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038A - 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 Google Patents

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038A
KR20230144038A KR1020237029700A KR20237029700A KR20230144038A KR 20230144038 A KR20230144038 A KR 20230144038A KR 1020237029700 A KR1020237029700 A KR 1020237029700A KR 20237029700 A KR20237029700 A KR 20237029700A KR 20230144038 A KR20230144038 A KR 2023014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rol device
plug
braking force
forc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티아스 그라이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4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0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6)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5), 구동 샤프트(6)와 작동 연결된 변속 장치(31), 작동 센서, 및 전기 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14)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장치(1)용 제동력 발생기(4)에 관한 것이다. 제어 장치(14)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5)와 타측의 변속 장치(31)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 장치(14)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 및 작동 센서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가 제어 장치(14)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motor (5) configured to drive a drive shaft (6)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7), a transmission device (31) operab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 an operation sensor, and an electric motor (5). It relates to a braking force generator (4) for an operating device (1) of a brake system, with a control device (14) for driving a motor (5). The control device 14 is arranged at least substantially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5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31 on the other side and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19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rol device 14. and a second plug-in connector 24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activation sensor is arranged on the control device 14 .

Figure P1020237029700
Figure P1020237029700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장치용 제동력 발생기 및 작동 장치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 구동 샤프트와 작동 연결된 변속 장치, 작동 센서, 및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가진,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장치용 제동력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ng device for a brake system,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configured to drive a drive shaft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a transmission operab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 operating sensor, and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electric motor. It is about a braking force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제동력 발생기를 구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ctuating device with a braking force generator of the above type.

자동차의 유압 제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다. 마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구비한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마찰 브레이크 장치가 유압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마찰 브레이크 장치의 슬레이브 실린더와 유체공학적으로 연결된다. Hydraulic braking systems of automobiles generally have a plurality of friction brake devices. For operating a friction brake device, an actuating device is generally provided, which has a brake master cylinder inside which at least one hydraulic piston is displaceably mounted. In this case, the brake master cylinder is fluidically connected to the slave cylinder of the friction brake device in such a way that the friction brake device can be actuated by displacement of a hydraulic piston.

