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880A -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880A
KR20230145880A KR1020220044827A KR20220044827A KR20230145880A KR 20230145880 A KR20230145880 A KR 20230145880A KR 1020220044827 A KR1020220044827 A KR 1020220044827A KR 20220044827 A KR20220044827 A KR 20220044827A KR 20230145880 A KR20230145880 A KR 2023014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shing
hatch cover
cargo hold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우
심우승
김원현
김진혁
이찬희
김성아
김현수
문동현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880A/ko
Publication of KR2023014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가이드를 갖는 갑판 아래의 화물창 내부 및 갑판 상부에 놓이는 해치 커버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로서, 갑판 상부에 다수 배치되는 래싱 브릿지와 래싱 브릿지에 마련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부는, 서로 마주한 한 쌍의 래싱 브릿지 사이에서 한쪽에만 마련되며, 화물창 내부에 배치된 셀 가이드와 상하 일직선을 이루고,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와,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해치 커버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와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화물창의 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해치 커버의 수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가이딩부는, 래싱 브릿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가 가능하며, 갑판 상부와 이격 배치되며, 이격 배치된 높이는 해치 커버의 두께보다 높아 해치 커버가 갑판 상부에서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와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해치 커버의 길이보다 긴 간격을 가지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에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래싱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치 커버는,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와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에서, 가이딩부와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이송되어 해치 커버의 위치 이탈로 인한 구조 간섭을 방지하면서 갑판 상부에 도달하며, 갑판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며 배치될 수 있다. 화물창은, 화물창의 크기를 결정하며 갑판 상부의 하중을 견디는 화물창 내벽과 컨테이너의 형태와 같은 직육면체의 호퍼 탱크를 더 포함하며, 컨테이너가 화물창에 적재되는 경우, 화물창 내벽의 양쪽에 배치된 셀 가이드와 맞닿아 배치되며, 갑판 상부에 적재되는 경우, 해치 커버의 상단에 적재가 되며, 컨테이너의 한쪽 측면은 래싱 브릿지에 배치된 가이딩부와 맞닿아 있고, 컨테이너의 반대쪽 측면은 래싱 바를 통하여 래싱 브릿지에 고정이 될 수 있다. 해치 커버의 길이는,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컨테이너가 해치 커버의 상단 면적 안에 적재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Container Loading Device and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은 각종 컨테이너를 일정한 크기의 단위로 정리하고, 갑판 위나 선체 내부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박이다.
컨테이너 선박은 운송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점점 컨테이너 선적 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선적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운항 중 선적된 컨테이너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 주목되고 있다. 운항 중 컨테이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체 내부 화물창(cargo hold)에는 셀 가이드라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며, 갑판 상부(해치 커버 상부)에는 각종 고정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갑판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장치에는, 트위스트락과 래싱 브릿지와 래싱 바가 있다.
컨테이너 운반선에는 일반적으로 1~4단(tier) 전후 수준의 래싱 브릿지(lashing bridge)가 설치된다. 이러한 래싱 브릿지는, 컨테이너의 전도 방지를 위한 래싱 바(lashing bar)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래싱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래싱 브릿지는 래싱 바를 이용한 래싱 체결 역할 외 갑판 상에 선적되는 리퍼(reefer)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컨트롤 유닛의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위한 접근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래싱 브릿지는 컨테이너 전후에 래싱 바 체결을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선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래싱 바 체결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한 치수 만족을 위해 고강도 및 고중량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밖에 없다.
컨테이너 운반선의 갑판 상에 선적되는 컨테이너 중에서, 래싱 브릿지의 레벨로 선적되는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래싱 브릿지와 컨테이너 간을 체결하는 래싱 바를 이용하여 래싱 체결이 이루어지지만, 래싱 브릿지의 높이보다 높은 레벨에 선적되는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기본적인 체결장치인 트위스트락(twistlock)만 적용되고 있다.
자동 및 반자동 체결이 가능한 트위스트락의 경우, 체결 및 해체에 적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나, 자동 체결이 불가한 래싱 바의 경우 체결 및 해체에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체결 및 해체 시간 소요를 줄이기 위하여 화물창뿐 아니라 갑판 상부에 있는 래싱 브릿지에도 가이딩부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래싱 브릿지에 가이딩부를 설치하는 경우에, 화물창을 개폐시키는 해치 커버의 크기가 가이딩부가 설치된 래싱 브릿지의 사이의 공간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딩부와 해치 커버 간에 구조 간섭이 발생한다.
