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836A - 식재공 형성구 - Google Patents

식재공 형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836A
KR20230143836A KR1020220042960A KR20220042960A KR20230143836A KR 20230143836 A KR20230143836 A KR 20230143836A KR 1020220042960 A KR1020220042960 A KR 1020220042960A KR 20220042960 A KR20220042960 A KR 20220042960A KR 20230143836 A KR20230143836 A KR 2023014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drilling
plate
planting hole
bla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순
Original Assignee
강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순 filed Critical 강경순
Priority to KR102022004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836A/ko
Publication of KR2023014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모종을 식재하는 식재공들을 천공하여 형성하는 멀칭비닐 식재공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동드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식재공을 천공하여 식재공 형성구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 형성구는, 제단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굴취판이 상하 직립하여 교차되게 조립되어, 4개의 굴취 방사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 및 상기 굴취날 조립체의 중심에 이음하여 전동드릴의 회전축과 굴취날 조립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재공 형성구{Planting hole forming port}
본 발명은 식재공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모종을 식재하는 식재공들을 천공하여 형성하는 멀칭비닐 식재공 형성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마늘이나 양파 등의 작물은 통상 늦가을에 재배하여 이듬해 봄에 수확하게 되는데, 수분의 증발을 막아 작물의 성장 및 보호를 돕고, 더불어 잡초의 발생도 막기 위해 통상 검은색상의 멀칭비닐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멀칭비닐은 일정한 간격과 거리를 유지하여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통상 관리기나 경운기, 또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밭을 간 뒤 비닐피복기구 등을 이용하여 밭 표면을 피복하고, 이어서 멀칭비닐의 구멍을 통해 마늘이나 양파를 파종하게 되며, 마늘이나 양파를 수확할 때는 멀칭비닐을 찢어 제거해가며 작물을 수확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멀칭비닐은 잡초발생을 예방하고 수분증발을 막음과 동시에 마늘이나 양파 등의 작물을 생육하는데는 효과적인 물품이기는 하나 생육과정 및 수확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었던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는 핸드드릴이나 엔진을 이용하여 모종이식홈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와 같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힘과 요령에 의해 형성하는 수동식 등이 있다.
수동식 모종이식홈 성형기는 공개 실용신안 제1998-056079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178050호, 실용신안등록 제0252950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힘과 요령에 의해 모종이식홈을 형성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이점은 있으나, 힘이 많이 들고 불편한 폐단이 따른다.
즉, 수동식 모종이식홈 성형기는 작업자가 자루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수직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힘에 의해 자루하단에 형성된 성형구가 땅속에 파고 들어가 모종이식홈을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써, 이는 이식하고자 하는 모종을 감안한 홈을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힘이 많이 들어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0470481호(2013.12.11등록) "비료공급 및 절개를 위한 멀칭비닐천공기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랑에 덧씌워진 이랑에 설정깊이로 수직 진입하는 과정에서는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이랑에 설정너비의 식재공을 안정되게 천공하여 형성하는 식재공 형성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는,
전동드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식재공을 천공하여 식재공 형성구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 형성구는, 제단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굴취판이 상하 직립하여 교차되게 조립되어, 4개의 굴취 방사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 및
상기 굴취날 조립체의 중심에 이음하여 전동드릴의 회전축과 굴취날 조립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굴취판의 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일방향으로 경사진 확산 유도날개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굴취판은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하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굴취판은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교차슬롯을 통해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을 상하 교차되게 조립하면, 4개의 굴취 방사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은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이 직교하여 형성된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굴취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의 중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을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 굴취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의 중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은 직교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교차슬롯을 따라 상하 조립되어서, 중앙부에 연결축부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축고정공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는, 한 쌍의 금속판재를 조립하여 4개의 굴취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를 형성하여, 식재공의 형성과정에 식재공이 형성되는 흙과의 과도한 저항 발생없이 설정된 깊이로 진입하면서 회전하여서 설정깊이와 설정너비를 갖는 식재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즉, 작업자가 굴취날 조립체를 매번 수직으로 가압하여 흙에 설정깊이로 삽입함에 따른 고된 노동이 해소되고, 또 흙과 굴취날 조립체 사이의 마찰 발생이 최소화되어 굴취날 조립체의 마찰 손실이 감소하여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굴취날 조립체를 구성하는 굴취판들은 레이저 커팅시 발생되는 폐스크랩(금속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를 통한 식재공의 형성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를 통한 식재공의 형성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100, 2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드릴(10)의 회전축(11)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식재공을 천공하여 형성하는 장치로, 수직으로 가해지는 가압력과 전동드릴(10)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멀칭비닐이 덧씌워진 이랑에 설정간격으로 식재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100, 2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금속판재를 조립하여 4개의 굴취 방사편(121a, 122a, 221a, 222a)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120, 220)를 형성하여, 식재공의 형성과정에 얇은 두께에 의해 식재공이 형성되는 이랑의 흙과의 과도한 저항 발생없이 설정된 깊이로 진입하면서 드릴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서 설정깊이와 설정너비를 갖는 식재공을 이랑에 형성한다.
