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624A -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624A
KR20230145624A KR1020220043805A KR20220043805A KR20230145624A KR 20230145624 A KR20230145624 A KR 20230145624A KR 1020220043805 A KR1020220043805 A KR 1020220043805A KR 20220043805 A KR20220043805 A KR 20220043805A KR 20230145624 A KR20230145624 A KR 2023014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e
composition
tissue repair
diglycidyl eth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강주희
이훈민
김은경
김도경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주)아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크로스 filed Critical (주)아크로스
Priority to KR102022004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624A/ko
Priority to PCT/KR2023/004644 priority patent/WO2023195790A1/ko
Publication of KR2023014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8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hemical agents in the treatment, e.g. specific enzymes, detergents, capping agents, crosslinkers, anticalcificat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0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nitro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e.g. aminoxides, nitriles, 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8Vitamins, e.g. tocopherol, riboflav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은 생체 친화성이 매우 우수하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필수 구성 요소인 가교제의 잔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부작용 없이 보다 안전하게 안면부 뿐만 아니라 바디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Methods for preparing biomaterials for tissue repair having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필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가교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안전성이 개선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나이가 듦에 따라, 중력, 일광-노출, 웃기, 찡그리기, 씹기 및 눈을 가늘게 뜨기와 같은 장기간의 안면 근육 운동의 영향이 얼굴에서 나타난다. 피부를 젊게 보이게 유지하는 아래에 놓인 조직이 파괴되기 시작하여, 흔히 웃음 주름 (laugh line), 미소 주름 (smile line), 눈가 잔주름 (crow's feet) 및 안면 깊은 주름 (facial crease)이 생기며 이를 흔히 "노화의 영향 (effects of aging)"이라고 한다. 또한, 안면 부위 외에도 신체의 부위도 노화의 영향으로 이와 마찬가지로 탄력 저하, 주름 생성 및 볼륨 저하 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노화의 영향을 치료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안면을 포함한 신체의 주름 및 함몰 (depression)을 채우는 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지방 손실-관련 조직 부피 손실을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필러가 개발되고 있다.
이상적인 필러는 유해한 부작용을 전혀 일으키지 않으며, 장기간-지속되고, 부드럽고 (soft), 매끈하며 (smooth), 자연적인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해 효소가 있어 문제 발생 시 교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안전하여 대용량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비용 대비 시술 결과가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생체 친화력이 우수한 콜라겐 또는 히알루론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러는 체내에서 빠르게 분해되는 등 고가인데 비해 효과의 지속시간이 너무 짧기에 이러한 유지 기간을 늘리기 위해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최근 이러한 가교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가교제, 특히는 필러 내 불완전 결합 또는 비결합된 형태로 존재하여 잔류하는 가교제를 생체 친화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수복형 생체재료의 부작용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수복형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직수복형 생체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 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 내에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 알킬기; C1~C3 알킬기 또는 산소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롤리딘;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논;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 비치환된 디하이드로 피롤; 카르복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딘; 비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 피리딘; 및 -C(O)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R3와 결합하는 질소가 양전하를 띠는 경우에는 산소이고, 질소가 전하를 띠지 않는 경우에는 비결합되며,
