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834A -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834A
KR20230145834A KR1020220044736A KR20220044736A KR20230145834A KR 20230145834 A KR20230145834 A KR 20230145834A KR 1020220044736 A KR1020220044736 A KR 1020220044736A KR 20220044736 A KR20220044736 A KR 20220044736A KR 20230145834 A KR20230145834 A KR 2023014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inks
link
hin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민
박동일
최종혁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22004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834A/ko
Publication of KR2023014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과 결합되는 제1힌지축을 갖추어 평면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1링크;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제1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결합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관절베이스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2링크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2링크 중 일측 제2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일측 제2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토션스프링 ; 상기 베이스와 관절베이스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3링크 ;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와 각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3링크와 각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 ;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고정판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갖추어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연결되는 브라켓부 ; 및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혀진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를 걸림구속하거나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제1,2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펼쳐진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와의 걸림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 ;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Arm stand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는 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자세전환 및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 자세전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대형화 추세에 따라 무거워지는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맞추어 링크부재의 선회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unit)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기기로서,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여 대형화가 용이하고 두께가 얇아서 벽이나 테이블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암 스탠드(Arm Stand)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이라함.)를 수직한 벽면이나 수평한 테이블에 고정하면서 디스플레이의 높이나 거리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암 스탠드는 테이블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부, 디스플레이를 베이스부와 연결하는 주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링크의 하단은 베이스부에 결합된 한쌍의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링크부의 상단은 디스플레이가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연결되어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링크부 측면에 상기 링크부가 폴딩이 해제될 때 링크부의 회전을 돕기 위하여 보조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링크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평행한 링크로 형성되며, 상기 두 링크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인장스프링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인장 스프링은 암 스탠드가 수평면에 대하여 세워져 있는 동안에는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암 스탠드가 폴딩(folding)된 경우 인장된다. 상기 암 스탠드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암 스탠드의 폴딩이 해제되면, 상기 인장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보조링크가 서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상기 암 스탠드는 수평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조속하게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는 평행 링크가 회전할수록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도 함께 증가하므로 평행한 주링크를 일정 각도 이상, 예를 들어, 40~45°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암 스탠드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중량의 무거워지면서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이 커지게 되면서 폴딩상태 및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링크부재들간의 선회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하였다.
(특허문헌 1) KR10-0705063 B1
특허문헌 1에는 주링크에 비틀림 스프링의 중심을 고정하는 고정 돌기와, 비틀림 스프링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주링크의 최대 접힘 한계를 설정하는 스프링 작동부를 형성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주링크 및 보조링크의 전체길이가 길어지고 링크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비례하여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이 커지는 경우, 주링크부와 보조링크의 복원력을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만으로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한편, 주링크부와 보조링크가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자세를 전환하는 동작과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 자세를 전환하는 동작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자세전환 및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 자세전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대형화 추세에 따라 무거워지는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맞추어 링크부재의 선회작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과 결합되는 제1힌지축을 갖추어 평면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1링크;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제1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결합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관절베이스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2링크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2링크 중 일측 제2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일측 제2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토션스프링 ; 상기 베이스와 관절베이스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3링크 ;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와 각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3링크와 각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 ;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고정판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갖추어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연결되는 브라켓부 ; 및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혀진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를 걸림구속하거나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제1,2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펼쳐진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와의 걸림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 ;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2핀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제1힌지축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2핀공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1,2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1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1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축을 제1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는 언폴딩 자세전환시 상방선회되는 한쌍의 제1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각도 스토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이 곤란하게 조립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은 