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278A -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278A
KR20230147278A KR1020220046073A KR20220046073A KR20230147278A KR 20230147278 A KR20230147278 A KR 20230147278A KR 1020220046073 A KR1020220046073 A KR 1020220046073A KR 20220046073 A KR20220046073 A KR 20220046073A KR 20230147278 A KR20230147278 A KR 2023014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able
optical
trunk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7548B1 (ko
Inventor
박유진
조한대
Original Assignee
(주)태승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승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태승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2004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54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60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7548B1/ko
Publication of KR2023014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국선과 건물간선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국선단자함;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 또는 동단자함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 또는 댁내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인출구와 연결되는 세대단자함;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 또는 동단자함 또는 세대단자함과 연결되거나 댁대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세대단자함과 연결되는 인출구;를 포함하고, 구내간선케이블을 통해 국선단자함 또는 다른 동단자함과 연결되거나 건물간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과 연결되는 동단자함;과 건물간선케이블을 통해 동단자함 또는 다른 층단자함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세대단자함 또는 인출구와 연결되는 층단자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국선단자함, 동단자함, 층단자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하나의 국선의 신호를 다수개로 분기하는 분기장치가 설치된 기술 구성을 통하여
국선단자함과 동단자함 또는 국선단자함과 층단자함 또는 층단자함과 층단자함 사이에 포설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광섬유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OPTICAL FIBER CABLE WIRING SYSTEM FOR SMART BUILDING}
본 발명은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국선단자함과 동단자함 또는 국선단자함과 층단자함 또는 층단자함과 층단자함 사이에 포설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대폭 줄일 수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과 업무용 건축물 등의 스마트빌딩의 정보통신 인프라 배선시스템은 구내간선계, 건물간선계, 세대인입 수평배선계, 댁내배선 수평배선계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배선은 구내간선케이블, 건물간선케이블, 수평배선케이블(세대인입 및 댁내배선)로 이루어진다.
구내간선케이블은 구내에 두 개 이상의 건물이 있는 경우 집중구내통신실(국선단자함)에서 각 건물의 TPS(동별통신실, 동단자함), 또는 TPS(동별통신실, 동단자함)에서 TPS(동별통신실, 동단자함)까지의 건물 간 구간을 연결(종단, 접속 및 성단)하는 통신케이블을 의미한다.
건물간선케이블은 동일 건물 내의 집중구내통신실(국선단자함)이나 TPS(동별통신실, 동단자함)에서 층단자함(중간단자함)까지 또는 층단자함(중간단자함)에서 층단자함(중간단자함)까지의 구간을 연결 (종단, 접속 및 성단)하는 통신케이블을 의미한다.
세대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은 층단자함에서 세대단자함까지를 연결(종단, 접속 및 성단) 하는 통신케이블을 의미하고, 댁내배선 수평배선케이블은 세대단자함에서 통신인출구까지를 연결(종단, 접속 및 성단)하는 통신케이블을 의미한다.
최근 스마트빌딩에서 적용하고 있는 정보통신 인프라 배선은 광섬유케이블, 꼬임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축을 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 광섬유케이블은 인력포설 또는 공기압 포설공법을 적용하여 포설하고 있다.
공기압 포설공법은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구내간선케이블, 건물간선케이블, 수평배선케이블에 포설하고, 집합광섬유심선은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포설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집중구내통신실(국선단자함)에서 동별통신실(TPS, 동단자함)까지 광튜브,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동별통신실(TPS, 동단자함)에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종단 및 성단하고, 동별통신실(TPS, 동단자함)에서 세대단자함까지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한다.
그리고 구내간선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수평배선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 연결은 동별통신실(TPS, 동단자함) 내에서 튜브커넥터 이용하여 연결(접속)한다.
집중구내통신실, 동별통신실, TPS 내에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 종단 및 성단을 위한 FDF(OFD, 광분배셜프, 광분배함 등)가 있다.