상기 R4는 수소, 아미노기 및 하이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필러라고도 불리우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교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필러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잔류 가교제에 함유된 3원환을 이루는 옥시드(oxide)인 에폭사이드에 결합하여 이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필러 부작용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되기 때문에, 안면부 뿐만 아니라 대용량이 요구되는 바디의 성형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폭사이드 등과 같은 반응기를 가진 가교제를 사용하는 생체재료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원리로 부작용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알킬"은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C1-C3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유니트를 가지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C1-C3 알킬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화학식 1에서, C1-C3 알킬은 구체적으로는 C1-C2 알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 또는 염기의 부가염, 및 이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부가염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염은 환자에 투여되었을 때에 환자에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그들의 모화합물의 활성을 유지하는 임의의 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염들은 무기염 및 유기염, 예컨대 아세트산, 질산, 아스파트산, 술폰산, 설퓨릭산, 말레산, 글루탐산, 포름산, 숙신산, 인산, 프탈산, 탄닌산, 타르타르산, 히드로브롬산, 프로피온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스테아르산, 락트산, 비카르본산, 비설퓨릭산, 비타르타르산, 옥살산, 부틸산, 칼슘 이데트, 카르보닉산, 클로로벤조산, 시트르산, 이데트산, 톨루엔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셉트산, 에실린산, 파모익산, 글루코닉산, 메틸질산, 말론산, 염산, 히드로요도익산, 히드록시나프톨산, 이세티온산, 락토비오닉산, 만델산, 점액산, 나프실릭산, 뮤코닉산, p-니트로메탄술폰산, 헥사믹산, 판토테닉산, 모노히드로겐인산, 디히드로겐인산, 살리실산, 술파민산, 술파닐린산, 메탄술폰산의 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의 부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염, 예컨대 암모늄,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염; 유기 염기를 갖는 염, 예컨대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등의 염; 및 아미노산을 갖는 염,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들은 적정 염기 또는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리된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리딘-3-카르복사미드(pyridine-3-carboxamide), 피리딘-3-카르복시산(pyridine-3-carboxylic acid), 피리딘-3-카보니트릴(pyridine-3-carbonitrile), 피리딘-2-카르복사미드(pyridine-2-carboxamide), 피리딘-4-카르복사미드(pyridine-4-carboxamide), 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옥사이드(Pyridine-3-carboxamide 1-oxide), 3-[(2S)-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3-[(2S)-1-Methylpyrrolidine-2-yl] pyridine), (2S)-1,2,3,6-테트라하이드로-2,3'-바이피리딜 ((2S)-1,2,3,6-tetrahydro-2,3'-bipyridyl), 3-(1-메틸-1H-피롤-2-일)피리딘 (3-(1-methly-1H-pyrrol-2-yl)pyridine), (5S)-1-메틸-5-(피리딘-3-일)피롤리딘-2-온 ((5S)-1-methyl-5-(pyridine-3-yl)pyrrolidine-2-one), 3-(4,5-디하이드로-3H-피롤-2-일)피리딘 (3-(4,5-dihydro-3H-pyrrol-2-yl)pyridine), (1R,2S)-1-메틸-2-(피리딘-3-일)피롤리딘-1-옥사이드 ((1R,2S)-1-methyl-2-(pyridine-3-yl)pyrrolidine-1-oxide), 3-[(2S)-피롤리딘-2-일]피리딘 (3-[(2S)-pyrrolidine-2-yl]pyridine), 3-[2s-피페리딘-2-yl]피리딘 (3-[2s-piperidine-2-yl]pyridine), 3-[(2S)-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 비스[(2R,3R)-2,3 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에이트]디하이드레이트 (3-[(2S)-1-Methylpyrrolidine-2yl] pyridine bis[(2R,3R)-2,3 dihydroxybutanedioate] dihydrate), 6-메틸피리딘-3-카르복시산(6-methylpyridine-3-carboxylic acid), 2-2'-바이피리딘-5,5'-디카르복시산(2-2'-bipyridine-5,5'-dicarboxylic acid), 5-에틸-2-메틸피리딘 (5-ethyl-2-methylpyridine), 피리딘-2,5-디카르복시산(pyridine-2,5-dicarboxylic acid), 피리딘-4-카르복시산 (pyridine-4-carboxylic acid), 5-니트로피리딘-3-카르복시산 (5-nitropyridine-3-carboxylic acid), 피리딘(pyridine), 3-니트로피리딘(nitropyridine) 및 3,5-디니트로피리딘(3,5-dinitropy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란 혈관, 심장, 격막, 근막, 피부(dermal, cutaneous 등) 등 인체 조직 및 기관의 대체, 수복 또는 재건(reconstruction)에 사용되는 생체 유래 재료를 말한다. 