자동차 제조에서, 전기 모터를 갖고 이 전기 모터에 의해 유압 피스톤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제동력 발생기를 구비한 작동 장치가 점점 더 빈번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러한 제동력 발생기가 예를 들어 공개공보 DE 10 2013 016 91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 제동력 발생기의 전기 모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는 제동력 발생기의 변속 장치와 작동 연결된다. 즉, 변속 장치는 구동 샤프트를 통해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동력 발생기는 작동 센서, 즉, 제동력 발생기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갖는다. 또한, 제동력 발생기는 전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장치는 작동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따라 전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공개공보 DE 10 2013 016 912 A1호에 개시된 제동력 발생기의 경우, 제어 장치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전기 모터를 둘러싼다. 공개공보 DE 10 2013 006 795 A1호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이 유압 피스톤의 변위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전동 제동력 발생기를 개시한다. 또한, 공개공보 DE 10 2014 220 358 A1호로부터, 작동 센서의 센서 요소가 제어 장치에 통합되어 있는 전동식 제동력 발생기가 공지되어 있다.In automobile manufacturing, actuating devices having an electric motor and a braking force generator configured to displace a hydraulic piston by means of the electric motor are increasingly being equipped. Such a braking force generator is known, for example, from publication DE 10 2013 016 912 A1. In this document, the electric motor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is configured to drive a drive shaft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The drive shaf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That is, the transmission can b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hrough a drive shaft. Additionally, the braking force generator has an actuation sensor, ie a sensor configured to monitor operation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Additionally, the braking force generator includes a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motor. Typically,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sensor signals from an operating sensor. In the case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disclosed in publication DE 10 2013 016 912 A1, the control device surrounds the electric motor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Publication DE 10 2013 006 795 A1 discloses an electric braking force generator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aft is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displacement axis of the hydraulic piston. Furthermore, from publication DE 10 2014 220 358 A1, an electric braking force generator is known, in which the sensor element of the activation sensor is integrated into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발생기는, 제동력 발생기의 조립이 제어 장치와 작동 센서의 전기적 연결 또는 신호기술적 연결과 관련하여 단순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장치가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와 타측의 변속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 장치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및 작동 센서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2 플러그인 커넥터가 제어 장치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축방향으로" 및 "반경방향으로"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용어는, 이들 용어에 대한 다른 기준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장치가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와 타측의 변속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제어 장치가 축방향으로 전기 모터와 동일한 높이에 또는 변속 장치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섹션을 갖는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배치로 인해, 제어 장치는 한편으로는 조립공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센서를 제2 플러그인 커넥터에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축방향으로 전기 모터의 반대편에 놓인 섹션을 갖는다. 즉, 이 섹션은 전기 모터와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으므로 전기 모터는 제어 장치의 이 섹션에 의해 변속 장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전기 모터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 섹션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어 장치의 상기 섹션에 배치된다. 제1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어 장치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장치의 접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기 연결부를 갖는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작동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기 연결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플러그인 커넥터는 플러그인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수용부로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플러그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커넥터 수용부 내에 삽입될 플러그인 장치로서 구성된다. 제어 장치 또는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해 상호 결합을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요소를 이하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라고도 지칭한다.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장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 하우징을 가지며,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가 상기 제어 장치 하우징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동력 발생기는 작동 요소를 가지며, 이 작동 요소는 유압 피스톤의 변위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유압 피스톤이 상기 작동 요소의 변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압 피스톤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는 변속 장치에 의해, 작동 요소가 전기 모터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작동 요소는 나사형 스핀들이며, 이 나사형 스핀들의 외접 기어가 변속 장치의 스핀들 너트의 내접 기어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 작동 센서는,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 위치 및/또는 브레이크 페달과 커플링된/커플링 가능한 입력 로드(input rod)의 슬라이딩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작동 센서는 입력 로드와 커플링된 인코더 및 작동 요소와 커플링된 수신기를 갖는다. 이 경우, 작동 센서는 인코더와 수신기 사이의 축방향 차동 트래블을 검출하는 차동 트래블 센서로서 구성된다.The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assembly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is simplified with regar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or signal technology connec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ing sensor.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control device is arranged axially at least substantially between the electric motor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on the other, the first plug-i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plug-i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operating sensor.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which a second plug-in connector is disposed on the control device. When the terms “axially” and “radially” are used in this disclosure, these terms relate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unless another reference to these terms is explicitly sta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axially at least substantially between the electric motor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on the other. This does not ex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device has a section axially at the same height as the electric motor or at the same height as the transmission.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located at a point that, on the one hand, is easily accessible to the assembler and, on the other hand, allows for a technically simple connection of the operating sensor to the second plug-in connector. The control device preferably has a section axially opposite the electric motor. That is, this section is radially at the same height as the electric motor, so that the electric motor is axially spaced from the transmission by this section of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preferably has sections arranged radially offset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motor.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in said section of the control device. A first plug-in connector is provided for contacting the control device. In this connection, the first plug-in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has at least one electrical connection, preferably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s, for contacting the control device. A second plug-in connector is provided for contacting the activation sensor. In this regard, the second plug-in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ation sensor and has at least one electrical connection, preferably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s, for contacting the activation sensor. Preferably, the plug-in connector is configured as a connecto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lug-in device. Alternatively, the plug-in connector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plug-in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receptacle. An ele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lug-in connector through mutual coupling for contact of a control device or operating sensor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mating plug-in connector.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in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preferably has a control device housing, on which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The braking force generator preferably has an actuating element, which actuating element can be displaced along the displacement axis of the hydraulic piston and is coupled to the hydraulic piston in such a way that the hydraulic piston can be displac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actuating element. Preferably the drive shaft is coupled to the actuating element by means of a transmission device in such a way that the actuating element can be displaced by the electric motor. For example, the actuating element is a threaded spindle, whose external gear meshes with an internal gear of the spindle nut of the transmission. The actuating senso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onitor the sliding position of the actuating element and/or the sliding position of the input rod coupled/coupled with the brake pedal. For example, an actuating sensor has an encoder coupled to an input load and a receiver coupled to an actuating element. In this case, the actuating sensor is configured as a differential travel sensor that detects the axial differential travel between the encoder and receiver.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축방향으로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동력 발생기의 조립 시 제어 장치와 작동 센서의 특히 간단한 연결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axially at the same height. This allows for a particularly simple conn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operating sensors when assembling the braking force generator.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radially adjacent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어 장치 하우징의 동일한 하우징 벽에 배치된다. 이로부터, 제어 장치와 작동 센서의 연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 벽만 접근할 수 있게 유지되면 된다는 이점이 도출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하우징 벽에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변속 장치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하우징 벽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on the same housing wall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This leads to the advantage that only the housing walls need to remain accessible for the connec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activation sensor.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on the housing wall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are arranged on a housing wall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nd facing away from the transmission.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2 플러그인 커넥터가 제어 장치 하우징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에 의해 작동 센서와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제2 플러그인 커넥터에 대한 작동 센서의 기술적으로 간단한 연결이 달성되는데, 이는 특히 라인이 제어 장치 하우징 주위로 유도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라인은 제어 장치 하우징을 통과하기 때문에, 라인은 또한 제어 장치 하우징에 의해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전기 모터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어 장치 하우징의 하우징 벽은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가지며, 이 경우 전기 라인은 축방향 관통 구멍을 통해 제어 장치 하우징 내로 진입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n arrangement is provided in which the second plug-in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activation sensor by at least one electr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ontrol device housing. This on the one hand achieves a technically simple connection of the activation sensor to the second plug-in connector, especially since the lines do not have to be guided around the control device housing. Since the lines pass through the control unit housing, they are also protected from mechanical influences by the control unit housing. Preferably, the housing wall of the control housing,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nd facing away from the electric motor, has an axial through hole, in which case the electrical lines are routed through the axial through hole into the control device housing. Enter.