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493A -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493A
KR20230144493A KR1020230127674A KR20230127674A KR20230144493A KR 20230144493 A KR20230144493 A KR 20230144493A KR 1020230127674 A KR1020230127674 A KR 1020230127674A KR 20230127674 A KR20230127674 A KR 20230127674A KR 20230144493 A KR20230144493 A KR 2023014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arview
color
indicator modul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584B1 (ko
Inventor
한창균
정성호
송영준
임창환
권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3014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5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색 정보를 변경시켜 전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광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에 의해 제1 색상 범위의 광을 출력하되, 상기 광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범위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색상 범위는, CIE1931 색좌표 상에서 x=0.585, y=0.415를 만족하는 색도교차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0.04인 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색을 반영하는 리어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A REARVIEW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AN INDICATOR}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는 차량에 설치되어, 온오프(On/Off)에 따라 인디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인디케이터 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인디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인디케이터 모듈로 작동상태에 따라 복수의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외부에서 인디케이션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인디케이터 모듈이 제공하는 인디케이션의 색상 정보를 최적화 하는 요구 역시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서로 다른 차량의 여러 상태에 대한 인디케이션을 출력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외부에서 인식이 용이한 파장대역을 가지는 인디케이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 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파장을 변경시켜 전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광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에 의해 제1 파장 범위의 광을 출력하되, 상기 광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에 기초하여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제2 파장 범위는, CIE1931 색좌표 상에서 x=0.585, y=0.415를 만족하는 색도교차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0.04인 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색을 반영하는 파장 범위인 리어뷰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 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제1 파장 범위를 가지는 지시광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지시광의 파장을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과 광학적으로 연결된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을 향하고 상기 지시광이 입사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고 상기 지시광이 출사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이 점등 상태일 때, 상기 지시광의 파장 범위를 제1 파장범위에서 제2 파장범위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이 비점등 상태일 때, 외부광이 상기 제2 면으로 입사하여 상기 외부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면에서 반사되면, 상기 반사되는 외부광의 파장범위를 제3 파장범위로 변환하는 리어뷰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모듈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상태를 지시하는 서로 다른 인디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에서 인식이 용이한 색좌표 상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인디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이 포함된 차량용 외부미러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완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반 분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지시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외부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완성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반 분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지시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외부광의 광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션에 포함된 색상정보의 전체 색좌표 상에서의 해당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션의 색좌표 상에서의 세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영역". "부분"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는, 차량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미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은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차량 상태에 관한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 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파장을 변경시켜 전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광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에 의해 제1 파장 범위의 광을 출력하되, 상기 광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에 기초하여 제2 파장 범위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제2 파장 범위는, CIE1931 색좌표 상에서 x=0.585, y=0.415를 만족하는 색도교차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0.04인 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색을 반영하는 파장 범위인 리어뷰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 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제1 파장 범위를 가지는 지시광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지시광의 파장을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과 광학적으로 연결된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을 