상기 생체재료는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첨가물을 혼합하여 2 차 가공된 인체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lapatite; CaHA), 폴리-L-라틱산(Poly-L-lactic Acid; PLLA)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성분이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HA)은 GAG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천연의, 수용성 다당류, 특히, 글루코사미노글리칸으로,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의 주성분이고 동물의 결합조직, 상피조직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HA는 인체 유래 성분으로 탁월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등 낮은 면역반응을 보인다. 또한, HA는 자신의 부피 1000 배에 달하는 다량의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므로, 피부 구조의 개선 및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볼륨마이저 (volumizer)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고, 가교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1,2-(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sorbitol polyglycidyl ether),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 및 DVS (Divinylsulf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에폭사이드와 같이 옥시드(oxide) 반응기를 가지는 가교제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는 히알루론산과 반응하여 1 또는 2 개의 HA 분자와 가교 결합하거나, HA 분자와 반응하지 않아 가교 결합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1 개의 HA 분자와 불완전 결합하거나 HA 분자와 반응하지 않아 비결합한 경우 잔류 가교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 외의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라도 가교제와의 반응 시 불완전 또는 무반응으로 인해 잔류 가교제가 발생되는 경우라면 히알루론산 성분을 포함하는 생체재료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작용은 필러의 시술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부작용인 붓기, 통증, 멍 등을 포함하며, 간헐적으로 동반되는 수포, 농포, 가피 현상, 이물감, 염증, 세포 손상, 세포 독성 유발 또는 지연성 과민반응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지연성 부작용으로 피부 내에 주입된 필러가 주기적으로 붓기, 통증을 유발하거나 시간이 오래도록 지나도 녹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 부어오름 또는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는 필러의 제조 과정에서 함유된 단백질, 세균의 내독소, 가교결합을 위한 성분 등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여러 종류의 필러를 섞어 사용하면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러 내 잔류하는 불완전 결합 또는 비결합 반응기를 포함하는 잔류 가교제를 제거함으로써 알레르기로 인한 피부 감작에 대한 부작용인 부종, 붓기, 붉어지는 현상, 멍, 수포, 농포, 가피 현상, 통증, 이물감, 더 나아가 지연성 과민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서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의 단계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 알킬기; C1~C3 알킬기 또는 산소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롤리딘;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논;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 비치환된 디하이드로 피롤; 카르복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딘; 비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 피리딘; 및 -C(O)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R3와 결합하는 질소가 양전하를 띠는 경우에는 산소이고, 질소가 전하를 띠지 않는 경우에는 비결합되며,
상기 R4는 수소, 아미노기 및 하이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는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을 수화시키는 단계; 및 수화된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을 가교 반응시키는 단계 이후인 분쇄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이후에 해당한다면 분쇄 단계라는 용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 다당류이다. 