특히, 해치 커버 상단에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및 고중량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힘으로는 개폐 조작이 불가능하여 선박 또는 지상에 있는 크레인을 이용이 불가피하므로, 위와 같이 래싱 브릿지에 가이딩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치 커버의 이송과 개폐 시 구조 간섭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 방안 제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갑판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래싱 브릿지에 연결된 가이딩부를 통하여 고정하면서도, 래싱 브릿지에 마련되는 가이딩부가 해치 커버의 수직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 가이드를 갖는 선체 내부 화물창 및 상기 갑판 상부에 놓이는 해치 커버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로서, 상기 갑판 상부에 다수 배치되는 래싱 브릿지와 상기 래싱 브릿지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딩부는, 서로 마주한 한 쌍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에서 한쪽에만 마련되며, 상기 화물창 내부에 배치된 상기 셀 가이드와 상하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해치 커버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상기 화물창의 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상기 해치 커버의 수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래싱 브릿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갑판 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 배치된 높이는 상기 해치 커버의 두께보다 높아 상기 해치 커버가 상기 갑판 상부에서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해치 커버의 길이보다 긴 간격을 가지며,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에 상기 래싱 바를 이용한 컨테이너 체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치 커버는,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가이딩부와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이송되어 상기 해치 커버의 위치 이탈로 인한 구조 간섭을 방지하면서 상기 갑판 상부에 도달하며, 상기 갑판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창은, 상기 화물창의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갑판 상부의 하중을 견디는 화물창 내벽과 상기 컨테이너의 형태와 같은 직육면체의 호퍼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화물창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화물창 내벽의 양쪽에 배치된 셀 가이드와 맞닿아 배치되며, 상기 갑판 상부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해치 커버의 상단에 적재가 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한쪽 측면은 상기 래싱 브릿지에 배치된 상기 가이딩부와 맞닿아 있고, 상기 컨테이너의 반대쪽 측면은 상기 래싱 바를 통하여 상기 래싱 브릿지에 고정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치 커버의 길이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해치 커버의 상단 면적 안에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컨테이너 적재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갑판 상부의 래싱 브릿지에 가이딩부를 배치함으로서, 컨테이너 체결 및 해체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 상승 및 안정성 확보를 하며, 가이딩부의 배치를 통하여 해치 커버의 수직 이송 시 해치 커버와 가이딩부의 구조 간섭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래싱 브릿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컨테이너 선박에 포함된 화물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구성인 수평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구성인 수평 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이전에,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래싱 브릿지(3)와 화물창(7)을 먼저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래싱 브릿지(3)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컨테이너 선박에 포함된 화물창(7)의 단면도이다.
컨테이너 선박은 규격 화물인 컨테이너(2)(container)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 내부에 다수의 화물창(7)(Cargo Hold)을 구비한 후, 이 화물창(7)에 다수의 컨테이너(2)를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2)의 적재 형태나 하역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어 운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의 갑판 상부(6)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에는 화물창(7)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 방향에는 래싱 브릿지(3)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2)는 화물창(7) 내부에 적재되거나 화물창(7)을 개폐하는 해치 커버(5)의 상단에 적재될 수 있다.
화물창(7)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2)는 셀 가이드(1)에 맞닿게 배치되고, 선박의 갑판 상부(6) 또는 해치 커버(5) 상단에 적재된 컨테이너(2)는 래싱 바(8)를 이용하여 래싱 브릿지(3)에 체결됨으로써 운항 중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주로 대형 컨테이너선(5000 TEU 이상)에 래싱 브릿지(3)가 배치되며, 컨테이너(2)가 고층적재 되는 경우에 컨테이너(2)의 전도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다수의 선박에 필수적으로 래싱 브릿지(3)가 설치될 수 있다.
