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726A -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726A
KR20230147726A KR1020237032647A KR20237032647A KR20230147726A KR 20230147726 A KR20230147726 A KR 20230147726A KR 1020237032647 A KR1020237032647 A KR 1020237032647A KR 20237032647 A KR20237032647 A KR 20237032647A KR 20230147726 A KR20230147726 A KR 2023014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face
information
network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 졍
시아오동 양
지아민 리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개시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03월 05일에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특허출원 제202110247331.5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사항은 본 출원에 참조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격 단말기(Remote UE)가 중계 단말기(Relay UE)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을 설정하는 시나리오에서, Remote UE의 RRC 연결은 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의 두 링크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두 링크 중 어느 하나에서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신속하게 복구되기 어렵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Remote UE의 RRC 링크 연결이 실패할 때 신속하게 복구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제1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를 제공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를 제공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칩을 제공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원격 UE 및/또는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를 구성하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이로써 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와 단말기의 인터랙션 개략도(1)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와 단말기의 인터랙션 개략도(2)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장치의 모듈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장치의 모듈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조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법에 대하여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 전체가 아니라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특정한 순서 또는 차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교환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제2"로 구분되는 대상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유형이며, 대상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제1 대상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고, "/" 문자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은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A(Advanced)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설명된 기술은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고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NR(New Radio) 시스템을 설명하고, 그리고 NR 용어가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술은 6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과 같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먼저 사이드링크(Sidelink) 중계(Relay)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 기술은,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노드를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추가하는 것이며, 즉, 무선 신호는 단말기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홉을 거쳐야 한다.
무선 중계 기술은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셀 커버리지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자원의 다중화를 통해 셀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내 커버리지의 경우, Relay 기술은 통과 손실을 극복하고 실내 커버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간단한 2홉 중계를 예로 들면, 무선 중계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단말기까지의 링크를 기지국에서 중계국까지, 중계국에서 단말까지의 두 링크로 나눔으로써 품질이 좋지 않은 하나의 링크를 품질이 좋은 두 링크로 교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더 높은 링크 용량과 더 나은 커버리지를 얻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단말기(13)는 일단이 원격 단말기(11)에 연결되고, 타단이 네트워크 측 장치(12)에 연결된다. 여기서, 원격 단말기(11)는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원격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컴퓨터이라고 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팜탑(palmtop), 넷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장치, 보행자 단말(PUE) 등 단말기 측 장치일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는 팔찌, 이어폰, 안경 등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원격 단말기의 특정 유형을 제한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측 장치(1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노드 B, Evolved Node B, 액세스 포인트,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Node B, Home eNB,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Node, 송수신 포인트(Transmitting Receive Point, TRP), 또는 해당 분야의 기타 적절한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한,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NR 시스템의 기지국만을 예로 들지만, 기지국의 특정 유형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적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S201),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이 식별 정보는 소스 계층 2 식별자(source L2 ID), 목적지 계층 2 식별자(destination L2 ID),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Relay UE에 의해 할당된 로컬 인덱스(local index)와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음),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이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 이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은 PC5 RLC 채널 식별자(channel ID), PC5 물리 계층(PC5 PHY 층),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Media Access Control, MAC), RLC 계층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이 제2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Uu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 이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은 Uu RLC 채널 식별자(Uu RLC channel ID), Uu PHY 계층, MAC 계층 및 RLC 계층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Uu 베어러 ID, Uu SDAP 계층, Uu PDCP 계층 및 PC5 RLC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Uu 베어러 ID, Uu SDAP 계층, Uu PDCP 계층 및 Uu RLC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이 식별 정보는 source L2 ID, destination L2 ID, C-RNTI 및 Remote UE에 의해 할당된 local index와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음),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이 제1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PC5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 이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은 PC5 RLC channel ID, PC5 PHY 계층, MAC 계층 및 RLC 계층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이 제2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Uu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 이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은 RLC channel ID, Uu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 및 RLC channel ID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Uu 베어러 ID, Uu SDAP 계층, Uu PDCP 계층 및 PC5 RLC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Uu 베어러 ID, Uu SDAP 계층, Uu PDCP 계층 및 Uu RLC 채널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원격 UE 및/또는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를 구성하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이로써 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임- 및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RRC 재설정 요청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원격 UE 및/또는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를 구성하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및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할 수 있고, 이로써 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S301),-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원격 UE 및/또는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를 구성하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및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할 수 있고, 이로써 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제1 관련 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제2 관련 정보와 동일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delta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제1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전체 구성(full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제2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3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4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원격 UE 및/또는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를 구성하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및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할 수 있고, 이로써 PC5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와 Uu 인터페이스 연결 링크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Remote UE와 Relay UE가 모두 RRC 연결(Connected)된 상태에 있을 때, 네트워크 측은 Relay UE의 컨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01): 적어도 하나의 Remote UE가 Relay UE를 통해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할 때,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Relay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한다.
