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851A - 동결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동결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851A
KR20230144851A KR1020220044059A KR20220044059A KR20230144851A KR 20230144851 A KR20230144851 A KR 20230144851A KR 1020220044059 A KR1020220044059 A KR 1020220044059A KR 20220044059 A KR20220044059 A KR 20220044059A KR 20230144851 A KR20230144851 A KR 2023014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oling
storage body
cove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현
정석우
하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온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온넷
Priority to KR102022004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851A/ko
Publication of KR2023014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A01N1/0252Temperature controlling refrigerating apparatus, i.e. devices used to a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designated internal volume, e.g. refrigerators, freeze-drying apparatus or liquid nitrogen baths
    • A01N1/0257Stationary or portable vessels generating cryogenic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78Physical preservation processes
    • A01N1/0284Temperature processes, i.e. using a designated change in temperature ov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78Physical preservation processes
    • A01N1/0289Pressure processes, i.e. using a designated change in pressure over ti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대상을 수용하도록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저장몸체, 액체 냉매를 함유한 상태로 저장몸체의 내측면에 결합 배치되며, 액체냉매를 기화시켜 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내장부재,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저장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냉각내장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냉각내장부재로부터 액체 냉매를 전달받아 기화시키는 냉각돌출부재, 저장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몸체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보관대상을 수납상태로 지지하는 수납 지지부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결 보관장치{Freez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액체 질소의 기화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보관 대상을 동결상태로 보관하는 동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세포(줄기세포, 생식세포, 암세포 등)를 신약연구, 질병치료 등에 활용하기 위해 당장 사용하지 않는 세포를 회복될 수 있는 상태로 보존하거나, 제조된 세포 치료제 및 백신 등의 바이오의약품 제품의 물류 유통(병원, 제약회사, 연구소 등)을 위해 보관 용기 내에 극저온 상태로 동결 보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보관 용기에는 보관 대상의 안정적인 극저온 상태의 동결 보관을 위해 보관 용기의 내부에 주기적으로 액체 질소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체 질소를 이용하는 보관 용기는, 보관 용기의 이동에 흔들림으로 액체 질소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체 질소의 유동은 보관 용기의 내부 온도를 불안정하게 하고, 용기 내 위치에 따라 온도 편차가 커져 보관 대상의 안정적인 동결 보관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보관 용기를 개방시에도 보관 용기 내부의 급격한 온도 충격이 발생되면서 보관 대상을 안정적으로 동결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액체 질소를 이용하는 보관 용기의 경우, 액체 질소의 일부가 기화함에 따라 보관 용기 내압이 증가하면서 사용상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극저온의 동결상태로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8041호(2017.06.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0183호(2016.01.2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보관 용기 내 온도 편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액체 질소의 기화에 의한 내압이 일정압력 이상이 될 경우 이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동결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대상을 수용하도록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저장몸체, 액체 냉매를 함유한 상태로 상기 저장몸체의 내측면에 결합 배치되며, 액체냉매를 기화시켜 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내장부재, 상기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저장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냉각내장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냉각내장부재로부터 액체 냉매를 전달받아 기화시키는 냉각돌출부재, 상기 저장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몸체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상기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보관대상을 수납상태로 지지하는 수납 지지부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몸체는, 보관대상을 수납하도록 통 구조를 가지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커버부재가 밀착되는 관 구조를 가지는 개구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용기부의 내측면을 덮도록 용기부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는 저장몸체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 냉매를 냉각내장부재로 전달되도록 냉각내장부재와 연결되는 냉매주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저장몸체의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하나의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체 상태로 연결된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냉각내장부재 및 냉각돌출부재는 다공성 알루미늄 또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일측면을 저장몸체의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밀착되게 결합하는 다공성 알루미늄재질의 내측내장판부와, 내측내장판부의 타측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우레탄폼 재질의 외측내장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하단이 내측내장판부에 일체 상태로 연결되는 다공성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기둥부와, 내측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싼상태로 외측내장판부에 일체상태로 연결되는 우레탄폼 재질의 외측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에는 수납 지지부의 일측을 삽입상태로 걸림 결합시키는 연결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몸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몸체가 저장몸체의 상측을 자력으로 밀폐상태로 