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하나의 공통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전기 연결부가 직접 배치되거나 형성된 구성 부재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제1 플러그인 커넥터의 전기 연결부와 제2 플러그인 커넥터의 전기 연결부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 커넥터를 간단하게 함께 다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통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제어 유닛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통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제어 장치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 장치 하우징의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에 삽입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have one common plug-in connector housing. The plug-in connector housing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o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plug-in connector is directly arranged or formed.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plug-in connector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plug-in connector are disposed on the same structural member.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an be easily handled together. The common plug-in connector housing is preferably formed by the control unit housing. Alternatively, a common plug-in connector housing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device housing and is inserted into a recess or through opening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1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며, 제2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된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구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제어 장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 장치 하우징의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에 삽입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 장치 하우징의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에 삽입된다.According to one alternati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herein the first plug-in connector preferably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and the second plug-in connector has a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Preferably the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is formed by the control device housing. Alternatively, the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is preferably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device housing and is formed by a plug-in connector housing inserted into a recess or through opening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The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is preferably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device housing and is inserted into a recess or through opening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변속 장치가 제동력 발생기의 주 하우징(main housing) 내에 배치되고, 전기 모터가 주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된 제동력 발생기의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주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은 하우징 플랜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즉, 일측으로는 주 하우징과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제어 장치 하우징에 연결된 하우징 플랜지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주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의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된다. 하우징 플랜지는 판형 하우징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플랜지는 나사 연결에 의해 주 하우징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플랜지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mission device is arranged in the main housing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and the electric motor is arranged in the motor housing of the braking force generator, which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housing, and the main housing and the motor housing are separated by a housing flange. Configurations that connect to each other are provided. That is, a housing flange is provided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on one side and to the control device housing on the other side. This achieves a reliabl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housing and the motor housing. Housing flange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a plate-shaped housing member. Preferably the housing flange is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by a screw connection. Preferably the housing flange is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하우징 플랜지와 타측의 모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다. 즉, 이 경우 하우징 플랜지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제어 장치와 타측의 변속 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부터, 하우징 플랜지가 주 하우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는 이점이 도출되고, 그 결과 하우징 플랜지가 주 하우징에 특히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 하우징은 하우징 플랜지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하우징 플랜지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하우징은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 접착된다.Th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arranged axially at least substantially between the housing flange on one side and the motor housing on the other side. That is, in this case, the housing flange is disposed axially between the control device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on the other side. This results in the advantage that the housing flange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main housing, which results in a particularly stable fastening of the housing flange to the main housing. Preferably the control device housing abuts flush against the housing flange.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housing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flang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housing is fixedly glued to the housing flange.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동력 발생기는 축방향으로 제어 장치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세장형 고정 요소를 가지며, 이 고정 요소에 의해 모터 하우징이 하우징 플랜지와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고정 요소에 의해, 모터 하우징이 하우징 플랜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더라도, 하우징 플랜지 또는 주 하우징에 대한 모터 하우징의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요소는 압착 연결을 통해 모터 하우징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요소는 압착 연결을 통해 하우징 플랜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모터 하우징을 하우징 플랜지와 연결하는 복수의 세장형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generator has an elongated fastening element extending axially through the control device, by means of which the motor housing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lange. By means of the fastening element, a stable fixation of the motor housing to the housing flange or to the main housing is achieved, even if the motor housing is axially spaced from the housing flange. Preferably the fasten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motor housing via a press connection. Preferably the fasten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lange via a press connection. Preferably, a plurality of elongated fastening elements are provided which are radially spac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 the motor housing with the housing flange.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주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제어 장치의 반대편에 놓인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이 반경방향 돌출부는 전기 라인이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작동 센서는 일반적으로 주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해서는 전기 라인이 주 하우징 내로 안내되어야 한다. 전기 라인이 반경방향 돌출부의 영역에서 주 하우징 내로 안내되면, 이 라인이 하우징 외부에서는 넉넉잡아도 짧은 구간에 걸쳐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반경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관통 구멍은 라인이 제어 장치 하우징 내로 진입하는 제어 장치 하우징의 하우징 벽의 축방향 관통 구멍의 축방향 반대편에 놓인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housing has a radial projection axially opposite the control device, which radial projection has an axi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lectrical line passes. The activation sensor is usually placed within the main housing. Electrical lines must therefore be guided into the main housing for contact of the activation sensor. If the electrical line is guided into the main housing in the area of the radial protrusion, this line extends over an at most short section outside the housing. Particularly preferably, the axial through hole of the radial projection lies axially opposite the axial through hole in the housing wall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through which the line enters the control device housing.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며, 인쇄 회로 기판은 구동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제어 장치가 일측으로 전기 모터와 타측으로 변속 장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기 모터와 변속 장치의 커플링이 기본적으로 더 어렵다. 전술한 해결책, 즉, 구동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공은 기계적으로 간단하면서도 공간 절약적인 커플링을 보장한다.Preferably the control device has a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xi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axially passes. Since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between the electric motor on the one hand and the transmission on the other, the coupling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transmission is fundamentally more difficult. The solution described above, namely the provis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axial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passes axially, ensures a mechanically simple yet space-saving coupling.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는 냉각을 위해 하우징 플랜지와 열전도성 접촉 상태에 있고,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는 냉각을 위해 주 하우징과 열전도성 접촉 상태에 있다. 하우징 플랜지와 주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며, 이와 관련하여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열전도성 접촉은 제어 장치와 하우징 플랜지 사이 또는 제어 장치와 주 하우징 사이의 물리 접촉에 의해 제공된다. 이로부터, 제어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 소자가 생략될 수 있다는 장점이 도출된다. 이를 통해 비용 및 설치 공간이 절약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is in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with the housing flange for cooling and/or the control device is in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with the main housing for cooling. The housing flange and the main housing are usually made of metal and have an associated high thermal conductivity. 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is provided by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housing flange or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main housing. From this, an advantage is derived that a separate cooling element for cooling the control device can be omitted. This saves cost and installation space.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장치는 서로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갖는다. 제어 장치의 이러한 구성은, 주 하우징으로부터 전기 라인이 나오는 영역과 전기 모터 사이의 반경방향 오프셋이 제어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의 제1 레그는 전기 모터의 축방향 반대편에 놓이고, 제2 레그는 주 하우징의 반경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반대편에 놓인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 device is formed in an angular shape. In this regard, the control device has a first leg and a second leg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This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fers the advantage that a radial offset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area where the electrical lines emerge from the main housing can be advantageously connected by the control device. Preferably the first leg of the control device lies axially opposite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cond leg lies axially opposite the radial projection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갖는다. 이 작동 장치는, 청구항 제14항의 특징부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발생기를 특징으로 하며, 유압 피스톤은 전기 모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로부터도 이미 언급한 장점들이 도출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징 조합은 설명부 및 청구항을 참조한다.An operating device for a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ake master cylinder in which at least one hydraulic piston is axially displaceably mounted. This actuating device features a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part of claim 14, wherein the hydraulic piston can be displaced axially by an electric motor. From this, the advantages already mentioned are derived. For further preferred features and feature combinations, see description and claims.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작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top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device.