집합광섬유심선 포설은 이미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 내부에 공기압 포설을 하며, 동별 통신실(TPS, 동단자함)에서 광섬유심선을 종단, 접속 및 성단을 하지 않는다.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케이블(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집합광섬유심선)을 이용하여 구축한 배선시스템은 접속점을 줄이는 장점은 있지만 건축물 형태에 따라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건물간선케이블에 다량의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케이블이 요구됨에 따라 자재비 및 노무비 상승 원인이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공동주택 또는 빌딩의 구내 통신실로부터 건물내의 장비실로 연장된 구내 간선계와, 상기 장비실로부터 각 세대 단자함으로 연장된 건물 간선계에 구축되는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내 간선계와 건물 간선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설용 튜브가 내설된 광섬유 튜브 케이블; 공압에 의해 상기 포설용 튜브 내에 종입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구내 통신실로부터 세대 단자함까지 연속적으로 포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2803호 (2006년 05월 16일 등록)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 국선단자함(10')에서 세대단자함 또는 인출구(50') 구간까지 단위세대당 1회선(4쌍 꼬임케이블 기준) 이상 또는 광섬유케이블 2코아 이상이 소요되고, 업무용 건축물인 경우에도 국선단자함(10')에서 세대단자함 또는 인출구(50') 구간까지 각 업무구역(10제곱미터)당 1회선(4쌍 꼬임케이블 기준) 이상 또는 광섬유케이블 2코아 이상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1개 동에 100세대가 구성되어 있는 아파트의 경우 집중구내통신실의 국선단자함(10'))으로부터 동 단자함(20')까지 200(2×100)개 이상의 광코아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10')에서 동단자함(20') 또는 층단자함(30')까지의 구내간선케이블(A)에 많은 수의 광섬유케이블을 포설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시간, 작업인력,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국선단자함과 동단자함 또는 국선단자함과 층단자함 또는 층단자함과 층단자함 사이에 포설되는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건물간선케이블의 광섬유케이블의 수량을 저감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케이블 포설작업의 시간,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국선과 건물간선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국선단자함;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 또는 동단자함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 또는 댁내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인출구와 연결되는 세대단자함;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 또는 동단자함 또는 세대단자함과 연결되거나 댁대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세대단자함과 연결되는 인출구;를 포함하고, 구내간선케이블을 통해 국선단자함 또는 다른 동단자함과 연결되거나 건물간선케이블을 통해 층단자함과 연결되는 동단자함;과 건물간선케이블을 통해 동단자함 또는 다른 층단자함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을 통해 세대단자함 또는 인출구와 연결되는 층단자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국선단자함, 동단자함, 층단자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하나의 국선의 신호를 다수개로 분기하는 분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분기장치는, 캐비닛 랙의 내부 상부에 제1FDF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의 내부 하부에 제2FDF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의 내부 중앙에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가 설치되고, 제1FDF와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 그리고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와 제2FDF가 각각 광점퍼코드를 통해 연결되고, 제2FDF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과 층단자함에 분기장치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의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하고, 국선단자함에서 세대단자함까지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하되, 국선단자함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국선단자함에 설치된 분기장치에서 하고, 세대단자함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세대단자함의 내부에 설치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하고, 인출구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인출구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 동단자함, 층단자함에 각각 분기장치를 설치하고, 국선단자함에서 동단자함까지의 건물간선케이블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하되, 국선단자함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국선단자함에 설치된 분기장치에서 하고, 동단자함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에 있는 분기장치에서 하고, 층단자함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층단자함에 있는 분기장치에서 하고, 인출구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인출구에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에 의하면, 광다중화 기능을 갖는 국선단자함 또는 동단자함 또는 층단자함을 구비함으로써 국선단자함과 동단자함 또는 국선단자함과 층단자함 또는 층단자함과 층단자함 사이에 포설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광섬유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광섬유케이블 포설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그리고 작업인력 및 작업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분기장치의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배선과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1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2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3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4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5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6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7실시형태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8실시형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 세대단자함(40), 인출구(50)를 포함한다.
