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442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442A
KR20230147442A KR1020220046474A KR20220046474A KR20230147442A KR 20230147442 A KR20230147442 A KR 20230147442A KR 1020220046474 A KR1020220046474 A KR 1020220046474A KR 20220046474 A KR20220046474 A KR 20220046474A KR 20230147442 A KR20230147442 A KR 20230147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inlet
heat excha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식
장병무
조연아
송영태
천성빈
김진욱
김종수
강인근
변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442A/ko
Priority to US17/978,339 priority patent/US20230331059A1/en
Priority to DE102022212193.7A priority patent/DE102022212193A1/de
Priority to CN202211452323.5A priority patent/CN116901645A/zh
Publication of KR2023014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42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passing only one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35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gas-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 공조유닛;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조유닛에 배치된 열교환코어; 상기 열교환코어를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제1코어부와 먼 제2코어부로 구획하여,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와 제2코어부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격벽;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에 구비된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기 또는 외기를 도입하여 송풍하는 블로어유닛과,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컨디셔닝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069522 A
본 발명은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공조유닛을 통해 보다 고르게 배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풍량 제어가 가능하고, 실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 공조유닛;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조유닛에 배치된 열교환코어;
상기 열교환코어를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제1코어부와 먼 제2코어부로 구획하여,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와 제2코어부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격벽;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에 구비된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유속이 빠른 부분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유닛에는 상기 열교환코어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블로어팬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팬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유닛의 열교환코어는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유닛에는 상기 열교환코어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블로어팬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연결부 하측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 중 블로어유닛의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 중 공조유닛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하측에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입구부로부터 제2입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블로어팬과 열교환코어를 상측에서 볼 때, 일단이 블로어팬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코어를 향하는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중,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부분으로부터,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부분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과 에어가이드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1코어부와 제2코어부로 유입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도어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조절도어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제2입구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상기 열교환코어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열교환코어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범위에서, 상기 제1입구부로부터 제2입구부를 향해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조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직선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조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면이 점차 상승하는 쐐기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코어는 증발기코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공조유닛을 통해 보다 고르게 배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풍량 제어가 가능하고, 실내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상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3은 도 1의 Ⅲ방향에서 관측한 도면,
도 4는 도 2와 같은 시각에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관측한 도면,
도 5는 도 3과 같은 시각에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관측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공조유닛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공조유닛을 입구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1의 공조유닛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공조유닛을 입구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도 3과 같은 시각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 공조유닛(3);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조유닛(3)에 배치된 열교환코어(5); 상기 열교환코어(5)를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제1코어부(7)와 먼 제2코어부(9)로 구획하여,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격벽(11);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2코어부(9)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블로어유닛(1)과 공조유닛(3)의 연결부에 구비된 에어가이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유속이 빠른 부분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2코어부(9)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격벽(11)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로 나뉘어서 공급될 때,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서, 통과하는 풍량이 적어지게 되기 쉬운 상기 제2코어부(9)로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13)로 가이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블로어유닛(1)에는 상기 열교환코어(5)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블로어팬(15)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블로어팬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2코어부(9)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블로어유닛(1)과 공조유닛(3)이 도 5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조유닛(3)을 향해 토출되는 공기 중, 상기 블로어팬(15)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블로어유닛(1)과 공조유닛(3)의 연결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가장 빠른 유속을 가지므로, 이 공기들이 상기 에어가이드(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코어부(9)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코어부(9)를 향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낮은 다른 공기들과의 혼합이 가급적 지연되어, 유동 저항이 축소되므로,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더 먼 제2코어부(9)까지 원활하게 유동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후술하는 조절도어(17)를 중립으로 했을 때, 상기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를 통과하는 풍량이 동일한 수준이 된다.
