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975A -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975A
KR20230148975A KR1020220048021A KR20220048021A KR20230148975A KR 20230148975 A KR20230148975 A KR 20230148975A KR 1020220048021 A KR1020220048021 A KR 1020220048021A KR 20220048021 A KR20220048021 A KR 20220048021A KR 20230148975 A KR20230148975 A KR 2023014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ice
control device
central control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희
신정아
한세현
Original Assignee
손승희
신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신정아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22004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975A/ko
Publication of KR2023014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로부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앱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앱 구동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A central control device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price indicator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에 근접한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전자가격표시기에 대한 상이한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 매장의 선반에는 상품들이 진열되고, 상품들에 대한 판매 가격, 할인 정보, 단가, 원산지 등과 같은 정보가 레이블에 표시된다.
최근, 종이 레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자 가격 표시기(ESL, Electronic Shelf Label) 또는 전자 선반 레이블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가격 표시기는 중앙 관제 센터(서버)에서 해당 상품의 가격 관련 정보를 무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가격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또한, 전자 가격 표시기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잦은 정보 변경이나 할인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스토어 심볼(store symbol), 프로모션 이미지(promotion image), 바코드(barcode), 상품 이름(product name), 상품 이미지(product image), 원산지 정보 등의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자 가격 표시기는 상품마다 대응되어 선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작은 크기의 컨텐츠만을 출력할 수밖에 없는 제약 사항이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분리된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각 전자 가격 표시기의 경우, 각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아 시각장애인의 경우에 각 가격표시기에서 출력한 컨텐츠의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개별적인 전자 가격 표시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적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현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쉽게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상에서,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밖에 구비될 수 없는 환경에서, 제한된 크기/개수의 객체의 텍스트/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인 경우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디스플레이 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동일 컨텐츠라도 크기가 커진 상태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로부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앱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앱 구동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통합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에 해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 상이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발광부의 광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상기 각 발광부를 통해 발광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상기 각 발광부가 함께 발광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음성출력부를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성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적인 전자 가격 표시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적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현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쉽게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 컨텐츠라도 크기가 커진 상태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1)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1)에 표시되는 컨텐츠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통합 레이아웃을 형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예시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1)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 중앙제어장치(2), 및 사용자 단말(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가격표시기(1)는 복수 개가 진열대에 거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인접'이란,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가 이웃하여 접해 있거나, 접하지 않더라도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거리는 제어시스템마다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각각은 진열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진열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는 중앙제어장치(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중앙제어장치(2)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앱을 구비하여 중앙제어장치(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전자가격표시기(1)가 전반적으로 제어되도록 앱을 통해 중앙제어장치(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전자가격표시기(1)의 전반적인 제어와 관리, 및/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3)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3)에 앱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해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각각은 발광부(10), 제어부(20), 통신부(30), 디스플레이부(40), 사용자 감지부(50), 센서(60), 및 음성출력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는 LED,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색상(예> 