래싱 브릿지(3)는, 선체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선박의 갑판 상부(6)에 설치될 수 있다. 래싱 브릿지(3)의 높이는, 탑재되는 여러 층의 컨테이너(2)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및 적재되는 컨테이너(2)의 층수가 높아짐에 따라 래싱 브릿지(3)의 높이도 기존 2단에서 3단으로 높아졌으며, 높이는 10m 이상에 이를 수 있다.
래싱 브릿지(3)는 래싱 브릿지 지지대(31)와 래싱 브릿지 지지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래싱 브릿지 지지대(31)는 지지대(31)로, 래싱 브릿지 지지프레임(32)은 지지프레임(32)으로 칭한다.
래싱 브릿지(3)는, H자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양쪽 측면에 컨테이너(2)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31)를 가질 수 있고, 지지대(31)는 컨테이너(2)의 짧은 모서리의 길이와 같은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양쪽 측면에 배치된 지지대(31)의 사이에 지지프레임(32)의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31)는 지지프레임(3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의 방법은 용접, 볼팅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지지프레임(32)의 크기는 래싱 브릿지(3)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나, 사람의 왕래가 가능할 정도의 통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2)의 상부에서 컨테이너(2)가 지지대(31)에 의해 잘 고정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선박의 운항 또는 정박 중에, 파도나 바람에 의해 래싱 브릿지(3)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 장시간 지속될 시 고유진동의 특성을 가져, 래싱 브릿지(3)가 파단되거나 휘어짐이 발생하여 컨테이너(2)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래싱 브릿지(3)가, 컨테이너(2)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므로 래싱 브릿지(3)의 강성확보를 위해 중량화가 불가피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래싱 브릿지(3)의 두께를 늘리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결과적으로 무게를 증가시켜 선박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래싱 브릿지(3)에서 컨테이너(2)의 양쪽면을 래싱 바(8)로 연결하여 컨테이너(2)를 고정할 수 있다. 래싱 바(8)와 컨테이너(2)의 양쪽면과의 체결은, 자동 체결이 불가능하여 체결 및 해체에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높은 곳에서 인부들이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의 안정성측면에서도 위험요소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래싱 브릿지(3)는, 컨테이너(2)의 적재와 해치 커버(5) 등과 함께 선박의 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래싱 브릿지(3)의 유형 및 배치 방법을 독립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힘들다.
다만 추후에 도 3, 도 4, 도 5에서 설명할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장치를 통하여, 상기 서술된 문제점을 다수 해결할 수 있다.
화물창(7)은, 선박의 갑판 상부(6)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에 위치하며 기관실 격벽과 선수 격벽 사이의 화물 적재를 위한 공간으로 운송화물의 형태에 따라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창(7)에는 화물창(7)을 구분하는 화물창 내벽(71)이 있을 수 있고, 화물창 내벽(71)의 양쪽에는 셀 가이드(1)가 배치될 수 있다. 셀 가이드(1)는 화물창 내벽(71)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화물창 내벽(71)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셀 가이드(1)는 하나로 구성되어 수직하게 내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단위로 나뉘어서 부분의 형태로 화물창 내벽(71)에 배치될 수도 있다.
셀 가이드(1)는, 화물창 내벽(71)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2)를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여 효율적인 수송을 가능하게 하고, 적재된 컨테이너(2)와 이웃하는 컨테이너(2) 사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2)의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셀 가이드(1)의 형태는 수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개의 부재가 하나의 셀 가이드(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셀 가이드(1)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셀 가이드(1) 자체가 분리형으로 나뉘어서 일부분이 생략된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창(7)의 내부 공간에 튀어나온 직각형태를 볼 수 있다. 이는 호퍼 탱크(72)로서, 선박의 좌우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호퍼 탱크(72)는, 선박의 횡동요를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선박은 호퍼 탱크(72)가 대각선의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에는 화물창(7)에 컨테이너(2)를 적재하므로 컨테이너(2) 모양을 가진 호퍼 탱크(7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2)가 호퍼 탱크(72) 위에 적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에 컨테이너(2)가 적재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컨테이너 적재장치를 이루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래싱 브릿지(3), 래싱 바(8), 가이딩부(4)를 포함하며, 컨테이너 적재장치가 마련되는 선박은, 해치 커버(5)를 구비할 수 있다.