향하고 상기 지시광이 입사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고 상기 지시광이 출사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이 점등 상태일 때, 상기 지시광의 파장 범위를 제1 파장범위에서 제2 파장범위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 변환부재는 상기 광원이 비점등 상태일 때, 외부광이 상기 제2 면으로 입사하여 상기 외부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면에서 반사되면, 상기 반사되는 외부광의 파장범위를 제3 파장범위로 변환하는 리어뷰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미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미러의 일 구현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이 포함된 차량용 외부미러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외부미러(1)는 인디케이터 모듈(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외부미러(1)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미러(1)는 별도의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하우징에 형성된 인디케이터 모듈 장착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션은 차량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상태는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설치된 차량의 공해 등급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상태는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설치된 차량이 친환경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친환경차량은 전기차량, 수소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설치된 차량이 전기차량인 경우 제1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수소차량일 경우 제2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차량의 측후방을 시인하기 위한 모든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차량용 외부미러(1)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CMS(Camera Monitoring System)에 사용되는 모듈에도 장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미러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든 리어뷰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차량의 전조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차량용 외부미러(1)에 장착되는 경우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완성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하우징(102)를 통해 차량의 외부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2) 상에,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02) 상에는 PCB(20)가 장착될 수 있다. PCB(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PCB(20)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혹은 별도의 전원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PCB(2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라이트 가이드(30)가 하우징(10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트 가이드(30)는 PCB(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과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이트 가이드(30)는 상기 광원이 점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30)과 PCB(20) 사이의 광학적 연결 관계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라이트 가이드(30) 상에는 디퓨저(40)가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저(40)는 라이트 가이드(30)를 감싸도록 하우징(102)에 장착될 수 있다. 디퓨저(40)는 라이트 가이드(30)에서 발산하는 광의 파장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저(40)는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설치된 차량의 상태를 반영하는 파장대역을 가지는 색으로 코팅되어,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라이트 가이드(30)을 통해 방출되는 광의 파장대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도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디퓨저(40) 상에는 리플렉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플렉터(50)는 디퓨저(40)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2)에 장착될 수 있다. 리플렉터(50)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디퓨저(40)에서 방출된 광이 방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다양한 형상을 띌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는 다양한 위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형상 및/또는 배열에 따라,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제공하는 인디케이션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리플렉터(50) 상에는 렌즈(6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60)는 리플렉터(60)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2)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6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리플렉터(50)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60) 상에는 폼(70)이 장착될 수 있다. 폼(70)은 렌즈(60)과 차량용 외부미러(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폼(70)은 인디케이터 모듈(100)과 차량용 외부미러(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메워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폼(70)은 렌즈(60)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발광되는 광의 광 경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지시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외부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동작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광학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PCB(20, 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22a)은 라이트 가이드(3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광원(22a)은 라이트 가이드(30)의 일단(32) 및/또는 타단(33)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22a)은 LE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광원(22a)은 외부에서 인디케이션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호박색 계열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트 가이드(30)는 광 확산부(34)를 포함한다. 광 확산부(34)는 광의 난반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34)를 통해, 라이트 가이드(30)의 일단(32) 근처에 배치되어 광원(22a)에서 제1 광(L1)이 발광되면, 제1 광(L1)은 라이트 가이드(30) 내부에서 난반사 하며 진행한다. 라이트 가이드(30)의 타단(33) 근처에 배치된 광원(22a)에서 발광된 빛은, 유사한 방식으로 일단(32)까지 진행하며 난반사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 이상의 광원(22a)은 라이트 가이드(30)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라이트 가이드(30)의 하단에 배치되는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은, 라이트 가이드(30)의 하면 및 디퓨저(40)을 통과하여 리플렉터(5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방사될 수 있다.