적색, 황색, 녹색 등)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부(10)를 통해 출력되는 광의 세기는 제어부(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전자가격표시기(1)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감지부(50)에 의한 사용자 근접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중앙제어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는 사용자 감지부(50)에 의한 사용자 근접이 소정의 시간 경과하도록 감지되면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제어부(20)의 동작에 기초해 각종 영상 컨텐츠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50)는 사용자가 전자가격표시기(1)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 등 다양한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40)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60)는 감지부 및 피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감지부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감지부가 수신하여 센서간의 거리 및 각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등 단거리를 측정하거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60)는 각 디스플레이부(40)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60)는 각 디스플레이부(40)의 모서리/코너/중앙부분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70)는 음성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가격표시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중앙제어장치(2)로부터 전자가격표시기(1)가 수신하면, 제어부(2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해 전자가격표시기(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가격표시기(1)를 통해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중앙제어장치(2)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해 디스플레이부(40) 상에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가격표시기(1)를 통해 음성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중앙제어장치(2)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해 음성출력부(70)를 통해 음성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전자가격표시기(1)의 외관과 가로 길이가 동일한 화면(4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40)의 일 측부 영역은 베젤리스(bezel-less)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40)의 상측부, 하측부,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젤(42)이 구성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전자가격표시기(1)가 하나가 아닌 복수개인 경우에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40)를 베젤리스로 구현하고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제어모듈(21) 및 저장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21)은 중앙제어장치(21)의 전반적인 기능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0)에서 중앙제어장치(2)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감지 신호가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3)로부터 중앙제어장치(2)로 앱 구동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모듈(21)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앱 구동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은,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 중 제어 명령에 기초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자가격표시기들일 수 있다. 즉, 제어 명령에 기초해 제어 대상이 되는 전자가격표시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의 경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은 5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1a 내지 1e)로 구성되고, 도 7의 (a)의 경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은 3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1a 내지 1c)로 구성되며, 도 7의 (b)의 경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은 2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1a 내지 1b)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22)은 중앙제어장치(2)의 제어 및 동작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모듈(22)은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 각각의 식별 번호마다 상품 관련 정보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관련 정보는 상품 속성 정보, 상품에 대한 행사 정보, 및 상품 구매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 번호, 해당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 해당 사용자의 장애 여부(시각장애인인지 여부), 및 장애 중증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속성 정보는 상품명, 상품의 종류, 상품의 가격, 시간 정보(상품의 제조 시간, 유통 기한 등), 상품의 구성, 사용법이나 성능 등의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매 이력 정보는 상품 구매 일자, 가격, 상품 구매 빈도수, 상품 평가 정보, 구매 예약 정보, 사용자 멤버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관련 정보 및/또는 사용자 관련 정보는 영상 컨텐츠 또는 음성 컨텐츠로 전자가격표시기(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가격표시기(1)에 표시되는 컨텐츠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순서도에 있어서, 각 단계는 일예이며, 각 순서를 다르게 변경 및/또는 조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설명하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1, 1a 내지 1n) 중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s10), 생성된 감지 신호를 중앙제어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s11).
사용자 단말(3)은 앱을 구동하여 앱 구동 신호를 중앙제어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s20.s21)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수신한 앱 구동 신호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장치(2)는 감지 신호를 송출한 전자가격표시기(1)의 식별 번호와 앱 구동 신호를 송출한 사용자 단말(3)의 식별 번호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시각장애인은 시력이 완전히 상실되지 않은 상태의 시각장애인인 것을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중앙제어장치(2)는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된 전자가격표시기(1)의 식별 번호와 이에 매핑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참조해, 해당 사용자 단말(3)의 식별 번호와 해당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통합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31).
