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845A - 차량용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845A
KR20230143845A KR1020220042987A KR20220042987A KR20230143845A KR 20230143845 A KR20230143845 A KR 20230143845A KR 1020220042987 A KR1020220042987 A KR 1020220042987A KR 20220042987 A KR20220042987 A KR 20220042987A KR 20230143845 A KR20230143845 A KR 2023014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lever
latch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3205B1 (ko
Inventor
이성우
배지식
김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22004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20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29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032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생략된 차량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i)도어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부재와, ii)도어 래치부와 래치 로크부를 포함하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치 모듈과, iii)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 레버와, 작동 레버에 전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도어의 내부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전동 기구와, iv)차체에 대응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전동 기구와, v)스마트키가 인식된 상태에서 래치 로크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도어 래치부의 래치 잠금을 해제하고, 스위치 신호의 입력으로 제1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 레버를 통해 도어 래치부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제2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차체를 미는 힘으로 도어를 팝업하는 제어 모듈과, vi)래치 로크부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며, 키가 꽂혀지는 키 홀이 도어의 외부에 배치되는 도어 록 기구와, vii)키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장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레버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비상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시스템{DOO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핸들이 생략된 차량의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로 탑승자가 출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도어가 구성된다. 각 도어는 외부에서의 도어를 개폐를 위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Outside Door Handle) 및 실내에서의 도어 개폐를 위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Inside Door Handle)이 구성된다.
이중에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통상 도어의 아웃터 패널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차량의 외관미를 저하시키고 주행 시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공기와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Auto plush type door handle, 출몰형 도어 핸들이라고도 함)을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은 차량의 주차 또는 주행 시 아웃터 패널의 내측으로 수납되고, 스마트키와 연동에 따른 도어의 개폐작동 시 아웃터 패널의 외측으로 도어 핸들이 팝업되는 작동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은 기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도어 개폐구조에 도어 핸들을 수납/팝업 시키기 위한 복잡한 구성이 추가되어 도어의 패널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구성품의 복잡도가 증가하며 그에 따른 비용 및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극심한 겨울철엔 결빙으로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이 얼어붙어 팝업 되지 않아 도어를 열수 없고, 얼음을 녹이는 시간이 필요하여 차량을 바로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평상 시, 도어의 개폐 제어 및 팝업 제어를 수행하면서, 차량의 방전 등에 따른 비상 시,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생략된 차량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i)도어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부재와, ii)도어 래치부와 래치 로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치 모듈과, iii)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에 전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전동 기구와, iv)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전동 기구와, v)스마트키가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로크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도어 래치부의 래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작동 레버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차체를 미는 힘으로 상기 도어를 팝업하는 제어 모듈과, vi)상기 래치 로크부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며, 키가 꽂혀지는 키 홀이 상기 도어의 외부에 배치되는 도어 록 기구와, vii)상기 키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 레버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비상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비상 레버의 외부 면에 버튼 타입 혹은 터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1 고정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바디부와, 상기 레버 바디부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비상 레버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레버 바디부의 다른 한쪽에서 연장되어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제1 스프링을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고정 축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레버 바디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서보 모터와, 상기 제1 서보 모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며, 상기 제1 아암부에 접촉되는 제1 작동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서보 모터와, 상기 제2 서보 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차폭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며, 상기 차체에 접촉되는 제2 작동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전진 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미는 힘으로 상기 도어를 팝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도어의 열림량이 설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제2 작동 로드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차폭 방향을 