제1 광(L1)이 난반사하며 라이트 가이드(30) 내부에서 진행하는 동안, 제1 광(L1)의 일부 광은 라이트 가이드의 제1 면(31)으로 입사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3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30)은 하면과 상면(31)을 포함한다. 또한, 디퓨저(40)은 지시광이 방사되는 제1 면(41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41a)을 통해 외부광이 입사할 수도 있다. 디퓨저(40)은 지시광이 입사하는 면이자, 상기 제1 면(41a)에 대향하는 제2 면(41b)을 포함한다.
라이트 가이드(30)의 상면(31)을 탈출한 제1 광(L1)은 디퓨저(40)의 제2 면(41b)으로 입사한다. 제1 광(L1)이 디퓨저(40)에 입사하면, 디퓨저(40)는 제1 광(L1) 중에서,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의 광을 제1 면(41a)를 통해 방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퓨저(40)는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코팅될 수 있다. 또는, 디퓨저(40)는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광학 필름(optical film)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optical film)은 인서트 사출 공법을 통해 디퓨저(40) 내에 성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서트 사출 공법은, 인쇄된 필름을 성형 후 직접 사출하여 특정 패턴이 인쇄된 필름을 형상가공하고, 사출 금형내 안착 성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동작 시, 호박색 계열의 광을 발광하는 광원(22a)로부터 발광한 제1 광(L1)은, 라이트 가이드(30) 및 디퓨저(40)를 통해 발산된다. 이 경우, 디퓨저(40)를 통해 발산되는 제1 광(L1)은, 제1 광(L1)에 포함된 모든 파장대역의 광 중에서, 디퓨저(40)를 통해 필터링 된 파장대역의 광 만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이다. 이렇게 필터링 된 파장대역을 포함하는 제1 광(L1)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인디케이션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광원(22a)에서 발광되는 광이 디퓨저(40)을 투과하며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짐으로써,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에 의한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디케이션은 지시광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은 외부에서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호박색 계열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인디케이터 모듈(100) 내에서의 지시광의 광 경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22a)에서 발광된 제1광(L1)은 디퓨저(40)의 제2 면(41b)이나, 라이트 가이드의 상면(31)에서 반사되거나, 라이트 가이드(30)의 상면(31)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제1광(L1)이 디퓨저(40)의 제2 면(41b)이나 라이트 가이드(30)의 상면(31)에서 반사된 반사광인 제2광(L2)은 라이트 가이드(30)의 다른 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2 광(L2)이 라이트 가이드(30)의 다른 면에서 반사된 제3 광(L3)은 라이트 가이드의 상면(31)을 통하여 디퓨저(40)의 제2 면(41b)으로 입사할 수 있다. 디퓨저(40)에 입사한 제4광(L4)은 디퓨저(40)의 광 변환 효과에 의해 제3 광(L3)과 비교하여 파장이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제4 광(L4)의 파장이 반영하는 색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것은 도 12 내지 도 13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제4 광(L4)는 이후, 디퓨저(40)의 제1 면(41a)을 통하여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제4 광(L4)이 방사된 제5 광(L5)은 외부에 인디케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디퓨저(40)의 코팅이 디퓨저(40)의 제1 면(41a) 근처에 형성된 경우, 제4 광(L4)는 제3 광(L3)과 파장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제4 광(L4)가 제5 광(L5)로 변화하면서 제5 광(L5)의 파장이 반영하는 색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이 다른 매질로 입사할 때 발생하는 광(L4, L5)는 굴절에 의해 광 경로가 변화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비 동작상태에 따른 인디케이션 제공 시 광 경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광(L1')은 디퓨저(40)의 제1 면(41a)에서 반사할 수 있다. 외부광(L1')이 디퓨저(40)의 제1 면(41a)에서 반사된 광(L2')는, 디퓨저(40)가 코팅된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광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은 디퓨저(40)의 제2 면(41b)이나 라이트 가이드(30)의 일면(31)에서 반사될 수 있다. 외부광(L1')이 디퓨저(40)의 제2 면(41b)이나 라이트 가이드(30)에서 반사된 광(L3')은 디퓨저(40)의 광 변환 효과에 따라, 디퓨저(4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은 라이트 가이드(30)의 내부까지 입사되어, 라이트 가이드(30)의 내면에서 반사될 수도 있다. 라이트 가이드(30)의 내면에서 반사된 광(L4') 역시도, 디퓨저(40)을 통과하면서, 디퓨저(40)의 광 변환 효과에 따라, 디퓨저(4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외부광(L1')이 디퓨저(4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되면, 방사되는 광(L2', L3', L4')은 외부에 인디케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바와 같이, 외부광(L1')에 의한 인디케이션은 광원(22a)에 의한 인디케이션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파장대역일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에 의한(인디케이터 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온(on)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이 포함된 CIE1931 색좌표계 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 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외부광의 이동을 통해,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비 동작 시,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외부광을 이용하여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외부광(L2)이 디퓨저(40)에 입사하고, 디퓨저(40)의 제1 면(41a)에서 반사된 광이 외부에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퓨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코팅되거나 내부에 필름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광(L2)은 디퓨저(40)에서 반사되면 디퓨저(40)이 가지는 색상에 