히알루론산은 포유동물의 피하조직과 연골조직 같은 결합조직에 분포되는 것 외에,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며 연쇄구균이나 간균류의 협막 등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닭 벼슬, 탯줄 등에서 추출하는 방법과, 연쇄구군, 간균을 배양한 후 그로부터 추출 정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자체는 물론 그의 염, 유도체 또는 수용액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등과 같은 무기염과,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등과 같은 유기염을 모두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의 적어도 2 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 염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은 버퍼에 히알루론산,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는 알칼리 수용액일 수 있고,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수산화칼륨(KOH) 수용액, 수산화암모늄(NH4OH) 수용액, 수산화리튬(LiOH) 수용액 및 수산화칼슘(Ca(OH)2)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0.01 내지 3 N의 농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N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상기 가교 반응시키는 단계 이후에 분쇄 공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의 농도는 0.05 내지 2.0 mL/L의 농도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4 내지 1.4 mL/L의 농도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생체 친화적인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잔류 가교제의 양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안면부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시술이 필요한 바디에도 안전하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개체에 투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조직 수복을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조성물을 피부에 주사 시 주입력 (injection force)은, 표준 1 mL 주사기(예를 들어, 1.0 mL BD 주사기)를 사용하여 약 10 mm/min의 압출 속도로 (예를 들어, MECESIN) 27G Υ 1/2" 바늘을 통해 측정될 때, 대체로 5 N 내지 40 N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리도카인 (lidocaine), 암부카인 (ambucaine), 아몰라논(amolanone), 아밀로카인 (amylocaine), 베녹시네이트 (benoxinate), 벤조카인 (benzocaine), 베톡시카인 (betoxycaine), 비페나민 (biphenamine), 부피바카인 (bupivacaine), 부타카인 (butacaine), 부탐벤 (butamben), 부타닐리카인 (butanilicaine), 부테타민 (butethamine), 부톡시카인 (butoxycaine), 카르티카인 (carticaine), 클로로프로카인 (chloroprocaine), 코카에틸렌 (cocaethylene), 코카인 (cocaine), 사이클로메티카인 (cyclomethycaine), 다이부카인 (dibucaine), 다이메티소퀸 (dimethysoquin), 다이메토카인 (dimethocaine), 디페로돈 (diperodon), 다이사이클로닌 (dycyclonine), 에크고니딘 (ecgonidine), 에크고닌 (ecgonine), 에틸 클로라이드 (ethyl chloride), 에티도카인 (etidocaine), 베타-유카인 (beta-eucaine), 유프로신 (euprocin), 페날코민 (fenalcomine), 포르모카인 (formocaine), 헥실카인 (hexylcaine),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 (hydroxytetracaine), 아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isobutyl paminobenzoate),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leucinocaine mesylate), 레복사드롤 (levoxadrol), 메피바카인 (mepivacaine), 메프릴카인 (meprylcaine), 메타부톡시카인 (metabutoxycaine), 메틸 클로라이드 (methyl chloride), 미르테카인 (myrtecaine), 나에파인 (naepaine), 옥타카인 (octacaine), 오르소카인 (orthocaine), 옥세타자인 (oxethazaine), 파레톡시카인 (parethoxycaine), 페나카인 (phenacaine), 페놀 (phenol), 피페로카인 (piperocaine), 피리도카인 (piridocaine), 폴리도카놀 (polidocanol), 프라목신 (pramoxine), 프릴로카인 (prilocaine), 프로카인 (procaine), 프로파노카인 (propanocaine), 프로파라카인 (proparacaine), 프로피오카인 (propipocaine), 프로록시카인 (propoxycaine), 슈도코카인 (psuedococaine), 피로카인 (pyrrocaine), 로피바카인 (ropivacaine), 살리실 알코올 (salicyl alcohol), 테트라카인 (tetracaine), 톨릴카인 (tolycaine), 트리메카인 (trimecaine), 졸라민 (zolamine)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폴리올, 완충제, 항산화제, 정균제, 비타민, 아미노산, 금속, 산화방지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또는 미네랄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조직의 필링 (filling) 또는 대체를 위한 조성물, 주름의 필링 (filling wrinkle), 안면의 리모델링 (remodeling of the face) 또는 입술 용적 (lip volume)의 증가를 위한 조성물, 메조테라피 (mesotherapy)에 의한 피부의 재수화 (rehydration)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관절염에서 활액 (synovial fluid)의 대체 또는 일시적 보충을 위한 조성물, 비뇨기과 또는 부인과에서 괄약근 또는 요도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안과에서 백내장 수술에서의 보조제 (adjuvant) 또는 녹내장 치료를 위한 조성물, 약제학에서 활성 물질을 방출시키는 겔, 외과에서 골 재건 (bone reconstruction), 성대 용적의 증가, 또는 외과용 조직 (surgical tissue)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피부 흡수 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유효 성분과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에 관한 내용은 상기 제조 방법에서 기재한 바와 중복되어, 이하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사하여 피부 주름의 