국선단자함(10)은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A) 또는 국선과 건물간선케이블(B)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동단자함(20)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고, 구내간선케이블(A)를 통해 국선단자함(10) 또는 다른 동단자함(20)과 연결되거나 건물간선케이블(B)를 통해 층단자함(3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층단자함(30)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고, 건물간선케이블(B)를 통해 동단자함(20) 또는 다른 층단자함(30)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세대단자함(40) 또는 인출구(5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세대단자함(40)은 건축물의 각 세대에 설치되고,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층단자함(30) 또는 동단자함(20)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 또는 댁내 수평배선케이블(D)를 통해 인출구(5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인출구(50)는 세대에서 사용되는 광섬유케이블이 인출되는 부분으로,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층단자함(30) 또는 동단자함(20) 또는 세대단자함(40)과 연결되거나 댁대 수평배선케이블(D)를 통해 세대단자함(40)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분기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분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에서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분기장치(100)는 하나의 국선의 신호를 다수개로 분기하는 장치이다.
상기 분기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캐비닛 랙(101)의 내부 상부에 제1FDF(102)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101)의 내부 하부에 제2FDF(106)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101)의 내부 중앙에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가 설치된 형태이다
상기 분기장치(100)의 제1FDF(102)와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 그리고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와 제2FDF(106)은 각각 광점퍼코드(103)(105)를 통해 연결되고, 제2FDF(106)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107)이 접속된다.
제2FDF(106)에 접속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107)은 집합광섬유심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이 연결되는 국선단자함(10), 그리고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분기장치(100)를 통해 신호를 다수로 분배할 수 있게 되므로 국선단자함(10)에서 동단자함(20) 또는 층단자함(30)까지의 구내간선케이블(A)에 배선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 예측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배선과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4a는 광튜브이고, 도 4b는 광튜브케이블이고, 도 4c은 집합광섬유심선이고, 도 4d는 광튜브커넥터이고, 도 4e는 엔드캡이고, 도 4f는 집합광섬유신선 고정용 커넥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1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우선 도 5의 제1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한 개의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 국선단자함(10)과 층단자함(3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한다.
도 5의 제1실시형태는 동단자함(20)을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층단자함(30)을 사용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층단자함(30)까지의 건물간선케이블(B), 그리고 층단자함(30)에서 세대단자함(40)까지의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 케이블을 포설한다.
건물간선케이블(B)의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의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연결은 층단자함(30)의 내부에서 광튜브커넥터로 연결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층단자함(3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층단자함(30)에 인입 및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국선단자함(10) 또는 층단자함(30)에서 세대단자함(40)까지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하고, 이때 국선단자함(10) 또는 층단자함(3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 또는 층단자함(3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국선단자함(10)과 층단자함(3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 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세대단자함(40)으로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10c)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설치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지고, 이때 집합광섬유심선을 고정하기 위해 광선로종단장치의 내부에는 집합광섬유심선 고정용 커넥터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세대단자함(40)에서 인출구(50)까지의 댁내 수평배선케이블(D)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세대단자함(9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있는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지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인출구(50)에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2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의 제2실시형태는 도 5의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빌딩이 한 개의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이고, 동단자함(20)을 사용하지 않는 제1실시형태와 달리 동단자함(20)을 사용한다.
제2실시형태는 국선단자함(10)과 동단자함(2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한다.
제2실시형태에서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10a)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세대단자함(40)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마련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지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인출구(50)에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3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의 제3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두 개 이상의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 국선단자함(10)과 동단자함(2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40)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각 건물의 동단자함(20) 또는 동단자함(20)에서 동단자함(20)까지의 구내간선케이블(A)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10b)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국선단자함(10)과 동단자함(2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건물간선케이블(B)의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의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연결은 층단자함(30)의 내부에서 광튜브커넥터로 연결한다.
동단자함(20)과 층단자함(3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동단자함(20)에서 세대단자함(40)까지에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동단자함(2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세대단자함(40)으로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마련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지고, 이때 집합광섬유심선을 고정하기 위해 광선로종단장치의 내부에 집합광섬유심선 고정용 커넥터를 설치한다.