따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2 고정 축을 통해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스프링을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고정 축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비상 레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2 고정 축을 통해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피봇 결합부와, 상기 피봇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암부와 접촉되는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키 홀을 블로킹 하는 블로킹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피봇 결합부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사각 단면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에는 상기 제1 아암부와 접촉하는 라운드 형태의 캠 노브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 방전 등의 비상 시, 래치 모듈의 래치 잠금 및 도어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비상 시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전동 기구의 작동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2 전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작동적으로 연결(operably connected)'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적어도 두 개의 부재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작동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부재는 항상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ports utility vehicles; SUVs)를 포함하는 승용차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들, 전기 자동차들,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들, 수소 동력 차량들 및 다른 대안적인 연료(예를 들어, 석유 이외의 자원들로부터 얻어지는 연료)의 차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스마트 제어 방식으로 도어(1)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차량은 바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디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RF 안테나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스마트키(3)를 인식하고 그 상태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제어기는 일정거리를 벗어난 원격지에서 스마트키(3)의 기능 버튼 작동에 따른 무선신호(RF)를 수신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를 해제하거나 도어(1)의 잠금상태(Lock/Unlock)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 제어기는 스마트키(3)와 동일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이 적용된 운전자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예;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위와 동일한 인식 및 도어(1)의 잠금상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스마트 제어 방식으로 도어(1)의 개폐 제어 및 팝업 제어를 통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예,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완전히 생략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당 업계에서는 차량의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 길이 방향(차체 전후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체 길이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너'라 함은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1)의 아웃터 패널(5)의 인너 면 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아웃터'라 함은 도어(1)의 아웃터 패널(5)의 아웃터 면 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평상 시 도어(1)의 개폐 제어 및 팝업 제어를 수행하면서, 차량의 방전 또는 바디 제어기의 고장 등에 따른 비상 시 수동으로 도어(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스위치 부재(10), 래치 모듈(20), 제1 전동 기구(30), 제2 전동 기구(60), 제어 모듈(70), 도어 록 기구(80), 그리고 비상 레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10)는 도어(1)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부재(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제어 모듈(7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부재(10)는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의 버튼 타입이나 터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위치 부재(10)는 지문인식 기능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등록된 사용자(예; 운전자)를 인식하고 입력된 스위치 신호와 인식결과를 제어 모듈(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부재(10)의 설치 위치 등은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래치 모듈(20)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7)(이하 도 7 참조)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어 도어(1)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래치 모듈(20)은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 모듈(20)은 스트라이커(7)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래치가 구비된 도어 래치부(21)와, 도어 래치부(21)의 래치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래치 로크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 로크부(23)는 스마트키(3)가 인식된 상태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는 작동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도어 래치부(21)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래치 모듈(20)의 구성/기능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기능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전동 기구(30)는, 래치 로크부(23)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래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10)의 스위치 신호에 따라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전동 식으로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전동 기구(30)는 래치 모듈(20)에 대응하여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되며, 래치 모듈(20)의 도어 래치부(21)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 전동 기구(30)는 도어(1)의 내부 즉, 아웃터 패널(5)의 인너 면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31)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31)은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홀, 돌기, 리브, 블록, 레일, 플레이트, 브라켓 등과 같은 각종 부속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속 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를 장착 브라켓(31)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장착 브라켓(31)으로 통칭한다.