외부면에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중 일측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걸림배치되는 제1안내 원호홈을 절개형성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제1제어턱이 걸림배치되는 제2안내 원호홈을 절개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절베이스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3핀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제2힌지축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4핀공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3,4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2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2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축을 제1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3링크중 일측 제3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상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 제3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힌지축을 따라 상기 관절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다른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상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3링크중 나머지 타측 제3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하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타측 제3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힌지축을 따라 상기 관절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다른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하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되도록 다른 연결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고정판의 전면에는 걸림용 볼부재를 갖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걸림용 볼부재와의 대응시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는 한쌍의 제1링크와 그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3링크와의 사이에서 양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보관하기 위한 폴딩상태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힘을 분산시키고, 고중량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 자세전환을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균일한 힘으로 용이하게 대형화된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암 스탠드의 폴딩 자세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폴딩과 언폴딩간의 자세전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폴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 및 폴딩상태에서 베이스, 제1링크 및 제1토션스프링들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베이스, 제1링크 및 제1토션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 및 폴딩상태에서 관절베이스, 제2링크 및 제2토션스프링들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관절베이스, 제2링크 및 제2토션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a 와 도 8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 및 폴딩상태에서 제3링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브라켓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록킹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를 설명한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폴딩과 언폴딩간의 자세전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폴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 및 폴딩상태에서 베이스, 제1링크 및 제1토션스프링들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베이스, 제1링크 및 제1토션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100)는 도 1a 내지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의 사용시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 및 디스플레이의 미사용시 언폴딩상태에서 폴징상태로의 자세전환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베이스(10), 제1링크(21,22), 제1토션스프링(20a,20b), 관절베이스(30), 제2링크(41,42), 제2토션스프링(40a,40b), 제3링크(51,52), 인장스프링(50a,50b), 브라켓부(60) 및 록킹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도 4a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중앙에 제1힌지공(11)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공에 관통배치되는 제1힌지축(12)을 갖추어 평면 상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이러한 베이스(10)는 상기 제1힌지공(11)을 관통형성한 대략 원통상의 제1본체(1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를 상부면에 일체로 갖추어 테이블의 평면이나 평면에 일정깊이 함몰된 피트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대략 판상의 제1본체(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축(12)은 상기 제1힌지공(11)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의 제1본체의 양측으로 양단이 외부노출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며,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 외부노출되는 제1힌지축(12)의 양단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1링크(21,22) 및 상기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20a,20b)을 각각 조립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1핀공(11a)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베이스와 대응하는 제1힌지축(12)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2핀공(12a)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1,2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1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12b)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1고정핀(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핀이 상기 제1,2핀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어 제1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하여 간섭됨으로써 상기 제1힌지공에 삽입배치되는 제1힌지축은 제1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의 제1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21,22)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는 제1힌지축의 양단에 각각 대응조립되는 대략 원형의 연결공을 각 일단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축(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한쌍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일정길이의 링크부재이다.
상기 제1토션스프링(20a,20b)은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각각 고정배치되는 한쌍의 제1스토퍼판(23,24)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제1힌지축(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1링크(21,22)의 각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는 제1링크에 탄성복원력을 인가하고,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전환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비트림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1스토퍼판(23,24)은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20a,20b)의 각 일단에 절곡형성된 단부가 대응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힌지축(12)과 대응결합되는 중앙공을 관통형성한 대략 원반상의 판부재이다.
상기 제1힌지축과 결합되는 한쌍의 제1스토퍼판(23,24)의 중앙공에는 상기 제1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해지는 다른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제1스토퍼판은 상기 제1힌지축 양단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20a,20b)의 각 타단에 절곡형성된 단부는 상기 제1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제1링크의 일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걸림공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20a,20b)과 대응하는 제1힌지축(12)의 양단에는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20a,20b)의 내경에 배치되는 제1스페이서 너트(25a)와 제1스페이서 와셔(25b)를 각각 배치하여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1스토판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한쌍의 이탈방지용 제1너트(25,26)를 각각 체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는 언폴딩 자세전환시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선회되는 한쌍의 제1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각도 스토퍼판(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27)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제1힌지축(12)을 따라 일정길이의 연장되는 연장부(10c)의 외부면에 회전이 곤란하게 조립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한 대략 원형의 판부재이다.
