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381A -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381A
KR20230146381A KR1020220045341A KR20220045341A KR20230146381A KR 20230146381 A KR20230146381 A KR 20230146381A KR 1020220045341 A KR1020220045341 A KR 1020220045341A KR 20220045341 A KR20220045341 A KR 20220045341A KR 20230146381 A KR20230146381 A KR 2023014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onstruction site
coupled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두
Original Assignee
조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두 filed Critical 조성두
Priority to KR102022004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381A/ko
Publication of KR2023014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양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방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사현장용 방음벽 {Soundproofing wall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공사현장용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건축, 토목 등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먼지와 소음이 주변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고, 공간을 구획하여 공사 현장으로 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공사 기간 중 한시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와 철거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내구성과 견고성을 갖추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 또는 공사영역의 둘레를 따라 공사현장용 방음벽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허가 또는 허용된 공사면적을 따라 공사현장의 경계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베이스는 위에서 바라볼 때 'H'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놓이는 H빔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의 돌출된 부분은 실제 허용된 공사면적을 넘어 위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례로, 상기 공사현장의 경계에는 보행자의 통로인 인도 또는 차량 통행로인 차도가 인접하게 위치하는데, 상술한 베이스 구조에 의하면 실제 공사현장의 경계를 넘어서 상기 인도 또는 차도를 침범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불편을 발생시키고 각종 공사 민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베이스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베이스의 무게에 의존하여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종래 베이스는 예상치 못한 기상 악조건, 일례로 강풍 등에 의해 공사현장용 방음벽이 손상되거나 공사현장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베이스 위에 방음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도 상기 베이스와 같은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프레임은 단일의 구조로 제작되며, 방음판을 지지하기 위한 면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넓어지고, 프레임 자체의 폭이 상대적으로 얇아 변형에 약하며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크레인으로 방음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고리가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베이스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방음벽의 상부 구조가 손상되거나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허용된 공사현장의 영역을 준수하며 주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를 가지는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현장의 바닥면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고성을 강화하면서도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다수의 프레임을 가지는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판 또는 다수의 프레임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측에서 다수의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레인이 방음벽을 들어올려 이동시킬 때, 하중을 분산시키고 방음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양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방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와 함께 위치가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경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동한 상태에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파이프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과 바닥 고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에 결합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의 후면은, 상기 제2본체와 결합하는 후방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의 전면은, 상기 후방결합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전방 결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결합면 및 상기 전방 결합면은, 상호 중공이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본체의 상면 및 상기 제2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에 결합되어 와이어 연결을 가이드 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2본체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돌출된 하면에 결합되는 앵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프레임은 'ㄱ'자 종단면을 가지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의 일 측에 결합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도록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3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3파이프의 간격(h2)은,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간격(h1)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공사현장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가 접이식 구조로 제공되므로 허용된 공사현장의 영역을 준수하도록 설치가 가능하며, 인도 또는 차도로 상기 베이스의 침범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베이스에 결합된 파이프가 바닥고리과 함께 바닥면에 결착됨으로써, 강풍, 폭우, 태풍 등 악조건 상황에서 공사현장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다수의 방음판이 적층되도록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사각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방음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면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결합면의 일부가 절개 형성된 두 개의 본체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본체는 상호 절개 부분이 중심에 위치되어 상호 내측 공간을 연통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두 본체 간의 결합면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 중공을 통해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경량화된 다수의 프레임은 운반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앵커프레임은 'ㄱ'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프레임의 상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방음판 및/또는 다수의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하 파이프의 간격을 상부가 하부 보다 좁게 결합시킴으로써 앵커프레임과 함께 상기 방음벽의 상부 구조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좌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a) 및 베이스 지지대가 절곡된 베이스의 평면도(b)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 구비되는 클램프 및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베이스에 복수개의 프레임이 각각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프레임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프레임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앵커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1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사현장용 방음벽이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좌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은 인도 또는 도로와 향하는 면을 전면으로 하고, 공사현장과 향하는 면을 후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프레임(200) 및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에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이프(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는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210, 220, 230)의 후면에 결합되도록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는 제1파이프(510), 제2파이프(520) 및 제3파이프(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는 상기 제1파이프(510)와 연결되는 하단지지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파이프(510, 520, 530)는 각각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파이프(510)는 최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파이프(520)는 상기 제1파이프(510)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파이프(530)는 상기 제2파이프(520)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파이프(510, 520, 530)는 상기 프레임(200)의 하방에서부터 상방을 향하여 상기 제1파이프, 상기 제2파이프, 상기 제3파이프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이프(510)와 상기 제2파이프(520)의 간격(h1)은 상기 제2파이프(520)와 상기 제3파이프(530)의 간격(h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3파이프는(520, 530)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3파이프(520, 530) 사이의 거리(h2)가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걸림부재(700)에 의해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이 인양될 때, 복수개의 프레임(200)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대(550)는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프레임(210) 및 상기 제3프레임(230)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클램프(6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복수개의 파이프와 복수개의 프레임의 결합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용접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에 형성된 고리에 끼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에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 클램프(6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클램프(600)는 상기 프레임(200)에 용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램프(600)는 제1파이프(510)가 설치되는 제1고정 클램프(601), 상기 제2파이프(520)가 설치되는 제2고정 클램프(602) 및 상기 제3파이프(530)가 설치되는 제3고정 클램프(6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 클램프(601), 제2고정 클램프(602) 및 제3고정 클램프(603)는 상기 제1,2,3파이프(510, 520, 5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2,3프레임(210, 220, 2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 클램프(600)는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상기 제1고정 