상기 장착 브라켓(31)은 도어(1)의 아웃터 패널(5)에 형성된 장착 홀(9)과 연결되도록 그 아웃터 패널(5)의 인너 면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31)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체결수단(예, 고정수단, 결합수단 등)을 통하여 아웃터 패널(5)에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전동 기구(30)는 장착 브라켓(31)에 설치되는 작동 레버(33)와 제1 액추에이터(35)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작동 레버(33)는 연결 로드(37)를 통해 래치 모듈(20)의 도어 래치부(21)와 연결되며, 장착 브라켓(31)에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 레버(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바디부(39), 제1 아암부(41), 그리고 제2 아암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버 바디부(39)는 제1 고정 축(45)을 통해 장착 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 축(45)은 레버 바디부(39)를 차폭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장착 브라켓(31)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아암부(41)는 레버 바디부(39)의 한쪽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1 액추에이터(35) 및 비상 레버(9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아암부(43)는 레버 바디부(39)의 다른 한쪽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 로드(37)를 통해 래치 모듈(20)의 도어 래치부(21)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 레버(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47)을 통해 장착 브라켓(31)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스프링(47)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47)은 제1 고정 축(45)에 장착되며, 제1 스프링(47)의 일단은 레버 바디부(39)에 지지되고, 제1 스프링(47)의 타단은 장착 브라켓(31)에 지지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한 작동력을 작동 레버(33)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작동 레버(33)에 대응하여 장착 브라켓(31)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제1 서보 모터(49)와 제1 작동 로드(5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서보 모터(49)는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의 서보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서, 장착 브라켓(31)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작동 로드(51)는 제1 서보 모터(49)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작동 레버(33)에 대응하여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작동 로드(51)는 작동 레버(33)의 제1 아암부(41)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 로드(51)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리드(볼) 스크류 및 가이드 기구가 제1 서보 모터(49)의 회전 운동을 직선으로 변환함으로써, 직선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의 제1 작동 로드(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 이동되며, 작동 레버(33)를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작동 로드(51)는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후진 이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전동 기구(60)는 제1 전동 기구(30)에 의해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10)의 스위치 신호에 따라 도어(1)를 차폭 방향을 따라 전동 식으로 팝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의 팝업이라 함은 설정된 열림량으로 도어(1)가 전개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열림량은 도어(1)의 가장자리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도어(1)를 열수 있는 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동 기구(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대응하여 도어(1)에 설치되는 제2 액추에이터(6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61)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한 작동력을 차체의 스트라이커(7)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61)는 제2 서보 모터(63)와 제2 작동 로드(6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서보 모터(63)는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의 서보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서, 도어(1)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제2 서보 모터(63)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차체의 스트라이커(7)에 대응하여 차폭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차체의 스트라이커(7)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리드(볼) 스크류 및 가이드 기구가 제2 서보 모터(63)의 회전 운동을 직선으로 변환함으로써, 직선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 이동되며, 스트라이커(7)를 미는 힘으로 도어(1)를 차폭 방향으로 팝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에 의하여 후진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70)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생략된 도어(1)를 스마트 제어 방식으로 개폐 제어 및 팝업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70)은 스마트키(3)가 인식된 상태에서, 래치 모듈(20)의 래치 로크부(23)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도어 래치부(21)의 래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70)은 래치 로크부(23)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래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10)에 의한 스위치 신호의 입력으로 제1 전동 기구(30)의 제1 액추에이터(35)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작동 로드(51)를 전진 이동시키고, 작동 레버(33)를 밀어서 회전시키며, 연결 로드(37)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작동 로드(51)를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70)은 도어 래치부(21)를 통해 도어(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2 전동 기구(60)의 제2 액추에이터(6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액추에이터(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에 의하여 제2 작동 로드(65)를 전진 이동시키며, 스트라이커(7)를 미는 힘으로 도어(1)를 차폭 방향으로 팝업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모듈(70)은 도어(1)의 열림량이 설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2 액추에이터(6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으로 제2 작동 로드(65)를 후진 이동(원 위치, 후퇴)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록 기구(80)는 차량의 방전, 바디 제어기 및/또는 제어 모듈(70)의 고장 등에 따른 비상 시, 수동으로 래치 모듈(20)의 래치 로크부(23)의 래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 록 기구(80)는 래치 로크부(23)에 수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록 기구(80)는 키(81)(예, 비상 키)가 꽂혀지는 키 홀(83)을 가지며, 장착 브라켓(31)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키 홀(83)은 아웃터 패널(5)의 장착 홀(9)을 통해 도어(1)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어 록 기구(80)는 도어 록 몸체(85)와, 키 홀(83)을 형성하며 도어 록 몸체(8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실린더(87)와, 키 실린더(87)에 결합되며, 래치 로크부(23)와 연결되는 키 로드(89)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기구(80)는, 키 홀(83)에 키(81)를 꽂고 그 키(81)를 통해 키 실린더(87)를 회전시키면, 키 로드(89)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키 로드(89)를 통해 래치 로크부(23)의 래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비상 레버(90)는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상 레버(90)는 평상 시,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폐쇄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시,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개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비상 레버(90)는 제1 전동 기구(30)의 작동 레버(33)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상 레버(9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비상 시, 도어 록 기구(80)를 통해 래치 로크부(23)의 래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작동 레버(33)를 밀어서 회전시키며, 연결 로드(37)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비상 레버(90)는 도어(1)의 외부를 향하도록 장착 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비상 레버(90)는 도어(1)의 아웃터 패널(5)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며, 장착 브라켓(31)에 차폭 방향을 따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 레버(90)의 외부 면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버튼 타입 혹은 터치 타입의 스위치 부재(1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부재(10)는 비상 레버(90)의 외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비상 레버(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피봇 결합부(91)와 리브부(9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피봇 결합부(91)는 비상 레버(9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며, 제2 고정 축(95)을 통해 장착 브라켓(31)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고정 축(95)은 피봇 결합부(91)를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장착 브라켓(31)에 고정된다.
