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256A -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256A
KR20230146256A KR1020220045002A KR20220045002A KR20230146256A KR 20230146256 A KR20230146256 A KR 20230146256A KR 1020220045002 A KR1020220045002 A KR 1020220045002A KR 20220045002 A KR20220045002 A KR 20220045002A KR 20230146256 A KR20230146256 A KR 2023014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upport device
equipmen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박수원
김용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4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256A/ko
Publication of KR2023014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비에 설치되어 작업 위치 정보와, 주변 영상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획득하여 송신하는 다수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와,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로부터 수신된 작업 위치 정보, 주변 영상 정보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 또는 수정함과 아울러 상기 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확인하는 관리자 지원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s in industry}
본 발명은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장비 안전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오래된 분야 중 하나이지만, 하지만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속한 발달로 첨단산업이 각광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전통산업, 저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건설경기의 불황으로 관련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통산업 분야의 하나인 건설 분야에 ICT융합을 접목하여 새로운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건설 산업이 정보 통신 기반 기술과 융화되어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단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관리 솔루션 적용뿐만이 아닌 작업의 실질적인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있으며, 다양한 중장비 운영에서의 안전관리 영역의 정밀도를 높이고 정확한 접근인식 및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공개특허 10-2021-0084887호(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2021년 7월 8일 공개)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기종 디바이스 및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공개특허는 사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그 예로 허가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고, 작업자가 주변을 모니터링하면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는 IoT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작업을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관리를 위해 명확한 작업 위치파악 및 허가된 작업자만이 중장비 운행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장비에 설치되어 작업 위치 정보와, 주변 영상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획득하여 송신하는 다수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와,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로부터 수신된 작업 위치 정보, 주변 영상 정보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 또는 수정함과 아울러 상기 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확인하는 관리자 지원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는,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고, 인체 영역의 거리에 따라 상기 주행 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능동 정차를 제어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는, 안전선 검출 비전들을 통해 검출된 영상에서 작업 영역 둘레 바닥면에 부착된 안전선을 검출하여 장비가 안전선을 넘지 않도록 능동 정차를 제어하는 라인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인 검출부는, 다수의 안전선 검출 비전에서 검출된 영상에서 안전선이 검출되면, 상기 장비의 작업 수단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관리자 지원 장치부는, 작업자들의 ID 및 자격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장비 및 작업자 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판단하는 자격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자격 인증부는, 허가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장비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운전하는 지게차, 굴삭기 등의 중장비에서 작업 위치 주변의 환경 정보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 지원 장치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관리자 지원 장치부에서 확인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예측 및 경고하고, 허가된 작업자의 작업 여부 및 작업 위치를 확인하여, 작업 계획에 부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작업 계획의 수립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장비에서 인체 인식을 통해 인체와 물체를 구분하고, 인체가 가까이 있는 경우 능동적으로 정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게차가 작업을 할 때 작업 영역을 표시하는 안전선을 바닥면에 설치하고, 중장비가 안전선을 넘지 않도록 능동 정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작업영역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작업자 지원 장치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관리자 지원 장치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조작하는 장비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작업자에게 표시함과 아울러 위험 요소 발생시 장비의 능동 제어를 수행하는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들과,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들의 위치를 확인함과 아울러 해당 장비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확인하고, 위험 요소의 발생을 유기적으로 확인하고, 각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에 통보하는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를 포함한 각종 장비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는 예를 들어 지게차, 굴삭기, 포장기, 덤프 트럭 등의 장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가 적용되는 장비는 그 종류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 장비는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며, 위치의 이동과는 별도로 기계적인 변위 조작이 이루어지는 기능적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지게차는 주행에 의해 이동하며, 포크의 상하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들은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을 위한 다양한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ID 카드 등을 인식하여 작업자가 해당 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는, 가속 페달(211)과 감속 페달(12)의 조작량에 따라 장비의 가속과 감속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210)와, 조향 및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 제어기(220)와, 포크 조작부(231)의 조작에 따라 포크를 상하로 구동하는 포크 제어기(230)와, 다수의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고, 인체 영역의 거리에 따라 주행 제어기(2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능동 정차를 제어하는 영상 분석부(240)와, 안전선 검출 비전(251)들을 통해 검출된 영상에서 안전선을 검출하여 지게차가 안전선을 넘지 않도록 능동 정차를 제어하는 라인 검출부(250)와, 상기 영상 분석부(240)의 분석결과 및 라인 검출부(250)의 안전선 검출결과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260)와, 작업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자격확인부(270)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280)와, 상기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290)를 포함한다.
위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구성은 지게차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며, 포크 조작부(231)와 포크 제어기(230)는 적용되는 장비의 기능적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장비(지게차)는 전진, 후진 및 조향을 하면서 포크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 물체를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향 제어기(220), 주행 제어기(210) 및 포크 제어기(230)를 포함한다.