상기 연장부(10c)와 결합된 제1각도 스토퍼판(27)의 외부면에는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중 일측 토션스프링(20a)의 단부가 걸림배치되어 안내되는 제1안내 원호홈(27a)을 절개형성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제1제어턱(21a)이 걸림배치되어 안내되는 제2안내 원호홈(27b)을 절개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연장부와 결합되는 제1각도 스토퍼판(27)의 조립공에는 상기 연장부의 외부면에 형성된 요홈과 접해져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연장형성된 연장부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1링크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되면서 제1링크가 하방선회되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각 하단에 걸림연결된 한쌍의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베이스 측으로 강제이동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틀림 탄성변형될 수 있다.
반면에 폴딩시 상기 제2링크를 걸림구속하는 록킹부의 걸림해제에 의해서 제1링크가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면, 폴딩시 비트림 탄성변형된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는 제1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1링크의 선회작동은 상기 제1안내 원호홈을 따라 안내이동되는 상기 일측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제1안내 원호홈의 단부에 접해지고, 상기 제2안내 원호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제1제어턱이 상기 제1안내 원호홈의 단부에 접해지면서 중단되어 일정각도 선회되어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언폴딩 및 폴딩상태에서 관절베이스, 제2링크 및 제2토션스프링들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관절베이스, 제2링크 및 제2토션스프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관절베이스(30)는 도 6a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중앙에 제2힌지공(31)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힌지공에 관통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2힌지축(32)을 갖추어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링크(21,22)와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2링크(41,42)와의 사이를 관절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관절베이스(30)는 상기 제2힌지공을 관통형성한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제2힌지공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통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축(32)은 상기 제2힌지공(31)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관절베이스의 양측으로 양단이 외부노출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다.
상기 관절베이스(30)의 양측으로 외부노출되는 제2힌지축(32)의 양단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1링크(21,22)의 타단,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2링크(41,42)의 일단 및 상기 제2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토션스프링(40a)을 각각 조립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절베이스(30)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3핀공(31a)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베이스와 대응하는 제2힌지축(32)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4핀공(32a)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3,4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2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32b)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2고정핀(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핀이 상기 제3,4핀공을 통하여 대응삽입되어 제2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하여 간섭됨으로써 상기 제2힌지공에 삽입배치되는 제2힌지축은 제2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관절베이스의 제2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41,42)는 도 6a 내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절베이스(3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는 제2힌지축(32)의 양단에 각각 대응조립되는 대략 원형의 연결공을 각 일단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2힌지축(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21,2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일정길이의 링크부재이다.
이러한 제2링크(41,42)의 타단인 상단에는 중량물인 디스플레이(D)와 결합되는 브라켓부(60)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은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 중 일단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각각 고정배치되는 제2스토퍼판(43)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축(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2링크(41,42) 중 일측 제2링크(42)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가 상방선회되는 언폴딩 자세전환시 상기 제2링크(41,42)의 상방선회가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인가하는 반면에 상기 제2링크가 제1링크와 중첩되는 폴딩 자세선환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비틀림 변형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제2스토퍼판(43)은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단부가 대응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힌지축(32)과 대응결합되는 중앙공을 관통형성한 대략 원반상의 판부재이다.
상기 제2힌지축과 결합되는 제2스토퍼판(43)의 중앙공에는 상기 제2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해지는 다른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스토퍼판은 상기 제2힌지축의 일단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의 타단에 절곡형성된 단부는 상기 제2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제2링크 중 일측 제2링크(42)의 일단 외부면에 절곡형성된 걸림턱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과 대응하는 제2힌지축(32)의 일단에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의 내경에 배치되는 제2스페이서 너트(45a)와 제2스페이서와셔(45b)를 배치하여 구비하고, 상기 제2토션스프링(40a)이 배치되지 않는 제2힌지축(32)의 타단에는 한쌍의 제2링크 중 타측 제2링크(41)의 일단 외부면에 함몰형성된 요홈에 대응삽입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볼부재(44a)를 갖는 원형 스토퍼판(44)과 다른 제2스페이서와셔(4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힌지축의 양단에는 상기 제2스토판, 원형스토판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한쌍의 이탈방지용 제2너트(45,46)를 각각 체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각 일단에는 돌출형성되는 걸림제어턱(49)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각 타단에는 상기 걸림제어턱과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피걸림제어턱(29)을 포함하여 상기 제1,2링크의 폴딩시 상기 걸림제어턱과 피걸림제어턱은 서로 접해지는 반면에, 상기 제1,2링크의 언폴딩 자세전환시 상기 한쌍의 제2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선회되는 한쌍의 제2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피걸림제어턱으로 부터 멀어지는 걸림제어턱은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각 타단 하부면에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2링크는 한쌍의 제1링크와의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2링크의 선회작동은 상기 피걸림제어턱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1링크의 타단 외부면을 따라 안내이동되는 상기 걸림제어턱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타단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걸림홈에 접해지면서 중단되어 일정각도 선회되어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링크(51,52)는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제1,2링크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베이스(30)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1링크(21,22)사이에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링크부재이다.