상기 리브부(93)는 비상 레버(90)의 회전 시, 작동 레버(33)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브부(93)는 피봇 결합부(9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작동 레버(33)의 제1 아암부(41)와 접촉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리브부(93)는 피봇 결합부(91)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사각 단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브부(93)에는 제1 아암부(41)와 접촉하는 라운드 형태의 캠 노브 면(9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노브 면(97)은 비상 레버(90)의 회전 시, 제1 아암부(41)에 슬립되며, 작동 레버(33)를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레버(90)는 제2 스프링(99)을 통해 장착 브라켓(31)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스프링(99)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99)은 제2 고정 축(95)에 장착되며, 제2 스프링(99)의 일단은 피봇 결합부(91)에 지지되고, 제2 스프링(99)의 타단은 장착 브라켓(31)에 지지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 레버(90)의 다른 한쪽 단부는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블로킹 할 수 있는 블로킹부(92)로 구비된다. 상기 블로킹부(92)는 비상 레버(90)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개폐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10, 그리고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평상 시, 도어(1)가 닫혀서 잠겨 있는 경우, 래치 모듈(20)의 도어 래치부(21)는 차체의 스트라이커(7)에 결합된 상태에 있으며, 래치 로크부(23)에 의하여 잠겨진 상태에 있다.
이때, 제1 전동 기구(30)의 제1 액추에이터(35)의 제1 작동 로드(51)는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후진 이동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동 기구(30)의 작동 레버(33)는 제1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아암부(41)를 통해 제1 작동 로드(51)의 끝단과 접촉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2 전동 기구(60)의 제2 액추에이터(61)의 제2 작동 로드(65)는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에 의하여 후진 이동된 상태에 있다.
더 나아가, 비상 레버(90)는 도어(1)의 아웃터 패널(5)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블로킹부(92)를 통해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블로킹(폐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잠금 상태에서, 도어(1)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스마트키(3)를 소지하고, 도어(1)에 근접하게 되면, 바디 제어기는 스마트키(3)의 무선신호(RF)를 수신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를 해제한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스마트키(3)가 인식된 상태에서, 래치 모듈(20)의 래치 로크부(23)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도어 래치부(21)의 래치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70)은 사용자의 조작으로 입력되는 스위치 입력 신호를 대기하며, 대기 중 버튼 타입 혹은 터치 타입의 스위치 부재(10)를 통해 스위치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상기 제어 모듈(70)은 스위치 부재(10)에 의한 스위치 신호의 입력으로 제1 전동 기구(30)의 제1 액추에이터(35)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액추에이터(35)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작동 로드(51)를 전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 로드(51)는 작동 레버(33)의 제1 아암부(41)를 밀어서 그 작동 레버(33)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작동 레버(33)는 제1 스프링(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레버(33)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 로드(37)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 모듈(70)이 제1 액추에이터(35)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제1 액추에이터(35)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1 서보 모터(49)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작동 로드(51)를 후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 레버(33)는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1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70)은 제2 전동 기구(60)의 제2 액추에이터(6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액추에이터(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에 의하여 제2 작동 로드(65)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에, 상기 제2 작동 로드(65)는 스트라이커(7)를 미는 힘으로 도어(1)를 설정된 기준치의 열림량으로 차폭 방향을 따라 팝업시킨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팝업된 도어(1)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으로 잡아서 도어(1)를 열 수 있다.