이 Relay UE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Relay UE에 의해 서빙되는 Remote UE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402): Relay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RRC 재설정 요청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403): 타겟 기지국은 UE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4041):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UE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하고, 이 UE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이 Relay UE에 의해 서빙되는 Remote UE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4042):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4051): 타겟 기지국은 RRC 재설정을 Relay UE에 송신한다.
단계(S4051)에서, Relay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UE에 송신한다.
단계(S4052): 타겟 기지국은 RRC 연결 설정을 Relay UE에 송신한다.
단계(S4052)에서, Relay UE는 RRC 연결 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4061): 타겟 기지국은 RRC 재구성을 Relay UE에 의해 서빙되는 Remote UE에 송신한다. 이 RRC 재구성은 증분 구성(delta 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단계(S4061)에서, Remote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4062): 타겟 기지국은 RRC 재구성을 Relay UE에 의해 서빙되는 Remote UE에 송신하고, 이 RRC 재구성은 전체 구성(full 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단계(S4062)에서, Remote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상기 단계(S4041)와 단계(S4042)는 병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S4051)와 단계(S4052)는 병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S4061)와 단계(S4062)는 병행되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S4041)를 수행한 후 계속해서 단계(S4051) 및 단계(S4061)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S4042)를 수행한 후 계속해서 단계(S4052) 및 단계(S4062)를 수행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Remote UE가 RRC Connected 상태에 있고 Relay UE가 RRC 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Relay UE가 수행하는 RRC 재설정을 RRC resume(연결 복구)로 대체하고는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Remote UE와 Relay UE가 모두 RRC 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네트워크 측은 Remote UE의 컨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501): 적어도 하나의 Remote UE가 Relay UE를 통해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할 때,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Remote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한다.
이 Remote UE의 컨텍스트 정보는 Remote UE에 의해 서빙되는 Relay UE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502): Remote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RRC 재설정 요청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503): 타겟 기지국은 UE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5041):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UE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하고, 이 UE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Remote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Relay UE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5042): 소스 서비스 기지국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5051): 타겟 기지국은 RRC 재설정을 Remote UE에 송신한다.
단계(S5051)에서, Remote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UE에 송신한다.
단계(S5052): 타겟 기지국은 RRC 연결 설정을 Remote UE에 송신한다.
단계(S5052)에서, Remote UE는 RRC 연결 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5061): 타겟 기지국은 RRC 재구성을 Remote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Relay UE에 송신하고, 이 RRC 재구성은 증분 구성(delta 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단계(S5061)에서, Relay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S5062): 타겟 기지국은 RRC 재구성을 Remote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Relay UE에 송신하고, 이 RRC 재구성은 전체 구성(full 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단계(S5062)에서, Relay UE는 RRC 재설정 완성을 타겟 기지국에 송신한다.
상기 단계(S5041)와 단계(S5042)는 병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S5051)와 단계(S5052)는 병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단계(S5061)와 단계(S5062)는 병행되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S5041)를 수행한 후 계속해서 단계(S5051) 및 단계(S5061)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S5042)를 수행한 후 계속해서 단계(S5052) 및 단계(S5062)를 수행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Remote UE가 RRC Inactive 상태에 있고 Relay UE가 RRC 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Remote UE가 수행하는 RRC 재설정을 RRC resume(연결 복구)로 대체하고는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제2 실시예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 소스 서비스 기지국이 Remote UE 및/또는 Relay UE의 컨텍스트를 구성함으로써 PC5와 Uu 중 어느 하나 링크에서든 Remote UE의 RRC 연결이 실패할 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정보 전송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이 정보 전송 장치에서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정보 전송 장치가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제1 처리 모듈(601),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장치(600)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임-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장치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정보 획득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이 정보 획득 장치에서 정보 획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정보 획득 장치가 정보 획득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701);-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수신 모듈(702);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700)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1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2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3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4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6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장치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및 메모리(80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800)를 더 제공하며, 예를 들어, 이 네트워크 측 장치(800)가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일 때,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네트워크 측 장치(800)가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일 때,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정보 획득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치(900)를 더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장치(900)는 안테나(901), 무선 주파수 장치(902), 및 기저대역 장치(903)를 포함한다. 안테나(901)는 무선 주파수 장치(902)와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02)는 안테나(90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저대역 장치(903)로 처리하도록 전송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 기저대역 장치(903)는 송신할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902)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90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안테나(901)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902)는 기저대역 장치(903)에 위치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기저대역 장치(90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기저대역 장치(903)는 프로세서(904) 및 메모리(905)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장치(903)는, 예를 들어, 복수의 칩이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중 하나의 칩은, 예를 들어, 메모리(9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메모리(905)에 연결되는 프로세서(904)이다.