조향 제어기(220)는 전후진 레버인 전후진 선택부(222)의 선택과 스티어링 휠(2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조향 및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
주행 제어기(210)는 가속 페달(211)과 감속 페달(212)의 각도를 검출하여 가속 또는 감속을 제어하며, 포크 제어기(230)는 포크 조작부(231)의 조작 상태에 따라 포크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산업 장비의 기본적인 구성에 본 발명은 영상 분석부(240)와 라인 검출부(250), 알람 발생부(260), 자격확인부(270), 위치정보 제공부(280) 및 통신부(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80)는 DR GPS를 사용하여 장비의 위치를 10cm 오차 범위로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위치 정보는 통신부(290)를 통해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부(290)는 알려진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자격확인부(270)는 작업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RFID 등의 인식 센서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정보를 검출하여 통신부(290)를 통해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로 송신되는 정보는 작업자의 ID 번호 및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가 설치된 장비의 종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처리와 관련된 본 발명의 특징은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영상 분석부(240)는 다수의 카메라(241)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인체 감지를 수행한다. 또한 다수의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영상은 통신부(290)를 통해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로 송신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40)의 인체의 감지 방법은 인체의 비율과 다양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영상에서 저장된 인체 정보와 유사한 영역을 검출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영상 분석부(240)는 인공지능학습이 가능한 것으로 하여, 학습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 영역을 검출하며, 그 검출결과를 다시 학습에 사용하여 인체 영역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 분석부(240)를 통해 설정 거리 이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행 제어기(210)는 가속 페달(211) 또는 감속 페달(212)의 조작 정도에 무관하게 장비를 정차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장비가 능동적으로 정차하고, 사람이 설정 거리 밖으로 이동해야 다시 운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영상 분석부(240)에서 설정 거리 이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포크 제어기(230)는 포크 조작부(231)의 상태와 무관하게 포크를 정지시킨다.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비인 지게차 자체는 이동을 하지 않더라도, 포크 아래에 사람이 있을 때 포크가 하향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영상 분석부(240)는 알람 발생부(260)를 통해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이 설정 거리 밖으로 이동하도록 알린다.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해서, 지게차의 작업 영역 주변으로 안전선을 바닥에 설치한다. 안전선은 작업 영역의 바닥면과는 다른 색상으로 하며, 주변의 다른 작업자들도 안전선 이내로 진입하지 않도록 주의를 줄 수 있는 색상이 바람직하다.
안전선 검출비전(251)은 지게차의 차체 주변 및 포크의 끝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며, 바닥면의 영상을 촬영한다.
라인 검출부(250)는 상기 안전선 검출비전(25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안전선을 검출하고, 안전선이 검출된 경우 주행 제어기(210)를 제어하여 지게차를 정차 시킨다.
즉, 지게차의 차체 및 포크가 안전선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역시 라인 검출부(250)는 알람 발생부(26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고, 포크 제어기를 통해 포크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장비는 설정된 작업 영역 외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장비의 작업 수단인 포크등이 작업 영역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261)는 주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알람 발생부(60)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240)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41)는 적어도 장비의 전방, 후방, 좌측방, 우측방을 각각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이며, 영상 분석부(240)는 각 카메라(241)들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고, 인체 영역이 검출된 영상을 표시부(24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42)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촬영 방향을 함께 표시하여, 지게차 작업자가 주변에 사람이 어디에 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인체 영역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표시부(242)의 화면은 작업자의 설정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는,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와,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작업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 및 수정하는 작업 계획 처리부(120)와, 작업자들의 ID 및 자격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자격확인부(270)에서 확인된 작업자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자격 인증부(130)와,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영상 및 장비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별도의 작업간 연계된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안전 관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관리자 지원 장치부(100)는 관리자의 직접 개입 없이도, 상황에 따라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동작에 직접 개입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자격확인부(270)에서 검출되어 장비의 종류 정보와 함께 통신부(110)에 수신된 작업자 ID 정보는 자격 인증부(130)에서 확인된다.
자격 인증부(130)는 현장에 투입된 작업자들의 ID(예를 들어 작업자들의 사원 번호)와 해당 작업자들 각각의 자격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자격증 정보는 특정 장비의 운전할 수 있는 자격 정보를 뜻한다.
수신된 작업자의 ID와 ID를 검출한 자격확인부(270)가 설치된 장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작업자가 해당 장비를 운전할 수 있는 자격이 있으면, 자격 인증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작업 가능 신호를 작업자 지원 장치부(100)로 송신한다.
작업 가능 신호를 수신한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조향 제어기(220), 주행제어기(210), 포크제어기(230)는 각각 제한 없이 스티어링 휠(221), 가속 페달(211), 감속 페달(212), 포크 조작부(231)의 조작에 따라 반응하여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수신된 작업자의 ID를 자격 인증부(130)에서 확인한 결과, 해당 작업자가 장비를 운전할 자격이 없는 경우에, 상기 자격 인증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작업 불가 신호를 송신한다.