이러는 과정에, 상기 제어 모듈(70)은 도어(1)의 열림량이 설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2 액추에이터(6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제2 서보 모터(63)의 구동으로 제2 작동 로드(65)를 후진 이동시킨다.
한편,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방전, 바디 제어기 및/또는 제어 모듈(70)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 제어기 및/또는 제어 모듈(70)은 스마트키(3)를 인식하지 못하고, 스위치 부재(10)를 통한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상 상황의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 레버(90)의 피봇 결합부(91)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비상 레버(90)는 피봇 결합부(91)를 중심으로 하여 도어(1)의 외부 방향(예, 차폭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 레버(90)는 제2 스프링(9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도어(1)의 외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상기 비상 레버(90)의 블로킹부(92)는 도어 록 기구(80)의 키 홀(83)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키 홀(83)에 키(81)를 꽂고, 그 키(81)를 통해 키 실린더(87)를 회전시키게 되면, 키 로드(89)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로크부(23)의 래치 잠금이 수동으로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래치 로크부(23)의 래치 잠금이 수동으로 해제된 상태에서, 키(81)가 키 홀(83)로부터 빠지게 되면, 비상 레버(90)는 제2 스프링(9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봇 결합부(91)를 중심으로 하여 도어(1)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레버(90)의 피봇 결합부(91)를 눌러 비상 레버(90)가 도어(1)의 외부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레버(90)는 사용자의 파지에 의해 도어(1)의 외부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 각도보다 큰 회전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비상 레버(90)는 제2 스프링(9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도어(1)의 외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비상 레버(90)의 리브부(93)는 작동 레버(33)의 제1 아암부(41)를 밀어서 그 작동 레버(33)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 레버(33)는 제1 스프링(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한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레버(33)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 로드(37)를 통해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 레버(33)는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1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던 비상 레버(90)를 놓게 되면, 비상 레버(90)는 제2 스프링(9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봇 결합부(91)를 중심으로 하여 도어(1)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 래치부(21)의 도어 잠금이 해제된 도어(1)를 열고, 차량의 내부로 탑승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평상 시, 스위치 신호에 따라 전동 식으로 래치 모듈(2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도어(1)를 팝업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도어(1)의 팝업 및 개폐 제어를 통해 도어 핸들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도어 핸들로 인한 소음 및 주행성능 문제와 기존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의 결빙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도어(1)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 도어 핸들의 작동을 위한 복잡한 구성품을 생략할 수 있고, 매끈한 바디 라인에 의한 미래 지향적 디자인적 요소의 확보와 아웃터 패널(5)의 성형 및 도장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차량의 방전, 바디 제어기 및/또는 제어 모듈(70)의 고장 등에 따른 비상 시, 도어 록 기구(80)를 통해 수동으로 래치 모듈(20)의 래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비상 시, 비상 레버(90)를 통해 수동으로 래치 모듈(2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시스템(100)은 차량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비상 시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도어 3: 스마트키
5: 아웃터 패널 7: 스트라이커
9: 장착 홀 10: 스위치 부재
20: 래치 모듈 21: 도어 래치부
23: 래치 로크부 30: 제1 전동 기구
31: 장착 브라켓 33: 작동 레버
35: 제1 액추에이터 37: 연결 로드
39: 레버 바디부 41: 제1 아암부
43: 제2 아암부 45: 제1 고정 축
47: 제1 스프링 49: 제1 서보 모터
51: 제1 작동 로드 60: 제2 전동 기구
61: 제2 액추에이터 63: 제2 서보 모터
65: 제2 작동 로드 70: 제어 모듈
80: 도어 록 기구 81: 키
83: 키 홀 85: 도어 록 몸체
87: 키 실린더 89: 키 로드
90: 비상 레버 91: 피봇 결합부
92: 블로킹부 93: 리브부
95: 제2 고정 축 97: 캠 노브 면
99: 제2 스프링 100: 차량용 도어 시스템

Claims (16)

  1.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생략된 차량용 도어 시스템으로서,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부재;
    도어 래치부와 래치 로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치 모듈;
    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에 전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전동 기구;
    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전동 기구;
    스마트키가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로크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도어 래치부의 래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 신호의 입력으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작동 레버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차체를 미는 힘으로 상기 도어를 팝업하는 제어 모듈;
    상기 래치 로크부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에 설치되며, 키가 꽂혀지는 키 홀이 상기 도어의 외부에 배치되는 도어 록 기구; 및