클램프(601), 제2고정 클램프(602), 제3고정 클램프(603) 순서로 제1,2,3프레임(210, 220, 2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 클램프(601)와 상기 제2고정 클램프(602) 사이의 거리(h1)는 상기 제2고정 클램프(602)와 상기 제3고정 클램프(603) 사이의 거리(h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 클램프(602)와 상기 제3고정 클램프(603)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은 상기 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재(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700)는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크레인의 갈고리는 다수의 걸림부재(700)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라인과 결착되어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갈고리의 결착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하부가 무거운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00)을 고정시키는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500)의 상하 방향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의 상단부와 체결되는 앵커 프레임(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앵커 프레임(40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프레임(400)의 고정력은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의 상단부에 대한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앵커 프레임(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갈고리와 걸림부재(700)를 관통한 라인이 인양을 위해 결착된 경우에,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의 상단부에 집중되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방음판(30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의 사이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음판(300)은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판(300)의 소재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음판(300)은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판(300)의 후면에는 다수의 흡음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a) 및 베이스 지지대가 절곡된 베이스의 평면도(b)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 구비되는 클램프 및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00)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본체(110) 및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양 단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130)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본체(110) 및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130)는 H빔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전면에는 지게차 집게가 관통하는 지게차 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게차 홀(119)에 의해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운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는 제1프레임 체결부(111), 제2프레임 체결부(112), 제3프레임 체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의 이격 방향은 좌우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본체(11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프레임 체결부(111)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전면에서 바라볼때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좌측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 체결부(113)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을 전면에서 바라볼때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우측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 체결부(111) 및 상기 제3프레임 체결부(113)는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체결부(111)에 상기 제1프레임(2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프레임 체결부(111)는 상기 제1프레임(210)이 체결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공(1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에 상기 제2프레임(2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는 상기 제2프레임(220)이 체결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공(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 체결부(113)에 상기 제3프레임(2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프레임 체결부(113)는 상기 제3프레임(230)이 체결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공(11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115, 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115, 116)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전면, 상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5, 116)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115) 및 제2고정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15)는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116)는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15) 및 제2고정부재(116)는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15) 및 제2고정부재(116)는, 후술할 베이스 지지대(120, 130)의 회동부(121, 131)가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고정부재(115) 및 제2고정부재(116)는, 상기 회동부(121, 131)가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향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121, 131)의 상면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회동부(121, 1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 130)는 제1베이스 지지대(120) 및 제2베이스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지지대(12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좌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는 회동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연장부(121)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부(12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경첩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제1연장부(121)가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동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제1고정부재(115)와 체결되는 제1고정부 체결공(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제1고정부 체결공(124)과 상기 제1고정부재(115)가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제1고정부재(115)와 체결되지 않을 경우, 도로 또는 인도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전방을 향해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아래로 바라볼 때,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연장부(121)가 놓이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121)는 상기 제1고정부재(115)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향해 회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상기 제1연장부(121)가 도로 또는 인도가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상기 제 1 연장부(121)의 안정적인 결합 및/또는 고정을 위한 고정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아래로 바라볼 때, 상기 제1연장부(121)가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지지대(12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좌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함께 위치가 고정되는 제2연장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2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함께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22)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일측과 결합하여 지지력을 보조해주는 상기 보조 지지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대(150)는 상기 베이스(100)가 설치되거나 간격 조절시에 인접하는 베이스(100)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연장부(122)가 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 지지대(13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연장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는 회동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3연장부(131)에 결합되어 상기 제3연장부(13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경첩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제3연장부(131)가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향해 회동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제2고정부재(116)와 체결되는 제2고정부 체결공(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제2고정부 체결공(134)과 상기 제2고정부재(116)가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와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를 향하여 회전 가능한 구성인 점에서, "회동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21)와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중심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3연장부(131)는 상기 제1연장부(121)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제2고정부재(116)와 상기 제3연장부(131)를 결합시켜 상기 베이스 본체(110)로 회전한 상기 제3연장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10)는 상기 제3연장부(131)가 수직 방향(또는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되는 고정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 지지대(13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함께 위치가 고정되는 제4연장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13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함께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132)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일측과 결합하여 지지력을 보조해주는 상기 보조 지지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대(150)는 상기 베이스(100)가 설치되거나 간격 조절시에 인접하는 베이스(100)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연장부(122)가 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 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파이프(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면 파이프(540)는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지지대(120, 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 클램프(60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 파이프(540)는 상기 베이스(100)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고리(5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고리(541)는 고리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닥고리(541)는 상기 바닥면 파이프(540)에 고리 부분이 연결되고 핀 부분이 바닥면에 박혀, 상기 베이스(100)를 바닥면과 고정 시킬 수 있다.