작업 불가 신호를 수신한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조향 제어기(220), 주행제어기(210), 포크제어기(230)는 스티어링 휠(221), 가속 페달(211), 감속 페달(212), 포크 조작부(231)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장비의 이동 및 포크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하여, 이동 및 작업이 수행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알람 발생부(260)를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비의 운전이 허가된 작업자만 장비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작업자가 장비를 운전하여 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 계획 처리부(120)는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주변영상을 확인하여, 현재 각 장비의 위치가 현재 계획된 작업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작업 계획 처리부(120)는 산업 현장내 작업 계획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현재 작업 위치에서 투입되는 장비 정보를 저장한다.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위치 정보 제공부(280)에서 제공되는 장비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수행되는 작업에 적당한 장비가 적당한 위치에 투입되었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릴 수 있다.
또한, 카메라(241)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확인하여 작업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작업 진행 속도에 따라 작업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작업 계획 처리부(120)는 산업 현장 전체의 작업 공정의 진행 계획을 저장하고, 진행 상황에 따라 투입되는 장비의 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된 작업 공정의 스케쥴에 맞춰 작업이 순차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리부(140)는 작업자 지원 장치부(200)의 위치 정보 제공부(280)의 위치 정보와 카메라(241)의 영상을 통해 인접한 작업 위치간의 간섭 발생에 의한 연계 안전사고 발생을 예측한다.
예를 들어 작업 위치가 매우 가깝고, 장비간의 동선이 겹치는 구간이 있는지 확인하여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있으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장비간의 동선이 겹치는 적어도 두 개의 장비에 설치된 알람 발생부(260)를 동작시켜 작업 동선이 겹치므로 운전시 주의할 것을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영상을 통해 주변 환경의 위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비의 능동제어를 통해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장비의 위치와 작업 진행 속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진행 계획을 용이하게 조정하고,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관리자 지원 장치부 110:통신부
120:작업 계획 처리부 130:자격 인증부
140:안전 관리부 200:작업자 지원 장치부
210:주행 제어기 220:조향 제어기
230:포크 제어기 240:영상 분석부
250:라인 검출부 260:알람 발생부
270:자격확인부 280:위치 정보 제공부
290:통신부

Claims (6)

  1. 장비에 설치되어 작업 위치 정보와, 주변 영상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획득하여 송신하는 다수의 작업자 지원 장치부; 및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로부터 수신된 작업 위치 정보, 주변 영상 정보 및 작업자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 또는 수정함과 아울러 상기 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확인하는 관리자 지원 장치부를 포함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는,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고, 인체 영역의 거리에 따라 능동 정차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는,
    안전선 검출 비전들을 통해 검출된 영상에서 작업 영역 둘레 바닥면에 부착된 안전선을 검출하여 장비가 안전선을 넘지 않도록 능동 정차를 제어하는 라인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검출부는,
    다수의 안전선 검출 비전에서 검출된 영상에서 안전선이 검출되면, 상기 장비의 작업 수단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지원 장치부는,
    작업자들의 ID 및 자격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장비 및 작업자 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지 판단하는 자격 인증부를 포함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격 인증부는,
    허가된 작업자가 아닌 경우, 상기 작업자 지원 장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장비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20045002A 2022-04-12 2022-04-12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30146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002A KR20230146256A (ko) 2022-04-12 2022-04-12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002A KR20230146256A (ko) 2022-04-12 2022-04-12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256A true KR20230146256A (ko) 2023-10-19

Family

ID=885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002A KR20230146256A (ko) 2022-04-12 2022-04-12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2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548B2 (en) Advanced industrial safety notification systems
KR102454612B1 (ko) 건설기계용 안전관리시스템, 관리장치
US10114370B2 (en) Machine automation system with autonomy electronic control module
US20190105788A1 (en) Safety system for safeguarding cooperative operation of people, robots and machines
JPWO2019111859A1 (ja) 周辺監視装置
US20140170617A1 (en) Monitoring System for a Machine
AU2017261633B2 (en) Area isolation system
US20220042286A1 (en) Shovel
US20220074171A1 (en) Display device, shov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1678026A (zh) 机器的防护
KR20230103002A (ko)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US20210270013A1 (en) Shovel, controller for shovel, and method of managing worksite
JP2015124514A (ja) 車両系建設機械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CN113748247A (zh) 挖土机、作业现场的安全装备确认系统
JP4741940B2 (ja) 監視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CN106629406B (zh) 塔吊监控系统及方法
US20220042283A1 (en) Shovel
KR20230146256A (ko)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35902B1 (ko)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20008840A (ko) 굴삭기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형 스테이션
CN113169954A (zh) 用于远程机器控制的方法与系统
KR101952953B1 (ko) 현재 작업 가능 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장비의 고장관리 방법
KR20230122959A (ko)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험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30087783A (ko) 디지털 트윈 기반 안전 교육 시스템
WO2017132940A1 (zh) 一种监控方法、装置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