개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적인 수복을 통해 피부의 부피를 유지하거나 피부 볼륨을 회복하게 되는 등 외관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 첨가제, 바디 로션, 바디 밀크, 배스 오일, 베이비 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탠 크림, 스킨 로션, 스킨 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클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 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 (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 (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 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필러 제품에 함유된 불완전 결합 또는 비결합된 형태로 잔류하는 가교제를 제거함으로써 잔류 가교제에 의해 발생하는 필러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피리딘계 화합물은 체내 구성 성분으로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하므로 안면부 뿐만 아니라 바디의 성형을 위한 대용량의 시술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직수복형 생체재료의 모식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러 내 존재하는 잔류 가교제의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이 부작용을 유발하는 잔류 가교제에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의 잔류 가교제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 ppm 또는 10 ppm의 BDDE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제조 공정의 개선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제조 공정 중 가교제와의 가교시키는 단계 이후 분쇄 단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부작용이 개선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제조 공정 중 초기 가교 반응을 수행시킨 후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원료를 컨테이너에 충전하고 인큐베이터에서 25 ℃의 온도로 24 시간 동안 추가로 가교 반응시켰다. 이후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원료를 염화나트륨 용액 및 PBS로 세척을 실시했으며 이런 세척 과정을 각각 3 회 이상 반복 수행하였다. 가교 반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2 개의 히알루론산(HA) 분자와 가교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때 1 개의 HA 분자와 결합된 불완전(Pendent) 결합 형태로 잔류하거나 HA와 반응하지 않아 비결합된 상태로 잔류하는 가교제로 인해 부작용이 유발되게 된다. 특히, 잔류 가교제는 투석으로 제거되지만, 이와 같은 투석의 방식으로는 완전하게 잔류 가교제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가교 반응을 수행한 뒤 세척이 완료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원료를 조제 탱크에 투입하고, 투석 완료 후 투입된 가교제 양에 따라 가교체(gel)의 무게가 상이하게 되므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원료의 농도가 20 mg/mL가 되도록 PBS 분량을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제품 내 피리딘(pyridine) 화합물의 농도가 0.14 내지 1.4 ml/L가 되도록 피리딘 화합물을 용해시킨 혼합 용액을 추가로 첨가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600 내지 1200 rpm으로 30 내지 60 분 간 분쇄하였으며, 분쇄 온도는 25 ℃를 유지하면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은 도 2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1) 2 개의 HA 분자와 가교 결합한 형태, (2) 1개의 HA 분자와 결합된 불완전 형태, (3) HA와 반응하지 않은 잔류 가교제 형태 중에서 3원환을 이루는 옥시드인 에폭사이드(P로 표시)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부작용을 유발하는 잔류 가교제가 제거되는 원리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투석 단계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는 가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성이 개선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충전탱크에 충전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충전기를 이용하여 1.0 또는 10.0 mL씩 프리필드 실린지에 충전하였으며,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충전이 완료된 프리필드 실린지를 고압멸균기에 로딩하여 멸균소독을 실시한 후, 이물 검사와 포장을 통해 아래의 표 1과 같은 부작용이 개선된 제품 제조를 완료하였다.
점탄성(Pa·s) 가교율(%) 피리딘 화합물 농도(mL/L)
20 2.2 0.14 - 1.4
140 4.9
300 6.8
475 10.0
625 13.0
실시예 2: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의 잔류 가교제 감소 효과 검증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분쇄 공정에서 사용된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부작용 감소 효과를 검증하고자 가교제 BDDE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잔류 가교제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필러 제품의 가교제(BDDE) 잔류량 기준 규격은 2 ppm 이하에 해당하며, 이하의 실험에서는 피리딘 계열의 화합물 중 12 mM 농도의 니코틴아마이드를 사용하였고, 히알루론산 겔은 필러 완제품을 이용하였다. 필러 완제품의 경우 가교제 잔류량이 검출 한계 미만으로 측정되므로 BDDE 표준 용액을 첨가하여 블로킹 효과 테스트도 추가로 수행하였다.