결합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몸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몸체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저장몸체의 외부와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배기유로가 관통 형성된 커버몸체, 상기 배기유로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커버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 또는 배기도어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저장하는 측정저장부를 더 연결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 보관장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저장몸체의 내측면에 액체 냉매를 함유한 냉각내장부재가 결합 설치되고, 냉각내장부재로부터 저장공간으로 연장되도록 냉각돌출부재가 형성된 바,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한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가 균일한 상태로 냉각 유지되게 하고, 저장몸체의 상측 부분을 개방시에도 온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대상을 안정적인 동결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결 보관장치는, 저장몸체의 저장공간이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커버부재가 밀림 이동되면서 저장몸체의 상측을 통해 저장공간 내 액체 냉매의 기화로 생성된 기체가 안정적인 압력상태가 될 때까지 저장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폭발방지를 통한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결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커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 보관장치는, 저장몸체(100), 냉각내장몸체(200), 냉각돌출부재(300), 커버부재(400), 수납지지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장몸체(100)는 냉각내장몸체(200)와 냉각돌출부재(300) 및 수납지지부(500)를 내측에 삽입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즉, 저장몸체(100)는 냉각내장몸체(200)와 냉각돌출부재(300)를 내측에 삽입 배치할 수 있게 하여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한 냉각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보관대상(도면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100a)을 제공하며, 보관대상을 저장공간(100a)으로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상측 부분을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저장몸체(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보관대상을 수납하도록 저장공간(100a) 형성된 통 구조를 가지는 용기부(110)와, 용기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용기부(110a)의 저장공간(100a)으로 보관대상을 출입되게 할 수 있는 관 구조의 개구목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개구목부(120)는 이후 설명될 커버부재(400)의 커버몸체(400)와 밀착되는 부분으로, 개구목부(120)에 커버몸체(400)가 밀착 설치시 용기부(110)의 저장공간(100)은 밀폐상태가 되고, 커버몸체(400)가 이탈시에는 용기부(110a)의 저장공간(100a)은 개방상태가 된다. 여기서, 개구목부(120)는 용기부(110)에 일체상태로 연결 형성되며, 용기부(110)와 개구목부(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와 개구목부(120)는 저장공간(100a)에 대한 단열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내벽(101)과 외벽(102)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벽(101)과 외벽(102) 사이는 진공상태로 유지되거나, 단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별도의 단열소재 또는 질소와 같은 냉매를 충진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110)의 외측면 일측에는 냉각내장부재(200,200a)와 연결되는 냉매주입구(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냉매주입구(111)는 저장몸체(100)의 외부에서 액체 냉매를 냉각내장부재(200,200a)로 공급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냉매주입구(111)에는 냉매주입구(111)를 사용자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개폐수단(도면미도시)을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내장부재(200)는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에서 액체 냉매를 기화시켜 저장공간(100a)을 냉각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냉각내장부재(200)는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하나의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각내장부재(200)는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냉각내장부재(200)의 외측면은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 내측면에 밀착상태로 결합 배치된다. 이때, 냉각내장부재(200)에는 기화되면서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을 냉각시키도록 액체 냉매를 함유한다. 그리고, 냉각내장부재(200)는 액체 냉매의 흡수율을 높이면서 안정적인 강도를 제공하도록 다공성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내장부재(200a)로 내측내장판부(200b)와, 외측내장판부(200c)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진 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내측내장판부(200b)는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 내측면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내장판부(200b)의 일측면, 즉 내측내장판부(200b)의 외측면은 저장몸체(100)의 용기부(110)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외측내장판부(200c)은 내측내장판부(220b)의 타측면, 즉 내측내장판부(200b)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내측내장판부(200b)에 밀착 결합된다. 이때, 내측내장판부(200b)와 외측내장판부(200c)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액체 냉매의 기화속도를 다르게 하여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에 대한 냉각 유지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내측내장판부(200b)는 다공성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측내장판부(200c)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면 일측, 즉 저장공간(100a)을 향하는 내측 측면부에는 수납 지지부(500)의 일측을 삽입상태로 걸림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 슬롯(210,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슬롯(210,210a)은 복수개의 수납 지지부(500)를 저장공간(100a)에 배치되게 할 수 있도록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돌출부재(300)는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에 대한 냉각 성능을 높여 커버부재(400)를 저장몸체(100)에서 이탈시켜 저장몸체(100)를 개방시킬 경우에도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온도충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냉각돌출부재(300)는 냉각내장부재(200,200a)로부터 먼위치의 저장공간(100a)에 대한 냉각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면으로부터 저장공간(100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냉각내장부재(200,200a)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냉각돌출부재(300)는 냉각내장부재(200,200a)와 마찬가지로 기화되면서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을 냉각시키도록 액체 냉매를 함유한다. 이때, 냉각돌출부재(300)는 냉각내장부재(200,200a)와 연결된 바, 냉각내장부재(200,200a)로부터 액체 냉매를 전달 공급받게 된다.