세대단자함(40)에서 인출구(50)까지의 댁내 수평배선케이블(D)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세대단자함(4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10c)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마련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지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인출구(50)에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4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의 제4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두 개 이상의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 도 7의 제3실시형태와 달리 층단자함(30)을 사용하지 않고, 한 동에 2개의 동단자함(20)을 설치한다.
제4실시형태는 국선단자함(10)과 각 동단자함(2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한다.
제3실시형태는 국선단자함(10)에서 각 건물의 동단자함(20) 또는 동단자함(20)에서 동단자함(20)까지의 건물 간 구간을 연결까지의 구내간선케이블(A)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입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세대단자함(40)으로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세대단자함(40) 내부에 있는 광선로종단장치에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5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9의 제5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한 개의 업무용 건축물인 경우, 전술한 주거용 건축물과 달리 세대단자함(40)은 사용하지 않고,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에 각각 분기장치(100)를 설치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동단자함(20)까지의 건물간선케이블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국선단자함(10)과 동단자함(2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동단자함(20)에서 층단자함(30)까지의 건물간선케이블(B)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동단자함(2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층단자함(30)으로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동단자함(20)과 층단자함(3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층단자함(30)에서 인출구(50)까지의 수평배선케이블(C)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한다.
층단자함(3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층단자함(30)에 포설된 광튜브케이블 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잉여 광튜브는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엔드캡을 이용하여 막아 놓는다.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인출구(50)에서 이루어지고, 이때 집합광섬유심선을 고정하기 위해 인출구 내부에 집합광섬유심선 고정용 커넥터를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6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의 제6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두 개 이상의 업무용 건축물인 경우, 각 동마다에 하나의 동단자함(20)과 다수의 층단자함(30)이 설치된다.
도 10의 제6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도 9의 제5실시형태와 같이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에 각각 분기장치(100)를 설치한다.
도 10의 제6실시형태는 국선단자함(10)과 각 동의 동단자함(20)이 각각 구내간선케이블(A)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7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11의 제7실시형태는 전술한 도 9의 제5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한 개의 업무용 건축물인 경우이지만 동단자함(20)이 사용되지 않고, 다수의 층단자함(30)만이 사용되는 형태이다.
도 11의 제7실시형태에서는 국선단자함(10), 층단자함(30)에 각각 분기장치(100)를 설치한다.
제7실시형태에서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층단자함(3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10b)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층단자함(3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의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10a) 또는 광튜브케이블(10b)과 집합광섬유심선(10c)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인출구(50)에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제8실시형태의 구성도이다.
도 12의 제8실시형태는 전술한 도 10의 제6실시형태와 같이 스마트빌딩이 두 개 이상의 업무용 건축물이고 국선단자함(10)과 각 동의 동단자함(20)이 각각 구내간선케이블(A)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12의 제8실시형태는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에 각각 분기장치(100)를 설치한다.