래싱 브릿지(3)는 선박의 갑판 상부(6) 또는 해치 커버(5) 상단에 적재된 컨테이너(2)를 래싱 바(8)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물로서, 갑판 상부(6)에 배치되며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래싱 브릿지(3)는, H자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양쪽 측면에 컨테이너(2)를 고정할 수 있는 수직 형태의 지지대(31)를 가질 수 있고, 지지대(31)는 컨테이너(2)의 짧은 모서리의 길이와 같은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양쪽 측면에 배치된 지지대(31)의 사이에 지지프레임(32)의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31)는 지지프레임(3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의 방법은 용접, 볼팅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지지프레임(32)의 크기는 래싱 브릿지(3)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나, 사람의 왕래가 가능할 정도의 통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2)의 상부에서 컨테이너(2)가 지지대(31)에 의해 잘 고정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래싱 브릿지(3)에는 가이딩부(4)가 연결될 수도 있다. 래싱 브릿지(3)와 가이딩부(4)는 맞닿아 연결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래싱 브릿지(3)와 가이딩부(4)가 이격된 거리는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가이딩부(4)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3)와 가이딩부(4)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3) 사이의 공간은, 적어도 상기 해치 커버(5)의 길이보다 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4)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래싱 브릿지(3)와 가이딩부(4)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래싱 브릿지(3) 사이의 공간은, 화물창(7)의 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마련되어서 해치 커버(5)의 수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래싱 바(8)는, 선박 갑판 상부(6)에 적재되는 컨테이너(2)에 사용될 수 있는 고정장치이다. 컨테이너(2)가 4단 이하로 적재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래싱 브릿지(3)나 갑판에 연결되어 컨테이너(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컨테이너(2)가 래싱 브릿지(3)와 간격이 있는 경우 또는 래싱 브릿지(3)와 맞닿아 있는 경우에도, 래싱 브릿지(3)와 컨테이너(2)의 모서리를 래싱 바(8)를 통해 연결하여 컨테이너(2)의 고정이 가능하다.
래싱 바(8)에 사용되는 장치로는, 래싱 로드나 턴버클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턴버클은 로프나 전선 등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장력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하기도 하며, 일반 로프나 체인 등을 잡아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될 수 있다.
턴버클의 사용법은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 나사로, 다른 쪽의 수나사는 왼 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품인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서로 멀어지게 된다.
턴버클의 종류는 단조 턴버클, 짜게 턴버클, 주물 턴버클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단조 턴버클의 경우에는 아이앤아이, 죠앤죠, 훅액훅의 3가지 형태가 있다.
사용방식에 따라서 한 쪽을 다른 타입으로 바꿔서 사용도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인장력이 요구되는 작업에는 단조 턴버클이 사용된다.
턴버클은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한 종류의 로드를 사용할 수 있어 취급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래싱 바(8)의 고정형태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수직 래싱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교차 래싱과 두가지를 혼합한 혼합 래싱의 방법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해치 커버(5) 위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2)의 한쪽면은 가이딩부(4)와 맞닿아 고정되어 있고 반대쪽면은 래싱 바(8)를 통하여 래싱 브릿지(3)와 고정이 되어있다.
컨테이너(2) 선적 작업에서, 컨테이너(2)의 이송 및 선적은 크레인의 스프레더를 통하여 가능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하지만 래싱 바(8)의 체결 및 해체는, 자동 체결이 불가능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져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높은 곳에서 인부들이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위험요소가 있다.
선박 갑판 상부(6)에 다단으로 컨테이너(2)가 선적되는 경우, 래싱 브릿지(3)보다 높게 적재된 컨테이너(2)에 대한 래싱 바(8) 체결 작업이 필수적이므로, 컨테이너(2) 선적 작업 중 대다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종래의 래싱 브릿지(3)와 달리 컨테이너(2)의 한쪽면은 가이딩부(4)로 고정을 하여 래싱 바(8)의 체결이 최소화 또는 생략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2)의 반대쪽면을 래싱 바(8)를 통하여 고정을 한다. 따라서 컨테이너(2) 체결 및 해체 작업을 50% 내외 배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딩부(4)는 래싱 브릿지(3)에 배치되어 컨테이너(2)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딩부(4)는, 래싱 브릿지(3)에 배치되며 화물창 내벽(71)에 배치되는 셀 가이드(1)와 같이 컨테이너(2)의 측면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화물창 내벽(71)에 배치되는 셀 가이드(1)는 화물창 내벽(71) 양쪽에 배치되는 것에 반해, 가이딩부(4)는 래싱 브릿지(3)와 래싱 브릿지(3) 사이의 공간에 한쪽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4)는 셀 가이드(1)와 상하 일직선을 이룰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컨테이너(2)를 갑판 상부(6)와 화물창(7)에 적재 가능하다.