2.1 BDDE 표준 용액 2 ppm 비교 실험
니코틴아마이드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음성 대조군과 BDDE 2 ppm을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 BDDE 2 ppm에 니코틴아마이드 0.15 mg/mL 또는 1.5 mg/mL를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2.2 BDDE 표준 용액 10 ppm 비교 실험
니코틴아마이드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음성 대조군과 BDDE 10 ppm을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 BDDE 2 ppm에 니코틴아마이드 0.15 mg/mL 또는 1.5 mg/mL를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3 HA gel(필러 완제품) + BDDE 표준 용액 2 ppm 비교 실험
니코틴아마이드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음성 대조군과 히알루론산 겔과 BDDE 2 ppm을 함께 처리한 양성 대조군, 히알루론산 겔과 BDDE 2 ppm에 니코틴아마이드 0.15 mg/mL 또는 1.5 mg/mL를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비교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BDDE 표준 용액 농도(ppm) 니코틴아마이드 농도(mg/mL) 양성 대조군
대비 감소율(%)
BDDE STD 2.0 0.15 50
1.5
10.0 0.15
1.5
HA gel + BDDE STD 2.0 0.15 30
1.5 40
실험 결과를 분석하면, 가교제(BDDE) 2 ppm 양성 대조군에서 나타난 가교제 잔류량인 1.82 ppm 대비하여 니코틴아마이드 첨가로 인해 0.15 mg/mL 및 1.5 mg/mL 농도 범위 모두에서 50 %가 감소한 1.08 ppm, 1.03 ppm으로 나타나 잔류 가교제 제거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가교제(BDDE) 10 ppm에서의 비교 실험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교제(BDDE) 10 ppm 양성 대조군에서 나타난 가교제 잔류량인 10.12 ppm 대비하여 니코틴아마이드 모든 농도 범위에서 5.19 ppm, 5.18 ppm으로 나타나 50 %의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완제품인 HA 겔에서의 가교제 잔류량인 1.31 ppm 대비하여 니트로아마이드를 0.15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시 0.92 ppm으로 확인되어, 약 30 % 이상 감소하였으며, 니트로아마이드를 1.5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시 0.76 ppm으로 확인되어, 약 40 % 이상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6 참조). HA 겔 혼합 시 점도로 인하여 가교제(BDDE)의 에폭사이드 블로킹 효과가 일부 감소했으나, 이는 시판되는 기존 완제품으로서의 HA 겔에서의 초미세 잔류량에서 추가로 30 내지 40 % 감소된 효과를 확인한 것인만큼 부작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부작용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C1~C3 알킬기; C1~C3 알킬기, 산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롤리딘;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디논; C1~C3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 디하이드로 피롤; 카르복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딘; 테트라하이드로 피리딘; 및 -C(O)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R3와 결합하는 질소가 양전하를 띠는 경우에는 산소이고, 질소가 전하를 띠지 않는 경우에는 비결합되며,
    상기 R4는 수소, 아미노기 및 하이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리딘-3-카르복사미드(pyridine-3-carboxamide), 피리딘-3-카르복시산(pyridine-3-carboxylic acid), 피리딘-3-카보니트릴(pyridine-3-carbonitrile), 피리딘-2-카르복사미드(pyridine-2-carboxamide), 피리딘-4-카르복사미드(pyridine-4-carboxamide), 피리딘-3-카르복사미드 1-옥사이드(Pyridine-3-carboxamide 1-oxide), 3-[(2S)-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3-[(2S)-1-Methylpyrrolidine-2-yl] pyridine), (2S)-1,2,3,6-테트라하이드로-2,3'-바이피리딜 ((2S)-1,2,3,6-tetrahydro-2,3'-bipyridyl), 3-(1-메틸-1H-피롤-2-일)피리딘 (3-(1-methly-1H-pyrrol-2-yl)pyridine), (5S)-1-메틸-5-(피리딘-3-일)피롤리딘-2-온 ((5S)-1-methyl-5-(pyridine-3-yl)pyrrolidine-2-one), 3-(4,5-디하이드로-3H-피롤-2-일)피리딘 (3-(4,5-dihydro-3H-pyrrol-2-yl)pyridine), (1R,2S)-1-메틸-2-(피리딘-3-일)피롤리딘-1-옥사이드 ((1R,2S)-1-methyl-2-(pyridine-3-yl)pyrrolidine-1-oxide), 3-[(2S)-피롤리딘-2-일]피리딘 (3-[(2S)-pyrrolidine-2-yl]pyridine), 3-[2s-피페리딘-2-yl]피리딘 (3-[2s-piperidine-2-yl]pyridine), 3-[(2S)-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 비스[(2R,3R)-2,3 