상기 베이스(10)와 대응하는 한쌍의 제3링크중 일측 제3링크(51)의 일단에는 상기 베이스의 제1힌지공으로부터 상측으로 편심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상부핀(14a)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관절베이스(30)와 대응하는 일측 제3링크(51)의 타단에는 상기 관절베이스의 제2힌지공으로부터 상측으로 편심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다른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상부핀(34a)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다른 연결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3링크중 나머지 타측 제3링크(52)의 일단에는 상기 베이스의 제1힌지공으로부터 하측으로 편심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하부핀(14b)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타측 제3링크(52)의 타단에는 상기 관절베이스의 제2힌지공으로부터 하측으로 편심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다른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하부핀(34b)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다른 연결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상부핀(14a)과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일측 제3링크(51)의 일단은 직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상부핀(34a)과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일측 제3링크의 타단은 상기 관절베이스(3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대략 호형의 곡선부로 구비될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하부핀(14b)과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타측 제3링크(52)의 일단은 베이스(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대략 호형의 곡선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2하부핀(34b)과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타측 제3링크(52)의 타단은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3링크(51,52) 중 일측 제3링크(51)는 상기 베이스의 제1상부핀(14a)과 관절베이스의 제2상부핀(34a)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 제3링크(52)는 상기 베이스의 제1하부핀(14b)과 관절베이스의 제2하부핀(34b)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한쌍의 제1링크들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링크(51,52)는 높이차를 두고 제1링크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링크부재이다.
상기 제1상,하부핀을 구비하는 베이스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링크와 더불어 자세전환시 상기 제3링크의 일단이 걸림없이 회동되도록 슬릿홈을 절개형성하고, 상기 제2상,하부핀을 구비하는 관절베이스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링크와 더불어 자세전환시 상기 제3링크의 타단이 걸림없이 회동되도록 다른 슬릿홈을 절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스프링(50a,50b)은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21)의 길이중간 내측면에 한쌍의 돌출형성된 걸이바에 각 일단이 각각 걸림연결되고,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3링크(51,52)와 각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언폴딩시 상기 제1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방선회되는 한쌍의 제1링크(21,22)에 탄성복원력을 인가하고, 폴딩시 디스플레이의 하중에 의한 상기 제1힌지축(12)을 중심으로 하는 제1링크의 급격한 선회작동을 방지하는 반력을 제공하는 코일형 스프링부재이다.
