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803A -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803A
KR20230144803A KR1020220043939A KR20220043939A KR20230144803A KR 20230144803 A KR20230144803 A KR 20230144803A KR 1020220043939 A KR1020220043939 A KR 1020220043939A KR 20220043939 A KR20220043939 A KR 20220043939A KR 20230144803 A KR20230144803 A KR 20230144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olyquaternium
oil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희
김현나
강병하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803A/ko
Publication of KR2023014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고압으로 타정하는 제조 방식으로, 물에 쉽게 풀어지고, 빠른 거품을 생성하고,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사용감이 우수한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Solid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comprising compressed powd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세정은 피부 표면의 피지와 그 산화물, 땀, 때 등의 내인성 오염과 먼지, 색조 화장 등의 외인성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해서 피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피부 세정은 스킨 케어의 기본이고, 일상의 생활습관 중에 널리 알려진 행동양식이다.
다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클렌저 및 샴푸 제품은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의 대부분은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속품들로 인해 분리수거를 할 수 없고, 자연에서 썩지 않기 때문에 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수거가 가능한 종이, 유리 등과 같은 포장재를 사용하며, 사용시 물 절약을 실천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누, 샴푸바와 같은 고형제 제품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형제 약산성 비누 및 샴푸바 제품은 지방 알코올과 같은융점이 높은 왁스와 함께 굳혀서 제조하기 때문에 물에 대한 풀림성이 낮고 거품력의 저하 및 끈적이는 피부 및 모발 사용감을 보이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융점이 높은 왁스를 용해시키기 위해 높은 고온에서의 제조가 필요하여 열에 대한 안정성이 낮은 유효성분들을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형제 타입으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물에 쉽게 풀어지는 제형으로 빠른 거품을 생성하고,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를 적용하여 끈적임이나 뻣뻣한 사용감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제조하는 타정 방식으로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세정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고압으로 타정하는 제조 방식으로 제조한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이 물에 쉽게 풀어지고 빠른 거품을 생성하고,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오일 및;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오일 및;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라우로일메틸이세티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Sodium Lauryl Sulfoacetate; SLSA),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Sodium Myristoyl Glutamate),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및 소듐코코설페이트 (Sodium coco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3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8 중량%, 55 내지 95 중량%, 55 내지 93 중량%, 55 내지 90 중량%, 55 내지 88 중량%, 6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3 중량%,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8 중량%, 65 내지 95 중량%, 65 내지 93 중량%, 65 내지 90 중량%, 65 내지 88 중량%, 70 내지 95 중량%, 70 내지 93 중량%, 70 내지 90 중량%, 70 내지 88 중량%, 75 내지 95 중량%, 75 내지 93 중량%, 75 내지 90 중량%, 75 내지 88 중량%, 80 내지 95 중량%, 80 내지 93 중량%, 80 내지 90 중량%, 80 내지 88 중량%, 예를 들어, 85 내지 9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DI-C12-13 Alkyl Malate), 다이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Diethoxyethyl Succin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및 동백 오일 (Camellia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5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5.0 중량%, 0.5 내지 4.5 중량%, 0.5 내지 4.0 중량%, 0.5 내지 3.5 중량%,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폴리쿼터늄-22, 쿼터늄-91,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47,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크롤라이드 및 폴리우레탄-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5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5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5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오일은 10:1 내지 950:1, 예를 들어, 40:1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부 준비 단계;
오일부 준비 단계;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 준비 단계;
계면활성제부, 오일부 및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및
혼합물을 타정하여 압축 성형하는 성형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라우로일메틸이세티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Sodium Lauryl Sulfoacetate; SLSA),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Sodium Myristoyl Glutamate),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및 소듐코코설페이트 (Sodium coco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3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8 중량%, 55 내지 95 중량%, 55 내지 93 중량%, 55 내지 90 중량%, 55 내지 88 중량%, 6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3 중량%,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8 중량%, 65 내지 95 중량%, 65 내지 93 중량%, 65 내지 90 중량%, 65 내지 88 중량%, 70 내지 95 중량%, 70 내지 93 중량%, 70 내지 90 중량%, 70 내지 88 중량%, 75 내지 95 중량%, 75 내지 93 중량%, 75 내지 90 중량%, 75 내지 88 중량%, 80 내지 95 중량%, 80 내지 93 중량%, 80 내지 90 중량%, 80 내지 88 중량%, 예를 들어, 85 내지 9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부는 