따라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의 광을 반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비 동작상태에서도 외부에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이 푸른색 계열의 파장대역을 나타낸다면, 상기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에 의한 인디케이션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장착된 차량이 전기차량이라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이 초록색 계열의 파장대역을 나타낸다면, 상기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광에 의한 인디케이션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장착된 차량이 수소차량 또는 친환경 차량이라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모듈(100)에 포함된 광 변환부재는 외부광이 입사되었을 때 450nm - 495nm의 파장대역(블루 계열 색상)을 가지고 반사되도록 설정된 광 변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모듈(100)에 포함된 광 변환부재는 외부광이 입사되었을 때 495nm - 570nm의 파장대역(그린 계열 색상)을 가지고 반사되도록 설정된 광 변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구체적인 색상정보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여기서,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동작상태에 따른 인디케이션과 비동작 상태에 따른 인디케이션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동작상태일 때에 인디케이션이 제1 파장범위의 광을 출력한다면,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비 동작상태일 때에는 외부광에 의해 제2 파장범위의 광이 인디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비 동작 상태일 때, 외부광(L2)은 주로 자연광으로써, 모든 파장대역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비 동작상태일 때 나타나는 인디케이션은 광학 필름(40, 디퓨저)의 색상을 우월하게 반영할 수 있다. 반면에,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동작상태일 때에는, 광원(22)에서 발광되는 광의 본연의 파장대역으로 인하여, 제1 광(L1)이 광학 필름(40, 디퓨저)을 투과하더라도 광학 필름(40, 디퓨저)의 색상이 적게 반영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광학 필름이라는 광 변환 부재를 통해 외부광(L3) 및/또는 제1 광(L1)의 파장 범위를 변환하여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완성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반 분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모듈(200)은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202) 상에는 PCB(2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PCB(220) 역시도, 제1 실시예에 따른 PCB(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PCB(22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라이트 가이드(230)가 PCB(220)의 광원과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200)에서는 라이트 가이드(230)는 리플렉터(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플렉터(240)는 PCB(220)와 라이트 가이드(230) 사이에 배치되어, 라이트 가이드(230)에서 방사된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리플렉터(240)가 광을 반사함에 따라, 인디케이터 모듈(200)은 보다 많은 광을 방사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2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241)가 포함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PCB(220)의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라이트 가이드(230)로 전달될 수 있다.
리플렉터(240)와 라이트 가이드(230) 상에는 렌즈(26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260)는 리플렉터(240) 및 라이트 가이드(230)를 감싸도록 하우징(202)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렌즈(260)는 리플렉터(2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디퓨저(40, 도 2 내지 도 3참조)에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색상이 코팅되거나 내부에 광학 필름이 성형되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렌즈(260)에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는 색상이 코팅되거나, 내부에 광학 필름이 성형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의 디퓨저(40, 도 2 내지 도 3 참조)의 기능을 렌즈(260)가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 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이 제2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발광되는 광의 광 경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지시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구조에서 관찰되는 외부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동작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광학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PCB(220, 도 7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222a)은 라이트 가이드(23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광원(222)은 리플렉터(24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라이트 가이드(230)와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광원(222)은 라이트 가이드(230)의 일단(232) 및/또는 타단(233)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222)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라이트 가이드(230)는 광 확산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확산부(234)에 대한 설명 역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부(34, 도 4)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리플렉터(240)는 라이트 가이드(2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플렉터(240)는 라이트 가이드(230)에서 탈출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240)의 내측면(241)은 라이트 가이드(230)의 하면(23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내측면(241)은 라이트 가이드(230)에서 방사된 제1 광(L1)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리플렉터(240)에서 반사된 제1 광(L1)의 적어도 일부광(L3)은 다시 라이트 가이드(230)로 입사하여, 렌즈(260)를 향해 방사될 수 있다.