한쌍으로 구비되는 인장스프링(50a,50b) 중 일측 인장스프링(50a)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2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걸이바에 걸림연결되고, 상기 일측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와 대응하는 한쌍의 제3링크 중 일측 제3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절곡편의 걸림핀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50a,50b) 중 타측 인장스프링(50b)의 타단은 상기 관절베이스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타측 제1링크(2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다른 걸이바에 걸림연결되고, 상기 타측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관절베이스와 대응하는 한쌍의 제3링크 중 일측 제3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걸림편의 다른 걸림핀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의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제1링크가 평면과 나란하도록 접해지는 폴딩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1링크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상방선회되면,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링크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3링크(51,52)는 상기 제1,2힌지축에 인접하여 편심배치된 제1,2상,하부핀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1링크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선회되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의 각 타단이 한쌍의 제3링크에 연결된 걸림위치는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50a,50b)의 일단이 한쌍의 제1링크와 연결된 걸림위치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50a,50b)의 각 양단거리는 L1>L2>L3 순으로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1링크를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가장 길게 신장되어 있던 한쌍의 인장스프링이 원상태로 수축복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제1토션스프링에서 전달하는 탄성복원력과 더불어 제1링크에 전달함으로써 고중량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가 상방선회되는 회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상기 제1링크의 언폴딩 전환을 위한 상방선회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낮추어 설계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초기에 상기 제1토션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링크를 상방선회하는 선회각도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링크를 상방선회하는 선회각도와 서로 유사하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일정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직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가 상방선회되어 경사지게 세워진 언폴딩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링크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하방선회되면, 상기 한쌍의 제3링크는 상기 제1힌지축에 인접하여 편심배치된 제1상,하부핀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한쌍의 제1링크들사이에서 이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방선회되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의 각 타단이 한쌍의 제3링크에 연결된 다른 걸림위치는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50a,50b)의 각 일단이 제1링크에 연결된 다른 걸림위치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인장스프링(50a,50b)의 각 양단거리는 L3<L2<L1 순으로 점차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된 디스플레이를 보관하기 위해서 상기 제1링크를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언폴딩시 원상태로 수축복원되어 있던 한쌍의 인장스프링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과정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브라켓부에 탑재된 고중량의 대형 디스플레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가 급격하게 하방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상기 제1링크에 외력을 전달하는 제1토션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낮추어 설계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초기에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링크를 하방선회하는 과정에서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부(6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D)는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인 하단이 록킹부(70)에 의해서 걸림구속되기 까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3링크(51,52)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한쌍의 제1링크(21,22)사이에 해당하는 중앙에 병렬 배열됨으로써 폴딩상태에서 언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상방선회되거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자세전환시 하방선회되는 과정에서 중량물인 디스플레이의 하중에 기인하여 한쌍의 제1링크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중앙 배열된 한쌍의 제3링크에 의해서 좌우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핵심부품인 제1링크의 단면계수 및 강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도 제1링크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크기가 대형화되어 무거워진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암 스탠드를 구현할 수 있고,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이 부담해야 하는 탄성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토션스프링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베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슬림화에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브라켓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에 구비되는 록킹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상기 브라켓부(60)는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제2링크(41,42)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고정판(62)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64)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회전판(61)을 갖추어 디스플레이(D)의 후면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판(62)은 상기 한쌍의 제2링크(41,42)와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대락 사각판상의 판재이며, 상기 회전지지축(64)은 상기 연결고정판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며, 상기 회전판(61)은 상기 회전지지축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재이다.
상기 회전판(61)과 연결고정판(62)과의 사이에는 이들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판과 연결고정판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격유지용 스페이서판(63)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용 스페이서판은 상기 회전지지축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조립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연결고정판의 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과 대응하는 연결고정판(62)의 전면에는 걸림용 볼부재 (65a)를 갖는 탄성판(65)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용 볼부재와 대응하는 회전판에는 대략 90도의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어 걸림용 볼부재와의 대응시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공(6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판은 상기 회전지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이동시 상기 탄성판에 구비되는 걸림용 볼부재가 복수개의 멈춤공 중 어느 하나와 일대일 대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 취향에 맞추어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로 간편하고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70)는 도 9 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제1,2링크(21,22,41,42)가 제2힌지축(32)을 중심으로 접해진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절베이스와 대응하는 한쌍의 제2링크(41.42)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걸림구속하거나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제1,2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되어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일단인 히단에 대한 걸림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70)는 상기 관절베이스와 대응하는 상기 한쌍의 제2링크 중 일측 제2링크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트라이커(71)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단부인 하단이 끼움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스냅피트(72a)를 갖는 푸시형 래치(7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고정설치되는 평면 상에 푸시형 래치를 위치고정설치하는 래치홀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부는 푸시형 래치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첩되는 제1,2링크가 평면 상에 근접할 때 전원인가시 제2링크의 일단에 걸림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엑추에이터를 적용하거나 걸림핀과 같은 수동걸림기구를 적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a,20b : 제1토션스프링
