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133A -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133A
KR20230148133A KR1020230133885A KR20230133885A KR20230148133A KR 20230148133 A KR20230148133 A KR 20230148133A KR 1020230133885 A KR1020230133885 A KR 1020230133885A KR 20230133885 A KR20230133885 A KR 20230133885A KR 20230148133 A KR20230148133 A KR 2023014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metering
contract
power line
met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창
Original Assignee
이현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창 filed Critical 이현창
Priority to KR102023013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133A/ko
Publication of KR2023014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6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6Measuring real component; Measuring reactive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기사업자가 전기위원회 등의 결정에 따라 차등 가격을 적용하는 계약종별에 따라 전기요금 단가가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동일 구역 내에서 가격이 저렴한 계약전력을 사용하는 것과 다세대 주택에서 계약세대가 아닌 타 세대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등의 위약사항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을 공개하여 전기요금을 낮추기 위해 불법으로 타 계약종별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과 타 세대에서 전력을 사용하여 과금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활선 상태에서 점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evidence of electric power system where consumer breaches the contract or misconnection}
전력량계, 위약사용, 오결선, 계량기
정부에서는 상대적 약자인 농어촌 지원과 저수요 시간에 전력사용 증진을 위해 전기요금 체계를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상대적 약자인 농어촌 지원과 저수요 시간에 전력사용 증진을 위해 전기요금 체계를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 있다.
계약종별 적용범위 판매단가
주택용 주거용, 공동주택 108
일반용 공공용, 영업용 130
산업용 광업용, 공업용 107
농사용 농업용, 어업용 47
가로등 가로등, 보안등 113
심야 심야전력기기 67
위와 같이 주택용과 농사용 판매단가가 거의 2배 차이가 있어 [도 1]과 같이 농어촌 등에서 동일 장소에 두가지 다른 계약종별, 가정용과 농사용, 계약전력을 수용한 경우 가격이 싼 농사용 전력을 가정용 대신으로 사용하는, 즉 계약위반(위약)하여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집합 건물에서 [도 2]와 같이 각 세대로 전력을 공급하는 계량기와 실제 전력사용 세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오계량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전 기술에서는 고객에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를 구분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되었지만, 동일 변압기에 연결된 저압선 전체에 변압기 정보를 상시 브로드캐스팅하고 있어 계량기에 의해 세대별 또는 계약 종별 구분이 되어 있는 환경에서 이를 구별하기는 곤란한 상황이다.
또한 위약 사용 현장을 검증하거나 세대별 확인을 위해 정전을 하여야 한다는 것도 고객의 동의가 없으면 이를 현장에서 검증하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같은 변압기에서 공급받는 전력선이라도 계량기 단위로 전력선을 파악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상황에서 변압기 단위가 아닌 계량기 단위로 계약종별 또는 세대별 구분이 가능하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전력공급 지장없이 이를 현장에서 검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병렬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전력 계량장치가 공급하는 부하와 상기 계량장치와 계약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의의 부하가 사용되는 장소에서 계약정보를 전류신호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전력 계량장치의 전력선과 자계센서로 결합되어 상기 송신기가 보낸 상기 전류신호의 유효성과 내용을 파악하는 자계신호 분석부;
상기 전력 계량장치의 계약정보를 입력하는 설정부;
상기 자계신호 분석부가 수신한 계약정보와 상기 설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계약정보를 비교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가 비교, 판단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시간으로 정전 없이 계약종별과 다른 저렴한 전력을 사용하거나 타인의 전기를 사용하는 위약행위를 검출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제시로 전기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입확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2개의 다른 계약종별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도 2]는 2세대 이상으로 구성된 집합건물에서 세대별 전력공급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장치로서 계량기측과 부하측에 인력이 있어 양측에서 동시에 작업할 때 사용하는 장치의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계량기 측에는 사람이 없고 부하측에 인력이 이동하며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간이장치를 사용하는 업무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장치를 사용하는 업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공급 계약종별 및 계약세대(이하 "계약정보"라 한다)를 구분하는 장치인 전력량계와 연결된 전력선에서 결합하여 정확하게 사용되는 부하가 계약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에 대해서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실례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2가닥 전력선을 사용하는 단상 전력공급의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3상의 경우에도 3선(델타) 또는 4선(성형)을 사용하는 구성에서 해당 선로만큼 센서 및 전송신호 회로를 갖추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린다.