도 1은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용 작동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작동 장치(1)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를 갖는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변위축(3)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경우에,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브레이크 탠덤 마스터 실린더(2)이다. 이에 상응하게,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는 2개의 유압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서로 연달아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장치(1)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장착되는 경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브레이크 장치가 유압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도시되지 않은 유압 연결부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의 슬레이브 실린더와 연결된다.Figure 1 shows a top view of an actuating device 1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The operating device (1) has a brake master cylinder (2). In the brake master cylinder (2), at least one hydraulic piston is mounted to be axially displaceable along the displacement axis (3). In the present case, the brake master cylinder 2 is a brake tandem master cylinder 2. Correspondingly, two hydraulic pistons are mounted in the brake master cylinder 2 to be displaceable one after an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f the actuating device 1 is mounted as part of the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the brake master cylinder 2 is connected to the brake system by a hydraulic connection, not shown, in such a way that the brake device can be actuated by displacement of a hydraulic piston. is connected to the slave cylinder of the friction brake device.

작동 장치(1)는 또한 전동식 제동력 발생기(4)를 갖는다. 제동력 발생기(4)는 모터 하우징(11) 내에 배치된 전기 모터(5)를 갖는다. 전기 모터(5)는,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6)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동기(5)의 회전자는 구동 샤프트(6)와 결합 회전(conjoint rotation)을 하도록 연결된다. 본 경우에, 변위축(3)과 회전축(7)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The actuating device 1 also has an electric braking force generator 4. 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has an electric motor 5 arranged within the motor housing 11 . The electric motor 5 is configured to drive a drive shaft 6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7. For this purpose,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5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 for conjoint rotation. In the present case, the displacement axis 3 and the rotation axis 7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제동력 발생기(4)는 또한 주 하우징(8)을 갖는다. 주 하우징(8)은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며, 도 1에서는 주 하우징(8)의 커버(9)만 확인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는 고정 수단(10)에 의해 커버(9)와 연결된다.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also has a main housing (8). The main housing 8 is formed of several parts, and in Figure 1 only the cover 9 of the main housing 8 is visible. The brake master cylinder (2) is connected to the cover (9) by fixing means (10).

제동력 발생기(4)는 또한, 변위축(3)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도 1에서 확인되지 않는 작동 요소를 갖는다. 이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의 변위에 의해 유압 피스톤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압 피스톤과 커플링된다. 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also has an actuating element not identified in FIG. 1 , which is mounted displaceably along the displacement axis 3 . This actuating element is coupled to the hydraulic piston in such a way that the hydraulic piston can be displaced by displacement of the actuating element.