21,22 : 제1링크
30 : 관절베이스
40a,40b : 제2토션스프링
41,42 : 제1링크
50a,50b : 인장스프링
51,52 : 제3링크
60 : 브라켓부
70 : 록킹부

Claims (6)

  1.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과 결합되는 제1힌지축을 갖추어 평면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1링크;
    상기 제1힌지축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제1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1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
    몸체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결합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관절베이스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제2링크 ;
    상기 제2힌지축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토퍼판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2링크 중 일측 제2링크의 일단과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일측 제2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토션스프링 ;
    상기 베이스와 관절베이스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3링크 ;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와 각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제3링크와 각 타단이 걸림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제1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 ;
    상기 한쌍의 제2링크의 타단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고정판에 구비되는 회전지지축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갖추어 디스플레이의 후면과 연결되는 브라켓부 ; 및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상기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혀진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를 걸림구속하거나 상기 한쌍의 제1,2링크가 제1,2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펼쳐진 언폴딩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2링크와의 걸림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 ;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2핀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제1힌지축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2핀공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1,2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1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1평면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1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축을 제1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는 언폴딩 자세전환시 상방선회되는 한쌍의 제1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각도 스토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이 곤란하게 조립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각도 스토퍼판은 외부면에 상기 한쌍의 제1링크 중 일측 제1링크의 일단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한쌍의 제1토션스프링 중 일측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걸림배치되는 제1안내 원호홈을 절개형성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절곡형성된 제1제어턱이 걸림배치되는 제2안내 원호홈을 절개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베이스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3핀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제2힌지축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2힌지공과 교차하는 한쌍의 제4핀공을 관통형성하고, 서로 일치하는 제3,4핀공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2힌지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2평면부와 접해지는 한쌍의 제2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축을 제1힌지공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결합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3링크중 일측 제3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상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측 제3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힌지축을 따라 상기 관절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다른 상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상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3링크중 나머지 타측 제3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1하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타측 제3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힌지축을 따라 상기 관절베이스에 관통형성되는 다른 하부핀공에 대응삽입되는 제2하부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다른 연결공을 관통형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판의 전면에는 걸림용 볼부재를 갖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걸림용 볼부재와의 대응시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멈춤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KR1020220044736A 2022-04-11 2022-04-11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KR20230145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36A KR20230145834A (ko) 2022-04-11 2022-04-11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736A KR20230145834A (ko) 2022-04-11 2022-04-11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834A true KR20230145834A (ko) 2023-10-18

Family

ID=8850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736A KR20230145834A (ko) 2022-04-11 2022-04-11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8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5045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EP1821025B1 (en) Stand for a display device
CN110675745B (zh) 显示装置
US7651058B2 (en) Stand assembly for monitor
CN111580598A (zh) 电子设备
EP1754926B1 (en) Apparatus stand
KR100628119B1 (ko) 평판형 모니터
US20060065806A1 (en) Wall mount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KR100988680B1 (ko) 회전규제기능 부착 2축 힌지 장치
US20090101777A1 (en) Wall mount supporting apparatu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WO2021197289A1 (zh) 折叠机构及电子设备
US20050284997A1 (en) Flat screen monitor desktop support
EP1536398A1 (en) Thin-type display device
US8061663B2 (en) Support mechanism
EP2503209B1 (en) Adjustable display mounting bracket assembly
EP2581613A1 (en) Hinge device
JP2014048328A (ja) 電子機器
KR20120087959A (ko) 슬라이드 틸트기구
JP4772595B2 (ja) 電子機器
KR20230145834A (ko)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JP4704512B2 (ja) 表示装置
JP4863416B2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KR10170155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JP4341858B1 (ja) ノートパソコン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