상기 식재공 형성구(100, 200)는, 제단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하부 굴취판(121, 221)과 상부 굴취판(122, 222)을 포함하는 한 쌍의 굴취판이 상하 직립하여 교차되게 조립되어, 4개의 굴취 방사편(121a, 122a, 221a, 222a)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120, 220); 및 상기 굴취날 조립체(120, 220)의 중심에 이음하여 전동드릴(10)의 회전축(11)과 굴취날 조립체(120, 2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부(110, 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굴취날 조립체(120, 220)를 구성하는 굴취판들은 레이저 커팅, 프레스 성형 등의 제단공정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각 조립부위에는 용접 등을 통해 정형화된 조립 고정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굴취날 조립체를 구성하는 굴취판들은 레이저 커팅시 발생되는 폐스크랩(금속판재)를 재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며, 폐스크랩을 재활용하면 제작비용이 절감될뿐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굴취날 조립체(120, 220)에 형성된 굴취 방사편(121a, 122a, 221a, 222a)의 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일방향으로 경사진 확산 유도날개(121a-a, 122a-a, 221a-a, 222a-a)를 형성하여서, 이랑의 흙에 회전 절입되면서 확산 유도날개(121a-a, 122a-a, 221a-a, 222a-a)에 의해 식재공이 확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축부(110, 210)를 통해 전동드릴(10)의 회전축(11)에 굴취날 조립체(120, 220)를 조립하여 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랑에 굴취날 조립체(120, 220)를 수직으로 절입하면, 상기 굴취날 조립체(120, 220)는 해당 지점에 설정된 깊이로 진입 및 회전하고, 이러한 과정에 각 굴취 방사편(121a, 122a, 221a, 222a)의 단부에 형성된 확산 유도날개(121a-a, 122a-a, 221a-a, 222a-a)는 흙을 외측으로 확산하여서, 설정된 깊이와 너비를 갖는 식재공을 형성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공 형성구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100)의 굴취날 조립체(1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굴취판(121)과 상부 굴취판(12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굴취판(121)은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121b)이 하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굴취판(122)은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122b)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슬롯(121b, 122b)을 통해 하부 굴취판(121)과 상부 굴취판(122)을 상하 교차되게 조립하면, 4개의 굴취 방사편(121a, 122a)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굴취 방사판(121a, 122a)의 양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일방향으로 경사진 확산 유도날개(121a-a, 122a-a)를 형성하여, 상기 확산 유도날개(121a-a, 122a-a)에 의해 식재공이 확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굴취날 조립체(120)는 연결축부(110)를 통해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축부(110)의 하단부와 굴취날 조립체(120) 사이에 개량된 조립구조를 형성하여서, 상기 연결축부(110)와 굴취날 조립체(120) 사이의 정형화된 연결과, 굴취날 조립체(120)를 구성하는 굴취 방사편(121a, 122a)들의 내측이 연결축부(110)에 의해 지지되어서 향상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동드릴(10)의 회전축(11)에 굴취날 조립체(120)를 이음하는 연결축부(110)의 하단에는 하부가 개방된 십자형 조립슬롯(111)을 형성하여, 상기 굴취날 조립체(110)의 굴취 방사편(121a, 122a)은 십자형 지지슬롯(111)에 삽입하여 직교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연결축부(110)에 의해 굴취 방사편(121a, 122a)들이 구속되면, 식재공의 형성과정에 굴취 방사편(121a, 122a)을 포함하는 굴취날 조립체(120)가 변형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제 2 실시형태]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식재공 형성구(200)의 굴취날 조립체(2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은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굴취 방사편(221a, 222a)이 직교하여 형성된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굴취판(221)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222a)의 중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221b)을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 굴취판(222)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222a)의 중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222b)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은 직교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교차슬롯(221b, 222b)을 따라 상하 조립되어서, 중앙부에 연결축부(21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축고정공(223)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220)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굴취 방사판(221a, 222a)의 양단에는 절곡에 의해 일방향으로 경사진 확산 유도날개(221a-a, 222a-a)를 형성하여, 상기 토양에 설정깊이로 삽입된 굴취날 조립체(220)는 전동드릴(1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확산 유도날개(221a-a, 222a-a)를 통해 식재공을 확장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이 상하 교차하여 조립된 굴취날 조립체(220)에는 하나 이상의 형상 지지링(224)을 동심구조로 배치하여, 상기 형상 지지링(224)에 의해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은 환형 지지되어 형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에 형성된 교차슬롯(221b, 222b)들 사이에 소구경의 형상 지지링(225)을 배치하고,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이 교차하여 조립된 굴취날 조립체(220)의 상부에 링 지지홈(225)들을 형성하고, 상기 링 지지홈(225)에 대구경의 형상 지지링(224)을 배치하여서, 굴취날 조립체(220)의 형상 지지링(225)들에 의해 안정된 형태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형상 지지링(225)를 고형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환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하여 굴취날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하부 굴취판과 하부 굴취판이 환형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굴취날 조립체(220)의 중심에 형성된 축고정공(223)에 연결축부(210)의 단부를 삽입한 다음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면, 연결축부(210)의 외측에 4개의 굴취 방사편(221a, 222a)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식재공 형성구(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축고정공(223)에 삽입되는 연결축부(210)의 하단부는 도 5와 같이 축고정공(223)을 통해 굴취날 조립체(220)의 하부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상기 굴취날 조립체(220)에 형성된 축고정공(223)에 삽입하여 은폐된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이 교차하여 조립된 굴취날 조립체(220)는, 교차하는 하부 굴취판(221)과 상부 굴취판(222) 사이에 연결축부(210)가 삽입되는 축고정공(223)이 정형화되게 형성되므로, 연결축부(210)의 별도 가공 없이도 축고정공(223)을 통해 굴취날 조립체(200)를 정형화되게 조립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0. 전동드릴 11. 회전축
100. 멀칭비닐 식재공 형성구
110. 연결축부 111. 십자형 지지슬롯
120. 굴취날 조립체 121. 하부 굴취판
121a. 굴취 방사편 121a-a. 확산 유도날개
121b. 교차슬롯 122. 상부 굴취판
122a. 굴취 방사편 122a-a. 확산 유도날개
122b. 교차슬롯
200. 멀칭비닐 식재공 형성구
210. 연결축부 220. 굴취날 조립체
221. 하부 굴취판 221a. 굴취 방사편
221a-a. 확산 유도날개 221b. 교차슬롯
222. 상부 굴취판 221a. 굴취 방사편
221a-a. 확산 유도날개 221b. 교차슬롯
222a-a. 확산 유도날개 222b. 교차슬롯
223. 축고정공 224. 형상 지지링
225. 링 지지홈