가이딩부(4)는, 래싱 브릿지(3)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가 가능하며 가이딩부(4)와 갑판 상부(6)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화물창(7)의 덮개 역할을 하는 해치 커버(5)가, 갑판 상부(6)에서 수평 이송을 하기 위해서 공간이 필요하므로, 가이딩부(4)는 갑판 상부(6)와 적어도 해치 커버(5)의 두께 이상은 떨어져 있어야 할 수 있다.
가이딩부(4)의 형태는 수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개의 부재가 하나의 가이딩부(4)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컨테이너(2)가 래싱 브릿지(3)에 직접적으로 선적되지 않게 적재하며, 래싱 바(8) 및 가이딩부(4)를 이용하여 컨테이너(2)의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래싱 브릿지(3)에 작용하는 컨테이너(2)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치 커버(5)는, 화물창(7)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이물질 등을 화물창(7)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해치 커버(5)의 상단에는 다수의 컨테이너(2)가 적재될 수 있기 때문에, 해치 커버(5)는 중량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해치 커버(5)는 작업자의 힘으로는 개폐 조작이 불가능하여 선박 또는 지상에 있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치 커버(5)를 이송하고 화물창(7)을 개폐할 수 있다. 크레인의 작업 반경 제한으로 인하여, 수평 방향으로 해치 커버(5)를 이송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해치 커버(5)의 이송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창(7)은 래싱 브릿지(3)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치 커버(5)를 화물창(7)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래싱 브릿지(3) 사이를 지나가야 한다.
만약에 가이딩부(4)가 래싱 브릿지(3)의 양쪽에 이격 배치된다면, 가이딩부(4) 사이의 간격은 해치 커버(5)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딩부(4)와 해치 커버(5) 사이에 구조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수직 방향으로 해치 커버(5)의 이송 및 개폐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래싱 브릿지(3)와 래싱 브릿지(3) 사이의 공간에 한쪽에만 가이딩부(4)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딩부(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래싱 브릿지(3)와 가이딩부(4)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해치 커버(5)의 길이보다 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치 커버(5)는 가이딩부(4)와 래싱 브릿지(3)의 사이의 간격에서 가이딩부(4)와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어, 해치 커버(5)의 위치 이탈로 인한 구조 간섭을 방지하면서 갑판 상부(6)에 도달할 수 있다. 해치 커버(5)는, 갑판 상부(6)에 도달 후 수평으로 이송하여 화물창(7)의 상부로 이송될 수 있다.