렌즈(260)은 라이트 가이드(23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260)는 제1 면(261) 및 제2 면(26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60)는 라이트 가이드(23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라이트 가이드(230)에서 방사된 광을 수신하고,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230)를 탈출한 제2 광(L3)은 렌즈(260)의 제3 면(261)로 입사한다. 제2 광(L3)이 렌즈(260)에 입사하면, 렌즈(260)는 제1 광(L1) 중에서,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이 우월하게 포함된 광을 제4 면(262)를 통해 방사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동작 시, 호박색 계열의 광을 발광하는 광원(222)로부터 발광한 제1 광(L1)은, 라이트 가이드(230) 및 렌즈(260)를 통해 발산된다. 이 경우, 렌즈(260)를 통해 발산되는 제1 광(L1)은, 제1 광(L1)에 포함된 모든 파장대역의 광 중에서, 렌즈(260)를 통해 필터링 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이다. 이렇게 필터링 된 파장대역을 포함하는 광은,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인디케이션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된 파장대역을 포함하는 인디케이션 광은, 원래 광원(222)이 발광하는 색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에서 렌즈(260)가 필터링 한 파장대역의 광을 우월하게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인디케이터 모듈(200) 내에서의 지시광의 광 경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222)에서 발광된 제1 광(L1)은 직접 렌즈(260)를 통해 방사되거나, 렌즈의 제3 면(261) 또는 렌즈의 제3 면(261)과 인접한 라이트 가이드의 상면(232)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1 광(L1)이 반사된 제2 광(L2)은 리플렉터(240)의 상면(241)이나, 라이트 가이드의 하면(231)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2 광(L2)이 반사된 제3 광(L3)은 렌즈(260)의 제3 면(261)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3광(L1)이 렌즈(260)의 제3 면(261)이나 라이트 가이드(230)의 상면(232)에서 반사된 반사광인 제2광(L2)은 라이트 가이드(230)의 다른 면(231) 이나 리플렉터(240)의 상면(241)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2 광(L2)이 라이트 가이드(230)의 다른 면(231)에서 반사된 제3 광(L3)은 라이트 가이드의 일면과 렌즈(260)의 제3 면(261)을 통하여 렌즈(260) 로 입사할 수 있다. 렌즈(260)에 입사한 제4광(L4)은 렌즈(260)의 광 변환 효과에 의해 제3 광(L3)과 비교하여 파장이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제4 광(L4)의 파장이 반영하는 색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것은 도 12 내지 도 13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제4 광(L4)은 이후, 렌즈(260)의 제4 면(262)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제4 광(L4)가 방사된 제5 광(L5)는 외부에 인디케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렌즈(260)의 코팅이 렌즈(260)의 제4 면(262)에 형성된 경우, 제4 광(L4)는 제3 광(L3)과 파장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제4 광(L4)가 제5 광(L5)로 변화하면서 제5 광(L5)의 파장이 반영하는 색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이 다른 매질로 입사할 때 발생하는 광(L4, L5)는 굴절에 의해 광 경로가 변화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비 동작상태에 따른 인디케이션 제공 시 광 경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인디케이터 모듈(200)의 비 동작 시, 인디케이터 모듈(200)은 외부광을 이용하여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광(L'1-1)이 렌즈(260)에 입사하면, 렌즈(260)의 제4 면(262)에서 반사된 광이 외부에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을 가지도록 코팅되거나 내부에 필름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260)는 렌즈(260)가 가지는 색상에 따라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의 광을 반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디케이터 모듈(200)은 비 동작상태에서도 외부에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광(L'1-1)은 렌즈(260)의 제4 면(262)에서 반사할 수 있다. 외부광(L1’)이 렌즈(260)의 제4 면(262)에서 반사된 광(L'2-1)는, 렌즈(260)가 코팅된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광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1)은 렌즈(260)의 제3 면(261)이나 라이트 가이드(230)의 일면(232)에서 반사될 수 있다. 외부광(L'1-1)이 렌즈(260)의 제3 면(261)이나 라이트 가이드(230)에서 반사된 광(L'3-1)은 렌즈(260)의 광 변환 효과에 따라, 렌즈(26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1)은 라이트 가이드(230)의 내부까지 입사되어, 라이트 가이드(230)의 내면에서 반사될 수도 있다. 라이트 가이드(230)의 내면에서 반사된 광(L'1-4) 역시도, 렌즈(260)를 통과하면서, 렌즈(260)의 광 변환 효과에 따라, 렌즈(26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될 수 있다.
외부광(L'1-1)이 렌즈(260)의 색상을 반영하는 파장대역의 세기가 우월한 상태로 외부에 방사되면, 방사되는 광(L'2-1, L'3-1, L'4-1)은 외부에 인디케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바와 같이, 외부광(L'1-1)에 의한 인디케이션은 광원(222)에 의한 인디케이션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파장대역일 수 있다. 또한, 외부광(L'1-1)에 의한(인디케이터 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온(on)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이 포함된 CIE1931 색좌표계 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 외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색도 범위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 외부로 명확한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200)은 미리 정해진 파장 대역을 가지는 광을 포함하는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파장 대역은 CIE1931 색좌표 상에서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색좌표 상에서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션에 포함된 색상정보의 전체 색좌표 상에서의 해당 영역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션의 색좌표 상에서의 세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영역은 호박색 계열을 반영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은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x =0.585 이고 y는 0.415인 색도 교차점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영역은 x=0.585이고 y=0.415인 색도 교차점을 중심으로 0.04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의 영역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온(on)된 상태일 경우,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은 전술한 CIE1931 색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오프(off) 상태일 경우,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온(on)된 상태와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오프(off)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은, 인디케이터 모듈(100)이 온(on)된 상태에서의 인디케이션이 포함된 CIE1931 색좌표계 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 외에 포함될 수 있다.