본 실시예들에서, 상기 공조유닛(3)의 열교환코어(5)는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유닛(1)의 블로어팬(15)은 상기 열교환코어(5)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유닛(3)과 블로어유닛(1)의 연결부 하측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2코어부(9)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공조유닛(3)과 블로어유닛(1)의 연결부 하측은 실질적으로 상기 블로어팬(15)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부위이므로, 상기 에어가이드(13)를 상기 공조유닛(3)과 블로어유닛(1)의 연결부 하측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블로어유닛(1)과 공조유닛(3)의 연결부 중 상기 블로어유닛(1)의 출구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에어가이드(13)를 공조유닛(3)의 입구(19)에 구비하고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 하측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또한,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1)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7)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21)와 상기 제2코어부(9)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23)로, 상기 입구(19)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제1입구부(21)로부터 제2입구부(23)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상기 격벽(11)은 상기 블로어팬(15)과 열교환코어(5)를 도 4와 같이 상측에서 볼 때, 일단이 블로어팬(15)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코어(5)를 향하는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 중,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11)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1코어부(7)로 향하기 쉬운 부분인 상기 제1입구부(21)로부터,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11)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2코어부(9)로 향하기 쉬운 부분인 상기 제2입구부(23)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입구부(21)를 통과한 공기가 제1코어부(7)로 향하기 쉽고, 제2입구부(23)를 통과한 공기가 제2코어부(9)로 향하기 쉽다는 표현은, 상기 격벽(11)은 실질적으로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제1입구부(21)와 제2입구부(23)를 통과한 공기는 서로 혼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입구부(21)를 통과한 공기는 주로 제1코어부(7)로 향하지만, 모두 제1코어부(7)로 공급된다고 확언할 수 없고, 상기 제2입구부(23)를 통과한 공기는 주로 제2코어부(9)로 향하지만, 모두 제2코어부(9)로 공급된다고 확언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이 표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격벽(11)과 에어가이드(13)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팬(1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코어(5)의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로 유입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도어(17)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조절도어(17)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3)를 상측 및 하측으로 통과한 공기도 일부는 서로 혼합될 여지가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13)의 하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서 압력차가 발생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3)를 상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에어가이드(13)를 하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제2코어부(9)로 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도어(1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로 향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장치의 입구(19)를 상기와 같이 제1입구부(21)와 제2입구부(23)로 구분할 때, 상기 제2입구부(23)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제2입구부(23)를 통과하는 공기가 주로 상기 제2코어부(9)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2입구부(23)에만 상기 에어가이드(13)를 설치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실험에 의하면, 상기 제1입구부(21)에도 에어가이드(13)가 함께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처럼 상기 제1입구부(21)와 제2입구부(23) 전체에 걸쳐서 상기 에어가이드(13)가 설치되는 것이 공조장치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이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에, 상기 열교환코어(5)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13)의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공조유닛(3)의 입구(19) 높이 또는 블로어유닛(1)과 공조유닛(3)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중앙 하측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열교환코어(5)의 중앙 높이를 기준으로 하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공조유닛(3) 입구(19)의 중앙은 상기 증발기의 중앙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를 상기 제1입구부(21)와 제2입구부(23)로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열교환코어(5)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범위에서, 상기 제1입구부(21)로부터 제2입구부(23)를 향해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조유닛(3)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직선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에어가이드(13)는 도 5와 같은 단면구조를 가져서,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조유닛(3)으로 향하는 공기를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어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에어가이드(13)의 단면구조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어유닛(1)으로부터 공조유닛(3)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면이 점차 상승하는 쐐기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가이드(13)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과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사이에는 보다 확실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열교환코어(5)는 증발기코어일 수 있으며, 이외에 히터코어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블로어팬(15)에서 송풍된 공기는 상기 공조유닛(3)의 입구(19)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3)에 의해 하측의 유속이 빠른 부분의 공기는 상측의 상대적으로 유속이 낮은 공기와 분리되어 상기 제2코어부(9)를 향해 유동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조절도어(17)가 중립에 있을 때, 상기 제1코어부(7)와 제2코어부(9)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동일한 수준이 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풍량 제어가 이루어짐을 느낄 수 있고, 원하는 풍량 제어가 정확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실내의 쾌적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블로어유닛