해치 커버(5)의 위에 컨테이너(2)가 적재될 수 있는데, 컨테이너(2)가 해치 커버(5)의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적재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2)의 하중이 해치 커버(5)의 끝단에 집중되지 않고 보다 취약한 해치 커버(5)의 중심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해치 커버(5)에 비틀림 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컨테이너(2)가 해치 커버(5)의 상부 면적 안에 적재되거나, 해치 커버(5)와 컨테이너(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컨테이너(2)가 적재된다면, 컨테이너(2)의 한쪽 면은 가이딩부(4)와 맞닿게 되고 반대쪽 면은 래싱 브릿지(3)와 이격이 발생하고 래싱 바(8)를 통하여 고정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컨테이너(2)의 하중이, 해치 커버(5)의 끝단인 갑판 상부(6)와 해치 커버(5)가 맞닿는 위치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해치 커버(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구성인 수평 이동부(41)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구성인 수평 이동부(4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갑판 상부(6)에 다수 배치되는 래싱 브릿지(3)와 연결되어 컨테이너(2)를 지지하는 가이딩부(4)와 수평 이동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가이딩부(4)가 래싱 브릿지(3)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딩부(4)가 래싱 브릿지(3)의 양쪽에 이격 배치된다면, 구조 간섭이 발생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해치 커버(5)의 이송과 개폐가 불가능 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래싱 브릿지(3)의 양쪽에 배치된 가이딩부(4)에 수평 이동부(41)를 포함하여, 가이딩부(4)의 수평 이동을 통해서 가이딩부(4) 사이의 간격을 조절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딩부(4)를 각각 수평으로 이동하여 가이딩부(4) 사이의 공간을, 해치 커버(5)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종래의 래싱 브릿지(3)와 달리 컨테이너(2)의 한쪽면은 가이딩부(4)로 고정을 하고, 컨테이너(2)의 반대쪽면을 래싱 바(8)를 통하여 고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2) 체결 및 해체 작업을 50% 배제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컨테이너(2)의 양쪽 측면을 가이딩부(4)로 고정을 할 수 있어, 래싱 바(8)를 통한 고정이 필요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2) 체결 및 해체 작업을 100% 배제할 수 있어 작업 효율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4)가 일체형으로 구성이 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가이딩부(4)가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분리된 가이딩부(4)에 수평 이동부(41)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위치를 분리된 가이딩부(4)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41)는, 가이딩부(4)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411)과 슬라이드 블록(411)이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하는 롤러(412)와 슬라이드 블록(411)에 붙어 있으며 수동으로 조작하여 슬라이드 블록(411)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핸들(413)과 롤러(412) 사이에 투입되어 슬라이드 블록(411)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블록(411)을 고정하는 고정핀(41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411)은, 가이딩부(4)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로 수평 이동부(41) 내부에서 롤러(412)를 통해 슬라이드 하여, 가이딩부(4)를 이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나,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블록(411) 끝에 고정핀(414)이 들어가는 구멍이 있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는 가능하나, 이동거리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411)은 가이딩부(4)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이딩부(4)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강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411)에는 고정핀(414)이 관통할 수 있는 요철구조(416)가 있을 수 있어, 요철구조(416)에 고정핀(414)을 적용하여 슬라이드 블록(41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요철구조(416)는 슬라이드 블록(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롤러(412)는, 슬라이드 블록(411)이 수평 이동부(41) 내부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롤러(412)는 금속볼이 될 수 있으며, 합금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한 납작한 바퀴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롤러(412)는 수평 이동부(41) 내부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411)을 기준으로 상부, 하부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롤러(412)는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어 어긋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롤러(412)와 롤러(412)의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핀(414)이 들어갈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가이딩부(4)와 가까운 쪽에는 영구 고정핀(415)이 배치되어 일정 길이이상 슬라이드 블록(411)이 움직일 수 없게 할 수 있다.
핸들(413)은, 슬라이드 블록(411)에 붙어 있고 수동으로 조작을 하여 슬라이드 블록(4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핸들(413)은 슬라이드 블록(411)을 기준으로 가이딩부(4)와 반대쪽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413)의 수동 조작을 위해서 핸들(413)의 끝 부분은 손잡이 형태나 T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장치에서는, 가이딩부(4)가 일체형으로 구성이 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분리된 가이딩부(4)에 수평 이동부(41)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핸들(413)을 통하여 분리된 가이딩부(4)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되는 컨테이너(2)의 규격이 달라도, 층별로 개별적으로 가이딩부(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적재되는 컨테이너(2)의 순서나 크기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는, 슬라이딩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다른 접이식 구조에 비해서 컨테이너(2) 규격이 달라져도 개별 가이딩부(4)가 컨테이너(2)에 닿는 면적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접이식 구조는 컨테이너(2)의 규격이 달라지는 경우에, 접이식 구조가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적재장치가 컨테이너(2)에 닿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컨테이너(2)와 닿는 적재장치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는 경우에는, 컨테이너(2) 하중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컨테이너(2)의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핸들(413)을 통한 가이딩부(4)의 개별적 위치 조절은, 별도의 기계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인력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롤러(412)와 슬라이드 블록(411) 사이의 마찰에 따라 가이딩부(4)의 수평 이동에 필요한 힘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경우에는, 인력으로 핸들(413)을 수동 조작할 수 있으므로, 롤러(412)와 슬라이드 블록(411) 사이의 마찰은 적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안전을 위해서 향후 설명할 고정핀(414)이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접이식 구조의 경우, 작동을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기계 장치가 필요한 경우, 단가 상승이 불가피하며 선박 운항 중 고장이 나는 경우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장치의 경우에는 인력으로 조작이 가능하기에 이러한 문제점이 없을 수 있다.