이같이, 상기 냉각돌출부재(300)는 냉각내장부재로(200,200a)의 내측면으로부터 저장공간(100a) 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저장공간(100a) 전체에 안정적인 냉각이 이루어지게 하는 바, 저장몸체(100)를 개방시 냉각내장부재로(200,200a)의 내측면으로부터 먼위치의 저장공간(100a) 부위에서 외기 유입에 따른 급격한 온도 강하를 방지하여 온도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돌출부재(300)는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직립상태로 일체되게 기둥형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돌출부재(300)는 액체 냉매의 흡수율을 높이면서 안정적인 강도를 제공하도록 다공성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돌출부재(300a)로, 내측기둥부(300b)와, 외측기둥부(300c)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진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기둥부(300b)는 하단을 냉각내장부재(200a)의 내측내장판부(200b)에 일체상태로 연결 형성한다. 그리고, 외측기둥부(300c)는 내측기둥부(300b)의 외측면을 감싼상태로 냉각내장부재(200a)의 외측내장판부(200c)에 일체상태로 연결 형성된다. 이때, 내측기둥부(300b)와 외측기둥부(300c)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액체 냉매의 기화속도를 다르게 하여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에 대한 냉각 유지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내측기둥부(300b)는 내측내장판부(200b)와 동일한 다공성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측기둥부(300c)는 외측내장판부(200c)와 동일한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돌출부재(300,300a)는 저장몸체(100) 내측에 보관대상의 수용시 간섭발생을 최소화면서도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면 표면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인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 중심 부분에 대한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한 냉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돌출부재(300,300a)는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으로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한 냉각효율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된 상태로 각각 직립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 부분을 밀폐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커버부재(400)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저장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커버부재(400)는 커버몸체(410), 자성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410)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목부(120)를 개폐하도록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몸체(410)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을 밀폐시,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부(410a)와,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몸체부(4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같이, 삽입몸체부(410a)와 돌출몸체부(410b)로 구성될 경우,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 내 냉기가 저장몸체(100) 외부로 누출되거나, 저장몸체(100)의 외부 공기가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삽입몸체부(410a)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커버몸체(410)는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420)는 커버몸체(410)로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을 밀폐하도록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 결합 설치시, 커버몸체(410)가 저장몸체(100)에 자력을 통해 결합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자성체(420)는 커버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때, 자성체(420)는 커버몸체(4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자성체(420)는 커버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성체(420)의 자력을 통해 커버몸체(410)가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바, 저장몸체(100) 내부의 저장공간(100a)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상태가 될 경우에만 커버몸체(410)를 개구목부(120)의 상측으로 밀림 이동되게 한다. 이같이, 커버몸체(410)가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서 상측으로 밀림 이동시, 커버몸체(410)에 의한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 밀폐상태가 해제되면서 저장몸체(100) 내부에서 액체 냉매의 기화 기체가 저장몸체(100) 외부로 안정적인 압력상태가 될 때까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과압력에 따른 폭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400)로써, 저장몸체(100) 상측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몸체(410)를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같이, 커버몸체(410)가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경우 앞서 설명한 자성체(42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없이 저장몸체(100)에 자력을 통해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400a)로써, 커버몸체(410a), 배기도어(420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410a)는 저장몸체(100)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100)의 개구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커버몸체(410a)에는 상하방향으로 배기유로(411a)가 관통 형성되어, 저장몸체(100)의 외부와 저장몸체(100) 내부의 저장공간(100a)을 연결되게 한다. 