3; 공조유닛
5; 열교환코어
7; 제1코어부
9; 제2코어부
11; 격벽
13; 에어가이드
15; 블로어팬
17; 조절도어
19; 입구
21; 제1입구부
23; 제2입구부

Claims (17)

  1.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 공조유닛;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조유닛에 배치된 열교환코어;
    상기 열교환코어를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제1코어부와 먼 제2코어부로 구획하여,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와 제2코어부로 나뉘어져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격벽;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에 구비된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유속이 빠른 부분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유닛에는 상기 열교환코어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블로어팬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팬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열교환코어는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유닛에는 상기 열교환코어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블로어팬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과 블로어유닛의 연결부 하측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를 향해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 중 블로어유닛의 출구측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과 공조유닛의 연결부 중 공조유닛의 입구측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하측에 수평하게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입구부로부터 제2입구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블로어팬과 열교환코어를 상측에서 볼 때, 일단이 블로어팬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코어를 향하는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 중,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부분으로부터, 통과한 공기가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부분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에어가이드 사이에는 상기 블로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코어의 제1코어부와 제2코어부로 유입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도어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조절도어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제2입구부에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상기 열교환코어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을 상기 공조유닛의 입구에 투영하여,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1입구부와 상기 제2코어부로 향하기 쉬운 제2입구부로, 상기 입구를 수직하게 양분할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열교환코어의 중앙 높이 보다 낮은 범위에서, 상기 제1입구부로부터 제2입구부를 향해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조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직선형 단면을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블로어유닛으로부터 공조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측면이 점차 상승하는 쐐기형 단면을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코어는 증발기코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20046474A 2022-04-14 2022-04-14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47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474A KR20230147442A (ko) 2022-04-14 2022-04-14 차량용 공조장치
US17/978,339 US20230331059A1 (en) 2022-04-14 2022-11-01 Vehicle Air Conditioner
DE102022212193.7A DE102022212193A1 (de) 2022-04-14 2022-11-16 Fahrzeugklimaanlage
CN202211452323.5A CN116901645A (zh) 2022-04-14 2022-11-21 用于车辆的空调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474A KR20230147442A (ko) 2022-04-14 2022-04-1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442A true KR20230147442A (ko) 2023-10-23

Family

ID=8819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474A KR20230147442A (ko) 2022-04-14 2022-04-1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31059A1 (ko)
KR (1) KR20230147442A (ko)
CN (1) CN116901645A (ko)
DE (1) DE1020222121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22A (ko) 2018-12-07 2020-06-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22A (ko) 2018-12-07 2020-06-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12193A1 (de) 2023-10-19
US20230331059A1 (en) 2023-10-19
CN116901645A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8614A1 (en) Air-conditioning-apparatus indoor unit
CN106123279B (zh) 一种空调室内机
US872140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5189162A (zh) 空气吹出装置
CN101802509A (zh) 天花板嵌入型空调机
JP2012240495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6152442A (zh) 空调器的导风组件及空调器
CN106287989A (zh) 贯流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20180274802A1 (en) Air conditioner
KR100910615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6776710B1 (en) Vent structure for slotted outlet with uniform velocity profile
KR2023014744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2538161B (zh) 空调系统和信息处理设备室的空调系统
CN113739260A (zh) 空调系统、空调器及空调系统控制方法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CN109986926A (zh) 风道结构、空调系统以及车辆
KR201400725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9126474U (zh) 一种布置有均流板的汽车空调
JP2013052808A (ja) 空力音低減装置
WO2020204693A1 (en) Fluid discharge conduit assembly of air conditioning unit
KR1020925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15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0107961A (zh) 双风道电加热结构及空调器
KR101703669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CN220017607U (zh) 一种新风模块及新风空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