제동력 발생기(4)는 또한 도 1에서 확인되지 않는 변속 장치(31)를 갖는다. 변속 장치(31)에 의해 작동 요소는, 구동 샤프트(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 요소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6)와 커플링된다. 그에 따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 장착된 유압 피스톤 또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내에 장착된 유압 피스톤이 전기 모터(5)에 의해 변위될 수 있음으로써, 궁극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찰 브레이크 장치는 전기 모터(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also has a transmission device 31 which is not identified in FIG. 1 . By means of a transmission 31 the actuating element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6 in such a way that the actuating element can be axially displaced by rotation of the drive shaft 6 . Accordingly, the hydraulic piston mounted within the brake master cylinder 2 or the hydraulic piston mounted within the brake master cylinder 2 can be displaced by the electric motor 5, so that ultimately the friction brake device of the brake system is electrically operated. It can be operated by a motor (5).

모터 하우징(11)은 하우징 플랜지(12)에 의해, 도 1에서 확인되지 않는 주 하우징(8)의 변속기 하우징(38)과 연결된다. 하우징 플랜지(12)는 고정 수단(13)에 의해 변속기 하우징(38)과 연결된다. 하우징 플랜지(12)에 대한 모터 하우징(11)의 고정은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변속기 하우징(38)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주 하우징(8)의 커버(9)와 연결된다.The motor housing 11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housing 38 of the main housing 8, which is not visible in Figure 1, by a housing flange 12. The housing flange 1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housing 38 by fastening means 13. The fixation of the motor housing 11 to the housing flange 1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Additionally, the transmission housing 38 is connected to the cover 9 of the main housing 8 by fastening means not shown.

제동력 발생기(4)는 또한 제어 장치 하우징(15)을 구비한 제어 장치(14)를 갖는다. 제어 장치(14)는 전기 모터(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장치(14)는 본 경우에 각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장치(14)는 제1 레그(16)와 제2 레그(17)를 가지며, 이들 레그(16 및 17)는 서로 각도를 이루어 정렬된다. 이 경우, 제1 레그(16)는 축방향으로 전기 모터(5)의 반대편에 놓인 섹션(18)을 갖는다. 제2 레그(17)는 전기 모터(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also has a control device 14 with a control device housing 15 . The control device 1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motor 5 . The control device 14 is formed in this case in an angular shape. In this regard, the control device 14 has a first leg 16 and a second leg 17, which legs 16 and 17 are aligned at an angl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leg 16 has a section 18 that lies axially opposite the electric motor 5 . The second leg 17 is arranged radially offset relative to the electric motor 5 .

제2 레그(17)의 영역에는 제어 장치(14)의 접촉을 위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가 배치된다.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을 갖는다.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은 제어 장치 하우징(15)의 하우징 벽(23)의 축방향 관통 구멍(22) 내로 삽입되며, 하우징 벽(23)은 변위축(3)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변속 장치(31)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에는 제어 장치(14)의 접촉을 위한 복수의 전기 연결부(21)가 배열된다. 본 경우에,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는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커넥터 수용부(19)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는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로서 구성된다.A first plug-in connector 19 for contact with the control device 14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second leg 17.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20. The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20) is inserted into the axial through hole (22) of the housing wall (23)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15), the housing wall (23) being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cement axis (3). It faces away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31.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21 for contact with the control device 14 are arranged in the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20 . In this case,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is a plug-in connector receiving portion 19 configured to receive a plug-in connector device. Alternatively,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is configured as a plug-in connector device.

제동력 발생기(4)는 또한 도 1에서 확인되지 않는, 주 하우징(8) 내에 배치된 작동 센서를 갖는다. 작동 센서는,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 위치 및/또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페달과 커플링된 입력 로드의 슬라이딩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작동 센서는 차동 트래블 센서로서 구성되며, 이를 위해 입력 로드와 커플링된 인코더 및 작동 요소와 커플링된 수신기를 갖는다. 제어 장치(14)는, 작동 센서의 센서 신호에 따라 전기 모터(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braking force generator 4 also has an activation sensor arranged within the main housing 8, which is not visible in FIG. 1 . The actuating sensor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sliding position of the actuating element and/or the sliding position of the input rod coupled to the brake pedal of the brake system. For example, the actuating sensor is configured as a differential travel sensor, for which it has an encoder coupled to the input load and a receiver coupled to the actuating element. The control device 1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motor 5 according to a sensor signal from an actuation sensor.