오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DI-C12-13 Alkyl Malate), 다이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Diethoxyethyl Succin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및 동백 오일 (Camellia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부는 오일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5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5.0 중량%, 0.5 내지 4.5 중량%, 0.5 내지 4.0 중량%, 0.5 내지 3.5 중량%,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폴리쿼터늄-22, 쿼터늄-91,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47,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크롤라이드 및 폴리우레탄-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5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5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5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3 내지 5.0 중량%, 0.03 내지 4.5 중량%, 0.03 내지 4.0 중량%, 0.03 내지 3.5 중량%, 0.03 내지 3.0 중량%, 0.03 내지 2.5 중량%, 0.03 내지 2.0 중량%, 0.03 내지 1.5 중량%, 0.03 내지 1.0 중량%, 0.03 내지 0.5 중량%, 0.03 내지 0.3 중량%, 예를 들어, 0.06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800 내지 1200 Bar, 850 내지 1200 Bar, 900 내지 1200 Bar, 950 내지 1200 Bar, 1000 내지 1200 Bar, 1050 내지 1200 Bar, 1100 내지 1200 Bar, 1150 내지 1200 Bar, 예를 들어, 1000 Bar의 압력으로 타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고압으로 타정하는 제조 방식으로 물에 쉽게 풀어지고, 빠른 거품을 생성하고,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사용감이 우수한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타정하기 위한 타정 압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제형 및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안정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성상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거품력 생성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1-1.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음이온 계면활성제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87.74 95.74 47.74 62.80 89.80 88.29
파우더 옥수수전분 7 - 47 - 3 7
파우더 살구씨가루 1 - 1 - 1 1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0.7 0.7 0.7 0.7 0.7 0.15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 쿼터늄-91 - - - 1.2 0.8 -
양이온 계면활성제 세트리모늄메토설페이트 - - - 1.05 0.7 -
왁스 세테아릴알코올 - - - 30.75 0.5 -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 폴리쿼터늄-22 0.06 0.06 0.06 - - 0.06
보습제 돌콩배아추출물 2 2 2 2 2 2
향료 - 1.2 1.2 1.2 1.2 1.2 1.2
방부제 - 0.3 0.3 0.3 0.3 0.3 0.3
총 합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5는 표 1에 기재된 성분 중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옥수수전분, 살구씨가루를 계량한 후, 파우더 믹서에 넣고 상온에서 2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폴리쿼터늄-22, 돌콩배아추출물을 믹서에 계량한 후 파우더 믹서를 이용하여 2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향료 및 방부제 성분을 계량한 후, 파우더 믹서에 넣고 상온에서 2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파우더상의 내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표 1에 기재된 성분 중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살구씨가루의 파우더 부분을 계량한 후, 파우더 믹서에 넣고 상온에서 2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쿼터늄-91, 세트리모늄메토설페이트, 세테아릴알코올, 향료 및 방부제를 80 ℃에서 별도로 가온, 용해 한 뒤 파우더 믹서를 이용하여 3분간 두 차례 균일하게 혼합하여 파우더상의 내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모두 비이커에 계량한 후, 80 ℃로 가온 및 교반하여 아지믹서 (Agi mixer)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된 내용물은 몰드에 부어 상온에서 6시간 이상 굳혀 고형제 타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조성물의 타정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4 및 5의 파우더상의 내용을 도 1의 타정압축기를 이용하여 800 내지 1200 Bar의 고압으로 타정하여 고형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최종적으로 제조된 고형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안정성 평가
제조된 실시예 1, 비교예 1, 2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를 동일한 외부 힘으로 20회 긁어낸 후,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고형제에서 탈락된 파우더의 함량이 비슷하였으나, 비교예 2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의 함량이 총 화장료 조성물 함량 대비 50 중량% 이하로 포함되어, 파우더 성분들이 단단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부서졌다. 반면, 비교예 1은 적용가능한 최대 함량의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를 포함하여, 제형이 단단하게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점착성을 갖고 있어, 파우더 입자간의 결합력이 강하여 물리적인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제형 안정성에 도움을 주며, 단단한 제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의 함량의 함량을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중량% 보다 높게 포함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성상의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파우더의 성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4는 모발 컨디셔닝을 위해 소량의 왁스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였으나, 제조된 벌크가 왁스로 인해 뭉침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고른 분산이 되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조된 내용물이 점차 단단하게 굳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추후 과정인 고압으로 타정하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5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는 적정량 포함하고 있으나, 오일의 함량이 낮아 너무 미세한 입자의 조성물이 제조되었으며, 타정하여 고형제 타입의 조성물을 제조 시 제조 효율이 낮아지고, 제조된 고형제의 안정성 또한 낮아지는 문제를 나타내었다. 이에, 오일의 함량을 높여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내용물이 뭉쳐있지 않고, 입자가 작고 고른 파우더 성상을 갖고 이 있으며, 또한 미분이 날리는 현상이 없이 적정한 흐름성을 갖고 있었다.