[도 1]과 같이 여러 개의 계약종별 계량기가 동일전원과 병렬하여 연결되어 있고 해당 부하에 전용으로 설치된 별도의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만약 전기요금 단가가 낮은 농사용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에 일반 가정용 부하가 걸려 있으면 위약 사용이 되는 것이다.
[도 2]와 같이 각 계약 세대별 별도의 배선이 있고 거기에 해당되는 각각의 계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계약 세대로 가는 배선과 계량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타 세대의 전력사용량이 오부과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도 3]과 [도 5]는 간이장치인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사용하여 계량장치와 부하 양측에 인력이 배치되어 해당 부하와 어느 계량기가 계약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간이장치이다. 먼저 계량장치 측에 다수개의 수신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전력선에 자계신호 수신센서(F1, F2)를 연결한다. 반면 부하측 인력은 해당 계약정보 또는 장치번호를 송신장치에 설정하고 전류신호 형태로 상기 정보를 수신장치로 송신한다.
수신장치는 상선과 중성선에 연결된 자계신호 센서에서 수신된 2개의 센서 모두가 정의된 형태의 부호에 맞게 송신장치가 보낸 계약정보가 정확히 수신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내용을 표시하여 탐사인력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선에서만 신호가 검출되었을 시에는 나머지 중성선을 파악하고 중성선이 다른 곳에서 파악되면 결선 수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표시하고, 상선은 파악되었으나 나머지 중성선이 파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전의심 표시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계약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약으로 표시한다.
[도 4]와 [도 6]은 계량장치에는 부장치를 설치하고 인력을 철수하고(배치하지 않고) 부하측에서만 인력이 주장치를 사용하여 계약종별 및 세대정보를 파악하는 경우 장치구성 및 업무흐름을 설명한다.
이전기술에서는 변압기 정보를 변압기에 연결된 저압선 전체에 브로드캐스팅하여 부하에서 단말자치를 연결하면 즉시 파악하도록 하였는데, 이 발명 환경에서는 동일 변압기 전원이 계량기를 통해 각각 병렬회로로 구성되어 부하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전 기술과 같이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사용할 경우 동일 내용이 모든 부하에서 수신되므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에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먼저 주장치에서 요청시에만 해당되는 부장치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대답에 의해 다시 전송받은 정보를 주장치가 표시하여 인력이 그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류신호 발생장치가 설정값에 의해 연결된 부하의 특성에 따라 계약종별 정보 또는 세대정보를 부장치로 전송하면, 부장치는 자계신호 센서 두개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분석하고 양쪽의 자계신호가 정해진 규칙에 의해 전송된 해당 정보가 계량기 정보와 정확히 일치한다 판정되면 다시 전압신호로 그 정보를 변환하여주장치로 전송한다. 만약 주장치가 보낸 신호가 상선에서만 감지되고 중성선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나머지 중성선을 타 계량기에서 파악하고 타 계량기와 연결되어 있다면 결선불량으로 판정하고 오류를 시정할 수 있도록 전압신호가 아닌 타 통신수단(여기에서는 무선통신을 사용하였음)을 사용하여 주장치에 전송(통신)한다. 또한 상선은 감지되었으나 중성선이 없는 경우에는 도전 가능성이 있으므로 도전의심 정보를 주장치로 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선이 다른 계량기에 연결된 부장치에서 파악되었을 경우에는 계량기 정보와 전송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위약 또는 세대정보 변경정보를 전송한다. 이렇게 구성되므로서 정전없이 올바른 계약종별 및 세대정보를 파악하고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원;
    복수 개의 부하;
    상기 복수 개의 부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전력 계량장치;
    상기 부하와 상기 전력 계량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전력선;
    상기 전용 전력선이 갖는 계약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반대편에 있는 상기 전력 계량장치로 전송하는 주장치;
    상기 전력 계량장치에서 상기 주장치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부장치는
    상기 송신기가 보낸 상기 전류신호의 유효성과 내용을 파악하는 자계신호 분석부;
    상기 전력 계량장치의 계약정보를 입력하는 설정부;
    상기 자계신호 분석부가 수신한 계약정보와 상기 설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계약정보를 비교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가 비교, 판단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판단장치.