도 12의 제8실시형태에서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국선단자함(10)의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되거나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의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지고, 층단자함(30)에 인입되거나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층단자함(30)의 분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의 각 실시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은 국선단자함(10)에서 동단자함(20) 또는 층단자함(30)까지의 구내간선케이블(A)에 배선되는 광섬유케이블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광섬유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국선단자함
20 : 동단자함
30 : 층단자함
40 : 세대단자함
50 : 인출구
100 : 분기장치
A : 구내간선케이블
B : 건물간선케이블
C : 인입 수평배선케이블
D : 댁내 수평배선케이블

Claims (4)

  1.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A) 또는 국선과 건물간선케이블(B)를 상호 연결하는 국선단자함(10);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층단자함(30) 또는 동단자함(20)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 또는 댁내 수평배선케이블(D)를 통해 인출구(50)와 연결되는 세대단자함(40);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층단자함(30) 또는 동단자함(20) 또는 세대단자함(40)과 연결되거나 댁대 수평배선케이블(D)를 통해 세대단자함(40)과 연결되는 인출구(50);를 포함하고,
    구내간선케이블(A)를 통해 국선단자함(10) 또는 다른 동단자함(20)과 연결되거나 건물간선케이블(B)를 통해 층단자함(30)과 연결되는 동단자함(20);과
    건물간선케이블(B)를 통해 동단자함(20) 또는 다른 층단자함(30)과 연결되는 동시에 인입 수평배선케이블(C)를 통해 세대단자함(40) 또는 인출구(50)와 연결되는 층단자함(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하나의 국선의 신호를 다수개로 분기하는 분기장치(1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분기장치(100)는, 캐비닛 랙(101)의 내부 상부에 제1FDF(102)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101)의 내부 하부에 제2FDF(106)가 설치되고, 캐비닛 랙(101)의 내부 중앙에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가 설치되고,
    제1FDF(102)와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 그리고 네트워크장비 또는 광분배기(104)와 제2FDF(106)가 각각 광점퍼코드(103)(105)를 통해 연결되고, 제2FDF(106)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107)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국선단자함(10)과 층단자함(30)에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하고,
    국선단자함(10)에서 세대단자함(40)까지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하되,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하고,
    세대단자함(40)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10c)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세대단자함(40)의 내부에 설치된 광선로종단장치에서 하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인출구(50)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국선단자함(10), 동단자함(20), 층단자함(30)에 각각 분기장치(100)를 설치하고,
    국선단자함(10)에서 동단자함(20)까지의 건물간선케이블에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을 포설하고, 포설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의 내부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집합광섬유심선을 포설하되, 국선단자함(10)에서 인출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국선단자함(10)에 설치된 분기장치(100)에서 하고,
    동단자함(2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은 동단자함(2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하고,
    층단자함(30)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층단자함(30)에 있는 분기장치(100)에서 하고,
    인출구(50)에 인입된 광튜브 또는 광튜브케이블과 집합광섬유심선에 대한 접속 및 성단을 인출구(50)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KR1020220046073A 2022-04-14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KR10267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73A KR102677548B1 (ko) 2022-04-14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73A KR102677548B1 (ko) 2022-04-14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278A true KR20230147278A (ko) 2023-10-23
KR102677548B1 KR102677548B1 (ko) 2024-06-2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03B1 (ko) 2003-10-22 2006-05-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03B1 (ko) 2003-10-22 2006-05-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7895B1 (en)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CN102449522B (zh) 用于串联的光纤端子的端口映射
CN104934912B (zh) 一种网络布线系统、桥架及可装卸配线装置
CN102792205B (zh) 用于多层住宅单元的光纤配给网
US4992058A (en) Flat cable transmission system
KR102677548B1 (ko)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KR20230147278A (ko) 스마트빌딩 광섬유케이블 배선시스템
CN102411181A (zh) 一种复合型光缆及系统
Zuloaga et al. In-building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CN210038256U (zh) 一种楼宇ftth+用户光分配装置
KR100645912B1 (ko) 정보통신 배선과 인출구의 공동수용을 위한 배선처리방법
JPH0961640A (ja) パイプ集合ケーブルを用いる光ファイバの引落し方法
JP4669795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方法
KR100582803B1 (ko)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
JP4372057B2 (ja) Pon方式局用装置の設置方法
JP4519014B2 (ja) 光ネットワーク用チャンネル割当方法
CN210925561U (zh) 一种阻水归方光纤复合集束电缆
US8355498B2 (en) Communication line interface
JP5358163B2 (ja) 逓減型の複合通信ブランチケーブル
KR102066856B1 (ko) 인입분기형 덕트 및 이를 이용한 광케이블 포설 방법
JP4519013B2 (ja) Pon方式光伝送システム
JP4372058B2 (ja) Pon方式光伝送システム
KR100993946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수평배선구조 및 그 방법
KR101166527B1 (ko)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US20030152213A1 (en) Routing and labeling system for wires, cables, fibe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