실험예 3. 사용감 비교
28세부터 46세까지의 성인 남, 녀 5명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을 각각 1회씩 사용한 후,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 10 g을 젖은 피부 및 모발에 문지르고 손으로 마사지하며 거품을 생성한 뒤, 미온수로 충분히 헹구어주었다. 초기 거품력은 샴푸바를 피부 및 모발에 마사지하는 단계에서의 거품력을 1 내지 5점으로 산정하였다 (1점; 거품량 적음, 5점; 거품량 많음). 중~말기 거품력은 손으로 마사지하며 생성되는 거품력을 측정하였다 (1점; 거품량 적음, 5점; 거품량 많음). 컨디셔닝은 미온수로 헹구는 단계에서의 초기/말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모발의 뻣뻣함의 정도를 측정하여 점수를 산정하였다 (1점; 뻣뻣함, 5점; 부드러움). 샴푸 후 모발이 모두 마른 다음 사용자가 모발의 부드러움 정도를 측정하여 마른 후 컨디셔닝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였으며 (1점; 뻣뻣함, 5점; 부드러움),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사용 후 느끼는 모발의 윤기 (1점; 윤기 낮음, 5점; 윤기 높음) 와 볼륨개선 정도를 점수로 산정하였다 (1점; 모발 볼륨 효과 낮음, 5점; 모발 볼륨 효과 높음). 각각의 점수는 참여자의 점수를 합산한 후 평균을 내어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거품력 중~말기 거품력 헹굼시 컨디셔닝 헹굼 말 컨디셔닝 마른 후 컨디셔닝 모발 윤기 모발 볼륨
비교예3 0.90 1.20 1.50 1.70 1.50 1.40 2.00
실시예1 3.00 3.60 3.20 2.80 2.80 2.90 2.90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초기, 중~말기 거품력은 실시예 1이 비교예 3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3은 다량의 지방 알코올 성분이 포함되어 거품력이 저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알코올의 왁스 성분들이 모발에 남아 찐득하고 무거운 느낌을 주어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발이 젖었을 때와 말랐을 때의 모발 컨디셔닝 사용함 또한 실시예 1이 비교예 3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거품력 생성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을 각각 4 g씩 칭량하여 정제수 200 g과 함께 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생성된 거품의 양을 비교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교반 전, 교반 1분 후, 교반 3분 후 및 교반 5분 후의 사진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에서 더 빠른 속도로 거품양이 생성되며, 교반 5분 후 생성되는 거품의 양도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더 빠르게 물에 풀어지며 거품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음이온 계면활성제, 오일 및;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라우로일메틸이세티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Sodium Lauryl Sulfoacetate; SLSA),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Sodium Myristoyl Glutamate),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및 소듐코코설페이트 (Sodium coco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95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DI-C12-13 Alkyl Malate), 다이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Diethoxyethyl Succin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및 동백 오일 (Camellia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1 내지 5.0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폴리쿼터늄-22, 쿼터늄-91,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47,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크롤라이드 및 폴리우레탄-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는 0.01 내지 5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8.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계면활성제부 준비 단계;
    오일부 준비 단계;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 준비 단계;
    계면활성제부, 오일부 및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및
    혼합물을 타정하여 압축 성형하는 성형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라우로일메틸이세티오네이트 (Sodium Lauroyl Methyl Isethion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Sodium Lauryl Sulfoacetate; SLSA),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Sodium Myristoyl Glutamate),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및 소듐코코설페이트 (Sodium coco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95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DI-C12-13 Alkyl Malate), 다이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Diethoxyethyl Succin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및 동백 오일 (Camellia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1 내지 5.0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는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로 폴리쿼터늄-22, 쿼터늄-91,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47,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및 폴리우레탄-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부는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제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된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800 내지 1200 Bar의 압력으로 타정하는 것인,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20043939A 2022-04-08 2022-04-08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44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39A KR20230144803A (ko) 2022-04-08 2022-04-08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39A KR20230144803A (ko) 2022-04-08 2022-04-08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803A true KR20230144803A (ko) 2023-10-17

Family

ID=8855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39A KR20230144803A (ko) 2022-04-08 2022-04-08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787B2 (en) Water soluble sheet composition
US10925825B2 (en) Composition
WO2018118160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FR2779649A1 (fr) Composition pulverulente chauffante solide a hydrater pour le soin ou le nettoyage de la peau
US20060127458A1 (en) Single use personal care sheet
JP2022506397A (ja) 発泡性固体クレンザー
AU2003202011A1 (en) Solid hair conditioning product
JP2981975B2 (ja) 化粧料組成物
CN108524322A (zh) 一种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7603789B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FR3098401A1 (fr) Nettoyant cosmétique solide
KR20230144803A (ko) 타정한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제 타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950434B2 (ja) 毛髪用固体洗浄剤
JP7170358B2 (ja) 固形毛髪洗浄剤組成物
JP2023008894A (ja) アミノ酸系界面活性剤を含むクレンジングフォーム化粧料組成物
KR102351914B1 (ko) 고마주 필링용 피부 세정 화장료 조성물
US20200345590A1 (en) Cleansing and conditioning table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TW201804983A (zh) 組合物
JP2002363061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KR102579266B1 (ko)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501296A (ja) 硫酸塩を含まない発泡性固体クレンザー
KR102571190B1 (ko) 클렌징 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30007227B1 (ko) 세제와 로션 성분이 균형을 이룬 에멀젼 형태의 중성 액체 피부 세정 조성물
JP2002241262A (ja) エアゾール洗浄剤
KR20230127745A (ko) 브러쉬에 대한 원상 회복력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쉬 세정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