도 8은 베이스에 복수개의 프레임이 각각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프레임의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10-10'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2프레임의 후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12-12'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각각 상기 베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211, 221, 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프레임 지지부(211), 제2프레임 지지부(221) 및 제3프레임 지지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제1프레임 지지부(211)는 상기 제1프레임 체결부(111)와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제2프레임 지지부(221)는 상기 제2프레임 체결부(112)와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제3프레임 지지부(231)는 상기 제3프레임 체결부(113)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1, 221, 231)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베이스 체결공(211a, 221a, 231a)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11, 221, 231)는 상기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와 상기 베이스 체결공(211a, 221a, 23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각각 프레임 본체(212, 222,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212, 222, 232)는 제1본체(213, 223, 233) 및 제2본체(214, 224, 23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프레임 본체(212)의 제1본체(213) 및 제2본체(214)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2프레임 본체(222) 및 상기 제3프레임 본체(232)는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본체(213)는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본체(214)는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의 후면 및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3)는 제1중공(S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본체(214)는 제2중공(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3)와 상기 제2본체(214)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본체(213) 및 상기 제2본체(214)는 사각형의 4개의 변 중 한 변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3)의 후면은, 상기 제2본체(214)와 결합하는 후방 결합면(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14)의 전면은, 상기 후방 결합면(213a)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전방 결합면(21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결합면(213a) 및 상기 전방 결합면(214a)은 상기 제1본체(213)와 상기 제2본체(214)가 결합하였을 때, 상호 중공이 연통하도록 이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결합면(213a)과 상기 전방결합면(214a)은 상기 사각형의 한 변이 절개되고 남은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212)는 상기 제1중공(S1), 제2중공(S2) 및 이격공간(S')에 의해 기존의 H빔의 중량보다 가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사현장용 방음벽(1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할 때,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의 중량이 가벼워져 하중에 기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213) 및 제2본체(214)가 결합하는 전방 결합면(214a) 및 후방 결합면(213a)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 접촉 결합이 되므로 상기 프레임 본체(212, 222, 232)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본체(212, 222, 232)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200)의 휨 현상에 대한 견고성도 상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상기 방음판(300)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215, 225, 235)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 225, 235)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5,225,235)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프레임(210)의 가이드부(215)는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프레임(220)의 가이드부(225)는 상기 제2프레임 본체(222)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 본체(222)의 좌측 면에 구비된 가이드부(225)는,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에 구비된 가이드부(215)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 본체(212)의 가이드부(215)와 상기 제2프레임 본체(222)의 좌측 면에 구비된 가이드부(225)는 상기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로 상하 슬라이딩 삽입/인출하는 방음판(300)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프레임(230)의 가이드부(235)는 상기 제3프레임 본체(232)의 좌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프레임 본체(232)의 좌측 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35)는, 상기 제2프레임 본체(222)의 우측 면에 구비된 가이드부(225)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4는 앵커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은 각각 상기 제1본체(213, 223, 233) 및 상기 제2본체(214, 224, 234)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는 상기 제2본체(214, 224, 234)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가 연장된 위치에 상기 앵커 프레임(400)이 결합 가능하도록 앵커프레임 체결홀(217a, 227a, 23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의 돌출된 하면에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00)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 프레임(4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앵커 프레임(400)은 상기 앵커프레임 체결홀(217a, 227a, 237a)와 각각 연통하는 커버플레이트 체결홀(401, 402, 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 프레임(40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의 하면과 상기 제2본체(214, 224, 234)의 후면과 각각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앵커프레임(400)은 'ㄱ'자 종단면가지며 양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의 상면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연결을 가이드 하는 걸림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부재(70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의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프레임(210)의 커버플레이트(217) 및 제3프레임(230)의 커버플레이트(237)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용 방음벽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0)를 공사현장의 경계를 따라 배치한다.