고정핀(414)은, 롤러(412)와 롤러(412) 사이에 투입되어 슬라이드 블록(411)을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수평 이동부(41)의 측면 또는 상면 등의 일면에 구멍이 있을 수 있으며, 고정핀(414)이 구멍을 관통하여 적용될 수 있다.
고정핀(414)은 어느 하나의 요철구조(416)가 어느 하나의 고정핀(414)과 맞물리면서, 슬라이드 블록(41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핀(414)은 가이딩부(4)와 슬라이드 블록(411)의 움직임 또는 하중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강성이 필요할 수 있다.
고정핀(414)의 두께는 롤러(412)와 롤러(412) 사이 간격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고정핀(414)의 길이는 적어도 슬라이드 블록(411)과 상부와 하부의 롤러(412)의 길이를 합친 길이보다는 길어야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치 커버(5)의 수직 이송을 위해 가이딩부(4)가 수평으로 슬라이딩하여 가이딩부(4)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해치 커버(5)의 이송 과정에서는, 가이딩부(4)가 더이상 수평이동 할 수 없게 고정핀(414)을 슬라이드 블록(411)의 요철구조(416)에 적용하여, 가이딩부(4)를 고정할 수 있다.
인력으로 가이딩부(4)의 수평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정핀(414) 또한 수동으로 조작을 할 수 있게, 도 6에서와 같이, 수평 이동부(41)보다 고정핀(414)이 돌출되게 배치하여 수동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핀(414)은,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을 위하여 고정핀(414)은 여러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딩부(4)의 수평 이동 중에 슬라이딩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영구 고정핀(415)이 배치될 수 있다.
영구 고정핀(415)은, 수평 이동장치 중에서 핸들(413)과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요철구조(416)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슬라이드 블록(411)이 수평이동 할 수 있는 최대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13)을 통해 실수로 조작을 잘못하거나, 롤러(412)의 고장 등 기계적 문제로 슬라이드 블록(411)이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도, 영구 고정핀(415)을 통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영구 고정핀(415)은, 요철구조(416)를 제외한 슬라이드 블록(411)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게 홈이 파여 있을 수 있다. 영구 고정핀(415)은, 슬라이드 블록(411)에 배치될 수 있는 요철구조(416)가 수평 이동을 하다가, 영구 고정핀(415)과 부딪히거나 맞물리면서 이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요철구조(416)는 슬라이드 블록(411)보다 좌우로 튀어나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좌우로 튀어나온 형상이 영구 고정핀(415)에 배치될 수 있는 홈의 크기보다 커서, 홈과 부딪히거나 맞물리면서 슬라이드 블록(411)의 움직을 제한할 수 있다.
영구 고정핀(415)은, 위에 설명한 고정핀(414)과 달리 위치의 변경이 어려울 수 있으며, 사고 방지를 목적으로 배치되므로, 고정핀(414)보다 강성이 좋은 재료로 형성되거나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면 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또한 영구 고정핀(415)과 고정핀(414)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색이나 형상을 달리할 수도 있다.
고정핀(414)도 형태와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영구 고정핀(415)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적재되는 컨테이너(2)를 설명한다.
컨테이너(2)는, 화물창(7)에 적재되거나 갑판 상부(6) 또는 화물창(7)의 덮개 역할을 하는 해치 커버(5)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2)의 고정 장치로는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2)들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트위스트락이 사용될 수 있다.
트위스트락은, 컨테이너(2) 사이의 상하 고정을 위해 사용이 될 수 있으며, 해치 커버(5)와 컨테이너(2)를 고정할 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트위스트락의 종류는, 매뉴얼 형태로 수동으로 레버를 양방향으로 돌려 고정하는 방식이 있고, 세미 오토와 풀 오토방식이 있다.