표 1은 초록 계열의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인디케이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색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차수 측정높이각도(°) 측정넓이각도(°) 색도좌표(x) 색도좌표(y)
1 5 10 0.5905 0.4052
2 5 5 0.5950 0.4043
3 5 0 0.5931 0.4026
4 5 -5 0.5968 0.4026
5 5 -10 0.5997 0.3997
6 60 10 0.5932 0.4061
7 60 5 0.5934 0.4059
8 60 0 0.5935 0.4058
9 60 -5 0.5928 0.4066
10 60 -10 0.5932 0.4061
표 1에는 인디케이터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측정 위치에 따른 색도 좌표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표 1의 실험 결과는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초록색 계열로 코팅된 경우의 실험 예이다. 실험에 사용된 광들은 모두 동일한 밝기로 수행되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은 외부광에 의해 495nm -570nm의 파장대역(그린 계열)을 반영하는 광을 주로 반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각 차수의 색도 좌표는, 해당 차수에서 실험자들에게 가장 명확하게 관측된 인디케이션의 색도 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초록색 계열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에 이용된 경우에, 광원(22a, 222)에서 발광된 빛이 디퓨저(40) 또는 렌즈(260)를 투과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색도좌표 영역에 대응되는 파장대역의 광이 외부 관측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가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높이각도나 측정 너비 각도에 따라 약간의 변화는 있었으나, 피 실험자들에게 가장 명확하게 관측된 인디케이션의 색도 교차점의 x축값은 0.5905 ~ 0.5997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색도 교차점의 y축 값은 0.3997 ~ 0.406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색도 영역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초록색 계열로 코팅된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이 초록색계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색상을 가지는 광으로 출력될 수 있다.
표 2는 푸른 계열의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인디케이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색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차수 측정높이각도(°) 측정넓이각도(°) 색도좌표(x) 색도좌표(y)
1 5 10 0.5842 0.4132
2 5 5 0.5845 0.4131
3 5 0 0.5856 0.4122
4 5 -5 0.5863 0.4116
5 5 -10 0.5882 0.4111
6 60 10 0.5904 0.4089
7 60 5 0.5901 0.4092
8 60 0 0.5901 0.4092
9 60 -5 0.5893 0.4099
10 60 -10 0.5888 0.4106
표 2에는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션의 측정 위치에 따른 색도 좌표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표 2의 실험 결과는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푸른색 계열로 코팅된 경우의 실험 예이다. 실험에 사용된 광들은 모두 동일한 밝기로 수행되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은 외부광에 의해 450nm - 495nm의 파장대역(블루 계열)을 반영하는 광을 반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각 차수의 색도 좌표는, 해당 차수에서 실험자들에게 가장 명확하게 관측된 인디케이션의 색도 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표 2에 의해서도, 푸른색 계열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에 이용된 경우에, 광원(22a, 222)에서 발광된 빛이 디퓨저(40) 또는 렌즈(260)를 투과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색도좌표 영역에 대응되는 파장대역의 광이 외부 관측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가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피 실험자들에게 가장 명확하게 관측된 인디케이션의 색도 교차점의 x축값은 0.5842 ~ 0.5904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색도 교차점의 y축 값은 0.4092 ~ 0.4132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색도 영역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표 1과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광원(22, 222)를 통해 발광된 빛이 디퓨저(40) 또는 렌즈(26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색도좌표 영역에 대응되는 파장대역의 광이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은 미리 정해진 파장대역의 광을 외부로 방사함으로써, 외부의 관측자에게 명확한 인디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모듈(100,200)에 푸른색 계열의 광학 필터가 적용된 경우 및 초록색 계열의 광학 필터가 적용된 경우 모두, 색도 교차점이 x=0.585, y=0.415를 중심으로 하여 0.04 이내에 포함되는 영역에서의 파장을 갖는 광에 의한 인디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100, 200)의 디퓨저(40) 또는 렌즈(260)가 푸른색 계열로 코팅된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이 푸른색계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색상을 가지는 광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00)은, 광원(22a, 222)이 발광하는 광의 파장대역과 광학 필름(디퓨저 또는 렌즈)이 투과하는 광의 파장대역이 조합됨으로 인하여, 색도 좌표계 상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 상에 대응되는 파장대역의 광을 인디케이션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인디케이터 모듈 100

Claims (8)

  1. 운전자에게 측후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리어뷰 하우징; 및