제2 레그(17)의 영역에는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한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가 제공된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5)을 갖는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5)은 제어 장치 하우징(15)의 하우징 벽(23)의 축방향 관통 구멍(26) 내로 삽입된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5)에는 작동 센서의 접촉을 위한 복수의 전기 연결부(27)가 배열된다. 이들 연결부(27)는 전기 라인에 의해 작동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커넥터 수용부(24)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로서 구성된다.The area of the second leg 17 is provided with a second plug-in connector 24 for contacting the activation sensor.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has a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25. The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25 is inserted into the axial through hole 26 of the housing wall 23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15 . In the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25,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s 27 are arranged for contacting the operation sensor. These connections 2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sensor by means of an electrical line. In this case,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is a plug-in connector receiving portion 24 configured to receive a plug-in connector device. Alternatively,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is configured as a plug-in connector device.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와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제어 장치(14)상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이는, 작동 장치(1)를 자동차에 장착할 때 플러그인 커넥터(19 및 24)와 대응하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의 연결을 더 간편하게 만든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and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control device 14. This makes the connection of the plug-in connectors 19 and 24 with the corresponding mating plug-in connectors easier when mounting the operating device 1 on a motor vehicle.

제어 장치 하우징(15)은, 변위축(3)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전기 모터(5)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도 1에서 확인되지 않는 하우징 벽을 갖는다. 이 하우징 벽은 축방향 관통 구멍(26)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연결부(27)를 작동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은 전기 모터(5)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하우징 벽의 축방향 관통 구멍을 통해 제어 장치 하우징(15)으로부터 나온다.The control device housing 15 has a housing wall not visible in FIG. 1 , which is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displacement axis 3 and faces away from the electric motor 5 . This housing wall has an axial through hole 26 that is axially aligned. The electrical lin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27 with the actuation sensor exits the control device housing 15 through an axial through hole in the housing wall facing away from the electric motor 5 .

커버(9)는, 내부에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가 배치된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제어 장치(14)의 반대편에 놓인 반경방향 돌출부(29)를 갖는다. 반경방향 돌출부(29)는 축방향 관통 구멍(26)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다. 연결부(27)를 작동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은 반경방향 돌출부(29)의 축방향 관통 구멍을 통해 주 하우징(8)으로 진입하고, 그곳으로부터 작동 센서까지 연장된다.The cover 9 has a radial projection 29 axially opposite the control device 14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is arranged. The radial projection 29 has an axial through hole that is axially aligned with the axial through hole 26 . The electrical lin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27 with the activation sensor enters the main housing 8 through an axial through hole in the radial projection 29 and extends from there to the activation sensor.

도 2는 관찰 방향(A)으로 1에 도시된 단면 평면(30)을 따르는, 작동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tuating device 1, along the cross-sectional plane 30 shown at 1 in the observation direction A.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변속 장치(3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변속 장치(31)는 결합 회전을 하도록 구동 샤프트(6)와 연결된 평기어(32)를 갖는다. 변속 장치(31)는 또한, 제1 톱니부(34) 및 제2 톱니부(35)를 구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이중 기어휠(33)을 갖는다. 평기어(32)의 톱니부는 이중 기어휠(33)의 제1 톱니부(34)와 맞물린다. 변속 장치(31)는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핀들 너트(36)를 갖는다. 이중 기어휠(33)의 제2 톱니부(35)는 스핀들 너트(36)의 외부 톱니부와 맞물린다. 스핀들 너트(36)의 도시되지 않은 내부 톱니부는, 나사 스핀들(37)이 스핀들 너트(36)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나사 스핀들(37)의 외부 톱니부와 맞물린다.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전술한 작동 요소는 나사산 스핀들(37)에 의해 또는 나사산 스핀들(37)과 함께 변위 가능하게 커플링된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속 장치(31)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변속기 하우징(38) 내에 배치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device 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transmission device 31 has a spur gear 32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 for combined rotation. The transmission device 31 also has a rotatably mounted double gear wheel 33 with a first tooth portion 34 and a second tooth portion 35. The toothed portion of the spur gear 32 meshes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34 of the double gear wheel 33. The transmission device 31 also has a rotatably mounted spindle nut 36. The second tooth portion 35 of the double gear wheel 33 engages with the outer tooth portion of the spindle nut 36. The internal teeth, not shown, of the spindle nut 36 are mounted axially displaceably in such a way that the screw spindle 37 can be axially displaced by rotation of the spindle nut 36. ) engages with the external teeth of the. The above-described axially displaceable actuating element is formed by the threaded spindle 37 or by an element displaceably coupled with the threaded spindle 37 . As can still be seen in FIG. 2 , transmission 31 is disposed at least substantially within transmission housing 38 .