배기도어(420a)는 배기유로(411a)를 개폐하도록 커버몸체(410a)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배기도어(420a)는 저장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커버몸체(410a)의 상부에 안착되게 설치한다. 이때, 커버몸체(410a) 또는 배기도어(420a)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도어(420a)가 자력을 통해 커버몸체(410a)의 상부에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바,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상태가 될 경우 배기도어(420a)가 밀림 이동되게 한다. 이같이, 배기도어(420a)가 커버몸체(400a)의 상부에서 밀림 이동시, 배기도어(420a)에 의한 커버몸체(400a)의 배기유로(411a) 밀폐상태가 해제되게 하면서 저장몸체(100) 내부의 액체 냉매 기화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저장몸체(100) 외부로 안정적인 압력상태가 될 때까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과압력에 따른 폭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유로(411a)를 통해 냉기가 배출된 후 다시 저장몸체(100)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가 될 경우 다시 자력에 의해 배기도어(420a)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몸체(400a)의 상부에 밀착 배치되며 배기유로(411a)를 안정적인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저장몸체(100) 내 저장공간(100a)의 온도를 측정한 후 저장하는 측정센서(411)와, 측정저장부(412)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몸체(410)에 저장공간(100a)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411)와, 측정센서(411)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측정저장부(412)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같이, 측정센서(411)가 측정된 저장공간(100a)의 실시간 온도 수치를 측정저장부(412)에 저장하게 되는 바, 저장몸체(100)를 전달장소로 이동 완료시 저장공간(100a)의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 지지부(500)는 보관대상을 저장몸체(100) 내 저장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보관대상을 수납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수납 지지부(500)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보관대상을 삽입상태로 연결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관수납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관수납홈은 보관대상을 복수개 수납 배치 가능하도록 수납 지지부(500)의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지지부(500)의 일측에는 냉각내장부재(200,200a)의 연결슬롯(210,210a)에 대응되게 체결되는 착탈연결단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납 지지부(500)는 앞서 설명한 냉각내장부재(200,200a) 및 냉각돌출부재(300,300a)와 같이 액체 냉매를 함유할 수 있도록 다공성 알루미늄 재질 또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판재를 적층상태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동결 보관장치는, 저장공간(100a)이 마련된 저장몸체(100)의 내측면에 액체 냉매를 함유한 냉각내장부재(200,200a)가 결합 설치되고, 냉각내장부재(200,200a)로부터 저장공간(100a)으로 연장되도록 냉각돌출부재(300,300a)가 형성된 바,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한 저장공간(100a) 내부의 온도가 균일한 상태로 냉각 유지되게 하고, 저장몸체(100)의 상측 부분을 개방시에도 온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대상을 안정적인 동결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의 동결 보관장치는, 저장몸체(100)의 저장공간(100a)이 액체 냉매의 기화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커버부재(400)가 밀림 이동되면서 저장몸체(100)의 상측을 통해 저장공간(100a) 내 액체 냉매의 기화로 생성된 기체가 안정적인 압력상태가 될 때까지 저장몸체(100)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폭발방지를 통한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저장몸체 100a: 저장공간
110: 용기부 120: 개구목부
200,200a: 냉각내장부재 210,210a: 연결슬롯
200b: 내측내장판부 200c: 외측내장판부
300,300a: 냉각돌출부재 300b: 내측기둥부
300c: 외측기둥부 400,400a: 커버부재
410,410a: 커버몸체 420: 자성체
420a: 배기도어 500: 수납 지지부

Claims (12)

  1. 내부에 보관대상을 수용하도록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이 개구된 통 형태의 저장몸체;
    액체 냉매를 함유한 상태로 상기 저장몸체의 내측면에 결합 배치되며, 액체냉매를 기화시켜 저장공간을 냉각시키는 냉각내장부재;
    상기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저장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냉각내장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냉각내장부재로부터 액체 냉매를 전달받아 기화시키는 냉각돌출부재;