    상기 키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 레버에 수동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비상 레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비상 레버의 외부 면에 버튼 타입 혹은 터치 타입으로 구비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1 고정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바디부와,
    상기 레버 바디부의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비상 레버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아암부와,
    상기 레버 바디부의 다른 한쪽에서 연장되어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제2 아암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제1 스프링을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고정 축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레버 바디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서보 모터와,
    상기 제1 서보 모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며, 상기 제1 아암부에 접촉되는 제1 작동 로드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제2 서보 모터와,
    상기 제2 서보 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차폭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며, 상기 차체에 접촉되는 제2 작동 로드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작동 로드의 전진 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미는 힘으로 상기 도어를 팝업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도어의 열림량이 설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제2 작동 로드를 후퇴시키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차폭 방향을 따라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2 고정 축을 통해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스프링을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고정 축에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비상 레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지지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4.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장착 브라켓에 제2 고정 축을 통해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피봇 결합부와,
    상기 피봇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암부와 접촉되는 리브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키 홀을 블로킹 하는 블로킹부로 구비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피봇 결합부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사각 단면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리브부에는 상기 제1 아암부와 접촉하는 라운드 형태의 캠 노브 면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1020220042987A 2022-04-06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10270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87A KR102703205B1 (ko) 2022-04-06 차량용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87A KR102703205B1 (ko) 2022-04-06 차량용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845A true KR20230143845A (ko) 2023-10-13
KR102703205B1 KR102703205B1 (ko) 2024-09-0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1854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11525289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with roller-type latch mechanism and cinch mechanism
CN106246013B (zh) 闩锁组件、机械锁芯释放机构及打开关闭闩锁的方法
CN110306887B (zh) 具有呈双掣爪构型的闩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6932393B2 (en) Motor vehicle doorlock with combined central locking and opening actuator
US20080217956A1 (en) Motor Vehicle and Door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7377557B2 (en) Scissor mechanism for a latch assembly
US20080203737A1 (en) Global Side Door Latch
US7543861B2 (en) Lock for an opening on a motor vehicle, with a memory for unlocking locking
JPH1171950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CN106869641B (zh) 用于车辆外把手的门锁装置
KR20200127320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US20230358080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single motor actuator configured to control multiple latch functions
CN113756665A (zh) 闭合闩锁组件及对闭合闩锁组件的操作进行控制的方法
US20230112684A1 (en) Power release latch assembly with double pull and power child lock
US11499348B2 (en) Power child lock device
KR100559568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20230143845A (ko)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102703205B1 (ko)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20220031439A (ko)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20230220717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integrated door presenter
US20150008103A1 (en) Short drop mechanism for vehicle door
US20220316244A1 (en) Mechanical emergency latch release system for vehicle door and method
CN115822393A (zh) 使用单个电动马达的具有碰撞解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