    상기 리어뷰 하우징의 일부에 장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색 정보를 변경시켜 전달하는 광 변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광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에 의해 제1 색상 범위의 광을 출력하되, 상기 광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범위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제1 색상 범위의 광은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이 수소차량인 것을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제1 인디케이션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색상 범위의 광은 상기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의 턴 시그널 램프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색상 범위는, 상기 턴 시그널 램프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CIE1931 색좌표 상에서 x=0.585, y=0.415를 만족하는 색도교차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0.04인 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호박색 계열의 색을 반영하고,
    상기 제1 색상 범위는 CIE1931 색좌표 상에서 x=0.585, y=0.415를 만족하는 색도교차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0.04인 원의 범위 외의 색상을 만족하고, 495nm 이상 570nm 이하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리어뷰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부재는 광학 필터(optical filter)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터는 미리 정해진 색상이 코팅된 렌즈로 형성되는 것인 리어뷰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부재는 광학 필터(optical filter)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터는 미리 정해진 색상이 코팅된 반 투과성 필름(film)인 것인 리어뷰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광 변환부재 내부에 성형되는 것인 리어뷰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뷰 모듈은 미러인 것인 리어뷰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뷰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리어뷰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인 리어뷰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부재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일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여 제2 광을 출력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타면은 상기 제2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여 제3 광을 출력하며,
    상기 광 변환부재는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3 광의 적어도 일부를 입사받아 상기 제3 광의 색상범위를 변경하여 제2 면을 통해 제2 색상범위의 제4 광을 출력하는
    리어뷰 디바이스.
KR1020230127674A 2020-12-18 2023-09-25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KR102639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8714 2020-12-18
KR1020200178714 2020-12-18
KR1020210062621A KR102584108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21A Division KR102584108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493A true KR20230144493A (ko) 2023-10-16
KR102639584B1 KR102639584B1 (ko) 2024-02-22

Family

ID=822471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22A KR102554622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KR1020210062621A KR102584108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KR1020230127674A KR102639584B1 (ko) 2020-12-18 2023-09-25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22A KR102554622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KR1020210062621A KR102584108B1 (ko) 2020-12-18 2021-05-14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46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65B1 (ko) * 2013-11-07 2014-12-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20080133A1 (ja) * 2018-10-16 2020-04-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150A (ja) * 2006-06-26 2008-01-17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65B1 (ko) * 2013-11-07 2014-12-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20080133A1 (ja) * 2018-10-16 2020-04-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73A (ko) 2022-06-27
KR102554622B1 (ko) 2023-07-12
KR102639584B1 (ko) 2024-02-22
KR102584108B1 (ko) 2023-10-05
KR20220088272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459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20190293934A1 (en) Head-up display and moving object
JP7011443B2 (ja) 車両用灯具
US11754250B2 (en) Vehicle lamp
JP2013131454A (ja) 照明装置
TWI745935B (zh) 紅外照明及偵測系統以及用於照明且成像一場景之方法
JP2019200937A (ja) 車両用灯具
KR102639584B1 (ko)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US10197237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2022003614A (ja) 車両用灯具
CN108200235B (zh) 输出模组和电子装置
US11150395B2 (en) Light guide and light emitting device
CN212637315U (zh) 一种车用内饰灯
JP7139148B2 (ja) 車両用灯具
CN108063149B (zh) 输入输出模组和电子装置
CN108093102B (zh) 电子装置
EP3838564B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CN219346296U (zh) 双侧照明结构
US11688839B2 (en) LED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18750553U (zh) 后视镜指示灯、后视镜和车辆
JP6984334B2 (ja) 発光装置
JP2000322901A (ja) 信号表示灯
CN113002417A (zh) 车辆用灯具
JP2016029427A (ja) 発光装置
JP4138427B2 (ja) 照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