    상기 저장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몸체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상기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보관대상을 수납상태로 지지하는 수납 지지부;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체는, 보관대상을 수납하도록 통 구조를 가지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커버부재가 밀착되는 관 구조를 가지는 개구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용기부의 내측면을 덮도록 용기부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는 저장몸체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 냉매를 냉각내장부재로 전달되도록 냉각내장부재와 연결되는 냉매주입구를 더 구비하는 동결 보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저장몸체의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하나의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체 상태로 연결된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냉각내장부재 및 냉각돌출부재는 다공성 알루미늄 또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진 동결 보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내장부재는, 일측면을 저장몸체의 내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밀착되게 결합하는 다공성 알루미늄재질의 내측내장판부와, 내측내장판부의 타측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우레탄폼 재질의 외측내장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하단이 내측내장판부에 일체 상태로 연결되는 다공성 알루미늄재질의 내측기둥부와, 내측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싼상태로 외측내장판부에 일체상태로 연결되는 우레탄폼 재질의 외측기둥부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면에는 수납 지지부의 일측을 삽입상태로 걸림 결합시키는 연결 슬롯이 형성된 동결 보관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배치되는 동결 보관장치.
  7.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돌출부재는 냉각내장부재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동결 보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몸체가 저장몸체의 상측을 자력으로 밀폐상태로 결합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몸체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동결 보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저장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저장몸체의 외부와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배기유로가 관통 형성된 커버몸체,
    상기 배기유로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커버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도어를 포함하는 동결 보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 또는 배기도어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동결 보관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저장하는 측정저장부를 더 연결 구비하는 동결 보관장치.
KR1020220044059A 2022-04-08 2022-04-08 동결 보관장치 KR20230144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059A KR20230144851A (ko) 2022-04-08 2022-04-08 동결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059A KR20230144851A (ko) 2022-04-08 2022-04-08 동결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851A true KR20230144851A (ko) 2023-10-17

Family

ID=8855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059A KR20230144851A (ko) 2022-04-08 2022-04-08 동결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099A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JP7005095B2 (ja) 発送容器
US8956855B2 (en) Portable cryogenic container
ES2445538T3 (es) Contenedor para el envío de mercancias a granel controlado térmicamente de forma pasiva
JP5026142B2 (ja) 凍結保存容器
EP1617129A2 (en) Cryogenic dewar
PT934051E (pt) Mala de frio para frascos contendo medicamentos
ES2225046T3 (es) Contenedor criogenico de reserva de nitrogeno liquido y utilizacion para el almacenamiento de productos biologicos.
US11879595B2 (en) Cryosphere
CN111480030A (zh) 低温储存容器封闭件
JP3958213B2 (ja) 極低温船荷コンテナ
KR20230144851A (ko) 동결 보관장치
US10882680B2 (en) Container for both cryopreservation and transportation
KR20240017885A (ko) 극저온 저장장치
JP2017138244A (ja) 凍結保存・輸送兼用容器
CN108455083B (zh) 一种便携式血袋存放装置
WO2020251010A1 (ja) 凍結輸送容器、極低温液化ガス吸収材ケース
JP7329076B2 (ja) 冷凍装置
US10639238B2 (en) Passive cold storage container systems with packaging tray and retention plate
JP2023509135A (ja) 低温球
JP2024068286A (ja) 予備凍結装置
WO2017208330A1 (ja) 断熱容器
ES2874852A1 (es) Depósito de almacenamiento de hidrógeno comprimido en sistema criogénico
ES1286168U (es) Deposito de almacenamiento de hidrogeno comprimido en sistema criogenico
KR20200128683A (ko) 액화 가스 저장 및 수송용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