중앙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것으로 판단하면,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전자가격표시기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자가격표시기들을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제어장치(2)가 전자가격표시기(1a)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것으로 판단하면, 도 6의 (a)의 경우, 각 전자가격표시기(1a 내지 1e)를 전자가격표시그룹에 포함시키고, 도 7의 (a)의 경우, 각 전자가격표시기(1a 내지 1c)를 전자가격표시그룹에 포함시키며, 도 7의 (b)의 경우, 각 전자가격표시기(1a 내지 1b)를 전자가격표시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통합된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2)는 전자가격표시그룹 내에서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해, 이들을 통합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 레이아웃은 컨텐츠가 출력되기 위해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합하여 새롭게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기 위한 경계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장치(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40) 각각의 위치 정보, 배치 형태,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 디스플레이부(40)의 위치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부(40)의 코너의 좌표값들로서 각 디스플레이부(40)의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부(40)의 코너의 좌표값들은 기준이 되는 하나의 좌표값과 각 디스플레이부(40)의 크기게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부(40a, 40b, 40c)의 크기가 (가로: w, 세로: h) 라고 가정하고, 디스플레이부(40b)의 기준 좌표값을 (x,y: 61-7의 좌표값) 라고 설정한 경우, 중앙제어장치(2)는 디스플레이부(40b)의 각 코너에 구비된 센서(61-5 내지 61-8)의 센싱 정보로부터 각 코너의 좌표값을 ((x, y+h) (x+w, y+h) (x,y), (x+w, y))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부(40a, 40b, 40c)의 해상도가 10:5라고 가정하면, 중앙제어장치(2)는 각 디스플레이부(40a, 40b, 40c)에 구비된 센서(61-1 내지 61-4, 61-5 내지 61-8, 61-9 내지 61-12)의 센싱값을 참조해 생성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40a, 40b, 40c)의 위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a, 40b, 40c) 각각의 화면이 통합된 30:5의 해상도를 가지는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들이며, 각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해상도로 구성된 통합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 센서인 경우에도 도 8의 (a)에서 설명한 각 배치 형태에 따른 해상도로 구성된 통합 레이아웃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5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로 구성된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하나의 영상 컨텐츠("TWO CARROTS with 50% OFF (March, 2022)")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분리된 각 컨텐츠가 각 전자가격표시기(1)에서 재생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재생되도록 하여, 컨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재생되면서도 보다 커진 사이즈의 컨텐츠로 재생될 수 있어 시각장애인에게 매우 효과적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더불어, 각 전자가격표시기(1)의 디스플레이부(40)가 베젤리스로 구현되기 때문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일 부분이 각 디스플레이부(40) 사이에 걸쳐지게 된 경우에도, 컨텐츠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이 작은 사이즈인 전자가격표시기(1)의 물리적인 내지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고 기존의 전자가격표시기(1) 그대로를 이용하면서도, 확대된 사이즈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효과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장치(2)는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2)는 해당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경우,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된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에 비례하여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도 7의 (a)와 같이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많게 결정하여 3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로 구성된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하나의 영상 컨텐츠("TWO CARROTS with 50% OFF (March, 2022)")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결정하여, 2개의 전자가격표시기들로 구성된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하나의 영상 컨텐츠("TWO CARROTS with 50% OFF (March, 2022)")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를 반영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통합 레이아웃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객체를 포함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중앙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 상이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32).
즉, 도 6의 (b)와 같이, 중앙제어장치(2)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자가격표시기(1a 내지 1e) 각각의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통해 상이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전자가격표시기(1a 내지 1e)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각 전자가격표시기를 통해 각 상품에 대한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경우와 시각장애인이 아닌 경우를 서로 구분하여, 시각장애인인 경우이면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확대된 객체의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면서도, 시각장애인이 아닌 경우이면, 각 전자가격표시기를 통해 상이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여, 각 전자가격표시기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각 전자가격표시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각 전자가격표시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중앙제어장치(2)는 s31 또는 s32의 각 단계 수행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하여(s40),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의해 제어 명령에 따른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s50).
한편, 중앙제어장치(2)는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이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가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해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s61 이후의 단계는, 해당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시각장애인이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전송하고(s61), 사용자 단말(3)로부터의 회신 정보에 기초해 해당 시각장애인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의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회신 정보는 앱을 통한 음성의 형태로 송수신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1)의 각 발광부(10)의 광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71).
즉, 중앙제어장치(2)는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확대된 사이즈로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이후에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가 여전히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컨텐츠가 통합 레이아웃 상에 확대된 사이즈로 출력된 상태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발광부(10)가 추가 이용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확대된 사이즈의 컨텐츠가 출력됨과 동시에 발광부(10)까지 함께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전자가격표시기(1)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전자가격표시기(1)의 각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색상은 모두 동일하게(통일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안정감을 주는 편안한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전자가격표시기(1) 중 일부 전자가격표시기(1)의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색상은 다른 전자가격표시기(1)의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색상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중 "ID Han: TWO CARROTS with 50% OFF"가 출력되는 전자가격표시기(1)의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색상과 "(March, 2022)" 가 출력되는 전자가격표시기(1)의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색상이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텐츠가 가리키는 정보의 속성이 구분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1)의 각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중앙제어장치(2)는 해당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 경우, 저장모듈(22)에 기 저장된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해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1)의 각 발광부(10)를 통해 발광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광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조절하여 발광되도록 할 수 있는 반면,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광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조절하여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를 반영해 광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시각장애인의 상태와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 제공 환경이 되면서도,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2)는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하여(s72),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의 각 발광부를 통해 상기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발광이 수행될 수 있다(s73).