도 2에서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5)와 타측의 변속 장치(3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전기 모터(5)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속 장치(31)로부터 이격된다. 제어 장치(14)의 이러한 배열은 제어 장치(14)가 주 하우징(8)의 축방향 반대편에 놓임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에 대한 작동 센서의 연결이 간소화된다. 하우징 플랜지(12)는 축방향으로 일측의 제어 장치(14)와 타측의 변속 장치(38)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14)는 하우징 플랜지(12)에 평평하게 인접한다. 평평한 접촉에 의해, 제어 장치(14)의 작동 중에 금속 변속기 플랜지(12)에 의해 제어 장치의 냉각이 달성된다. As can also be seen in Figure 2, the control device 14 is arranged axially between the electric motor 5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31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electric motor 5 is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31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control device 14. This arrangement of the control device 14 means that the control device 14 lies axially opposite the main housing 8 . This simplifies the connection of the activation sensor to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The housing flange 12 is disposed axially between the control device 14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38 on the other side. The control device 14 is flush against the housing flange 12 . By flat contact, cooling of the control device 14 is achieved by the metal transmission flange 12 during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4 .

제어 장치(14)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5)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전자 시스템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39)을 갖는다. 전력 전자 시스템의 스위칭 소자는 전기 라인(40)에 의해 전기 모터(5)의 위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39)은 축방향 관통 구멍(41)을 갖는다. 구동 샤프트(6)는 축방향 관통 구멍(41)을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The control device 14 has a printed circuit board 39 on which a power electronics system with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is arranged, for example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the electric motor 5 .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power electronics system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ases of the electric motor 5 by means of electrical lines 40 . The printed circuit board 39 has an axial through hole 41. The drive shaft 6 extends axially through the axial through hole 41.

구동 샤프트(6)의 회전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6)와 결합 회전을 하도록 연결된 자기 요소(42)가 제공된다. 또한, 자기 요소(42)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수신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수신기는 예를 들어 자기 요소(42)의 반경방향 반대편 또는 축방향 반대편에 놓인다.In order to monitor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6, a magnetic element 42 is provided, which is connected for coupled rotation with the drive shaft 6. Additionally, a receiver, not shown in Figure 2, is provided, configured to detec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magnetic element 42. For this purpose, the receiver is placed, for example, radially opposite or axially opposite the magnetic element 42 .

전기 모터(5)를 하우징 플랜지(12)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세장형 고정 요소가 제공되며, 그 중 단 하나의 고정 요소(43)만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 요소(43)는 제어 장치(14)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 요소(43)는 압착 연결을 통해 모터 하우징(11)과 연결된다. 또한, 고정 요소(43)는 압착 연결을 통해 하우징 플랜지(12)와 연결된다. 본 경우에, 인쇄 회로 기판(39)은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가지며, 이 축방향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 요소(43)가 연장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고정 요소(43)는 인쇄 회로 기판(39)이 없는 제어 장치(14)의 영역을 통해 연장된다. 본 경우에, 고정 요소(43)는 슬리브형 고정 요소(43)이다.A plurality of elongated fastening elements are provided for fastening the electric motor 5 to the housing flange 12, of which only one fastening element 43 is shown in FIG. 2 . The fastening element 43 extends axially through the control device 14 . The fastening element 43 is connected to the motor housing 11 via a pressing connection. Additionally, the fastening element 4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lange 12 via a pressing connection. In the present c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39 has an axi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element 43 extends. Alternatively, the fastening element 43 extends through an area of the control device 14 devoi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9 . In the present case, the fastening element 43 is a sleeve-like fastening element 43 .