  2. 전원;
    복수 개의 부하;
    상기 복수 개의 부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전력 계량장치;
    상기 부하와 상기 전력 계량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전력선;
    상기 전력 계량장치는 상기 전용 전력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량을 [표 1]의 계약종별 단가(계약정보)를 곱해 전력 요금을 산정하는 과금장치;
    상기 전용 전력선이 갖는 계약정보를 반대편에 있는 상기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주장치;
    상기 과금장치에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계약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위약으로 판단하는 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판단 방법.
  3. 전원;
    복수 개의 부하;
    상기 복수 개의 부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전력 계량장치;
    상기 부하와 상기 전력 계량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전력선;
    상기 전용 전력선이 갖는 세대별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반대편에 있는 상기 전력 계량장치로 전송하는 주장치;
    상기 전력 계량장치에서 상기 주장치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부장치는
    상기 송신기가 보낸 상기 전류신호의 유효성과 내용을 파악하는 자계신호 분석부;
    상기 전력 계량장치의 세대별 고객정보를 입력하는 설정부;
    상기 자계신호 분석부가 수신한 정보와 상기 설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세대별고객정보를 비교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가 비교, 판단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자 오결선 사용 판단장치.
  4. 전원;
    복수 개의 부하;
    상기 복수 개의 부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전력 계량장치;
    상기 부하와 상기 전력 계량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전력선;
    상기 전력 계량장치는 상기 전용 전력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량을 세대 고객별로 구분(고객정보)하여 전력요금을 산정하는 과금장치;
    상기 전용 전력선이 갖는 세대별 고객정보를 반대편에 있는 상기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송신기;
    상기 과금장치에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세대별 고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결선으로 판단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자 오결선 사용 판단 방법.

KR1020230133885A 2018-12-10 2023-10-08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8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885A KR20230148133A (ko) 2018-12-10 2023-10-08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747A KR20200070528A (ko) 2018-12-10 2018-12-10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33885A KR20230148133A (ko) 2018-12-10 2023-10-08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747A Division KR20200070528A (ko) 2018-12-10 2018-12-10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133A true KR20230148133A (ko) 2023-10-24

Family

ID=711429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747A KR20200070528A (ko) 2018-12-10 2018-12-10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33885A KR20230148133A (ko) 2018-12-10 2023-10-08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747A KR20200070528A (ko) 2018-12-10 2018-12-10 전기사용자 위약 사용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7052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528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997B2 (en) Non-technical losses in a power distribution grid
US107682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ft of electricity with integrity checks analysis
JP5568321B2 (ja) 電力システム構成自動検出システム
US10746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ft of electricity
AU2014277951B2 (en) Inferring feeder and phase powering a transmitter
CN102680842A (zh) 台区自动识别测试仪及其识别方法
GB2577183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icity supply system
JP2007282452A (ja) 配電線の断線検出システム
KR102028282B1 (ko) 통합 원격검침 오결선 검출 시스템
Sebastian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energy meter with fault detection feature and theft detection
CN108226593A (zh) 电能表及其防窃电检测方法
KR20230148133A (ko) 전기사용자 위약 및 오결선 사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Thangalakshmi et al. Power theft prevention in distribution system using smart devices
CN104122482A (zh) 一种采用电力线载波通信进行线路识别系统及识别方法
KR101904662B1 (ko) 배전선로의 상 판별이 가능한 지능형전력량계시스템,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상 판별 및 도전 관리 방법
CN110940873A (zh) 用户电表与变压器拓扑关系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1328375A (zh) 使用仪表数据解集来检测电力盗窃的系统和方法
KR20090105779A (ko) 고압수용가의 파급장애 검출과 원격검침을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AU2012247307B2 (en) Electrical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a detector providing an identification signal and corresponding method
TWI404943B (zh) Power phase detection equipment,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10320393A (zh) 具有反窃电功能的低压电能表防误装表位识别仪及方法
KR102222007B1 (ko) 다주택 세대별 배선정합 테스트 키트
CN113884733A (zh) 外接窃电检测装置、配电网及外接窃电检测方法
KR20230077372A (ko) 선로 탐지장치 및 선로 탐지방법
CN117607754A (zh) 一种表户关系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