이어서,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시각장애인이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로 전송하고(s81), 사용자 단말(3)로부터의 회신 정보에 기초해(s82) 해당 시각장애인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식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의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회신 정보는 앱을 통한 음성의 형태로 송수신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는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상기 각 발광부(10)가 함께 발광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여전히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음성출력부(70)를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성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91). 그리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하여(s92) 전자가격표시기그룹의 각 음성출력부(70)를 통해 상기 음성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중앙제어장치(2)가 시각장애인의 컨텐츠 식별 불능 상태를 순차적으로 체크해가면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한 확대 컨텐츠 출력-> 발광부(10)를 통합 발광-> 음성 컨텐츠로의 출력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해당 시각장애인의 장애 중증도에 맞춤형인 출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특히, 순차적으로 체크하는 각 중간 단계에서, 시각장애인에게 컨텐츠 식별 상태를 문의하는 상호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시각장애인 맞춤형 출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의 양상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 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 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 중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로부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앱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앱 구동 신호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가격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으로 전송하는,
    중앙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통합된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에 해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 상이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될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개수를 결정하는,
    중앙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통합 레이아웃을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포함된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발광부의 광이 함께 발광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중증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상기 각 발광부를 통해 발광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중앙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상기 각 발광부가 함께 발광된 이후에도,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각 전자가격표시기의 각 음성출력부를 통해 상기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성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가격표시기그룹에 대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

KR1020220048021A 2022-04-19 2022-04-19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KR20230148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21A KR20230148975A (ko) 2022-04-19 2022-04-19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21A KR20230148975A (ko) 2022-04-19 2022-04-19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975A true KR20230148975A (ko) 2023-10-26

Family

ID=8850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021A KR20230148975A (ko) 2022-04-19 2022-04-19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9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0002B1 (en) Tracking of objects using markers
CN107864679B (zh) 用于商品化电子显示的系统和方法
CN102651154B (zh) 自动贩卖机及其操作系统与操作方法
KR10179362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040628B1 (en) Item replacement assistance
US20160125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dvertising
US9024885B2 (en)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flash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KR20160027576A (ko) 얼굴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장치
US9031872B1 (en) Digital sign with incorrectly stocked item identification
JP2009540349A (ja) 物理的対象物の選択に関する光フィードバック
US2010014646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582118B2 (en) Optical detec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Vermeulen et al. Proxemic flow: Dynamic peripheral floor visualizations for revealing and mediating large surface interactions
JP5481954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センサシステム
US20180101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user to a location of interest
TWI719561B (zh) 電子裝置、互動型資訊展示方法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20230148975A (ko)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전자가격표시기와 통신하는 중앙제어장치
KR101174278B1 (ko) 교육 기능을 제공하는 엘이디 블록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816557A (zh) 可施行光學移動品質判斷方法的電腦可讀取記錄媒體以及使用此光學移動品質判斷方法的光學移動偵測裝置
JP2023505930A (ja) 対話インタフェースでの起動を持つ電子棚ラベル
US97278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icking operation errors
JP2018054564A (ja) 画像表示装置
KR102626535B1 (ko) 가격표시 제어장치
KR20230148973A (ko) 전자가격표시기 제어시스템
JP2013003405A (ja) 商品属性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