면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제2 코팅층(160)은 중심층(140)의 충진물(149)과 일체로 형성되고 충진물(149)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코팅층(160)의 두께는 5 ~ 20㎛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코팅층(150) 및 제2 코팅층(160)은 코팅액을 글래스 판재(141)의 양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며, 코팅액이 코팅되는 과정에서 코팅액은 글래스 판재(141)의 관통구(143)들 및 제1, 제2 비변형 구조부 홀(145, 148)들에도 채워져서 충진물(149)도 형성된다. 제1 코팅층(150)과 제2 코팅층(160)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액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코팅, 3D 프린팅, 바(롤러) 코터를 이용한 코팅, 스핀 코터를 이용한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다이 코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액은 5 ~ 25중량%의 탄소재, 0.5 ~ 3중량%의 PVA(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1 ~ 3중량%의 그래핀(Graphene), 1 ~ 3중량%의 탄소나노튜브(CNT), 25 ~ 35중량%의 물, 30 ~ 40중량%의 알코올(alcohol)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재,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는 열확산 기능을 향상시킨다. PVA는 접착제, 강화제, 안정제의 역할을 한다. 물과 알코올은 용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유리 소재 기반의 백플레이트(130)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SUS) 또는 CFRP 소재 기반의 백플레이트보다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굽힘부(101)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은 커버 글래스(12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커버 글래스(12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면 상에 접착시킨다.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가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또는 에틸렌초산비닐(EVA: Ethylene-Vinyl Acetate)인 것으로 설명한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는 종래의 기술에서 커버 글래스(120)의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보다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굽힘부(101)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된다.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계 접착제가 커버 글래스(120)에 코팅되어서 형성되거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필름이 커버 글래스(120)에 합지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은 백플레이트(13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백플레이트(13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상에 접착시킨다.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가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또는 에틸렌초산비닐(EVA: Ethylene-Vinyl Acetate)인 것으로 설명한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는 종래의 기술에서 커버 글래스(120)의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보다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굽힘부(101)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개선된다.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계 접착제가 백플레이트(130)에 코팅되어서 형성되거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필름이 백플레이트(130)에 합지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과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이 모두 TPE 소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과 백플레이트 접착층(190) 중 어느 하나만 TPE 소재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백플레이트(130)가 유리 기반 소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금속 및 CFRP 등 다른 소재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글래스 접착층(180)의 사이에는 터치 패널, 편광판 등의 층 구조물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플레이트 접착층(190)의 사이에는 다른 층 구조물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커버 글래스 130 : 백플레이트
140 : 중심층 142 : 변형 구조부
143 : 관통구 144 : 제1 비변형 구조부
145 : 제1 비변형 구조부 홀 147 : 제2 비변형 구조부
148 : 제2 비변형 구조부 홀 141 : 글래스 판재
149 : 충진물 150 : 제1 코팅층
160 : 제2 코팅층 180 : 커버 글래스 접착층
190 : 백플레이트 접착층

Claims (1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과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상에 접착시키는 커버 글래스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정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상에 접착시키는 백플레이트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또는 에틸렌초산비닐(EVA: Ethylene-Vinyl Acetate)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공극이 형성되는 글래스 판재와, 상기 글래스 판재의 양면을 각각 덮는 두 개의 코팅층들과, 상기 공극에 채워지고 상기 두 개의 코팅층들과 연결되는 충진물을 구비하며,
    상기 글래스 판재는 서로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두 개의 비변형 구조부와, 상기 두 비변형 구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비변형 구조부를 연결하는 변형 구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형 구조부는 길이방향 상에서 변형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변형 구조부는 상기 변형 구조부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상기 공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들에 의해서 그물망 형상을 가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은 상기 두 개의 코팅층들과 동일한 소재이며,
    상기 두 개 코팅층들은 상기 충진물과 일체로 연결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두 비변형 구조부들 각각에는 두께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상기 공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비변형 구조부 홀들이 형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들에 의한 상기 변형 구조부의 공극률은 20 ~ 50%이며,
    상기 복수개의 비변형 구조부 홀들에 의한 상기 비변형 구조부의 공극률은 1.5 ~ 20%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계 접착제가 상기 커버 글래스에 코팅되어서 형성되거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필름이 상기 커버 글래스에 합지되어서 형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접착층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계 접착제가 상기 백플레이트에 코팅되어서 형성되거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필름이 상기 백플레이트에 합지되어서 형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8433A 2022-04-19 2022-04-1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49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33A KR20230149130A (ko) 2022-04-19 2022-04-1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33A KR20230149130A (ko) 2022-04-19 2022-04-1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130A true KR20230149130A (ko) 2023-10-26

Family

ID=8850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433A KR20230149130A (ko) 2022-04-19 2022-04-1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1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83A (ko)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83A (ko)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8170B (zh) 可折叠显示装置
US11088700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and rollable device
CN109423226B (zh) 粘结剂和使用其的柔性显示器
CN111327735B (zh) 柔性屏支撑组件及折叠显示终端
TWI375168B (en) Touch panel
KR102344763B1 (ko)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2717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jig
US11908349B2 (en)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8877530B (zh) 可挠式显示器
WO2019144481A1 (zh) 一种复合胶材结构和显示屏
KR102562373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2919100A1 (en)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JP2014505942A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を含む液晶表示装置
JP7340109B2 (ja) 電子デバイス
US20220161517A1 (en) Mechanical-metamaterial-based stretchable sustrate with negative poisson's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314351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41255A (ko) 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방법
KR102483583B1 (ko) 플렉서블 센서
KR20230149130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534525B2 (ja) タッチパネル
US1128241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777384B2 (ja) タッチパネル
CN115880996A (zh) 显示组件及显示面板
KR202301687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플레이트,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274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