이 기저대역 장치(903)는, 무선 주파수 장치(90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 인터페이스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는, 메모리(90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0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904)는 메모리(905)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각 모듈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수행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이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정보 전송 방법 또는 정보 획득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CD-ROM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을 더 제공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술한 정보 전송 방법 또는 정보 획득 방법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온 칩, 시스템 반도체, SOC 또는 시스템온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정보 전송 방법 또는 정보 획득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등 용어 또는 이들의 임의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인 뜻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함으로써, 일련의 구성요소를 포함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여기에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포함된 고유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의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 를 포함하다"이라는 표현에 의해 한정된 구성요소는 해당 구성요소를 포함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는 별도의 동일한 구성요소의 존재가 배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대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또한 관련된 기능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부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범용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전자가 더 나은 실시형태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법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여러 명령어가 포함되는 하나의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CD-ROM)에 저장되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형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계시에 의해 본 발명의 요지 및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도출할 수도 있는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26)

  1.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임- 및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방법.
  5.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1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2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3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4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제1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가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임- 및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장치.
  15.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장치.
  16.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가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측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요청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한 것이며,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중계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의 제1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는 원격 단말기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의 제2 관련 정보를 포함함- 및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에 대한 응답은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무선 링크 제어(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각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에서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까지의 매핑,
    제1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제2 인터페이스의 RLC 채널 구성,
    상기 원격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및
    상기 중계 단말기의 배어러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중계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장치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인,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상기 원격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1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2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서빙되는 원격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상기 중계 단말기의 컨텍스트에 따라 생성된 증분 구성을 포함하는 제3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기 컨텍스트 획득 실패에 대한 정보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원격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제4 RRC 재구성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6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제5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측 장치.
  24.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제5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5.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제5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칩.
  26.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 또는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32647A 2021-03-05 2022-03-01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KR20230147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247331.5A CN115022985A (zh) 2021-03-05 2021-03-05 信息传输、获取方法及网络侧设备
CN202110247331.5 2021-03-05
PCT/CN2022/078558 WO2022184047A1 (zh) 2021-03-05 2022-03-01 信息传输、获取方法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726A true KR20230147726A (ko) 2023-10-23

Family

ID=8306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647A KR20230147726A (ko) 2021-03-05 2022-03-01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3370A1 (ko)
EP (1) EP4297523A1 (ko)
JP (1) JP2024508027A (ko)
KR (1) KR20230147726A (ko)
CN (1) CN115022985A (ko)
WO (1) WO20221840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1493B1 (en) * 2016-07-04 2020-09-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link failur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9151928B (zh) * 2017-06-19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装置和系统
CN111526544A (zh) * 2019-02-01 2020-08-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连接重建方法、上下文获取方法、上下文管理方法、连接重建方法、节点和介质
JP7368598B2 (ja) * 2019-08-13 2023-10-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強化されたマルチ接続動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3370A1 (en) 2023-12-21
WO2022184047A1 (zh) 2022-09-09
EP4297523A1 (en) 2023-12-27
JP2024508027A (ja) 2024-02-21
CN115022985A (zh)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0120B1 (en) Fast activation of multi-connectivity utilizing uplink signals
CN114513822B (zh) 一种路径转换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9949245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AU2017305147B2 (en) Coordination of signaling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ing radio access technology
EP3081048B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d2d communication
US20150141062A1 (en) Method and Node for Pag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EP3442255B1 (en)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3397019B1 (en) Method and devices of handling communications in dual connectivity
TWI679915B (zh) 處理雙連結中次要節點改變的裝置及方法
US20230054244A1 (en) Network mig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22038618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7154302B2 (ja)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CN110140411B (zh) 5g无线接入网络中的连接建立
US20190082500A1 (en) Ran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Terminal Attach Method
US10278101B2 (en) Cell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65849A1 (en) Handover procedure between local area cells which are under the same coverage of a macro cell
KR20210119791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유심 단말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KR20230147726A (ko) 정보 전송, 획득 방법 및 네트워크 측 장치
CN114257352A (zh) 一种配置载波的方法和装置
CN114071610A (zh) 切换方法、装置及相关设备
WO2020154855A1 (en) Mobility enhancement of terminal device
CN114631398A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20156887A1 (en) New radio - dual connectivity enhancements for lte
CN116171592A (zh) 支持trp特定波束故障恢复的增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