Claims (14)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샤프트(6)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5), 구동 샤프트(6)와 작동 연결된 변속 장치(31), 작동 센서, 및 전기 모터(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14)를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장치용 제동력 발생기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전기 모터(5)와 타측의 변속 장치(31)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 장치(14)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 및 작동 센서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가 제어 장치(1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
An electric motor (5) configured to drive a drive shaft (6)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7), a transmission device (31) operab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 an operating sensor, and an electric motor (5) A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n operating device of a brake system, having a control device (14) for driving,
The control device 14 is arranged at least substantially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5 on one side and the transmission device 31 on the other side, and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19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control device 14. and a second plug-in connector (24) for electrical contact of the activation sensor is arranged in the control device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19, 24)는 축방향으로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2.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19, 24)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in the axi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제어 장치 하우징(15)을 가지며,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19, 24)가 상기 제어 장치 하우징(15)의 하우징 벽(2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3. The control device (14)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has a control device housing (1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ug-in connectors (19, 24) are connected to a housing wall (23) of the control device housing (15). ),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force generator is dispos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제어 장치 하우징(14)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에 의해 작동 센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is connected to the activation sensor by at least one electr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ontrol device housing (14).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와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하나의 공통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5.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and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have one common plug-in connector housing.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19)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을 가지며, 제2 플러그인 커넥터(24)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과 별도로 형성된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rst plug-in connector (19)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20) and the second plug-in connector (24) has a first plug-in connector housing (20) and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parately formed second plug-in connector housing (2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속 장치(31)는 주 하우징(8) 내에 배치되고, 전기 모터(5)는 주 하우징(8)과 별도로 형성된 모터 하우징(11) 내에 배치되며, 주 하우징(8)과 모터 하우징(11)은 하우징 플랜지(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transmission device (31) is arranged in the main housing (8) and the electric motor (5) is arranged in a motor housing (11)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housing (8). A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housing (8) and the motor housing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using flange (12). 제7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측의 하우징 플랜지(12)와 타측의 모터 하우징(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8.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14) is arranged axially at least substantially between the housing flange (12) on one side and the motor housing (11) on the other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발생기는 축방향으로 제어 장치(14)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고정 요소(43)를 가지며, 이 고정 요소(43)에 의해 모터 하우징(11)이 하우징 플랜지(1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9. The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8, has at least one elongated fastening element (43) extending axially through the control device (14), by means of which the motor housing (11) is connected. A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lange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하우징(8)은 축방향으로 제어 장치(14)의 반대편에 놓인 반경방향 돌출부(29)를 가지며, 이 반경방향 돌출부(29)는 전기 라인이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main housing (8) has a radial projection (29) axially opposite the control device (14), which radial projection (29) A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xi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ine passes.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인쇄 회로 기판(39)을 가지며, 이 인쇄 회로 기판(39)은 구동 샤프트(6)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축방향 관통 구멍(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11. The control device (1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39) which is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6) axially passes. A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rough hole (41).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냉각을 위해 하우징 플랜지(12)와 열전도성 접촉 상태에 있고,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14)는 냉각을 위해 주 하우징(8)과 열전도성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control device (14) is in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with the housing flange (12) for cooling and/or the control device (14) is in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with the main housing for cooling. A braking forc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rmally conductive contact with (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발생기.13. Braking force gen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14) is formed in an angular shape.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 및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동력 발생기(4)를 구비한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이며, 상기 유압 피스톤은 전기 모터(5)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동 시스템용 작동 장치.An operating device for a braking system comprising a brake master cylinder (2) in which at least one hydraulic piston is axially displaceably mounted and a braking force generator (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Actuating device for a braking system, wherein the hydraulic piston can be axially displaced by an electric motor (5).
KR1020237029700A 2021-02-05 2022-01-20 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KR2023014403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1078.4 2021-02-05
DE102021201078.4A DE102021201078A1 (en) 2021-02-05 2021-02-05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n actuating device of a braking system, actuating device
PCT/EP2022/051191 WO2022167227A1 (en) 2021-02-05 2022-01-20 Brake force generator for an actuating device of a brake system, and actu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038A true KR20230144038A (en) 2023-10-13

Family

ID=8012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700A KR20230144038A (en) 2021-02-05 2022-01-20 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88312A1 (en)
JP (1) JP2024504458A (en)
KR (1) KR20230144038A (en)
CN (1) CN116829424A (en)
DE (1) DE102021201078A1 (en)
WO (1) WO202216722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3216A1 (en) * 2011-08-15 2013-02-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actuation unit
DE102013006795A1 (en) 2013-04-19 2014-10-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DE102013016912A1 (en) 2013-10-11 2015-04-16 Lucas Automotive Gmbh Actuat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DE102014220358A1 (en) 2014-10-08 2016-04-14 Robert Bosch Gmbh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and / or an adjustment path of a linearly adjustable piston of a brake system of a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for such a device
DE102018220573A1 (en) * 2018-11-29 2020-06-04 Robert Bosch Gmbh Hydraulic block for a hydraulic power vehicl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29424A (en) 2023-09-29
JP2024504458A (en) 2024-01-31
DE102021201078A1 (en) 2022-08-11
WO2022167227A1 (en) 2022-08-11
EP4288312A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49848A1 (en) Actuation device for a hydraulic actuation system,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brake or an electrified clutch actuator, optionally with gear actuator
CN111845921B (en) Electric drive device
US10549737B2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brake
KR101411483B1 (en) Transmission
CN111717274B (en) Electric drive device
CN107921998B (en) Electric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2069458B1 (en) Electric driv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CN107921996B (en) Electric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07923459B (en)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CN110799391A (en) Hydraulic assembly of a slip control device of a vehicle brake system with two separate controllers
KR102021518B1 (en) Assembly structure for integrated brake system
CN110696797B (en) Pressure generating device for a brake system of a vehicle
KR20230144038A (en) Braking force generator and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devices of braking systems
US20230318397A1 (en) Electric motor
CN112997388A (en) Electric machine with integrated temperature sensor and rotor state capture sensor
US20230331208A1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20190030322A (en) Power connector structure of motor and intergrated brake apparatus fot vehicle having the same
CN111845687A (en) Brake pressure generator capable of being electromechanically driven for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30144039A (en) Actuating devices for braking systems
KR20180094276A (en) Assembly structure for integrated brake system
CN117241972A (en) Brake force generator for an actuating device of a brake system, actuating device for a brake system
US20220332363A1 (en)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eering Device
US20230322092A1 (en) Electrically operated braking assembly for a brak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17588561A (en) Transmission actuator unit and transmission
CN117581458A (en) Mo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erminal connection mechanism,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electric brak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