Claims (4)

  1. 전동드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랑에 덧씌워진 멀칭비닐에 식재공을 천공하여 식재공 형성구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 형성구는, 제단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굴취판이 상하 직립하여 교차되게 조립되어, 4개의 굴취 방사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 및
    상기 굴취날 조립체의 중심에 이음하여 전동드릴의 회전축과 굴취날 조립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형성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굴취판의 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일방향으로 경사진 확산 유도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형성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굴취판은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하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굴취판은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교차슬롯을 통해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을 상하 교차되게 조립하면, 4개의 굴취 방사편들이 등각 방사구조로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형성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은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이 직교하여 형성된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굴취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의 중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을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 굴취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굴취 방사편의 중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교차슬롯이 상향 요입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굴취판과 상부 굴취판은 직교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교차슬롯을 따라 상하 조립되어서, 중앙부에 연결축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는 축고정공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굴취날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 형성구.
KR1020220042960A 2022-04-06 2022-04-06 식재공 형성구 KR20230143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60A KR20230143836A (ko) 2022-04-06 2022-04-06 식재공 형성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60A KR20230143836A (ko) 2022-04-06 2022-04-06 식재공 형성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836A true KR20230143836A (ko) 2023-10-13

Family

ID=8828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960A KR20230143836A (ko) 2022-04-06 2022-04-06 식재공 형성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8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81B1 (ko) 2003-03-21 2005-02-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벽걸이형 에어컨의 전면커버 개방 고정용 스토퍼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81B1 (ko) 2003-03-21 2005-02-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벽걸이형 에어컨의 전면커버 개방 고정용 스토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122B1 (en) Tool for planting flower bulbs and ornamentals
KR101891899B1 (ko)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CN114026997B (zh) 一种针对根土复合体的动员式剪切破茬开沟装置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20230143836A (ko) 식재공 형성구
US8479842B2 (en) Garden auger
CN214338559U (zh) 一种农用土壤打孔装置
CN210202381U (zh) 一种蓝莓种植用培土装置
US20140083726A1 (en) Drill Driven Weed Removal Tool
KR102357902B1 (ko) 돌기날부의 양측에 칼날부가 구비된 농기구
CN216134812U (zh) 果树和林木定植用挖穴机钻头
KR102123655B1 (ko) 심토 작업용 쟁기
EP4252513A1 (en) Planting preparation tool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JPH07289048A (ja) 根菜類の深耕栽培法及び収穫法
CN213784045U (zh) 一种便于维护的旋耕机
JPH0458806A (ja) 穴掘り器具
CN213485556U (zh) 一种安全性能较高的旋耕机
CN211860999U (zh) 农用除草刀具
KR200182603Y1 (ko) 농기계용 로타리날 개선구조
CN210137615U (zh) 药材收获机深度挖掘铲
KR200306233Y1 (ko) 관리기용 복토기
CN216873757U (zh) 一种旋耕机用旋耕刀轴总成
CN209800520U (zh) 园林机械快换刀轴