공사현장의 영역과 경계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의 베이스 지지대(120, 130)가 인도 및 차도를 침범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지지대(120, 130)의 제1연장부 및 제3연장부(121, 131)를 접어 상기 베이스(100)의 돌출 부분 또는 침범 부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10)와 상기제1연장부 및 제3연장부(121, 131)가 맞닿으면, 상기 고정부 체결공(124, 134)과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15, 116)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지지대(120, 1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4클램프(604)와 상기 바닥면 파이프(540)를 결합하고, 상기 바닥면 파이프(540)에 구비된 바닥고리(505)를 바닥면에 박아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상기 베이스 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에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211, 221, 23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체결공(211a, 221a, 231a)과 상기 프레임 체결부(111, 112, 113)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1a, 112a, 113a)을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212, 222, 232)를 따라 상기 방음판(300)을 슬라이딩 삽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고정클램프(601, 602, 603)에 복수개의 파이프(501, 502, 503)를 각각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의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에 상기 앵커프레임(400)을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 플레이트(217, 227, 237)에 구비되는 앵커프레임 체결홀(217a, 227a, 237a)과 상기 앵커프레임(400)의 커버 플레이트 체결공(401, 402, 403)을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공사현장용 방음벽 100 : 베이스
120 : 제1베이스 지지대 130 : 제2베이스 지지대
121 : 제1연장부 122 : 제2연장부
131 : 제3연장부 132 : 제4연장부
200 : 프레임 300 : 방음판
400 : 앵커프레임 500 : 파이프

Claims (13)

  1. 공사현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일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의 양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연장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방음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본체와 함께 위치가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경첩부를 더 포함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해 회동한 상태에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 파이프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과 바닥 고리에 의해 결합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에 결합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제1본체와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측면에 결합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후면은, 상기 제2본체와 결합하는 후방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의 전면은, 상기 후방결합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전방 결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결합면 및 상기 전방 결합면은, 상호 중공이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본체의 상면 및 상기 제2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에 결합되어 와이어 연결을 가이드 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2본체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돌출된 하면에 결합되는 앵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프레임은 'ㄱ'자 종단면을 가지며,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면의 일 측에 결합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도록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3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3파이프의 간격(h2)은,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간격(h1)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방음벽.
KR1020220045341A 2022-04-12 2022-04-12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KR20230146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341A KR20230146381A (ko) 2022-04-12 2022-04-12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341A KR20230146381A (ko) 2022-04-12 2022-04-12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381A true KR20230146381A (ko) 2023-10-19

Family

ID=8850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341A KR20230146381A (ko) 2022-04-12 2022-04-12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5061A1 (en) Removable Bollar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2418345A (zh) 横撑钢丝固定装置
JP4851881B2 (ja)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KR102364430B1 (ko) 레이커 상부결합구조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2681331B (zh) 钢支撑与钢栈桥一体化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20119570A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20230146381A (ko) 접이식 또는 회전식 지지대를 가지는 이동식 방음벽
KR20140069845A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102085920B1 (ko) 가각부모듈을 구비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208486272U (zh) 一种双管斜撑支护深基坑的施工结构
JP6865518B1 (ja) 山留壁及びその形成方法
JP3678951B2 (ja) 格子状床版を備え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1997850B1 (ko) 지주 강도가 보강된 가설 펜스
KR102642610B1 (ko) 방음벽 지주 연결구조
JP6489078B2 (ja) 床版支持構造
JP4349995B2 (ja) 橋梁の架設方法
KR102604871B1 (ko)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JP6872674B1 (ja) 地覆拡幅ユニット
KR100660036B1 (ko) 교량의 교각간격 확장공법
KR102671439B1 (ko) 흙막이 공법의 구조물 유동 방지용 브라켓
KR102350666B1 (ko) H빔 연결부위의 누수 차단형 방음터널
KR102435451B1 (ko) 레이커 보강구조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1072808A (ja) 人道橋
KR102638597B1 (ko) 물끊기 홈을 적용한 누수차단용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4099418B2 (ja) 既存建物の耐震化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