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에이트]디하이드레이트 (3-[(2S)-1-Methylpyrrolidine-2yl] pyridine bis[(2R,3R)-2,3 dihydroxybutanedioate] dihydrate), 6-메틸피리딘-3-카르복시산(6-methylpyridine-3-carboxylic acid), 2-2'-바이피리딘-5,5'-디카르복시산(2-2'-bipyridine-5,5'-dicarboxylic acid), 5-에틸-2-메틸피리딘 (5-ethyl-2-methylpyridine), 피리딘-2,5-디카르복시산(pyridine-2,5-dicarboxylic acid), 피리딘-4-카르복시산 (pyridine-4-carboxylic acid), 5-니트로피리딘-3-카르복시산 (5-nitropyridine-3-carboxylic acid), 피리딘(pyridine), 3-니트로피리딘(nitropyridine) 및 3,5-디니트로피리딘(3,5-dinitropyr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lapatite; CaHA), 폴리-L-라틱산(Poly-L-lactic Acid; PLLA)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포함된 것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1,2-(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sorbitol polyglycidyl ether),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 및 DVS (Divinylsulf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3원환을 이루는 옥시드(oxide)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성물.
  7.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의 단계로서,
    제 1항의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주성분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 반응시키는 단계를 거친 뒤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은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lapatite; CaHA), 폴리-L-라틱산(Poly-L-lactic Acid; PLLA)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1,2-(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sorbitol polyglycidyl ether),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hydroxysuccinimide, NHS) 및 DVS (Divinylsulf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공정 중 분쇄 공정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
  13. 제 12항의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리도카인 (lidocaine), 암부카인 (ambucaine), 아몰라논(amolanone), 아밀로카인 (amylocaine), 베녹시네이트 (benoxinate), 벤조카인 (benzocaine), 베톡시카인 (betoxycaine), 비페나민 (biphenamine), 부피바카인 (bupivacaine), 부타카인 (butacaine), 부탐벤 (butamben), 부타닐리카인 (butanilicaine), 부테타민 (butethamine), 부톡시카인 (butoxycaine), 카르티카인 (carticaine), 클로로프로카인 (chloroprocaine), 코카에틸렌 (cocaethylene), 코카인 (cocaine), 사이클로메티카인 (cyclomethycaine), 다이부카인 (dibucaine), 다이메티소퀸 (dimethysoquin), 다이메토카인 (dimethocaine), 디페로돈 (diperodon), 다이사이클로닌 (dycyclonine), 에크고니딘 (ecgonidine), 에크고닌 (ecgonine), 에틸 클로라이드 (ethyl chloride), 에티도카인 (etidocaine), 베타-유카인 (beta-eucaine), 유프로신 (euprocin), 페날코민 (fenalcomine), 포르모카인 (formocaine), 헥실카인 (hexylcaine),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 (hydroxytetracaine), 아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isobutyl paminobenzoate),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leucinocaine mesylate), 레복사드롤 (levoxadrol), 메피바카인 (mepivacaine), 메프릴카인 (meprylcaine), 메타부톡시카인 (metabutoxycaine), 메틸 클로라이드 (methyl chloride), 미르테카인 (myrtecaine), 나에파인 (naepaine), 옥타카인 (octacaine), 오르소카인 (orthocaine), 옥세타자인 (oxethazaine), 파레톡시카인 (parethoxycaine), 페나카인 (phenacaine), 페놀 (phenol), 피페로카인 (piperocaine), 피리도카인 (piridocaine), 폴리도카놀 (polidocanol), 프라목신 (pramoxine), 프릴로카인 (prilocaine), 프로카인 (procaine), 프로파노카인 (propanocaine), 프로파라카인 (proparacaine), 프로피오카인 (propipocaine), 프로록시카인 (propoxycaine), 슈도코카인 (psuedococaine), 피로카인 (pyrrocaine), 로피바카인 (ropivacaine), 살리실 알코올 (salicyl alcohol), 테트라카인 (tetracaine), 톨릴카인 (tolycaine), 트리메카인 (trimecaine), 졸라민 (zolamine)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폴리올, 완충제, 항산화제, 정균제, 비타민, 아미노산, 금속, 산화방지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또는 미네랄염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조직의 필링(filling) 또는 대체를 위한 조성물, 주름의 필링(filling wrinkle), 안면의 리모델링(remodeling of the face) 또는 입술 용적(lip volume)의 증가를 위한 조성물, 메조테라피(mesotherapy)에 의한 피부의 재수화(rehydration)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관절염에서 활액(synovial fluid)의 대체 또는 일시적 보충을 위한 조성물, 비뇨기과 또는 부인과에서 괄약근 또는 요도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안과에서 백내장 수술에서의 보조제(adjuvant) 또는 녹내장 치료를 위한 조성물, 약제학에서 활성 물질을 방출시키는 겔, 외과에서 골 재건(bone reconstruction), 성대 용적의 증가, 또는 외과용 조직(surgical tissue)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 12항의 조직수복용 생체재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43805A 2022-04-08 2022-04-08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KR20230145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05A KR20230145624A (ko) 2022-04-08 2022-04-08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PCT/KR2023/004644 WO2023195790A1 (ko) 2022-04-08 2023-04-06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05A KR20230145624A (ko) 2022-04-08 2022-04-08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24A true KR20230145624A (ko) 2023-10-18

Family

ID=882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805A KR20230145624A (ko) 2022-04-08 2022-04-08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5624A (ko)
WO (1) WO20231957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2050A1 (en) * 2004-06-15 2006-01-05 Encore Therapeutics, Inc. Phospholip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ZA200800144B (en) * 2005-06-10 2010-02-24 Celgene Corp Human placental collagen composition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methods of their use and kits comprising the compositions
CN105030658A (zh) * 2015-06-03 2015-11-11 杭州药享售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美容作用的药物
WO2019238954A1 (en) * 2018-06-15 2019-12-19 Croma-Pharma Gmbh Hydrogel composition comprising a crosslinked polymer
CN112354013B (zh) * 2020-10-26 2022-10-18 杜明春 一种仿生胶原水溶液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790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0752A1 (en) Hyaluronic acid composition
US1041363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mepivacaine
AU2011328219B2 (en) Hyaluronic acid based formulations
KR102334794B1 (ko) 우수한 필러 특성을 갖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필러
KR102201482B1 (ko)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US20150045321A1 (en) Hyaluronic acid based formulations
US11382853B2 (en)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s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EP3525834B1 (en) Coacervate hyaluronan hydrogels for dermal filler applications
KR20230145624A (ko)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KR102521838B1 (ko) 탄성력 및 안전성이 우수한 조직수복용 생체재료의 제조 방법
KR102581434B1 (ko) 히알루론산 필러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필러 조성물
AU2019203264B2 (en) Hyaluronic acid based formulations
JP2024524990A (ja) 局所麻酔薬を含む架橋ヒアルロン酸組成物
EP4169541A1 (en) Soft tissue filler
NZ618587B2 (en)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NZ618587A (en)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