컨테이너(2)는 갑판 상부(6)에 8개층 이상으로도 적재될 수 있으며, 래싱 브릿지(3)를 넘어 적재되는 1~2개층은 안전을 위해 래싱 바(8)와 연결될 수 있고, 래싱 브릿지(3)를 넘지 않게 적재되는 컨테이너(2)도 래싱 바(8)와 연결될 수 있다. 그 이상의 층은 컨테이너(2) 사이의 트위스트락으로 고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셀 가이드 2: 컨테이너
3: 래싱 브릿지 31: 래싱 브릿지 지지대
32: 래싱 브릿지 지지프레임 4: 가이딩부
41: 수평 이동부 411: 슬라이드 블록
412: 롤러 413: 핸들
414: 고정핀 415: 영구 고정핀
416: 요철구조 5: 해치 커버
6: 갑판 상부 7: 화물창
71: 화물창 내벽 72: 호퍼 탱크
8: 래싱 바

Claims (7)

  1. 셀 가이드를 갖는 갑판 아래의 화물창 내부 및 상기 갑판 상부에 놓이는 해치 커버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로서,
    상기 갑판 상부에 다수 배치되는 래싱 브릿지;
    상기 래싱 브릿지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가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딩부는,
    서로 마주한 한 쌍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에서 한쪽에만 마련되며,
    상기 화물창 내부에 배치된 상기 셀 가이드와 상하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해치 커버가 인입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상기 화물창의 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상기 해치 커버의 수평 이동을 유도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래싱 브릿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갑판 상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 배치된 높이는 상기 해치 커버의 두께보다 높아 상기 해치 커버가 상기 갑판 상부에서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해치 커버의 길이보다 긴 간격을 가지며,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에 상기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래싱 바;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커버는,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와 상기 가이딩부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래싱 브릿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가이딩부와 맞닿으면서 수직으로 이송되어 상기 해치 커버의 위치 이탈로 인한 구조 간섭을 방지하면서 상기 갑판 상부에 도달하며, 상기 갑판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며 배치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은,
    상기 화물창의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갑판 상부의 하중을 견디는 화물창 내벽;과 상기 컨테이너의 형태와 같은 직육면체의 호퍼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화물창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화물창 내벽의 양쪽에 배치된 셀 가이드와 맞닿아 배치되며,
    상기 갑판 상부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해치 커버의 상단에 적재가 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한쪽 측면은 상기 래싱 브릿지에 배치된 상기 가이딩부와 맞닿아 있고, 상기 컨테이너의 반대쪽 측면은 상기 래싱 바를 통하여 상기 래싱 브릿지에 고정이 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커버의 길이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해치 커버의 상단 면적 안에 적재되는, 컨테이너 적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 적재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220044827A 2022-04-11 2022-04-11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145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827A KR20230145880A (ko) 2022-04-11 2022-04-11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827A KR20230145880A (ko) 2022-04-11 2022-04-11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880A true KR20230145880A (ko) 2023-10-18

Family

ID=8850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827A KR20230145880A (ko) 2022-04-11 2022-04-11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48382B (zh) 用于自动物料搬运的高架导轨系统
US20200354198A1 (en) Lifting System, Beam and Method For Containers, Trailer for Containers, Connector For Containers
KR101517404B1 (ko)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GB2353277A (en) Freight container with a movable support strut
US20050019127A1 (en) Contrail shipping platform
EP2440476B1 (en) Transport frame
EP0121681B1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US4890565A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KR20120001834U (ko) 래싱 브리지
KR20230145880A (ko)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145878A (ko) 컨테이너 적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129344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EP3700834A1 (en) Method and coupling means for locking together intermodal containers being transported on a ship
US4171122A (en) Tensible reinforcement bar for shipping containers
US3509845A (en) Freight container storing apparatus for cargo ship
EP2597056B1 (en) Transport unit with support arrangement for supporting load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EP0705770B1 (en) Container with self-locking arms, especially suitable for rolling stock
EP0558152B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such as pipes
KR20140069465A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RU2089481C1 (ru) Большегрузный контейнер
KR20240002144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0409759Y1 (ko) 좌굴강도 보강 선적 컨테이너
RU1801816C (ru) Платформа дл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